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60B1 -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60B1
KR102523860B1 KR1020200093026A KR20200093026A KR102523860B1 KR 102523860 B1 KR102523860 B1 KR 102523860B1 KR 1020200093026 A KR1020200093026 A KR 1020200093026A KR 20200093026 A KR20200093026 A KR 20200093026A KR 102523860 B1 KR102523860 B1 KR 10252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order
information
supplier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734A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Priority to KR102020009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소비량 예측을 통해 주문이 필요한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에서 최근 주문일 및 주문량을 식자재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최근 주문일 이후 상기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주문량에서 상기 소비량을 차감하여 식자재 별로 잔여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여량을 통해 상기 제1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MART ORDER SERVICE OF FOOD MATERIAL REQUIRED TO ORDER THROUGH FORECASTING CONSUMPTION}
본 발명은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의 소비량을 예측하여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주문 필요 시점에 자동으로 전송하고, 복수의 식자재 공급 업체에 대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에 시장이나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던 각종 상품의 거래가 인터넷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구매자와 판매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으면서도 상품의 정보를 주고받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서는 이미 종래의 통상적인 오프라인 거래의 규모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영세하거나 자금력이 부족한 소규모 업체들은 여전히 상품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외식업을 운영하는 많은 중소 업체들은 식자재 수급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있으며, 식자재 거래와 같은 분야에서는 전자상거래의 확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외식 업체들이 복수의 많은 식자재 공급 업체와 거래하는 상황에서, 식자재 주문을 위하여 여전히 수기로 장부를 작성하거나 컴퓨터나 통신 수단을 이용한다 하여도 식자재 및 주문량 각각에 대한 타이핑이 수반되어야 한다.
전화를 이용하여 식자재를 주문하는 경우, 기록이 남지 않아 주문에 누락이 발생할 수 있고, 주문 전달에 착오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개선하고자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주문이 도입되었으나 주문자마다 주문하는 식자재의 호칭이 다양하여 주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표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주문자는 변동이 심한 식자재에 대한 정확한 가격 정보를 얻지 못하고 공급 업체 사이에서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하여 식자재의 오배송이 발생하거나 대체 상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급 업체 역시 식자재 주문 접수, 식자재 제공 및 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미수금 문제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현재의 식자재 유통 방식에 따르면 외식 업체 및 공급 업체 모두 식자재 주문 및 수주에 불편함이 존재하고 무엇보다 외식 업체는 복수의 공급 업체에 대한 업체별 공급 가격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식자재 공급 업체별 공급 가격에 대한 정보 제공과, 추가적으로 농축산물 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도 식자재 공급 업체에 대한 비교 견적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외식 업체에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경우, 식자재 주문 필요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통해, 외식 업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주문 필요 시점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는 주문자 맞춤형의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자재를 주문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복수의 식자재 공급 업체에 대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소비량 예측을 통해 주문이 필요한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에서 최근 주문일 및 주문량을 식자재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최근 주문일 이후 상기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주문량에서 상기 소비량을 차감하여 식자재 별로 잔여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여량을 통해 상기 제1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요청에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을 공급 업체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미리 등록된 상기 제1 식자재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의 생성 단계는,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가격이 낮은 순으로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격 정보를 비교한 결과 가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위치와 상기 공급 가능 업체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여,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가능 업체 중 상기 제1 외식 업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단골 업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골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골 업체가 최상단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부터 제2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 요청에서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공급 업체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이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도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식자재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통한 주문 시,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할인 정보를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배송을 위한 최소 주문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상기 최소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자재 별로 주문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식자재 이외의 다른 식자재 중 주문 횟수가 가장 많은 제2 식자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과 상기 최소 주문량의 차이를 상기 제2 식자재의 추가 주문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상기 제2 식자재에 대한 추가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제1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업체 중 다른 하나인 제2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제2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상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및 상기 제2 상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연관어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의 상품명, 생산지, 중량, 면세 여부 및 배송일자 항목 별로 대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1 코드와 상기 제2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2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표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표준 코드를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의 코드 항목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의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 및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공급 업체 별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상기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수집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가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제1 외식 업체 및 제2 외식 업체에 상기 제1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수요량 및 상기 제2 외식 업체의 수요량을 기초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필요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 재고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추천 재고량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주문 필요 시점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외식 업체의 식자재를 관리하는데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식자재 공급 업체에 대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격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 맞춤형의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식자재에 대한 추가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을 통해 재고량을 추천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급 업체”라 함은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1차 생산자를 가리킬 수도 있고, 1차 생산자로부터 미가공 또는 반가공의 식자재를 제공받아 가공하는 중간 가공자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1차 생산자 또는 중간 가공자로부터 식자재를 제공받아 외식 업체에 공급하는 최종 유통자를 가리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급 업체”, “외식 업체” 또는 “주문자”라 표기할 때에는 문맥에 따라 공급 업체의 단말기, 외식 업체의 단말기 또는 주문자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식 업체와 주문자는 일응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외식 업체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유통 업체 또는 공급 업체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주문자는 실제 식자재를 주문하는 유통 업체 또는 공급 업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 맞춤형의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외식 업체 단말기(100),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결제 서버(400) 및 택배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외식 업체 단말기(100) 각각과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2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외식 업체 단말기(100)는 외식 업체를 운영하면서 식자재를 주문하고자 하는 주문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1 주문자가 사용하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제2 주문자가 사용하는 제2 외식 업체 단말기(1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200)는 식자재 공급 업체를 운영하면서 식자재를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1 공급자가 사용하는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 제2 공급자가 사용하는 제2 공급 업체 단말기(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와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외식 업체 단말기(120) 등의 다른 외식 업체 단말기에서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하고, 제2 공급 업체 단말기(220) 등의 다른 공급 업체 단말기에서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및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식자재 주문, 주문 내역 확인, 식자재 재고 관리, 주문 배정 확인 등의 식자재 주문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 방법으로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외식 업체 전용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수 있으며, 해당 웹 사이트를 통해 식자재 주문, 주문 내역 확인 등의 외식 업체를 위한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공급 업체 전용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수 있으며, 해당 웹 사이트를 통해 식자재 재고 관리, 주문 배정 확인 등의 공급 업체를 위한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 방법으로, 먼저,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및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에는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업체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면,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 등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된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식자재 주문, 주문 내역 확인, 식자재 재고 관리, 주문 배정 확인 등의 식자재 주문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식자재 주문, 주문 내역 확인 등의 외식 업체를 위한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식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식자재 재고 관리, 주문 배정 확인 등의 공급 업체를 위한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되어 배포될 수 있으며, 외식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에 설치되고, 공급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외식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공급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각각 배포되어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에는 외식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에는 공급 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통합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되어 통합 애플리케이션이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및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 및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에 설치된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식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없이 단말기 자체적으로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외식 업체 단말기(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는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식자재를 주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자재를 주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외식 업체 정보, 주문자 정보,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식자재 주문 요청에 따라 식자재의 가격에 대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받아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는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식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공급 업체 정보, 공급자 정보, 식자재의 재고 정보, 단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는 공급 업체에서 취급하는 식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 사진 정보, 유통 기간에 대한 정보, 원산지 정보, 가격 할인 정보 등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는 제1 외식 업체에서 주문한 식자재를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식자재 주문에 따른 공급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 주문으로 생성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주문 내역에서 최근 주문일 및 주문량을 식자재 별로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 서버(400)로부터 외식 업체 별로 발생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식 업체의 최근 주문일 이후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결제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외식 업체의 최근 주문일 이후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고, 최근 주문량에서 소비량을 차감하여 식자재 별로 잔여량을 산출하고, 잔여량을 통해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에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공급 업체를 통한 식자재의 주문이 요청되면,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로 식자재 주문에 따른 공급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공급 업체의 요청으로 식자재의 배송이 시작되면, 택배사 서버(500)로부터 식자재의 배송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고, 식자재의 배송 현황 정보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카드사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드사의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로 인해 발생하는 매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매출 정보는 카드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 시 발생한 결제 정보를 통해 생성된 가맹점의 매출에 대한 정보로, 가맹점 식별번호, 가맹점 업종코드, 결제일시, 승인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가맹점 별로 매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외식 업체의 매출 정보, 제2 외식 업체의 매출 정보 등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특정 기간 동안에 가맹점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외식 업체의 최근 식자재 주문일인 3월 3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매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택배사 서버(500)는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복수의 택배기사 단말기(미도시) 각각으로부터 식자재의 배송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식자재의 배송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 주문 현황을 나타내는 식자재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자재 주문 정보를 외식 업체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외식 업체에서 새로운 식자재 주문이 요청되어, 해당 주문 요청이 공급 업체를 통해 주문되어, 외식 업체에 배송까지 완료되면, 식자재 주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식자재 주문 정보는 주문일, 식자재 별 주문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문일 순으로 정렬되어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이 가장 먼저 확인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에서 최근 주문일을 확인할 수 있고, S2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에서 최근 주문량을 식자재 별로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주문일 주문 내역
식자재 종류 주문량(Kg)
3.17일 제1 식자재 10
제2 식자재 15
3.10일 제1 식자재 8
제2 식자재 12
3.03일 제1 식자재 10
제2 식자재 13
표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에서 식자재를 주문할 때마다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이 최상단에 배치되도록 식자재 주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최상단에 배치된 3.17일의 주문 내역을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을 통해 최근 주문일이 3.17일인 것을 확인하고,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을 통해 최근 주문량이 제1 식자재 10kg, 제2 식자재 15kg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202 단계에서 확인된 최근 주문일 이후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결제 서버(4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식 업체의 최근 주문일이 3.17일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3.18일부터 현재까지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결제 서버(4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204 단계에서 획득된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과거 누적 매출 정보 및 과거 누적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외식 업체의 음식 가격과 음식에 들어가는 식자재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식 업체에서 판매하는 1인분의 음식 가격은 10,000원이고, 1인분의 음식에 제1 식자재가 10g, 제2 식자재가 20g이 사용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최근 주문일 이후 현재까지 매출 정보를 확인한 결과, 200,000원으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의 소비량을 200g으로 예측하고, 제2 식자재의 소비량을 400g으로 예측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203 단계에서 확인된 최근 주문량과 S205 단계에서 예측된 소비량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잔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최근 주문량이 10kg이고, 제1 식자재의 예측된 소비량이 8kg인 경우,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을 2kg로 산출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206 단계에서 산출된 잔여량을 통해 제1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제척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자재 별로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인지 확인하여, 식자재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식자재에 대해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이 1kg이고, 기준치가 2kg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므로,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식자재 중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208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최근 주문 내역 확인 과정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에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3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 요청에서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을 공급 업체 별로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식자재의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공급 업체 별로 식자재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식자재 재고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공급 업체 재고 내역
식자재 종류 재고량(Kg)
제1 공급 업체 제1 식자재 20
제2 식자재 30
제2 공급 업체 제2 식자재 25
제3 식자재 15
제3 공급 업체 제1 식자재 15
제3 식자재 30
제4 공급 업체 제1 식자재 5
제2 식자재 15
표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공급 업체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20kg이고, 제2 공급 업체는 제1 식자재를 취급하지 않고, 제3 공급 업체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15kg이고, 제4 공급 업체는 재고량이 5kg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S3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303 단계에서 확인된 재고량이 S302 단계에서 확인된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된 공급 업체를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10kg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량 보다 재고량이 많은 제1 공급 업체, 제3 공급 업체 등을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로 선별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가능 업체 별로 미리 등록된 제1 식자재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 업체는 제1 식자재의 단가 정보를 1kg에 90원으로 등록하고, 제3 공급 업체는 제1 식자재의 단가 정보를 1kg에 100원으로 등록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량 10kg에 대해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900원으로 생성하고, 제3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1,000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있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가격이 낮은 순으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900원이고, 제3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1,000원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상단에 위치하고, 제3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하단에 위치하도록,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가능 업체들의 가격 정보를 비교한 결과 가격이 동일한 경우, 제1 외식 업체의 위치와 공급 가능 업체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여,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900원이고, 제3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900원으로 동일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위치, 제1 공급 업체의 위치, 제3 공급 업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1 외식 업체와 제1 공급 업체 간의 거리, 제1 외식 업체와 제3 공급 업체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 가능 업체 중 제1 외식 업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단골 업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를 확인할 결과, 제3 공급 업체에서 제1 외식 업체에 5회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3 공급 업체를 제1 외식 업체의 단골 업체로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단골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골 업체가 최상단에 표시되도록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4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요청에서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요청에서 제2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통해 제1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10kg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재고량이 많은 제1 공급 업체, 제3 공급 업체를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로 선별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2 식자재의 주문량을 통해 제2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식자재의 주문량이 20kg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2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재고량이 많은 제1 공급 업체, 제2 공급 업체를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로 선별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404 단계에서 선별된 제1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와 S405 단계에서 선별된 제2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를 비교하여,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 둘 다 공급이 가능한 업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제2 식자재의 공급도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통한 주문 시,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가 제1 공급 업체, 제3 공급 업체이고, 제2 식자재의 공급 가능 업체가 제1 공급 업체, 제2 공급 업체로 선별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 둘 다 공급이 가능한 제1 공급 업체를 통한 주문 시,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할인 정보를 반영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할인 정보가 최상단에 별도로 표시되도록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급 업체 별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하는데 있어, 제1 공급 업체 칸에 할인 정보가 추가로 표시되도록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제2 식자재의 공급도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할인 정보가 없는 비교 견적 리스트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식자재에 대한 추가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5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요청에서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최소 주문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최소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자재 별로 주문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8kg이고, 최소 주문량이 10kg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최소 주문량 보다 적기 때문에,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1달 동안 식자재 별로 주문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504 단계에서 확인된 식자재 별 주문 횟수를 비교하여, 제1 식자재 이외의 다른 식자재 중 주문 횟수가 가장 많은 식자재인 제2 식자재를 선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502 단계에서 확인된 제1 식자재의 주문량과 최소 주문량의 차이를 제2 식자재의 추가 주문량으로 설정하고,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제2 식자재에 대한 추가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8kg이고, 최소 주문량이 10kg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2 식자재의 추가 주문량을 2kg으로 설정하고, 제2 식자재의 추가 주문이 2kg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최소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이 가능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외식 업체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200) 각각으로부터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수집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급 업체를 관리하는 유통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수집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수집하여, 공급 업체 별로 식자재 재고 정보(601)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자재 재고 정보(601)에서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2)를 구분하여 분류하고, 복수의 공급 업체 중 다른 하나인 제2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3)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2)를 통해 제1 식자재에 대한 제1 상세 정보(604)를 확인하고, 제2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603)를 통해 제1 식자재에 대한 제2 상세 정보(605)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상세 정보(604)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및 제2 상세 정보(605)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연관어 분석을 통해, 제1 식자재의 상품명, 생산지, 중량, 면세 여부 및 배송일자 항목 별로 대표 정보를 추출하고,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 및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상세 정보(604)에 포함된 "몽고진간장", "10L_마산몽고", "외식", "실온", "과세", "10kg/EA ", "15,720" 등의 텍스트와 제2 상세 정보(605)에 포함된 "몽고식품 진간장", "마산몽고, 10L", "몽고식품, 상온", "외국산", "상온보관", "10ℓ/통", "18,660.0" 등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연관어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목 별로 대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식자재의 상품명 항목에 "몽고진간장"을 대표 정보로 추출하고, 제1 식자재의 생산지 항목에 "마산몽고"를 대표 정보로 추출하고,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10L/EA"를 대표 정보로 추출하고, 제1 식자재의 면세 여부 항목에 "과세"를 대표 정보로 추출하고, 제1 식자재의 배송일자 항목에 “D-2"를 대표 정보로 추출할 수 있으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는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 "15,720원"과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 "18,660원"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세 정보(604) 및 제2 상세 정보(605)를 통해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를 도출하는데 있어,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의미가 있는 개념이나 특성을 추출하고 이것들 간의 패턴이나 추세 등의 고품질 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상세 정보(604)에 포함된 제1 코드와 제2 상세 정보(605)에 포함된 제2 코드를 조합하여 제1 식자재의 표준 코드(607)를 생성하고, 생성된 표준 코드(607)를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의 코드 항목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 업체에서 제1 식자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 제1 코드가 "400187"이고, 제2 공급 업체에서 제1 식자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 제2 코드가 "100004852"인 경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조합하여 업체 구분 없이 통합적으로 제1 식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표준 코드(607) "L01123394"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의 생성 이후,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를 확인하여,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제1 식자재에 대한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제1 식자재에 대한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606)를 확인하여, 제1 식자재의 중량 정보가 "10L/EA"이고,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15,720원"으로 확인되면, 제1 공급 업체의 1L 당 단가 정보를 1,572원으로 산출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가 "18,660원"으로 확인되면, 제2 공급 업체의 1L 당 단가 정보를 1,866원으로 산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 및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공급 업체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100L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157,200원으로 산출하여 생성하고,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186,600원으로 산출하여 생성한 후, 공급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 업체 별로 비표준화 되어있는 식자재 관련 텍스트를 연관어 분석을 통해 표준화된 마스터 정보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마스터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공급 업체 별로 통합 단가의 비교가 가능하고, 식자재별 월평균 사용량을 통해 식자재 주문 및 소비에 대한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공급이 어려운 식자재에 대해 대체재를 추천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을 통해 재고량을 추천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7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외식 업체에서 주문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수집하고, 동일한 기간 동안 제2 외식 업체에서 주문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수집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에서 제1 식자재에 대해 얼마나 많은 양을 자주 주문하는지에 대한 주문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2 외식 업체에서도 제1 식자재에 대해 얼마나 많은 양을 자주 주문하는지에 대한 주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패턴을 통해, 현재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 및 제1 식자재가 얼마나 많이 주문될 것인지를 예측하여, 제1 외식 업체에 대한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제2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패턴을 통해, 현재 제2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 및 제2 식자재가 얼마나 많이 주문될 것인지를 예측하여, 제2 외식 업체에 대한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외식 업체에 대한 제1 식자재의 수요량 및 제2 외식 업체에 대한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기초로, 제1 외식 업체 및 제2 외식 업체에 제1 식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업체의 필요 재고량을 산출하고, 필요 재고량을 공급 업체에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수집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통해,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가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 및 제2 외식 업체에 제1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외식 업체의 수요량 및 제2 외식 업체의 수요량을 기초로, 제1 공급 업체의 필요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필요 재고량을 제1 공급 업체에게 추천하기 위해, 제1 공급 업체의 필요 재고량을 이용하여 제1 식자재의 추천 재고량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 업체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자재별로 주문에 따라 유통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변화가 예상되는 구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식 업체 별로 예상되는 주문량인 수요량을 예측하고, 공급 업체 별로 납품중인 외식 업체들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재고량 및 발주량을 추천해줄 있으므로, 외식 업체 별로 주문 패턴에 맞는 신선식품의 적정량 재고 비축이 가능하며, 외식 업체 별로 신선식품의 구매 주기를 통해 주문 시점 파악, 신선식품의 선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주문 수량 및 패턴 예측으로 로스율을 최소화하여 유통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수의 외식 업체 단말기
110 : 제1 외식 업체 단말기
120 : 제2 외식 업체 단말기
200 : 복수의 공급 업체 단말기
210 : 제1 공급 업체 단말기
220 : 제2 공급 업체 단말기
300 : 서비스 제공 서버
400 : 결제 서버
500 : 택배사 서버
601 : 식자재 재고 정보
602 : 제1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
603 : 제2 공급 업체의 식자재 재고 정보
604 : 제1 상세 정보
605 : 제2 상세 정보
606 :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
607 : 표준 코드

Claims (8)

  1.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소비량 예측을 통해 주문이 필요한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주문된 내역에서 최근 주문일 및 최근 주문량을 식자재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최근 주문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상기 제1 외식 업체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최근 주문량과 예측된 상기 소비량을 기초로 상기 최근 주문량에서 상기 소비량을 차감하여 식자재 별로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잔여량을 통해 상기 제1 외식 업체에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식자재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요청에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을 공급 업체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미리 등록된 상기 제1 식자재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많은 경우,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에 대한 재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고량 정보가 높은 순서보다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 상기 공급 가능 업체별로 생성된 공급 가능한 거리 정보 및 상기 공급 가능 업체별로 생성된 단골 업체 정보를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부터 제2 식자재에 대한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 요청에서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각각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식자재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공급 업체 별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이 상기 제2 식자재의 주문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도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식자재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 가능 업체를 통한 주문 시, 통합 배송으로 발생하는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자재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통합 배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할인 정보를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상기 할인 정보가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의 최상단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배송을 위한 상기 제1 식자재의 최소 주문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이 상기 최소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자재 별로 주문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식자재 이외의 다른 식자재 중 주문 횟수가 가장 많은 제3 식자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의 상기 제1 식자재의 상기 최소 주문량에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제1 외식 업체의 주문량을 차감한 주문량 차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량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식자재의 추가 주문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단말기로 상기 제3 식자재에 대한 추가 주문 필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과거 누적 매출정보 및 과거 누적 주문 정보와,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음식 가격 및 음식에 들어가는 식자재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식자재 별로 소비량을 예측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의 생성 단계는,
    상기 공급 가능 업체 별로 생성된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가격 정보를 기초로 가격이 낮은 순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격 정보를 비교한 결과 가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위치와 상기 공급 가능 업체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공급 가능한 거리 정보를 기초로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식자재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가능 업체 중 상기 제1 외식 업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단골 업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골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골 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골 업체가 최상단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비교 견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의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식자재 재고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제1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업체 중 다른 하나인 제2 공급 업체의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식자재 재고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제2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상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및 상기 제2 상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연관어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식자재의 상품명, 생산지, 중량, 면세 여부 및 배송일자 항목 별로 대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1 코드와 상기 제2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2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표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표준 코드를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의 코드 항목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의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식자재의 마스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중량 항목에 등록된 중량 정보 및 상기 제1 식자재의 가격 항목에 등록된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가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 및 상기 제2 공급 업체의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량에 대한 가격 정보를 공급 업체 별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식자재 주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주문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상기 제1 식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별로 수집된 식자재 주문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급 업체 중 어느 하나인 제1 공급 업체가 상기 복수의 외식 업체 중 제1 외식 업체 및 제2 외식 업체에 상기 제1 식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외식 업체의 수요량 및 상기 제2 외식 업체의 수요량을 기초로,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필요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 재고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추천 재고량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 업체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93026A 2020-07-27 2020-07-27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26A KR102523860B1 (ko) 2020-07-27 2020-07-27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26A KR102523860B1 (ko) 2020-07-27 2020-07-27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34A KR20220013734A (ko) 2022-02-04
KR102523860B1 true KR102523860B1 (ko) 2023-04-20

Family

ID=8026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26A KR102523860B1 (ko) 2020-07-27 2020-07-27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580B1 (ko) * 2023-04-19 2023-07-12 뉴통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 기반 식자재 및 부자재의 유통 주문 히스토리의 패턴 분석을 통한 물류 창고의 안전 재고량의 추정 및 주문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0807B1 (ko)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40B1 (ko) * 2023-04-13 2023-07-20 박영원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6871B1 (ko) * 2023-04-17 2023-06-23 뉴통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 기반 b2b 식자재 및 부자재의 유통의 주문 히스토리의 패턴 분석을 통한 주문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7875905B (zh) * 2024-01-08 2024-05-28 广东科技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餐饮供应链数字化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11B1 (ko) * 2018-04-09 2019-05-08 주식회사 우리요 빅데이터를 활용한 식자재 유통시스템
KR101994607B1 (ko) * 2019-04-25 2019-06-28 이종범 식음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 시스템
KR102138017B1 (ko) * 2019-05-16 2020-07-27 이원석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12A (ko) * 2010-10-09 2012-04-18 (주)우영테크 안전 재고를 이용한 중고부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5741A (ko) * 2016-01-15 2017-07-25 제갈영식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329B1 (ko) * 2016-11-28 2018-06-22 주식회사 리테일영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11B1 (ko) * 2018-04-09 2019-05-08 주식회사 우리요 빅데이터를 활용한 식자재 유통시스템
KR101994607B1 (ko) * 2019-04-25 2019-06-28 이종범 식음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 시스템
KR102138017B1 (ko) * 2019-05-16 2020-07-27 이원석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580B1 (ko) * 2023-04-19 2023-07-12 뉴통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 기반 식자재 및 부자재의 유통 주문 히스토리의 패턴 분석을 통한 물류 창고의 안전 재고량의 추정 및 주문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0807B1 (ko)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34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860B1 (ko)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738779B2 (ja) 供給能力推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41325B2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non-retail central filling facility to process pharmacy product prescriptions in a pharmacy retail network
US20210272051A1 (en) Asset communication hub
KR20220133824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62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price simulation and optimization
CN111242531A (zh) 一种原料管控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276652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928234B1 (ko) 가변적 상품 유통 가격 기반의 유통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통 가격 관리 방법
KR20200096479A (ko) 관리 서버의 마케팅 방법
KR102499689B1 (ko) 검색 키워드 자동 선별 방법
JP624915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60300173A1 (en) Oscillation detection and reduction in supply chain
CN115222256A (zh) 供应链管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1344323A (ja) It関連商品の流通卸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サービス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20164832A1 (en) Sales management server, sales management system, and sales management method
KR2007010963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이알피 기반의 포스 시스템
TW201810156A (zh) 零件販賣系統
KR20230091976A (ko) 공급 방법 결정 장치
KR102047277B1 (ko) TaaS 기반의 자산조달관리 장치
JP6878343B2 (ja) ベストレート保証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
Serel Optimal resource acquisition policy for a newsvendor under supply risk
KR10248825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1521B1 (ko) 셀러 매칭 기반 산지 직송을 위한 농수산물 주문 중개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