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732B1 -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 Google Patents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732B1
KR102525732B1 KR1020207037558A KR20207037558A KR102525732B1 KR 102525732 B1 KR102525732 B1 KR 102525732B1 KR 1020207037558 A KR1020207037558 A KR 1020207037558A KR 20207037558 A KR20207037558 A KR 20207037558A KR 102525732 B1 KR102525732 B1 KR 10252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main switches
main
power
re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495A (ko
Inventor
아딜 우드리리
지치 장
유 두
지구오 판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2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02M1/344Active dissipative snubb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Ac-Ac Convers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부적절한 전력원을 단절하고 부하를 대체 전력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공진 턴오프 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회로에서, 전력원의 AC 사이클이 제로 크로싱하기 전에 메인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 스위치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 2 전력원으로 전환시키도록 빠르게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공진 스위치, 커패시터, 프리-챠징 전력 공급원 및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위치를 턴오프하려고 할 때, 상기 스위치 양단에 전압 반전을 야기하도록 공진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Description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적 전환 스위치들(static transfer switche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정적 전환 스위치(STS)는 민감한 부하들에 전력을 분배하는 데 사용되는 알려진 유형의 전기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정적 전환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센터들 또는 기타 산업 플랜트 또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이 필요한 시설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정적 전환 스위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여러 전력원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망(electric grid)과 같은 하나의 전력원은 주 전력원이 될 수 있고, 발전기와 같은 제 2 전력원은 백업 전력원이 될 수 있다. 두 전력원들 모두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적 전환 스위치에 공급된다. 정상 상태 동안, 정적 전환 스위치는 주 전력원 및 백업 전력원을 모니터링하고, 주 전력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한다. 주 전력원으로부터의 전력이 악화되면, 정적 전환 스위치는 백업 전력원으로 스위칭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그러한 스위칭은 부하가 전력 공급원들 사이에서의 스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빠르게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원하는 스위칭 속도와 신뢰성을 얻기 위해, 정적 전환 스위치들은 "정적(static)" 스위칭을 사용하고, 이는 솔리드 스테이트 전력 전자장치가 전력원들 사이를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솔리드 스테이트 전력 전자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스위칭 속도는 정적 전환 스위치의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주 전력원의 악화가 갑자기 일어날 수 있으며, 악화되는 주 전력원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빠르게 스위칭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에서의 많은 전기 구성요소들은 전력 공급 변동에 특히 민감한다. 또한, 두 전력원들 사이의 스위칭 타이밍은 매끄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력원 단절 지연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여러 전력원들이 부하에 연결됨으로써 전력이 급증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부하에 전력원이 연결되지 않아 전력의 갭을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정적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전력원들 사이에서 스위칭을 할 때 가능한 한 빨리 전력원을 단절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원을 턴오프하는 정적 전환 스위치는 AC 사이클의 절반 미만이다. 이러한 것은 정적 전환 스위치가 두 전력원들 사이에서 빠르게 스위칭할 수 있게 하여 민감한 부하들에 대한 적절한 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회로는 두 개의 메인 스위치들 및 두 개의 공진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공진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스위치를 턴오프하기 위해 턴온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정적 전환 스위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공진 턴오프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이리스터들 중 하나가 턴오프되는 것을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 4는 도 3의 확장된 차트이다.
도 5는 또 다른 공진 턴오프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이리스터들 중 하나가 턴오프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는 도 6의 확장된 차트이다.
이제 도면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정적 전환 스위치(10)에 대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적 전환 스위치(10)에는 제 1 전력원(12) 및 제 2 전력원(14)이 공급된다. 정적 전환 스위치(10)의 출력은 데이터 센터와 같은 부하(16)에 연결된다. 전력원들(12, 14) 사이에서의 스위칭은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22, 24)의 대응하는 세트들(18, 20)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스위치들(22, 24)은 사이리스터들 또는 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들(GTO)이다. 메인 스위치들(22, 24)은, 전력원(12, 14)으로부터 스위치들(22, 24)로 AC 전력원이 공급되고 메인 스위치들(22, 24)인 턴온될 때, AC 전력의 양극성 절반 사이클(positive polarity half cycles)이 제 1 메인 스위치(22)에 의해 수행되고 AC 전력의 음극성 절반 사이클(negative polarity half cycles)이 제 2 메인 스위치(24)에 의해 수행되도록, 서로 간에 역병렬(anti-parallel)로 배열된다.
메인 스위치들(22, 24)은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22, 24)의 게이트들(26)에 제 1 게이트(26)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전도하도록 턴온된다. 일단 턴온되면, 메인 스위치들(22, 24) 각각은 일반적으로 제 1 게이트(26) 신호가 스위치들(22, 24)의 게이트들(26)에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된 후에도 계속해서 전력을 전도한다. 메인 스위치들(22, 24) 각각이 전력을 전도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턴오프하기 위해, 메인 스위치(22, 24)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될 수 있다. 전력원(12, 14)이 AC 전력원일 때,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턴오프하는 데 적합한 전압 반전이 AC 전력원의 매 절반 주기마다 일어난다. 예를 들어, 메인 스위치들(22, 24)이 게이트(26) 신호들에 의해 턴온되면(그리고 게이트(26) 신호는 즉시 제거된다), 양극성의 제 1 절반 사이클이 제 1 메인 스위치(22)를 통해 수행될 것이다. 그 후, AC 사이클이 제로 크로싱에 도달할 때, 제 1 메인 스위치(22)는 극성의 반전으로 인해 턴오프될 것이다. 다음에 음극성의 제 2 절반 사이클이 제 2 메인 스위치(24)를 통해 수행된다. AC 사이클이 다시 제로 크로싱에 도달하면, 제 2 메인 스위치(24)가 극성 반전으로 인해 턴오프된다.
메인 스위치(22, 24)가 AC 전력원의 각각의 제로 크로싱에서 자연히 턴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들(22, 24)의 세트(18, 20)에 연결된 전력원(12, 14)으로부터 전력이 요구되는 시간 동안 일정한 또는 일정하게 펄스화된 제 1 게이트(26) 신호가 메인 스위치들(22, 24)의 한 세트(18, 20)의 게이트들(26)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력원(12)으로부터 전력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제 1 게이트(26) 신호는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제 1 세트(18)로부터 제거되고, 제 1 게이트(26) 신호는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제 2 세트(20)에 인가된다. 그 결과, 제 1 세트(18) 내의 메인 스위치들(22, 24)은 다음의 두 개의 AC 절반 사이클 동안 자연히 턴오프되고, 제 2 세트(20) 내의 메인 스위치들(22, 24)이 턴온되어 제 2 전력원(14)으로부터 부하(16)로 전력을 전도한다.
전력원들(12, 14) 사이에서 스위칭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전력원들(12, 14)의 전기적 성능을 모니터링하도록 제 1 검출기들(28, 30)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력원(12)에 대한 제 1 검출기(28)가 제 1 전력원(12)에서 성능 악화를 감지하면,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제 1 세트(18)는 제 1 게이트(26)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턴오프되고,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제 2 세트(20)가 제 2 전력원(1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턴온된다. 한 번에 하나의 전력원(12, 14)으로부터 부하(16)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만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1 세트(18) 내의 두 개의 스위치들(22, 24) 모두가 턴오프된 것을 보장하도록 제 1 전력원(12)의 AC 전력이 한 번 또는 두 번 제로 크로싱될 때까지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제 2 세트(20)를 턴온하는 것을 대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시간은 절반 또는 하나의 완전한 AC 사이클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전력원들(12, 14)이 다중 위상들을 갖는 경우, 각각의 전력원(12, 14)의 각각의 위상은 메인 스위치들(22, 24)의 한 세트(18, 20)에 의해 제어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두 개의 전력원들(12, 14)과 함께 3상 전력이 사용되는 경우,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총 여섯 개의 세트들(18, 20)이 사용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26) 신호가 중단된 후 AC 극성 반전이 스위치(22, 24)를 턴오프시키기 전에 메인 스위치들(22, 24)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에 전압을 반전시키기 위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22, 24)는 AC 전력이 제로 크로싱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빠르게 턴오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32, 34) 및 인덕터(36)가 제공된다. 커패시터들(32, 34) 및 인덕터(36)는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22, 24)과 병렬로 배열된다. 커패시터들(32, 34) 및 인덕터(36)와 직렬로 배열되고 메인 스위치들(22, 24)과 병렬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38, 40)이 또한 제공된다.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턴오프하려고 할 때, 제 1 게이트(26) 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들(22, 24)의 게이트(26)로부터 제거된다. 이어서, 제 2 게이트(42) 신호가 또한 공진 스위치들(38, 40)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42)에 공급되어, AC 극성 변화가 전도하는 메인 스위치들(22, 24)을 자연히 턴오프하기 전에 전도하는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턴오프하도록 전도하는 메인 스위치들(22, 24) 양단에 역전압(reverse voltage)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턴오프하려고 할 때 AC 전력원(12)이 양극성 절반 사이클을 공급하고 있다면, 제 1 메인 스위치(22)는 제 1 게이트(26) 신호가 제거될 때 부하(16)에 전력을 전도하고 있을 것이다. 전압이 제 2 메인 스위치(24)에 대해 반전되기 때문에, 제 2 메인 스위치(24)는 제 1 게이트(26) 신호가 제거될 때 전도하고 있지 않을 것이고, 제 1 게이트(26) 신호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AC 사이클이 다시 반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제 2 메인 스위치(24)를 턴오프 위해 추가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제 2 게이트(42) 신호가 제 1 공진 스위치(38)에 공급될 때, 제 1 커패시터(32)의 전하가 방출되고 제 1 커패시터(32)와 인덕터(36) 사이에 공진 주파수가 생성된다. 공진 주파수는 AC 전력원(12)의 주파수보다 훨씬 더 높고, AC 전력원(12)이 제로 크로싱에 의해 제 1 메인 스위치(22) 자체를 턴오프하기 전에 제 1 메인 스위치(22) 양단의 전압 반전으로 인해 제 1 메인 스위치(22)가 턴오프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스위치들(22, 24)에 공급되는 전력원(12)의 극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 2 검출기(44)가 제공된다. 따라서, 극성이 양극이면 제 1 공진 스위치(38)에 제 2 게이트(42) 신호가 공급되어 제 1 메인 스위치(22)를 턴오프할 것이고, 극성이 음극이면 제 2 공진 스위치(40)에 제 2 게이트(42) 신호가 공급되어 제 2 메인 스위치(24)를 턴오프할 것이다. 제 1 검출기(28, 30) 및 제 2 검출기(44)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치들(22, 24)의 성능 요건 때문에 메인 스위치들(22, 24)에 대한 정적 전환 스위치(10)에 사이리스터 또는 GTO(gate turn-off thyristors)가 선호된다. 공진 스위치들(38, 40)은 간헐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공진 스위치들(38, 40)은 동일한 성능 요건들을 만족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스위치들(38, 40)은 사이리스터, 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GTO),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일 수 있다. 또한 공진 스위치들(38, 40)이 메인 스위치들(22, 24)보다 낮은 용량 등급들(lower capacity ratings)을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패시터들(32, 34)을 사전 충전하고(pre-charge) 그 후 충전 유지(maintenance charge)를 제공하기 위해 전력 공급원들(46, 48)이 커패시터들(32, 34)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커패시터들(32, 34)이 사용되어 하나씩 공진 스위치들(38, 40) 각각과 직렬로 연결된 경우, 두 개의 전력 공급원들(46, 48)이 각각 하나가 커패시터들(32, 34) 중 하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패시터들(32, 34) 각각이 서로 다른 메인 스위치(22, 24)를 턴오프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반대 전하들이 커패시터들(32, 34) 각각에 인가되어 메인 스위치들(22, 24) 각각을 턴오프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전압 반전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운들(46, 48)을 두 개의 DC 출력들과 결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저항기(50)가 또한 커패시터(32, 34) 및 인덕터(36)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항기(50)는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50)이다. 저항기(50)는 대응하는 공진 스위치(38, 40), 커패시터(32, 34), 및 인덕터(36)에 의해 메인 스위치(22, 24)가 턴오프된 후 공진 전류 흐름을 흡수함으로써 회로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스위치들(22, 24) 중 하나를 턴오프하는 공진 스위치(38, 40)의 차트가 도시된다. 도 3은 이벤트의 더 긴 시간 프레임을 보여주고, 도 4는 실제 스위칭 이벤트를 확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들(22, 24)을 통한 전류(52)는 AC 사이클을 따른다. 이 예에서, AC 사이클의 피크 부근에서 메인 스위치(22, 24)를 턴오프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메인 스위치(22, 24)를 조기에 턴오프하는 공진 스위치(38, 40) 회로가 없으면, 메인 스위치(22, 24)는 약 두 배 오랫동안 AC 사이클 반전으로 인해 자연히 턴오프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스위치(38, 40)가 턴온될 때, 공진 전류(54)가 방출되어 메인 스위치(22, 24) 양단에 전압(58)의 갑작스런 반전(56)을 야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은 메인 스위치(22, 24)가 턴오프되고 전력 전도를 중단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메인 스위치 전류(52)가 갑자기 제로로 떨어지는(60)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다. 공진 전류(54)는 배리스터 전류(64)가 증가할 때 배리스터(50)를 통해 소멸되기 전에(62)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된다. 메인 스위치(22, 24)가 턴오프된 후, 일시적인 전압 스파이크(66)가 스위치(22, 24) 양단에 일어난다. 그 후, 스위치(22, 24) 양단의 전압(58)은 전력원(12)의 AC 사이클(68)을 따른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커패시터들(32, 34) 대신에 회로 내에 단일 커패시터(7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패시터(70)를 충전하기 위한 단일 전력 공급원(72)이 사용될 것이다. 전력 공급원(72)은 전력원(12)의 극성에 상응하여 커패시터(70)의 전하를 교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메인 스위치(22, 24)를 턴오프하는 도 5의 공진 스위치(38, 40)를 나타내는 차트이다. 공진 스위치(38, 40)가 턴온될 때, 메인 스위치 전류(52) 및 공진 전류(54)에서 초기 스파이크(74, 76)가 일어날 수 있다. 그 후, 공진 전류(54)는 메인 스위치(22, 24) 양단의 전압 반전(56)을 유발하여 메인 스위치(22, 24)를 턴오프시킨다. 공진 전류(54)는 배리스터(50)를 통한 전류(64)가 증가함에 따라 배리스터(50)를 통해 소멸된다. 메인 스위치(22, 24)가 턴오프된 후, 일시적인 전압 스파이크(66)가 메인 스위치(22, 24) 양단에 발생한다. 그 후, 스위치(22, 24) 양단의 전압(58)은 전력원(12)의 AC 사이클을 따른다(6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실시예는 특정의 특징만을 지칭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모든 특징을 구체적으로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들은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그리고 비록 특정의 특징들에 대한 참조가 없다 하더라도 상호 교환 가능함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위에서 기술된 이점들이 반드시 본 발명의 유일한 이점들은 아니며, 기술된 모든 이점들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달성될 것으로 반드시 예상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고, 문자 그대로 또는 동등함에 의해 청구 범위의 의미 내에있는 모든 장치들 및 방법들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정적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서로 간에 역병렬(anti-parallel)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각각에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전도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양단의 전압을 반전시킴으로써 전력 전도를 중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오프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과 병렬로 배열된 커패시터 및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인덕터와 직렬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의 양극성(positive polarity)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를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의 양단에 역전압(reverse voltage)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하나에 제 2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전력의 음극성(negative polarity)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다른 하나의 양단에 역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 2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 또는 GTO들인, 정적 전환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인, 정적 전환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 GTO들, IGBT들 또는 MOSFET들인, 정적 전환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인, 정적 전환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상기 메인 스위치들보다 낮은 용량 등급들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7. 정적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서로 간에 역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각각에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전도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들 양단의 전압을 반전시킴으로써 전력 전도를 중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오프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과 병렬로 배열되는 커패시터 및 인덕터;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배열된 저항기; 및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인덕터와 직렬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를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의 양단에 역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인, 정적 전환 스위치.
  9. 정적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서로 간에 역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각각에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전도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양단의 전압을 반전시킴으로써 전력 전도를 중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오프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과 병렬로 배열된 두 개의 커패시터들 및 인덕터; 및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로서, 상기 커패시터들 중 하나와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하나와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커패시터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다른 하나와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두 개의 커패시터들 각각에 반대 전하가 인가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를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의 양단에 역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원은 상기 커패시터의 전하를 유지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에 공급되는 전력의 극성을 모니터링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력원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의 입력에 연결되고, 부하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의 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전력원이 AC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온될 때, 각각의 AC 사이클의 양극성이 상기 제 1 메인 스위치에 의해 전도되고, 각각의 AC 사이클의 음극성이 상기 제 2 메인 스위치에 의해 전도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일정한 또는 일정하게 펄스화된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는 상기 AC 전력의 극성 반전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을 턴오프시키지 않도록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각각에 공급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의 공급 중단 및 상기 제 1 및 2 공진 스위치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의 양단에 인가되는 역전압에 의해 턴오프되고;
    상기 역전압은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가 중단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AC 전력의 극성 반전 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를 턴오프하도록 인가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력원, 제 2 전력원, 및 부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원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의 제 1 세트의 입력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력원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의 제 2 세트의 입력에 연결되고, 상기 부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들의 출력들에 연결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원의 전기적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제 1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상기 제 1 전력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턴온되는 동안, 상기 제 2 세트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상기 제 2 전력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턴오프되고;
    상기 제 1 검출기가 상기 제 1 전력원의 성능의 악화를 감지할 때,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상기 제 1 전력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턴오프되고, 상기 제 2 세트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상기 제 2 전력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턴온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원들은 AC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이 턴온될 때, 각각의 AC 사이클의 양극성이 상기 제 1 메인 스위치에 의해 전도되고, 각각의 AC 사이클의 음극성이 상기 제 2 메인 스위치에 의해 전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의 공급 중단 및 상기 제 1 및 2 공진 스위치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의 양단에 인가되는 역전압에 의해 턴오프되고;
    상기 역전압은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가 중단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AC 전력의 극성 반전 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중 하나를 턴오프하도록 인가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일정한 또는 일정하게 펄스화된 상기 제 1 게이트 신호는 상기 AC 전력의 극성 반전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을 턴오프시키지 않도록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정적 전환 스위치는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원은 상기 커패시터의 전하를 유지하는, 정적 전환 스위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에 공급되는 전력의 극성을 모니터링하는 제 2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진 스위치는 상기 제 1 메인 스위치 양단에 역전압을 인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공진 스위치는 상기 제 2 메인 스위치 양단에 역전압을 인가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신호는 상기 제 2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진 스위치 또는 상기 제 2 공진 스위치에 공급되고;
    상기 정적 전환 스위치는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배열된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적 전환 스위치는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들 중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하나와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커패시터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 중 다른 하나와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두 개의 커패시터들 각각에 반대 전하가 인가되는, 정적 전환 스위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은 사이리스터들, GTO들, IGBT들 또는 MOSFET들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 스위치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스위치들보다 낮은 용량 등급들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KR1020207037558A 2018-06-04 2019-06-04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KR102525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97,120 US10734834B2 (en) 2018-06-04 2018-06-04 Static transfer switch with resonant turn-off
US15/997,120 2018-06-04
PCT/US2019/035283 WO2019236510A1 (en) 2018-06-04 2019-06-04 Static transfer switch with resonant turn-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495A KR20210024495A (ko) 2021-03-05
KR102525732B1 true KR102525732B1 (ko) 2023-04-27

Family

ID=6869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558A KR102525732B1 (ko) 2018-06-04 2019-06-04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34834B2 (ko)
EP (1) EP3803535A4 (ko)
KR (1) KR102525732B1 (ko)
CN (1) CN113544623B (ko)
CA (1) CA3102831C (ko)
SG (1) SG11202012116VA (ko)
WO (1) WO2019236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8296B1 (en) 2020-11-20 2022-02-22 Abb Schweiz Ag Shared resonant turn off circuit
US11211816B1 (en) 2020-11-20 2021-12-28 Abb Schweiz Ag Delta connected resonant turn off circuits
WO2022125094A1 (en) * 2020-12-10 2022-06-16 Abb Schweiz Ag Resonant circuit for disconnect switch
US11742849B2 (en) * 2021-10-25 2023-08-29 Abb Schweiz Ag Rapid turn-off circuit in static transfer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63218A (en) * 1943-01-21 1944-08-03 Automatic Telephone & Elec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ignalling systems
JPS4833804B1 (ko) * 1968-12-09 1973-10-17
CH615058A5 (en) * 1977-05-02 1979-12-28 Bbc Brown Boveri & Cie Pulse-controlled commutation circuit at a self-commutated thyristor chopper
US4210846A (en) 1978-12-05 1980-07-01 Lutron Electronics Co., Inc. Inverter circuit for energizing and dimming gas discharge lamps
US5343140A (en) 1992-12-02 1994-08-30 Motorola, Inc. Zero-voltage-switching quasi-resonant converters with multi-resonant bipolar switch
US5436786A (en) * 1992-12-21 1995-07-25 Dairyland Electrical Industries, Inc. Isolator surge protector for DC isolation and AC grounding of cathodically protected systems
US5694007A (en) 1995-04-19 1997-12-02 Systems And Services International, Inc. Discharge lamp lighting system for avoiding high in-rush current
US5689164A (en) * 1995-12-08 1997-11-1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esonant power electronic control of switched reluctance motor
US5770897A (en) * 1996-09-16 1998-06-23 Abb Power T&D Company Inc. Hybrid solid state switch
US6560128B1 (en) * 1999-02-12 2003-05-06 Satcon Power Systems Canada Ltd. Ferroresonance-suppressing static transfer switch
US7129599B2 (en) * 2002-10-15 2006-10-31 Soft Switching Technologies Corporation Dual feed power supply systems with enhanced power quality
US7459804B2 (en) * 2004-02-10 2008-12-02 Liebert Corporation Static transfer switch device and method
US7265458B2 (en) * 2005-04-08 2007-09-04 Eaton Power Qualit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static switch operations for load transfers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WO2008124587A1 (en) 2007-04-05 2008-10-1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Voltage surge and overvoltage protection
KR101079900B1 (ko) * 2007-10-31 2011-11-04 주식회사 케이티 선택스위치 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101021598B1 (ko) * 2009-03-16 2011-03-16 신우전원기술 주식회사 순간정전 보상장치
CN101540493B (zh) 2009-04-22 2011-01-19 南京航空航天大学 谐振型直流固态断路器
GB201101672D0 (en) 2011-01-31 2011-03-16 Imp Innovations Ltd Electrical devices with improved fault current handling capabilities
US9287040B2 (en) 2012-07-27 2016-03-15 Thoratec Corporation Self-tuning resonant power transfer systems
US8743565B2 (en) * 2012-07-27 2014-06-03 Flextronics Ap, Llc High power converter architecture
CN102820699B (zh) * 2012-08-09 2014-06-11 常熟瑞特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数字式静态开关
US9362781B2 (en) * 2012-09-14 2016-06-07 Chloride Sr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with fast transfer for undervoltage source line failures
US20140254223A1 (en) 2013-03-07 2014-09-11 Rudolf Limpaecher Method and system for a high speed soft-switching resonant converter
TW201438366A (zh) * 2013-03-26 2014-10-01 Li shu qi 高可靠的不斷電系統用靜態切換開關電路
GB201308051D0 (en) 2013-05-03 2013-06-12 Univ Manches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C current
KR101506581B1 (ko) * 2013-08-14 2015-03-27 주식회사 효성 고전압 dc 차단기
CN103683276B (zh) * 2013-09-04 2017-01-11 华北水利水电大学 智能静态开关及其控制系统、故障监控方法
ES2676048T3 (es) 2014-06-30 2018-07-16 Scibreak Ab Disposición, sistema y método de interrupción de corriente
US9467112B2 (en) 2014-07-25 2016-10-11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Hybrid thyristor-controlled series capacitor and passive damping filter for series capacitors
US9899868B2 (en) * 2014-10-31 2018-02-20 Ideal Power, Inc. Smart transfer switch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double-base bipolar transistors
US9479160B2 (en) 2014-12-17 2016-10-25 GlobalFoundries, Inc. Resonant radio frequency switch
JP6815030B2 (ja) 2014-12-26 2021-01-2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回路遮断器
US9825489B2 (en) * 2015-01-26 2017-11-21 Vertiv S.R.L. Method of controll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clear a shorted 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44623B (zh) 2023-02-03
CA3102831A1 (en) 2019-12-12
US20190372389A1 (en) 2019-12-05
EP3803535A1 (en) 2021-04-14
EP3803535A4 (en) 2022-03-09
CA3102831C (en) 2022-05-17
WO2019236510A1 (en) 2019-12-12
SG11202012116VA (en) 2021-01-28
KR20210024495A (ko) 2021-03-05
CN113544623A (zh) 2021-10-22
US10734834B2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732B1 (ko) 공진 턴-오프 기능을 갖는 정적 전환 스위치
US6392907B1 (en) NPC inverter control system
US10763742B2 (en) Control of voltage source converters
JP6113373B2 (ja) 電力変換装置
US9998116B2 (en) Auxiliary commutated silicon-controlled rectifier circuit methods and systems
WO2012020664A1 (ja) インダイレクト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US10103729B2 (en) Auxiliary commutated silicon-controlled rectifier circuit methods and systems
CA2898925A1 (en) Dc power system for marine applications
US11018666B1 (en) Thyristor current interrupter and auxiliary quasi-resonant turn-off unit
KR20200030581A (ko) 교류 스위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순저 보상 장치
CN116998079A (zh) 浪涌电流限制变压器通电装置、方法、系统和技术
US10141834B2 (en) Multi-phase power conversion device control circuit
KR20200096719A (ko) 반도체 단락 회로 전도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3-레벨 펄스 폭 변조 기술
US11621650B2 (en) Method for current limitation in the event of transient voltage variations at an AC output of a multi-level inverter and a multi-level inverter
CA2898926A1 (en) Dc power system for marine applications
KR102374699B1 (ko) 밸브 그룹 충전 장치 및 밸브 그룹 충전 제어 방법
JP2013128393A (ja) コンバ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コンバータ・システムを具備する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装置
US20190362916A1 (en) Inverse current injection-type direct current blocking device and method using vacuum gap switch
Ting et al. A comparison of module shutdown methods in an input-series and output-parallel connected modular DC-DC converter
US1168292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accelerating transfer in a static transfer switch
US1141139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 power bus
Zhang et al. Fault analysis on conventional parallel inverter systems
CN117616679A (zh) 固态变压器的容错控制
JPS5947950B2 (ja) 直流電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