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46B1 -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46B1
KR102525946B1 KR1020150174228A KR20150174228A KR102525946B1 KR 102525946 B1 KR102525946 B1 KR 102525946B1 KR 1020150174228 A KR1020150174228 A KR 1020150174228A KR 20150174228 A KR20150174228 A KR 20150174228A KR 102525946 B1 KR102525946 B1 KR 10252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water
disaster prevention
ship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498A (ko
Inventor
지혜련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을 활용하는 것으로,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이 설치되고,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가 설치됨으로써,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와 연결된 에어 홀을 통해서 해수를 흡입하여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하여, 화재진압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재장치를 기존 공기 윤활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서 의장품 설치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운용에 있어서도 호환성이 가능하여 공기 윤활모드와 방재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DISASTER PREVENTION APPARATUS USING AIR CHAMBER IN BOTTOM OF A SHIP}
본 발명은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ALS의 에어 챔버를 통해서 해수를 흡입한 후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하여 화재진압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방재장치 또는 방재시스템이 설치되는데, 그 일 예로서 해수(海水)를 펌핑하여 화재장소에 고압 분사하여 방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14-0129185호에는 공기 윤활 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ALS)이 개시된다.
종래 공기 윤활 시스템은 선박이 물을 통해 이동할 때, 선박(1)의 헐(hull)(2)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3) 및 바닥 아래 흐르는 물 사이에 공기 윤활 층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캐비티(cavity; 6)를 정의하는 상부 벽(top wall; 4) 및 측벽들(sidewalls; 5, 5')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6)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3)의 높이에서 측벽들(5, 5')에 횡 방향인 인터페이스 면(interface plane) 내에 위치된 개구(開口)(13)를 구비하며, 개구는 캐비티의 길이방향으로 보이는 전단(front end; 9) 및 후단(rear end; 15)을 구비하고, 캐비티 안으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개구로부터 공기 입구(10)가 이격 배치되고, 캐비티(6)의 개구(13)의 길이는 2 및 10m 사이이고, 인터페이스 면으로부터 상부 벽(4)의 거리(H)는 0.2m 및 0.5m 사이인 선박이 물을 통해 이동할 때, 선박(1)의 헐(2)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3) 및 바닥 아래 흐르는 물 사이에 공기 윤활 층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방재장치는 종래 공기 윤활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성되므로, 의장품 설치공간의 제약 때문에 설치공간의 확보가 쉽지 않고, 전체 구성이 복잡하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운용에 있어서 호환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서 제어가 쉽지 않고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 제10-2014-0129185호
본 발명은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을 활용하는 것으로,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이 설치되고,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가 설치됨으로써,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와 연결된 에어 홀을 통해서 해수를 흡입하여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하여 화재진압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재장치를 기존 공기 윤활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서 의장품 설치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운용에 있어서도 호환성이 가능하여 공기 윤활모드와 방재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는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상기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상기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에어 공급 모드 시에는 에어 흡입구를 구성하고, 해수 흡입을 위한 방재 모드 시에는 해수 분사노즐 기능을 갖도록 배치되는 쉴드 부재; 및 에어 공급 모드와 방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에어 공급과 해수 흡입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재 모드 시 상기 쉴드 부재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간극은 상기 에어 공급 모드 시 상기 쉴드 부재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간극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쉴드 부재를 업 다운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내측 상단부에는 수압을 감지하고 그 수압에 의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은 신축 가능한 중첩 배관들로 구성되고, 수압에 의해서 신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을 활용하는 것으로,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이 설치되고,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가 설치됨으로써,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와 연결된 에어 홀을 통해서 해수를 흡입하여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하여 화재진압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방재장치를 기존 공기 윤활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서 의장품 설치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운용에 있어서도 호환성이 가능하여 공기 윤활 모드와 방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체 제어가 쉽고 원활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 윤활 시스템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 공기 윤활모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 방재모드를 보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 공기 윤활모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 방재모드를 보인 측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는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6),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 펌프(120), 쉴드 부재(130), 및 제어 유닛(140)을 구비한다.
선저에는 다수의 에어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에어 홀을 통해 공급된 에어는 선저에 형성된 에어 챔버(6) 안에 포집된다.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은 선저에 형성된 에어 챔버(6) 안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용으로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펌프(120)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중간에 설치되어, 에어 챔버(6)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기능을 한다.
쉴드 부재(130)는 머쉬룸 덕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중관 구조로도 구성 가능하다. 쉴드 부재(130)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에어 공급 모드 시에 에어 흡입구를 구성하고(도 3 참조), 해수 흡입을 위한 방재 모드 시에 해수 분사노즐 기능을 갖도록 배치되고 구성된다(도 4 참조).
즉, 상기 쉴드 부재(130)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재 모드 시 쉴드 부재(130)와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간극(D1)은 에어 공급 모드 시, 쉴드 부재(130)와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간극(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40)은 에어 공급 모드와 방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에어 공급과 해수 흡입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을 이용한 에어 공급 모드 시에는 펌프(120)가 구동하여,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상단부를 통해서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에어 홀을 통해서 선저의 에어 챔버(6)로 공급한다.
한편, 방재 모드 시에는 펌프(120)가 구동하여,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선저의 에어 챔버(6)로부터 해수를 흡입한다. 흡입한 해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110)의 상단부를 통해서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210)의 외측 상단부에 쉴드 부재(230)를 업 다운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250)가 설치되고, 에어 해수 겸용 배관(210)의 내측 상단부에는 수압을 감지하고 그 수압에 의해서 액츄에이터(2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26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재 모드 시에 쉴드 부재(230)와 에어 해수 겸용 배관(210)의 간극(D1)이 에어 공급 모드 시에 쉴드 부재(230)와 에어 해수 겸용 배관(210)의 간극(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공급 모드 시 간극은 D2로 유지하다가, 방재 모드 시 간극은 D1으로 작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방재 모드 시 간극이 D1으로 작게 유지됨으로써, 그 간극(D1)이 노즐 기능을 하여 해수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으므로 화재 진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에서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310)이 신축 가능한 중첩 배관들로 구성되고, 수압에 의해서 신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재 모드 시에 간극(D1)으로 작게 유지됨으로써 그 간극(D1)이 노즐 기능을 하여 해수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 ALS)을 활용하는 것으로,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이 설치되고,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가 설치됨으로써, 기존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와 연결된 에어 홀을 통해서 해수를 흡입하여 화재현장에 고압 분사하여 화재진압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방재장치를 기존 공기 윤활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서 의장품 설치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운용에 있어서도 호환성이 가능하여 공기 윤활 모드와 방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체 제어가 쉽고 원활한 장점이 있다.
6: 에어 챔버
110: 에어 해수 겸용 배관
120: 펌프
130: 쉴드 부재
140: 제어 유닛
210: 에어 해수 겸용 배관
230: 쉴드 부재
250: 액츄에이터
260: 센서
310: 에어 해수 겸용 배관

Claims (4)

  1. 선저에 형성되는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상기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에어 해수 겸용 배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에어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방재를 위해서 상기 선저의 해수를 흡입하는 펌프;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에어 공급 모드 시에는 에어 흡입구를 구성하고, 해수 흡입을 위한 방재 모드 시에는 해수 분사노즐 기능을 갖도록 배치되는 쉴드 부재; 및
    에어 공급 모드와 방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에어 공급과 해수 흡입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재 모드 시, 상기 쉴드 부재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간극은 상기 에어 공급 모드 시, 상기 쉴드 부재와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간극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쉴드 부재를 업 다운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의 내측 상단부에는 수압을 감지하고 그 수압에 의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해수 겸용 배관은 신축 가능한 중첩 배관들로 구성되고, 수압에 의해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KR1020150174228A 2015-12-08 2015-12-08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KR10252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28A KR102525946B1 (ko) 2015-12-08 2015-12-08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28A KR102525946B1 (ko) 2015-12-08 2015-12-08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98A KR20170067498A (ko) 2017-06-16
KR102525946B1 true KR102525946B1 (ko) 2023-04-26

Family

ID=5927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228A KR102525946B1 (ko) 2015-12-08 2015-12-08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89A (ko) 2020-12-29 2022-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적용을 위한 선체 개조 공법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모듈형 챔버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307A (ja) 2004-10-07 2006-04-20 Ihi Marine United Inc 船舶用液体放出装置及び船舶用災害沈静方法。
JP2013010502A (ja) 2012-07-31 2013-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
JP2013010395A (ja) 2011-06-28 2013-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8344A (ja) 2011-07-11 2013-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
JP2013063673A (ja) 2011-09-15 2013-04-1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JP2014113897A (ja) 2012-12-07 2014-06-26 Oshima Shipbuilding Co Ltd カバープレート及び空気潤滑装置並びに船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21B1 (ko) * 2006-08-17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체용 고압호스
SG10201601987PA (en) 2012-02-21 2016-05-30 Silverstream Technologies B V Air Lubr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307A (ja) 2004-10-07 2006-04-20 Ihi Marine United Inc 船舶用液体放出装置及び船舶用災害沈静方法。
JP2013010395A (ja) 2011-06-28 2013-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8344A (ja) 2011-07-11 2013-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
JP2013063673A (ja) 2011-09-15 2013-04-1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JP2013010502A (ja) 2012-07-31 2013-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低減型船舶
JP2014113897A (ja) 2012-12-07 2014-06-26 Oshima Shipbuilding Co Ltd カバープレート及び空気潤滑装置並びに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98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9010562A (es) Grifo de extraccion operado por sensor.
MX2019008113A (es) Sistema de ducha.
CR20160157A (es) Embarcación autopropulsada
USD654989S1 (en) Fluid flow deflector
EP3789299A3 (en) Aerial fire suppression system
WO2008035335A3 (en) Drip irrigation hoses of the labyrinth type and flow–control elements for producing such hoses
JP2014087707A5 (ko)
FR3050228B1 (fr)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par jets d'air d'un carter de turbine
KR102525946B1 (ko)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EP2939714A3 (en) Connection layout for a fire extinguisher using high-pressure water mist and procedure for extinguishing indoor fires
MX339933B (es) Aumentador de volumen con elementos internos de ruido reducido.
KR101744492B1 (ko) 건축 공간 자동 화재 감지 및 초기 진압 소방 장치
FR2973341B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systeme de detection d'une fuite d'air a un manchon enveloppant un conduit d'air sous pression d'un aeronef
RU2373980C1 (ru) Пожарный монитор
USD844177S1 (en) Modular composite shelter system panel
WO2015110710A3 (en) Platform system and arrangement for underwater activities
WO2008041867A3 (en) Fire suppression apparatus incorporated into domestic faucet
CA2897387C (en) Split ventilation system
CN105391981A (zh) 一种智能化楼宇监控系统
WO2012166597A3 (en) Low gravity fed water system without submersed drains within the bathing chamber for pools and spas
WO2008099103A3 (fr) Dispositif de securisation des prises des poteaux d'incendie a l'aide du tube de commande
CN204208233U (zh) 一种扑救密闭抗震电缆沟火灾的消防系统
GB2459583A (en) Vortex induced vibration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CN105971480A (zh) 一种智能消防门
WO2014194338A3 (en) Pu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