KR102525988B1 -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88B1
KR102525988B1 KR1020220082893A KR20220082893A KR102525988B1 KR 102525988 B1 KR102525988 B1 KR 102525988B1 KR 1020220082893 A KR1020220082893 A KR 1020220082893A KR 20220082893 A KR20220082893 A KR 20220082893A KR 102525988 B1 KR102525988 B1 KR 10252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block
reduction
flow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준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8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에 배관되는 등의 이유로 유속이 큰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맨홀에 설치되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호안블록, 감세블록, 및/또는 도류벽을 이용하는 유속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속 저감장치는 유수관로의 맨홀 하부에 유속 저감장치를 설치하여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가 와류를 형성하여 적정유속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수관 시설의 세굴(洗掘)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퇴적물이나 오염물이 처리장으로 급격히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설치하는 맨홀뿐 아니라 이리 설치된 맨홀에도 별도의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Flow Rate Reducing Device in Running Water Pipelines}
본 발명은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의 유속을 저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로에 배관되는 등의 이유로 유속이 큰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맨홀에 설치되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호안블록, 감세블록, 및/또는 도류벽을 이용하는 유속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수관은 내부로 물이 흐르는 관으로 우수관 및 오수관(하수관) 등을 포함하는명칭으로, 우수관은 콘크리트관을 사용하고 오수관은 PVC관 또는 PE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수관이 연결된 유수관로는 지하에 매설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정리를 위해 지상과 관로를 연결하는 수직 구멍인 맨홀(Manhole)이 위치한다.
유수관이 경사로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수상태에 따라 우수의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고, 오수도 배출상황에 따라서 유량의 증감이 일어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유수관을 흐르는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유수관 부근의 비포장지역에서는 침식토사가 노면축적 오염물질과 함께 유수관으로 흐르게 되고, 포장지역에서는 노면축적 오염물질이 유수관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유수관 내부에 퇴적되어 있던 오염물질과 토지 침식물도 유량이 증가하면 바닥의 토사를 밀어내리는 소류력이 커져서 부상하여 함께 흘러가게 된다. 이는 수질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하부의 정화시설에서 과부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1756호는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하수속도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사관로의 유속을 저감시켜 세굴이나 파손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경사면에 설치된 하수관의 유속저감부재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낙수되는 하수에 의해 회전 운동하도록 고정부재의 축조립부에 조립되는 유속저감부재와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번잡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1756호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하수속도저감장치]
본 발명은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의 속도저감을 위해서 맨홀 내부의 입수관과 배수관 사이에 설치하는 호안블록, 감세블록, 및/또는 도류블록을 이용하는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로, 상기 유속 저감장치는: 상기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방향을 달리하고 유수를 배출하는 유출구가 각각 측벽에 배열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입구의 전면에 상기 유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감세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감세블록부; 상기 감세블록을 원호기둥 형상으로 둘러싸되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원호기둥 내벽의 상기 감세블록과 대향하는 측벽에 복수개의 호안블록이 형성된 저감장치 본체; 및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에서 유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복수개의 도류블록이 서로 엇갈려 배열된 유로변경용 도류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호안블록은 상기 유수 진행 방향 후방이 전방에 비해 높게 돌출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의 후방부는 날카롭게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호안블록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서로 결합된,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감세블록은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감세블록의 폭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수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저감장치 본체 보다 좁게 형성된,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감세블록부는 3개의 감세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에 가까운 제1 감세블록은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상기 제1 감세블록 뒤에 위치하는 제2 감세블록은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2 감세블록의 뒤에 위치하는 제3 감세블록은 상기 제1 감세블록과 같은 폭을 가지되 두께는 얇은,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저감장치 본체에 형성된 복수개의 호안블록은 유수가 흐르는 방향 뒤쪽으로 갈수록 돌출된 곡면의 돌출높이가 커지는,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도류블록부는 2개의 도류블록을 포함하고, 각각의 도류블록은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 양쪽에 상기 저감장치 본체와 결합되어 설치된,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의 재질은 FRP, PE, PVC, 수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콘크리트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재질이 FRP인 경우에는 상기 감세블록, 도류블록 및 호안블록에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PE시트를 부착하는,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는 유수관로의 맨홀 하부에 유속 저감장치를 설치하여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가 와류를 형성하여 적정유속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수관 시설의 세굴(洗掘)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퇴적물이나 오염물이 처리장으로 급격히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설치하는 맨홀뿐 아니라 미리 설치된 맨홀에도 별도의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가 설치된 유수관로의 맨홀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도 3의 A-A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도 3의 B-B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도 3의 위치에서 관찰한 유동 유체의 감압 및 저감장치에서 유체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을 위한 호안블록 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을 위한 호안블록 구조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속 저감장치의 호안블록에서 유체흐름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가 설치된 유수관로의 플라스틱 재질 맨홀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가 설치된 유수관로의 콘크리트 재질 맨홀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는 유입구 및 유출구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있는 감세블록부 및 도류블록부와 장치 본체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호안블록에서 와류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수류의 압력과 유속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근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는 각종 배관, 관로의 맨홀, 공공관로, 펌프탑 시설 등의 고속수류에 의한 손상 및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가 설치된 유수관로의 맨홀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유속 저감창치(1)는 상기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유입구(10)와 방향을 달리하고 유수를 배출하는 유출구(11)가 각각 측벽에 배열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입구의 전면에 상기 유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감세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감세블록부(30); 상기 감세블록을 원호기둥 형상으로 둘러싸되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원호기둥 내벽의 상기 감세블록과 대향하는 측벽에 복수개의 호안블록(100)이 형성된 저감장치 본체(2); 및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에서 유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복수개의 도류블록이 서로 엇갈려 배열된 유로변경용 도류블록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속 저감장치(1)는 경사지에 배관된 하수관(경사배관)의 하류측에 부설된 맨홀에 감세공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속 저감장치(1)는 유입구(10) 전면에 설치된 감세블록부(31), 호안블록(100) 및 유로를 구비하는 저감장치 본체(2), 및 그 내부 유로(18)에 설치된 도류블록부(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가 설치된 유수관로의 맨홀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감세블록부(30)는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수를 1차로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감세블록부(30)는 3개의 감세블록(30a, 30b, 3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세블록은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수를 막는 물막이판이다. 유입구(10)에 가까운 제1 감세블록(30a)은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상기 제1 감세블록 (30a) 뒤에 위치하는 제2 감세블록(30b)은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2 감세블록(30b)의 뒤에 위치하는 제3 감세블록(30c)은 상기 제1 감세블록(30a)과 같은 폭을 가지되 두께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세블록부(30)의 감세블록(30a, 30b, 30c)은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전면이 경사면(31)을 이루고, 후면은 수직인 감세벽(32)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1)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감세블록의 폭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수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저감장치 본체(2)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감세블록(30a, 30b, 30c)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0)로 유입된 오수의 흐름이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고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세블록은 부착 또는 제거가 가능하여 유입구의 청소 등 유지관리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저감장치에서 유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저감장치(1)가 설치된 감세공에 유수가 유입되면 유입구(10)전면에 설치된 각 감세블록의 경사면(31)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 유입로(17)를 흐르면서 유속이 1차적으로 저감되고, 본 발명의 저감장치 본체(2)의 유입개구부(19)로 흐르게 된다. 상기 유수는 유입개구부(19)를 통해 감세블록부(30)와 대향하여 저감장치 본체(2)에 형성된 호안블록(100)으로 향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유속이 추가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경사 유입로(17)의 양 측면의 유입개구부(19)로 부터 유출부(11)로 통하며 유로(17)를 통해 유수는 유출구(19)로 흐르게 된다. 한 구현예에서 저감장치 본체(2)는 FRP(Fiber-reinforced plastic)를 성형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강도 및 중량을 고려하여 4mm 내지 5mm 두께가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범위를 사용하면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저감장치 본체(2)에 작업자가 위치하여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저감장치 본체(2)의 상단부에는 있는 고정 플레이트(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 플레이트(50)에는 손잡이(51)가 설치되어 여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세블록부(30)와 대향되는 저감장치 본체(2)의 측벽에는 호안블록(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안블록(100)은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로부터 양 측의 유입개구부(19)로 유체가 흐를 때 감세블록(30)과 함께 불규칙한 와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유동을 형성하므로 속도수두 손실로 인해 유체의 압력과 유동속도가 감소되므로 높은 유속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호안블록(100)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호안블록(30)은 물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가장 먼저 접하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전방벽(110), 상기 전방벽(110)보다 높은 후방벽(120) 및 상기 전방벽(110) 및 후방벽(120)을 곡선부로 연결하는 상부면(130), 및 상기 상부면(130)을 중심으로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벽(14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면(130)은 전방벽(110)에서 후방벽(120)으로 향할수록 높게 돌출된 곡면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날카로운 선단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호안블록은 유수가 흐르는 방향 뒤쪽으로 갈수록 돌출된 곡면의 돌출높이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높이가 커지면서 날카로운 형상의 선단부(135) 구조는 수류의 유속을 더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를 결합하여 호안블록 구조체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호안블록(100)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형인 경우 호안블록 구조체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호안블록(100)의 후방 하단에 요홈(1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125)은 상기 호안블록(100)의 전방벽(110)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 복수개를 종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할 때, 첫 번재 호안블록(100a)의 요홈(125)에 두 번째 호안블록(100b)의 전방벽(110)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두번 째 호안블록의 요홈에 세 번째 호안블록(100c)의 전방벽(10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복수개의 호안블록(100)이 결합되어 조립형 호안블록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 감소를 위한 호안블록 구조체 및 발생되는 와류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호안블록 구조체는 저감장치 내 양 측벽에 설치되어 수류의 유속을 완하시켜 고속수류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1)는 상기 저감장치 본체(2)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에서 유출구(11) 방향으로 유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복수개의 도류블록(40a, 40b)이 서로 엇갈려 배열된 유로변경용 도류블록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도류블록부(40)는 도 3 내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유입개구부(19)와 유출부(11)사이의 유로(18)상에 설치된다. 상기 도류블록부(40)는 2개의 도류블록(40a, 40b)을 포함하고, 각각의 도류블록(40a, 40b)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감장치 본체(2)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 양쪽에 상기 저감장치 본체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류벽(40)은 유입구(10)에서 유입개구부(19)를 거쳐 유출구(11)로 유체가 흐를 때 감세블록(30)과 호안블록(100)에 의해 감소된 유체의 유속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를 플라스틱 맨홀형에, 도 11은 콘크리트 맨홀형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의 재질은 FRP, PE, PVC, 수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유속 저감장치의 재질이 FRP인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필요한 위치에 PE시트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FRP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PE는 내 마모성이 우수하여 내마모성이 필요한 부분에 PE 시트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면 경량화와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마모성이 필요한 부분은 감세블록부(40)의 경사면(41), 양 측면의 호안블록(200), 저감장치 본체(2)의 유수 바닥면 및 도류블록(40)의 정면 등 수류에 의해 충격을 받는 부위로, PE 시트를 부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2. 저감장치 본체
10. 유입구
11. 유출구
17. 경사 유입로
18. 유로
19. 유입개구부
30. 감세블록부
30a, 30b, 30c. 감세블록
31. 경사면
32. 감세벽
40. 도류블록부
40a, 40b. 도류블록
50. 플레이트
51. 손잡이
100. 호안블록
110. 전방벽
120. 후방벽
125. 요홈
130. 상부면
135. 선단부
140. 측벽

Claims (7)

  1.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로, 상기 유속 저감장치는:
    상기 유수관로를 흐르는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방향을 달리하고 유수를 배출하는 유출구가 각각 측벽에 배열되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입구의 전면에 상기 유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감세블록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감세블록부;
    상기 감세블록을 원호기둥 형상으로 둘러싸되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원호기둥 내벽의 상기 감세블록과 대향하는 측벽에 복수개의 호안블록이 형성된 저감장치 본체; 및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에서 유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복수개의 도류블록이 서로 엇갈려 배열된 유로변경용 도류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호안블록은 상기 유수 진행 방향 후방이 전방에 비해 높게 돌출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의 후방부는 날카롭게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호안블록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서로 결합되며,
    상기 감세블록부는 3개의 감세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에 가까운 제1 감세블록은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상기 제1 감세블록 뒤에 위치하는 제2 감세블록은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2 감세블록의 뒤에 위치하는 제3 감세블록은 상기 제1 감세블록과 같은 폭을 가지되 두께는 얇은,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세블록은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감세블록의 폭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수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저감장치 본체 보다 좁게 형성된,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장치 본체에 형성된 복수개의 호안블록은 유수가 흐르는 방향 뒤쪽으로 갈수록 돌출된 곡면의 돌출높이가 커지는,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류블록부는 2개의 도류블록을 포함하고, 각각의 도류블록은 상기 저감장치 본체의 상기 유수가 흐르도록 개방된 위치 양쪽에 상기 저감장치 본체와 결합되어 설치된,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의 재질은 FRP, PE, PVC, 수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콘크리트인,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이 FRP인 경우에는 상기 감세블록, 도류블록 및 호안블록에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PE시트를 부착하는,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KR1020220082893A 2022-07-06 2022-07-06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KR10252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93A KR102525988B1 (ko) 2022-07-06 2022-07-06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93A KR102525988B1 (ko) 2022-07-06 2022-07-06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988B1 true KR102525988B1 (ko) 2023-04-26

Family

ID=8609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893A KR102525988B1 (ko) 2022-07-06 2022-07-06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37Y1 (ko) * 2006-06-14 2006-09-20 민건우 합성수지시트가 부착된 frp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든제조품
KR100751756B1 (ko) 2007-05-16 2007-08-2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KR20110033444A (ko) * 2009-09-25 2011-03-31 장동원 배수 맨홀
KR101725479B1 (ko) * 2016-08-31 2017-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 유속 감소를 위한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37Y1 (ko) * 2006-06-14 2006-09-20 민건우 합성수지시트가 부착된 frp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든제조품
KR100751756B1 (ko) 2007-05-16 2007-08-2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KR20110033444A (ko) * 2009-09-25 2011-03-31 장동원 배수 맨홀
KR101725479B1 (ko) * 2016-08-31 2017-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 유속 감소를 위한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777B2 (en) Stormwater dispensing chamber
JP3895505B2 (ja) 沈殿物を収集移送する設備
US4313692A (en) Septic tank drainage conduit structures
US11293464B2 (en) Fluid flow enhancing device and culvert comprising same
KR102525988B1 (ko) 유수관로의 유속 저감장치
CN214143273U (zh) 一种公路桥梁桥面竖向排水装置
JP4723214B2 (ja) 直角v字型減勢工、それを使用したカスケード工、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段落水路
CN212772708U (zh) 一种带有翻斗式自动冲洗装置的排水倒虹管
KR101011080B1 (ko) 관거 내부의 유속 증가 탑플로우
KR100812771B1 (ko) 하천의 하구 폐쇄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1129840B1 (ko) 관거 내부의 유속 증가 탑플로우
Tullis et al. Impact dissipators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US20070158248A1 (en) Storm water separator system
JP2001032356A (ja) 管渠連結部の減勢装置
JP2002030637A (ja) 減勢装置
JP3762905B2 (ja) 横軸ポンプを用いた排水設備
KR100674355B1 (ko) 상수도 취수탑 저수위 도수구 설치구조
KR20230166470A (ko) 수생태계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경사배수공 빗물받이 덮개 수로관 시스템
EP1520943A2 (en) Surface drainage system
KR870001336Y1 (ko) 차진식 빗물받이
JP2004100285A (ja) 減勢工
JPH11280137A (ja) 小口径の排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