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661B1 -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61B1
KR102523661B1 KR1020220092833A KR20220092833A KR102523661B1 KR 102523661 B1 KR102523661 B1 KR 102523661B1 KR 1020220092833 A KR1020220092833 A KR 1020220092833A KR 20220092833 A KR20220092833 A KR 20220092833A KR 102523661 B1 KR102523661 B1 KR 10252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connector
flange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교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윤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슬(주) filed Critical 윤슬(주)
Priority to KR102023004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된 배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인 용접, 열융착, 본딩접합, 플랜지 결합 소켓 등의 일반적인 연결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된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분리된 각각의 배관의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구와, 각각의 배관에 체결된 연결구를 서로 맞댄 상태로 결합하고,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배관의 설치 및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연결구와, 배관에 배관연결구를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한 배관연결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piping connector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된 배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인 용접, 열융착, 본딩접합, 플랜지 결합 소켓 등의 일반적인 연결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된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분리된 각각의 배관의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구와, 각각의 배관에 체결된 연결구를 서로 맞댄 상태로 결합하고,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배관의 설치 및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연결구와, 배관에 상기 배관 연결구를 원활하게 조립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이동을 관리하기 위한 배관의 설치에 있어서, 배관의 연결 및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부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 직경, 재질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식성 가스들이 운반되는 반도체 관련 제조시설들에 대한 배관들은 내 부식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배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의 배관들은 열융착 또는 본딩, 플랜지를 구성한 체결 구조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융착 또는 본딩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연결되는 배관의 단면에 대한 균일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별도의 장치 또는 숙련공의 작업이 요구되며 연결작업 후에도 연결부위에 대하여 접합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사가 요구되며, 검사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될 경우,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불량이 발생된 접합부위를 잘라내고 다시 접합하거나, 불량 접합부위를 제거한 후의 배관의 길이가 부족할 경우 다시 설치해야 될 필요성이 있는 등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소켓과 같은 연결관을 사용하는 경우 배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중간에 연결되는 부재에 대한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나사산을 가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며, 가공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덧붙여, 배관의 결합에 대하여 플랜지를 구성하여 체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플랜지는 배관의 치수에 맞게 규격화 되어 판매하는 제품들로 별도로 구매하여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배관에 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용접 또는 열융착, 본딩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배관에 일체가 되도록 작업을 진행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배관의 절단면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이어야 하고, 플랜지 또한 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배관에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한 작업은 숙련공의 손길이 요구되고 시간이 소요되어 배관의 설치에 있어서 인건비가 상승하고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상기 배관에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집중력과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고, 배관에 플랜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어, 이 경우 수정을 위해서는 절단 및 재설치를 통하여 플랜지를 정위치로 조정하거나, 새로운 배관 절단면에 새로운 플랜지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등의 재료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설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배관을 구성하는 재질이 서로 달라 용접, 열융착, 본딩과 같은 일반적인 배관 접합 방법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서술한 소켓을 활용한 방법 역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덧붙여, 각각의 배관을 구성하는 재질에 차이가 있으므로, 소켓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의 형성이 더 복잡하고, 소켓 결합시에 나사산이 파손되어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플랜지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소재의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 또한, 플랜지를 구성하는 소재 또한 서로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한 플랜지의 내구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플랜지에 볼트를 통합 결합을 시도할 때 내구성이 약한 플랜지에 맞춰서 볼트의 조임을 하게 되어 배관 내부의 고압에 의한 밀폐력 손실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관을 결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숙련공의 도움없이 초보자도 쉽게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결합 부위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정이 간편하며,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결합하는데 실링 구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구를 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위치에서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숙련공의 도움없이 초보자도 쉽게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결합 부위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결합하는데 실링 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구를 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위치에서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다른 배관의 플랜지 구조와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포함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와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배관에 삽입되는 배관삽입부와, 상기 배관삽입부와 동심으로 구성되어 삽입되는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배관삽입턱, 상기 배관삽입부와 상기 배관삽입턱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체결부;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원주의 일부가 절단된 링 형태로 구성되는 클램핑링; 상기 클램핑링을 가압하여 배관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배관삽입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조와 체결되는 배관체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상기 클램핑링은, 내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강화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에서는, 상기 배관삽입턱은, 상기 배관삽입부와 배관의 단부에 대한 결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배관확인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상기 배관체결부와 상기 클램핑부가 각각 따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체결부는 외주에 연결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가 전단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내측에 연결나사산가 형성된 배관연결단이 플랜지부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체결부와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연결나사산들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상기 배관체결부의 바닥부와 배관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관연결구와 배관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실링구조를 형성하는 가압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서로 다른 클램핑부와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클램프 부재의 클램프의 정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블록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링 구조로 형성되며, 외곽측에는 다른 배관의 플랜지 구조와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중심을 향한 내측에는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단턱구조의 배관접합부가 구비된 클램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는, 일측에 배관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관지지부;와 타측에 상기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배관연결구의 플랜지부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배관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배관의 단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상기 배관지지부는, 배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배관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상기 배관의 하부를 두 곳 이상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상기 배관지지홈은, 배관의 규격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상기 배관지지부는, 상기 배관이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고정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상기 플랜지결합부는,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부가 장착되는 플랜지장착홈이 구비된 플랜지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장착홈은 배관의 규격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의한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는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숙련공의 도움없이 초보자도 쉽게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결합 부위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결합하는데 실링 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구를 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위치에서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내부식성을 갖는 플라스틱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의 체결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배관체결부 등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를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링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체결부에 클램핑링을 가압 삽입하기 위한 배관체결커버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의 클램핑부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전체적인 외형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분리구조의 클램핑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분리구조의 배관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에 접합식으로 결합되는 클램핑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의 전체 구조를 플랜지결합부가 배관측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각각 다른 시점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의 전체 구조를 플랜지결합부가 배관측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홈이 구성되고 배관지지블록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이동지지부 및 홀더이동부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와, 이동지지부 및 홀더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규격에 맞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이 삽입되는 포켓삽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을 붙잡기 위해 구성되는 틸팅블록들을 나타낸 정면도와 틸팅블록에 교체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홀더들에 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및 틸팅블록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틸팅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홀더잠금부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가 장착되는 이동삽입부의 플랜지장착부와 규격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과 배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내부식성을 갖는 플라스틱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의 체결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에 대하여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배관 가 배관에 탈부착가능한 상태의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로서, 배관 연결구에 구성되는 블록배치부 및 블록배치홈, 배관확인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를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링에 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로서, 클램핑링이 배관삽입턱에 삽입되기 위한 세부구조와 마찰강화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에 클램핑링을 삽입하기 위한 배관체결커버에 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로서, 배관체결커버의 체결너트 구조와 공구체결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측면도로서, 클램프가 플랜지부에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부결합돌기와 하부결합돌기의 구조와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으로 분리된 구조로 체결시에 블록이 회전하여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유지돌기와 위치유지홈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배관 연결구의 클램핑부와 배관체결부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와 배관 연결구가 배관에 용접 또는 본딩 방식의 접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의 체결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단면도로서, 배관 연결구의 클램핑부와 배관체결부의 분리 결합구조와, 배관 연결구가 배관에 결합되는데 있어서 조립식이 아닌 용접 또는 본딩 방식의 접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의 분리된 형태의 클램핑부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클램핑부에 배관체결부와 조립되기위해 형성된 배관연결단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 연결구의 분리된 형태의 배관체결부에 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로서, 클램핑부와 조립되기 위한 연결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서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 연결구에 대하여 배관에 접합식으로 결합되는 클램핑부에 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측면도로서, 접합되는 배관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관접합부의 단턱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의 전체 구조에 있어서 플랜지결합부가 배관측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 대하여 각각 다른 시점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배관과 배관에 결합되기 위한 배관 연결구를 정렬하기 쉽고, 결합작업에 있어서 안정성이 높아진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의 전체 구조에 있어서 플랜지결합부가 배관측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측면도로서, 배관에 배관 연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요소 및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홈이 구성되고 배관지지블록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이동지지부 및 홀더이동부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와, 이동지지부 및 홀더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블록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지지부와 홀더이동부의 형상과 결합되는 배관지지포켓의 위치 및 가이드레일으 위치, 레일블록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배관을 지지하기위해 규격에 맞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관지지블록과 배관지지블록이 삽입되는 포켓삽입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관지지블록과 배관지지블록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포켓삽입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을 붙잡기 위해 구성되는 틸팅블록들을 나타낸 정면도와 틸팅블록에 교체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홀더들에 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및 틸팅블록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틸팅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홀더잠금부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틸팅 블록들이 작동하는 구조와 홀더의 교체구조 및 상기 틸팅 블록이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잠금부의 작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 연결구가 장착되는 이동삽입부의 플랜지장착부와 규격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로서, 배관에 삽입되는 배관 연결구의 크기에 따라 장착되는 홈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랜지장착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연결구 조립장치에서 배관과 배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로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는, 도 1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배관(P)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로서, 두 배관(P)을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P)의 끝단에 배관 연결구(100)를 체결하고, 각각의 배관(P)의 끝단에 체결된 배관 연결구(100)를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일체로 체결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 연결구(100)는 일측에 배관체결부(20)가 형성되어 배관(P)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타측에 클램핑부(10)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한 쌍으로 할 때, 상기 클램핑부(10)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기 클램핑부(10)의 외주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에 클램프(90)을 체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배관 연결구(100)를 서로 연결하여 분리된 배관(P)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체결부(20)는 상기 배관(P)과 체결되는 구조에 있어서, 조립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P)에 조립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배관(P)에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며, 혹여 잘못 조립되었을 경우에도 분리하여 재조립하는 것으로 수정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 연결구(100)는 배관(P)에 체결되는데 있어서, 배관(P)에 조립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배관체결부(20)의 구성 대신 배관접합부(16)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접합부(16)는 상기 배관(P)이 단순 삽입되고 결합을 위한 작업이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접합부(16)는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클램핑부(10)가 배관(P)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삽입되는 배관(P)의 단부가 수직으로 올바르게 절단되었을 경우, 상기 배관접합부(16)에 상기 배관(P)의 단부가 삽입시 상기 클램핑부(10)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에 수직된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접합부(16)내부에는 상기 배관(P)의 단부가 수직되게 걸림될 수 있는 단턱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하는 상기 클램핑부(10)와 상기 배관체결부(20)는 서로 분리 및 결합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재질로 제조되어 결합 가능하되 밀폐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램핑부(10)를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체결부(20)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배관체결부(20)를 플라스틱 배관에 결합하고, 상기 클램핑부(10)와 결합되는 대상인 배관 연결구(100)의 구성을 금속 재질의 배관에 금속재질의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재질의 클램핑부(10)와 체결되면 플라스틱 배관과 금속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배관연결구(10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상기 배관(P)에 체결하는데 있어서, 상기 배관(P)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체결 작업은 그 체결작업의 효율이 좋지 못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는 일측에 상기 배관(P)이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배관(P)의 단부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배관 연결구(100)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상기 배관(P)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관(P)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조립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배관(P)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간편하게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는 상기 배관(P)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결합위치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없이 두 부재사이의 간격만 조절하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기 배관(P)의 중심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P)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조립과정은 체결구조의 삽입 및 나사산의 체결 또는 용접 또는 본딩 등의 다양한 결합 작업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를 통한 배관(P)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체결은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100) 이외에 일반 플랜지형 배관연결구를 체결하는 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는 배관(P)에 연결되기 위한 구조를 여러가지 구비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목적 또는 재질에 따라 배관 연결구(100)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상기 배관(P)에 체결하는데 있어서 간편하게 정위치에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며, 조립을 위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분리된 배관(P)의 단부에 배관 연결구(100)가 체결되고, 상기 배관 연결구(100)가 체결된 배관(P)들을 배관중심이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하되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하는 클램핑부(1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10)의 외주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에 클램프(90)을 하나 이상 체결하는 것으로 분리된 배관(P)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구조는 일측에 클램핑부(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부(10)의 후방에 해당하는 타측에 배관체결부(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둘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상태를 형성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결합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편의상 클램프에 의해서 상호 체결되는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클램핑부(10)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배관체결부(20)로 구분하였으며, 아울러,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대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기준점의 제시가 없다면, 상기 클램핑부(10)측을 전방으로 명칭하고, 상기 배관체결부(20)측을 후방으로 정하여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배관 연결 구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관 연결구(100)가 서로 맞댄 상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이하 ‘연결된 배관 연결구(100)’를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하는 상기 클램핑부(10)가 서로 맞댄 상태로 구성된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구(100)는 내부가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는 중공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중공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전방의 소정 거리를 클램핑부(10)라 칭하고, 상기 클램핑부(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배관체결부(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부(10) 측의 내부 관로 끝단에는 외측을 향해 필렛(fillet) 형태의 유동가이드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유동가이드부(13)는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와 상기 플랜지부(11)의 일부에 형성되는 센터링홈(1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링홈(12)에는 센터링(C)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연결된 배관 연결구(100)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센터링홈(12)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센터링홈(12)에 상기 센터링(C)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C)은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하여 연결부위에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터링(C)이 배치되는 연결된 배관 연결구(100)의 연결지점 또한,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강한 내구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된 배관 연결구(100)의 연결지점에 대한 내부 유로의 구성은 상기 센터링(C)이 배치되는 지점의 내주가 다른 유로지점의 내주보다 큰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링(C)의 내주 또한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내부 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100)의 내부 유동은 상기 센터링(C)이 배치되는 지점에서 내부의 유동 관로의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해당 지점에서 다른 지점보다 압력이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1)는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클램핑부(10)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종래의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와 유사한 형태의 원형 판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1)는 외주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태의 플랜지돌기(11a)가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된 배관 연결구(100)에서 상기 플랜지부(11)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돌기(11a)는 배관의 후방을 향하여 중심부에서 양 끝단으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플랜지부(11)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90)은 상기 배관(P)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11)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90)의 상기 플랜지부(11)를 체결하기 위한 가압부는, 상기 플랜지돌기(11a)가 위치한 플랜지부(11)의 외주를 피해 내주측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90)이 상기 플랜지부(11)를 가압하도록 체결되면, 상기 플랜지돌기(11a)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90)이 상기 플랜지부(11) 표면을 따라 미끌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플랜지부(11)의 외주면에는 블록배치부(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록배치부(14)는 상기 플랜지부(11)에 체결되는 클램프(9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11)의 외주면을 소정의 깊이로 판형태의 블록배치홈(14a)을 표시하되 이 블록배치홈(14a)이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 한 쌍으로 구성된 블록배치홈(14a) 사이를 블록배치부(14)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록배치부(14)는 상기 플랜지부(11)의 외주에 클램프(90)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에 미리 표시를 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해당 지점에 상기 클램프(90)를 배치함에 있어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고, 지정된 지점에 균일하게 상기 클램프(90)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11)에 대한 균일한 결합력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배치부(14)는 상기 블록배치홈(14a)을 통한 표시 방법 외에도, 상기 플랜지부(11)의 원형인 외주면을 수평되게 면취하여 형성하는 것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배관체결부(20)는 동심의 이중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중 원통을 구성하는 내부 원통과 외부 원통은 각각 배관삽입부(21)와 배관삽입턱(22)으로, 상기 배관삽입부(21)의 외주 벽면과 상기 배관삽입턱(22)의 내주 벽면 사이의 간격은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P)의 끝단부터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P)의 두께와 유사하거나, 조금 더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배관 연결구(100)가 배관(P)의 연결을 위하여 체결될 때, 상기 배관삽입부(21)는 배관(P)의 끝단에서 배관(P)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배관삽입턱(22)은 배관(P)의 끝단에서 배관(P)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관삽입부(21)는 배관(P)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배관(P)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삽입부(21)에는 오링홈(21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링홈(21a)에는 오링(O)이 체결되어 상기 배관(P)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관삽입부(21)와 상기 배관(P)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삽입부(21)와 배관삽입턱(22) 사이에는 상기 배관삽입턱(22)을 외주에서 지지하기 위한 바닥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5)는 상기 배관삽입부(21) 및 상기 배관삽입턱(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되는 배관(P)의 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배관연결구(100)의 체결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P)와 바닥부(25)와 배관(P)의 단부 사이에는 가압밀폐링(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압밀폐링(50)은 상기 배관연결구(100)와 상기 배관(P)이 체결될 때 그 사이에 작용한 가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상기 바닥부(25)와 상기 배관(P)의 단부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밀폐링(50)의 내경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바닥부(25)에서도 상기 배관삽입부(21)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실링구조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삽입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의 내경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배관(P)의 내부 유로는 상기 배관삽입부(21)의 두께로 인한 유로 단면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내부의 유동 또한 속도, 압력에 변화가 생길 수 있어, 상기 배관삽입부(21)의 입구단에 챔버(chamber)형상으로 가공한 유동안내경사(21b)를 형성하여 상기 배관(P) 내부의 유로 직경이 상기 배관삽입부(21)의 유로직경으로 변경되는데 있어서 내부의 유로가 부드럽게 연결되어 단면적 손실에 의한 유동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에는 상기 배관삽입부(21)를 통하여 연결하기 위한 배관(P)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관확인홀(22c)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확인홀(22c)은 축방향에 대하여 장공 형태로 구성되어, 삽입되는 배관의 결합 상태를 관찰하는 데 있어서, 구멍의 크기보다 더 넓은 범위를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배관삽입턱(22)의 배관(P)이 삽입되는 입구측의 내주면에는 삽입경사(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경사(22a)에 의한 상기 배관삽입턱(22)의 단면은 입구의 최전방이 가장 넓고 내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삼각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벽에는 나사산 구조의 체결나사산(22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나사산(22b)은 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배관체결커버(40) 내벽의 체결나사산(41)과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삽입턱(22)에는 삽입된 상기 배관(P)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핑링(30)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링(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삽입경사(22a)의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의 쐐기경사(31)가 형성되어, 전단부의 두께가 얇고 후단부가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의 삼각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링(30)은 원형의 링 형태로 구성되고, 링 형태의 일정 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단된 링 구조로 인하여 지름의 크기가 변동될 수 있으며, 변형전의 기본 상태의 링의 내부 지름은 배관의 외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배관삽입턱(2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링(30)은 상기 배관삽입턱(22)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경사(22a)의 경사면과, 상기 쐐기경사(31)의 경사면이 맞닿게 되어, 상기 클램핑링(30)이 상기 배관삽입턱(22)에 삽입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클램핑링(30)은 지름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배관(P)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링(3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P)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가압하고 지지하기 위한 마찰강화부(3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강화부(32)의 형태는 복수의 줄무늬 형태로 그 방향은 상기 클램핑링(30)의 내주면 방향과 일치한 형태인 배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상기 클램핑링(30)이 지지하는 배관의 외주면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하여 결합된 배관이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핑링(30)의 삽입 깊이를 조절 및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배관체결커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캡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캡구조의 상측 커버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클램핑링(30)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배관체결커버(40)은 내주에 나사산구조의 체결나사산(41)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에 형성되는 체결나사산(22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관체결커버(40)은 나사결합을 통한 체결구조로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에 결합되어 나사이동을 통하여, 상기 클램핑링(30)을 가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체결커버(40)의 외주에는 상기 배관삽입턱(22)과의 나사결합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회전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널링가공 또는 공구체결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배관(P)의 규격이 작아 상기 배관체결부(20)의 구조 또한 작을 경우 작업자가 손을 사용하여 상기 배관체결커버(40)의 외주면을 붙잡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손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배관(P)의 규격이 커져 상기 배관체결커버(40)에 대한 작업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어려울 경우 상기 공구체결홈(42)에 공구를 체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1)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의 각각의 개별블록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있고, 상기 상부블록(91)과 상기 하부블록(96)은 일정한 부피를 갖는 질량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상기 플랜지부(11)의 일면을 가압하기 위한 상부지지부(92)와 하부지지부(97)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90)를 형성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부블록(91) 또는 하부블록(96)에는 상기 볼트(B)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홀(9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홀(98)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에는 상기 볼트(B)의 삽입시 간섭없이 통과될 수 있는 볼트홀(9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은 상기 볼트홀(93)을 관통하여 나사홀(98)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하여 하나의 클램프(9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90)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상부지지부(92)와 하부지지부(97)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11)를 가압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볼트홀(93)에 형성된 블록은 회전에 자유도가 있으므로 제멋대로 회전하게 되어 상부지지부(92) 또는 하부지지부(97)가 상기 플랜지부(11)의 가압을 위하여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에는 각각 위치유지돌기(94)와 위치유지홈(9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재들은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이 서로 맞닿는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에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일측 면에 상기 위치유지돌기(94)가 형성되었다면 상기 위치유지돌기(94)와 맞닿는 상대면에서는 상기 위치유지홈(99)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90)의 접촉대칭면적에는 상기 위치유지돌기(94)와 상기 위치유지홈(99)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부(92)와 상기 하부지지부(97)는 서로 일치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클램프(90)이 상기 플랜지부(11)를 가압하여 체결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1)에는 가압부의 외주측에 플랜지돌기(1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90)의 각각의 지지부들은 상기 플랜지돌기(11a)가 구비되지 않은 플랜지부(11) 표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상부지지부(92)와 하부지지부(97)에는 상기 플랜지돌기(11a)에 대응되어 걸림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부결합돌기(92a)와 하부결합돌기(97a)가 각각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돌기(92a)는 상부지지부(92)에서 상기 플랜지부(1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치위치는 상부지지부(92)의 외곽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90)이 상기 플랜지부(11)를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될 때, 상기 상부결합돌기(92a)는 상기 플랜지부(11)의 플랜지돌기(11a)에 걸림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결합돌기(97a) 또한 상기 상부결합돌기(92a)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1)에 상기 클램프(90)이 체결되면 상기 플랜지돌기(11a)의 내주에는 상기 상부결합돌기(92a)와 하부결합돌기(97a)의 내주면이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플랜지부(11)와 플랜지돌기(11a)는 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결합돌기(92a)와 하부결합돌기(97a)는 상기 플랜지부(11)의 상기 플랜지돌기(11a)를 제외한 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구조의 상부링경사(92b)와 하부링경사(97b)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의 상기 플랜지부(11)의 플랜지돌기(11a)의 원형으로 구성된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 또한 내측으로 곡면형상을 갖는 상부블록곡면(91a)과 하부블록곡면(96a)이 각각의 블록에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이 상기 플랜지부(11)의 플랜지돌기(11a)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쉬워 상기 클램프(9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9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B)는 끝단의 볼트축에 스냅링 홈(BS)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볼트(B)가 상기 상부블록(91)과 상기 하부블록(96)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 홈(BS)에 상기 볼트(B)의 외주면 보다 큰 외직경을 갖는 스냅링(SR)이 체결되어, 상기 볼트(B)가 상기 나사홀(98)에서 이탈되어, 상기 클램프(90)가 분리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블록(91)과 하부블록(96)은 볼트(B) 또는 클램프, 집게 등의 두 블록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90)로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면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관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배관 연결구(100)는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관에 서로 다른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측의 배관(P)에는 상기 서술된 일실시예의 배관에 결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타측의 배관(P)에는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를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와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를 상기 일실시예에서 서술한 클램프(90)를 통하여 배관(P)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관 연결구들(100’, 1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기 위한 두 배관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와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가 각각의 배관에 결합되는 구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는 배관(P)에 결합되기 위한 조립 구조가 상기 일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의 배관체결부(2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차이점으로서 클램핑부(10’)와 배관체결부(20’)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간에 체결결합을 통하여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는 전체적으로 링 구조로 형성되며, 외곽측에는 다른 배관의 플랜지 구조와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부(11)가 구비되고, 중심을 향한 내측에는 배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단턱구조의 배관접합부(16)가 구비된 클램핑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배관(P)에 결합되기 위한 조립 구조로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고, 그 차이점으로서 클램핑부(10”)의 배관접합부(16)에 배관(P)을 직접 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여서 앞선 실시예들의 배관체결부(20), 클램핑링(30), 베관체결커버(40) 등의 구성이 제외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10’)와 배관체결부(20’)는 상기 일시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를 기준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부(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전단은 일실시예의 클램핑부(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11)의 후단에는 상기 배관체결부(20’) 측과 결합되기 위한 배관연결단(17)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연결단(17)의 내주에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 구조의 연결나사산(17a)이 형성될 수 있어, 다른 실시예의, 분리된 배관체결부(20’)의 전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3)와, 상기 연결부(23)의 외주면에도 연결나사산(23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나사산들(17a, 23b)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배관연결단(17)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램핑부(10)의 후방면은, 연결삽입부(17b)로서 상기 배관체결부(20’)의 연결부(23)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연결단(17)에 구비된 연결나사산(17a)의 체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부(10’)의 플랜지부(11)의 외주면에는 면취부(11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면취부(11b)의 구조는 상기 클램핑부(10’)과 상기 배관체결부(20’)에 결합될 때, 상기 클램핑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되기 위한 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클램핑부(10’)의 적재 이동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면취부(11b)는 상기 플랜지부(11)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으로 구성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부(10)의 블록배치부(14)를 대체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외주면에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배치부(14)의 구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11)의 하단에는 레이저 가공 또는 연마 가공 등을 통한 블록마킹부(14b)가 한 쌍 이상 추가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클램프(90)를 클램핑부(10, 10’ 10”)에 체결할 때, 가압되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록마킹부(14b)는 상기 클램프(90)가 체결되는 클램핑부(10, 10’ 10”)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배치부(14)와 함께 형성되거나, 대체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치 개수는 자유롭게 형성되되, 상기 클램핑부(10, 10’ 10”)가 배관을 연결하는데 있어 상기 클램프(90)의 체결이 필요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에서 전방의 플랜지부(11)에 해당하는 지점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배관과 결합되기 위한 후방의 결합구조는 상기 일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와 동일한 형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부(10’)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의 전방에는 상기 플랜지부(11)가 없는 상태의 일자형 관 형태의 연결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3)의 외주에는 나사산의 연결나사산(23b)이 형성되어 상기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부(10’)의 배관연결단(17)의 연결나사산(17a)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3)의 전방 단부에는 연결오링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오링홈(23a)에는 오링(O)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오링홈(23a)에 오링(O)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3)가 상기 연결삽입부(17b)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나사산(23b)과 연결나사산(17a)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23)의 전방 단부가 상기 연결삽입부(17b)의 내벽에 밀착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배관체결부(20) 내부의 유체가 유출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부(10’)와 상기 다른 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가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일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구조상으로 크게 차이가 없을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부(10’)와 다른 실시예의 배관체결부(20’)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일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와는 다른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클램핑부(10)의 플랜지부(11)에 해당하는 구성만 남은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11)의 내부 직경은 결합되는 배관의 내경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배관(P)이 결합되기 위한 후단에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배관접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접합부(16)는 단면이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로 입구의 직경은 연결되는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고, 삽입되는 배관(P)이 약간의 길이만 삽입된 상태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은 삽입되는 배관(P)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는 배관(P)과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후단에 배관이 삽입되되 끝단의 일부만 삽입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관접합부(16)에 용접 또는 본딩, 융착 등과 같은 접착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배관 연결구(100)는 배관(P)과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 구조로 인하여 삽입되는 배관의 절단면이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절단이 제대로 되었다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에 체결되는 배관은 항상 일정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배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부(10”)는 항상 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와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100”)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배관 연결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연결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성하되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100)를 구성하는 배관체결부(20)를 배관(P)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공정은 상기 배관(P)의 규격이 작을 때는 작업자가 조립 공정 전체를 수작업으로 진행하는데 무리가 없지만, 상기 배관(P)의 규격이 커질 경우 수작업을 통하여 진행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조립장치인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의 구성은 도 12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을 지지하기위한 배관지지부(200)와,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부(200)는 상기 배관(P)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점에 대한 구성은 상기 배관(P)이 수평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2곳 이상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점을 3곳을 형성한 도면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배관지지부(200)는 지지고정부(210) 및 이동지지부(220), 홀더이동부(230)의 3개의 판형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결합부(300)는 삽입고정부(310)과 이동삽입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는 일측 끝단에 상기 지지고정부(210)를 구비할 수 있고, 타측 끝단에 삽입고정부(3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400)의 일측이 상기 지지고정부(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고정부(310)에 결합되는 형태로 장치의 내부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고정부(210)와 삽입고정부(310)는 장치의 내측방향에 대한 기울어짐은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통하여 지지될 수 있으나, 장치의 외측방향에 대한 기울어짐은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체결한 체결부재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그 체결 강도가 낮아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있어, 하단에 지지풋(500)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고정부(210)과 삽입고정부(310)가 장치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풋(500)은 바닥 또는 지지베이스 등에 체결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고정부(210)와 삽입고정부(31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레일(400)은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하부가이드(420)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는 상부가이드(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410)와 상기 하부가이드(420) 상에는 볼부쉬(4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부쉬(430)는 상기 가이드레일(400)의 표면과 접촉되는 내부에 볼형태의 구름 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이동지지부(220) 및 홀더이동부(230), 이동삽입부(3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지지부(220) 및 홀더이동부(230), 이동삽입부(320)를 상기 상부가이드(410)와 하부가이드(420)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부드럽고 조용하며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P)을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지지부(220)와 홀더이동부(230)는 상기 가이드레일(400) 상에서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지지부(220)와 상기 홀더이동부(230)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임시로 고정되고 그 고정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부(220)와 홀더이동부(230)는 하부가이드(420)와 체결되는 지점에 레일블록(421)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레일블록(421)은 상기 이동지지부(220)와 홀더이동부(230)의 측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가이드(420) 상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로크(42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210) 및 이동지지부(220), 홀더이동부(230)의 상부에는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홈(24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삽입부(320)에는 상기 배관지지부(200) 측에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어 위치될 수 있는 플랜지장착부(3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배관(P)과 배관 연결구(10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삽입부(320)가 상기 배관(P)의 전단을 향해 이동되는 형태로 배관연결구의 조립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지지홈(240)에는 지지되는 배관(P)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지지패드(24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관지지패드(241)는 고무패드 또는 라텍스 등의 마찰력 및 표면 접착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관(P)과 배관 연결구(100)의 관의 중심은 일치한 상태로 정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기 배관지지홈(240)과 상기 플랜지장착부(321)는 장착되는 배관(P)과 배관 연결구(100)의 규격이 변경되어도 그 중심이 일치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P)과 배관 연결구(100)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조립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관지지홈(240)과 상기 플랜지장착부(321)는 배관의 규격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수단에 대하여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지지부(220)의 배관지지홈(240)에 대하여 그 변경구조를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상단에는 상기 배관지지홈(240)이 형성되되 허용가능한 가장 큰 규격의 배관의 외경에 맞춰 형성되고, 상기 배관지지홈(240)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상기 가이드레일(400)에 배치되는 볼부쉬(430)와 결합될 수 있는 부쉬장착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부(220)의 좌측과 우측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부쉬장착홀(221)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블록(421)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블록(421)은 절단홈(422)이 구비된 홀이 상기 하부가이드(420)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판부재체결부(421a)가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체결부(421a)를 통하여 상기 이동지지부(220)의 양측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블록(421)의 상단에는 브라켓체결홈(423)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체결홈(423)에는 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이 상기 홀더이동부(230)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블록고정브라켓(235)이 체결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절단홈(422)이 구비된 홀이 상기 하부가이드(420) 상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부(220)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상기 레일블록(421)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로크(424)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로크(424)는 상기 절단홈(422)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420)의 표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지지홈(24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배관지지포켓(250)이 장착될 수 있는 포켓장착부(222)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단에 블록장착홈(25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부(220)의 벽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은 장치의 후단인 지지고정부(210)측을 향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장치의 전단인 플랜지결합부(300)측을 향한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이 상기 포켓장착부(222)에 결합될 때, 결합면에는 핀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 체결시에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이 볼트홀과 결합볼트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설계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의 상단에는 배관지지블록(260)의 포켓삽입부(2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록장착홈(251)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관지지블록(260)은 규격에 따라 교체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배관지지홈(240)이 지지할 수 있는 배관의 규격보다 적은 규격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에 장착시 상기 배관지지홈(24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지지포켓(250)과 배관지지블록(260)이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 이동지지부(220) 외에 지지고정부(210)와 홀더이동부(230)에도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배관지지블록(260)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배관지지홈(240)과 배관지지블록(260)을 통하여 지지되는 배관의 중심은 항상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이동부(230)는 상기 이동지지부(22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지지포켓(250)이 구비된 판면이 반드시 후술하는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관(P)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배관고정부(23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관고정부(230-1)의 구성은, 상기 홀더이동부(230)에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이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은 각각 하단에 제1 틸팅축홀(231a)과 제2 틸팅축홀(232a)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구성하는 상부가이드(410)의 좌측과 우측에 체결되고, 각각 장치의 양측방향으로 틸팅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이동부(23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관지지홈(240)과 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지점에 상기 배관지지홈(240)의 배관 규격과 동일한 배관을 가압지지 할 수 있는 제1 홀딩부(231b)와 제2 홀딩부(23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배관지지부(20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배관(P)을 고정하기 위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홀딩부(231b)와 제2 홀딩부(232b)에는 제1 홀더 체결홀(231c)과 제2 홀더 체결홀(232c)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홀더 체결홀(231c)에는 제1 홀더(231d)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홀더 체결홀(232c)에는 제2 홀더(232d)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는 각각 상기 제1 홀더 체결홀(231c)과 제2 홀더 체결홀(232c)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는 상기 제1 홀더 체결홀(231c)과 제2 홀더 체결홀(232c)에 대응되는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홀더 체결홀(231c)과 제1 홀더(231d) 및 제2 홀더 체결홀(232c)과 제2 홀더(232d)의 결합은 별도의 핀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삽입되는 홀더체결핀(233)은 볼핀 형태로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이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홀더와 제1 홀더 체결홀(231c)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후단으로 돌출된 홀더체결핀(233)의 타측에는 외주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는 볼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볼 구조는 내부에 탄력지지를 받게 되어 상기 홀더체결핀(23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구조는 상기 홀더체결핀(233)을 상기 제1 틸팅블록(231)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당기게 되면 핀의 축방향과 동일한 수직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돌출된 볼 구조가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후면에 접촉하게된 상태에서 핀의 축방향의 힘이 일정량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기 볼 구조는 표면의 반구형상이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후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면 내부에서 탄력 지지하는 힘을 저항하며 상기 핀홀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홀더체결핀(233)이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제1 홀더 체결홀(231c)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체결핀(233)을 사용한 결합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는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에 탈부착되는 속도가 빠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체결핀(233)을 통하여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의 체결구조에 각각 두 곳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 홀더(231d) 또는 제2 홀더(232d)가 홀더체결핀(233)을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홀더체결핀(23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는 규격이 다른 배관들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교체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홀딩부(231b)와 제2 홀딩부(232b) 및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의 배관 중심은 모두 동일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상단에는 힌지체결부(231e)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상단에는 잠금가압부(232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가압부(232e)는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상단에서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완충부재 등의 구성이 추가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체결부(231e)와 상기 잠금가압부(232e)에는 홀더잠금부(23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잠금부(234)는 ‘ㄷ’ 모양의 블록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단의 끝부분에는 홀더힌지(234a)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힌지(234a)는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힌지체결부(231e)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중심부에는 잠금삽입부(234e)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잠금가압부(232e)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위치는 홀더잠금부(234)의 잠금위치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막혀있는 타단에는 너트구조가 형성되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잠금축(234b)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축(234b)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상기 잠금축(234b)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잠금핸들(234d)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잠금축(234b)의 하단에는 잠금블록(234c)이 형성되되, 상기 잠금축(234b)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잠금부(234)가 잠금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잠금가압부(232e)가 상기 잠금삽입부(234e)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잠금축(234b)이 회전하여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잠금축(234b)의 하단에 위치하는 잠금블록(234c)이 상기 잠금가압부(232e)를 가압고정하게 되어 상기 홀더잠금부(234)가 개방위치로 이동되기 어렵고,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상기 제2 틸팅블록(2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내부의 배관(P)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도록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관 연결구(100)와 조립되는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부(200)는 배관의 규격에 상관없이 항상 중심이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여 전체 배관(P)의 배치가 동심원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되는 배관(P)의 전단부는 상단과 하단이 가압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관(P)과 결합되기 위한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는 플랜지결합부(300)는 상기 배관(P)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삽입부(320)의 배관측을 향한 판상에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기 위한 플랜지장착부(3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장착부(321)와 상기 이동삽입부(320)의 결합면에는 핀홀(미도시)이 구비되고, 두 부재의 결합시에 상기 핀홀의 핀을 통한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플랜지장착부(321)가 설계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장착부(321)는 내부에 플랜지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플랜지장착홈(32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장착홈(321a)에는 복수의 규격블록(322)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규격블록(322)은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의 외형과 유사한 구조의 플랜지장착홈(321a)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장착부(32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가 조립가능한 최대 규격의 배관(P) 구조에 대응되는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될 수 있는 플랜지장착홈(321a)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장착부(321)에 삽입되는 규격블록(322)의 외형은 상기 플랜지장착부(321)에 삽입되는 플랜지부(11)의 외형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형태로 상기 플랜지장착부(321)의 내부 형상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규격블록(322)의 내형은 다음으로 취급가능한 배관 사이즈의 규격에 맞는 플랜지장착홈(32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규격블록(3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규격블록(322)의 외형은 이전 규격블록(322)의 내형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규격블록(322)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관지지부(200)에 안착되는 배관(P)의 규격에 대응되는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를 탑재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배관지지부(200)의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하나로 결합된 상기 규격블록(322) 뭉치들에 대하여 필요한 규격의 상기 규격블록(322)이 장착되는 상태로 나머지를 탈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삽입부(320)와 삽입고정부(310)의 작동구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고정부(310)의 중심에 체결축너트(311)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축너트(311)에는 체결조작축(341)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조작축(341)은 상기 이동삽입부(320)의 중심에 위치되는 체결축회전부(3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축회전부(323)와 상기 체결조작축(341)은 회전운동에 대하여 자유를 가지지만 상기 체결조작축(341)의 축방향운동에 대해서는 함께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조작축(341)의 외측에는 체결조작부(3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체결조작부(34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삽입부(320)의 전진과 후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삽입고정부(310)과 상기 이동삽입부(320) 사이에는 체결가이드(3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가이드(330)는,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레일(4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삽입부(320)의 상단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삽입부(320)와 상기 가이드레일(400) 사이에 구비되는 볼부쉬(430) 구조는 상기 삽입고정부(310)와 상기 체결가이드(3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삽입부(320)가 상기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할 때, 상기 체결가이드(330)는 상기 삽입고정부(310)측의 볼부쉬(4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삽입고정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삽입부(320)는 상기 체결조작부(340)의 조작에 따라 전진 및 후진할 때에 상기 체결가이드(330)의 구성에 의하여 안정직인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는, 상기 배관지지부(200)에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P)을 거치하게 되고, 이과정에서 상기 배관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지지고정부(210)과 이동지지부(220), 홀더이동부(230)는 거치되는 상기 배관(P)의 규격에 맞춰 배관지지홈(240) 또는 배관지지블록(260)을 통한 상기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설정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결합부(300)의 이동삽입부(320)는 상기 삽입고정부(310)와 가까워지도록 후퇴위치로 이동하여 배관연결구(100)를 장착할 수 있는 자세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의 지지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상단의 힌지체결부(231e)에 상기 홀더힌지(234a)를 통해 체결된 상기 홀더잠금부(234)를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상단에 위치하는 잠금가압부(232e)가 상기 잠금삽입부(234e)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잠금부(234)를 상기 홀더힌지(234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잠금핸들(234d)이 상기 제1 틸팅블록(231)의 상단에서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을 각각 상기 제1 틸팅축홀(231a)과 제2 틸팅축홀(232a)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의 외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홀더이동부(232)에 구비된 지지구성의 상단부를 개방하고, 배관(P)을 상기 지지고정부(210)및 이동지지부(22), 홀더이동부(230)에 설정된 지지구성 위에 거치한다.
또한, 상기 배관(P)을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에도 상기 배관(P)의 규격에 맞게 제1 홀딩부(231b) 및 제2 홀딩부(232b) 또는 제1 홀더(231d)와 제2 홀더(232d)를 통하여 상기 배관(P)의 전단 상부를 가압 고정할 준비를 한다.
덧붙여, 상기 배관(P)의 상부에 대한 가압 고정 준비가 끝나게 되면,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을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의 내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배관(P)의 전단 상부를 1차 가압하는 형태로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잠금삽입부(234e)에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상단에 구비되는 잠금가압부(232e)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상기 잠금핸들(234d)이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을 향하도록 상기 홀더힌지(234a)를 중심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잠금가압부(232e)가 상기 잠금삽입부(234e)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잠금핸들(234d)이 상기 제2 틸팅블록(232)의 상단에서 상기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잠금축(234b)이 상기 홀더잠금부(234)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블록(234c)가 상기 잠금가압부(232e)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핸들(234d)을 조작한다.
이처럼 상기 홀더잠금부(23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1 틸팅블록(231)과 제2 틸팅블록(232)은 각각 상기 제1 틸팅축홀(231a)과 제2 틸팅축홀(232a)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선회하며, 상부 지점이 서로 밀착되며 내부에 거치된 배관(P)의 전단 상부를 가압하며 고정하는 지지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결합부(300)의 이동삽입부(320)의 플랜지장착부(321)에 상기 규격블록(322)들을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배관(P)의 규격에 대응되는 배관 연결구(100, 100’, 10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플랜지장착부(321)에 규격에 맞는 배관 연결구(100)의 플랜지부(11)를 장착하고, 상기 체결조작부(34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체결조작축(341)이 회전하며 상기 삽입고정부(3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따라 상기 체결조작축(341)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이동삽입부(320)가 전진하며 상기 배관(P)의 전단부에 상기 배관 연결구(100, 100’)의 배관삽입부(21)가 삽입되거나, 배관 연결구(100”)의 배관접합부(16)가 결합방식으로,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조립장치(1000)는 상기 배관(P)에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결합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배관지지부(200)와 상기 플랜지결합부(300)의 구조를 통하여 배관(P)에 대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100, 100’, 100”)의 조립 공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결합부(300)를 구성하는 플랜지장착부(321)를 일반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가 장착될 수 있도록 변경하거나 공통된 플랜지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일반 산업용 배관의 플랜지 조립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설비의 시공에 있어서 배관의 배치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 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100”: 배관 연결구
10, 10', 10" : 클램핑부
11 : 플랜지부 11a 플랜지돌기
12 : 센터링홈 13 : 유동가이드부
14 : 블록배치부 14a : 블록배치홈
16 : 배관접합부 17 : 배관연결단
17a : 연결나사산 17b : 연결삽입부
20, 20' : 배관체결부
21 : 배관삽입부 21a : 오링홈
21b : 유동안내경사 22 : 배관삽입턱
22a : 삽입경사 22b : 체결나사
22c : 배관확인홀 23 : 연결부
23a : 연결오링홈 23b : 연결나사산
25 : 바닥부
30 : 클램핑링
31 : 쐐기경사 32 : 마찰강화부
40 : 배관체결커버
41 : 체결너트 42 : 공구체결홈
50 : 가압밀폐링
90 : 클램프
91 : 상부블록 92 : 상부지지부
92a : 상부결합돌기 92b : 상부링경사
93 : 볼트홀 94 : 위치유지돌기
96 : 하부블록 97 : 하부지지부
97a : 하부결합돌기 97b : 하부링경사
98 : 나사홀 99 : 위치유지홈
1000 : 배관연결구 조립장치
200 : 배관지지부
210 : 지지고정부 220 : 이동지지부
221 : 부쉬장착홀 222 : 포켓장착부
230 : 홀더이동부 230-1 : 배관고정부
231 : 제1 틸팅블록 231a : 제1 틸팅축홀
231b : 제1 홀딩부 231c : 제1 홀더 체결홀
231d : 제1홀더 231e : 힌지체결부
232 : 제2 틸팅블록 232a : 제2 틸팅축홀
232b : 제2 홀딩부 232c : 제2 홀더 체결홀
232d : 제2 홀더 232e : 잠금가압부
233 : 홀더체결핀 234 : 홀더잠금부
234a : 홀더힌지 234b : 잠금축
234c : 잠금블록 234d : 잠금핸들
234e : 잠금삽입부 235 : 블록고정브라켓
240 : 배관지지홈
250 : 배관지지포켓 251 : 블록장착홈
260 : 배관지지블록 261 : 포켓삽입부
300 : 플랜지결합부
310 : 삽입고정부 311 : 체결축너트
320 : 이동삽입부 321 : 플랜지장착부
321a : 플랜지장착홈 322 : 규격블록
323 : 체결축회전부 330 : 체결가이드
340 : 체결조작부 341 : 체결조작축
400 : 가이드레일
410 : 상부가이드 420 : 하부가이드
421 : 레일블록 421a : 판부재체결부
422 : 절단홈 423 : 브라켓체결홈
424 : 고정로크 430 : 볼부쉬
500 : 지지풋

Claims (12)

  1. 배관(P)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다른 배관의 플랜지 구조와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부(11)가 포함되는 클램핑부(10); 및
    상기 클램핑부(10)와 반대방향에 구비되며, 배관에 삽입되는 배관삽입부(21)와, 상기 배관삽입부(21)와 동심으로 구성되어 삽입되는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배관삽입턱(22), 상기 배관삽입부(21)와 상기 배관삽입턱(22)을 연결하는 바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체결부(20);
    상기 배관(P)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원주의 일부가 절단된 링 형태로 구성되는 클램핑링(30);
    상기 클램핑링(30)을 가압하여 배관(P)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배관삽입턱(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조와 체결되는 배관체결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링(30)은, 내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강화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삽입턱(22)은, 상기 배관삽입부(21)와 배관의 단부에 대한 결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배관확인홀(22c);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삽입턱(22)은 배관(P)이 삽입되는 입구측의 내주면에 삽입경사(22a)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링(30)은 외주면에 상기 삽입경사(22a)와 대응되는 쐐기경사(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구는,
    상기 배관체결부와 상기 클램핑부가 각각 따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체결부는 외주에 연결나사산(23b)이 형성된 연결부(23)가 전단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내측에 연결나사산(17a)가 형성된 배관연결단(17)이 플랜지부(11)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체결부와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연결나사산들(17b, 23b)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체결부(20)의 바닥부(25)와 배관(P)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관연결구(100)와 배관(P)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실링구조를 형성하는 가압밀폐링(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는,
    서로 다른 클램핑부(10)와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클램프 부재의 클램프(90)의 정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블록배치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92833A 2021-12-28 2022-07-26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KR10252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446A KR102620319B1 (ko) 2021-12-28 2023-04-14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9080 2021-12-28
KR1020210189080 2021-1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446A Division KR102620319B1 (ko) 2021-12-28 2023-04-14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661B1 true KR102523661B1 (ko) 2023-04-19

Family

ID=861424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33A KR102523661B1 (ko) 2021-12-28 2022-07-26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KR1020230049446A KR102620319B1 (ko) 2021-12-28 2023-04-14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446A KR102620319B1 (ko) 2021-12-28 2023-04-14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3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79B1 (ko) * 2014-10-13 2015-05-15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아답터 및 이의 조립장치
KR101847777B1 (ko) * 2017-05-11 2018-04-11 혜 옥 이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20190078838A (ko) * 2017-12-27 2019-07-05 더에이스테크 주식회사 반도체 배관용 다기능 무용접 연결구
KR20210000161U (ko) * 2019-07-11 2021-01-20 한효신 진공 배관용 플랜지 및 진공 배관 연결 구조
KR102226704B1 (ko) * 2020-09-03 2021-03-10 홍석기 원터치 체결식 파이프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3276B1 (fr) * 1987-03-30 1989-12-08 Gaz De France Appareil pour le positionnement de l'extremite d'une premiere piece allongee, en matiere plastique, avec au moins l'extremite d'une deuxieme piece allongee en matiere plastique, en vue de leur assemblage
KR101961432B1 (ko) * 2017-09-04 2019-03-22 (주)이노이엔씨 파이프에 플랜지를 장착하는 장치
KR102044190B1 (ko) * 2019-01-17 2019-11-13 (주)이노이엔씨 이종규격 파이프의 공용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플랜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79B1 (ko) * 2014-10-13 2015-05-15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아답터 및 이의 조립장치
KR101847777B1 (ko) * 2017-05-11 2018-04-11 혜 옥 이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20190078838A (ko) * 2017-12-27 2019-07-05 더에이스테크 주식회사 반도체 배관용 다기능 무용접 연결구
KR20210000161U (ko) * 2019-07-11 2021-01-20 한효신 진공 배관용 플랜지 및 진공 배관 연결 구조
KR102226704B1 (ko) * 2020-09-03 2021-03-10 홍석기 원터치 체결식 파이프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702A (ko) 2023-07-05
KR102620319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2757A (ko) 플랜지의 접합용 지그
US20080014035A1 (en) Clamping Tool And Hole Saw Apparatus
US10487969B2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US9982807B2 (en) Resin end-face butt joint, method for welding the joints, and piping member
US11060648B2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US11313499B2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523661B1 (ko) 배관 연결구 및 그 조립장치
KR101558493B1 (ko) 플랜지 체결 공구
KR101608492B1 (ko) 기밀시험용 커플러
TW201623852A (zh) 樹脂製管接頭及夾持治具
KR2011008274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가접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가접방법
KR20140065794A (ko) 배관용 커플링
US11187358B2 (en) Universal vacuum fitting clamp with torque control
JP2021139491A (ja) 配管用接続具及びこれを含む配管用接続装置
CN111872872A (zh) 一种用于连接管的取样工装及其取样方法
JP2010138964A (ja) 電気融着継
JP2013072548A (ja) フェルール継手、フェルール継手の接続構造およびフェルール継手の接続方法
TW201541000A (zh) 輸送流體用之集水管接頭
KR20100011108A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US11274687B2 (en) Liquid junction assembly
JP2011208687A (ja) クランプ装置
KR101672849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이음관 융착용 회전클램프
JPS6018911Y2 (ja) 合成樹脂管状体接合機
CN219767285U (zh) 一种汽车零部件焊接工装
CN217953781U (zh) 一种管路接头气密性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