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492B1 - 기밀시험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기밀시험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92B1
KR101608492B1 KR1020150121776A KR20150121776A KR101608492B1 KR 101608492 B1 KR101608492 B1 KR 101608492B1 KR 1020150121776 A KR1020150121776 A KR 1020150121776A KR 20150121776 A KR20150121776 A KR 20150121776A KR 101608492 B1 KR101608492 B1 KR 10160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r
injection port
hole
supported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희
문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
Priority to KR102015012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기체의 누설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직경으로 관통되어 양측 중 작은 직경을 갖는 일측에는 배관의 주입구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위치에 단차부가 마련되며, 상기 주입구가 삽입된 일측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외주면의 양측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는 몸체부와,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나사결합되고, 그 반대측은 기체공급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측 단부면이 상기 단차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주입구의 끝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슬라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슬라이드바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원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주입구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바에 상·하 관통되는 통공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시험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밀시험용 커플러{COUPLER FOR LEAKAGE TEST}
본 발명은 기밀시험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의 일측 단부에 간편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의 정확한 기밀시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밀시험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에는 냉매를 이동하는 다수의 배관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배관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양 끝단부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이러한 나사산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어 양측의 배관이 연결될 수 있는 너트를 결합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때,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배관의 나사산이 형성된 외면에 PTPE(Poly Tetra Fluoro 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진 테이프 등의 실링부재를 일정 두께로 감은 후 너트를 결합하여 나사 결합부위가 수밀하게 밀폐되도록 하였으나, 일정 기간 사용함에 따라 실링부재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용접에 의한 연결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온·고압의 냉매가 이동하는 배관의 경우에는, 그 결합부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 등으로 인한 제품고장, 비용손실,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밀시험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육안(肉眼)을 통한 검사만으로는 용접을 통해 올바르게 결합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 개가 연결된 배관의 일측에는 유체 또는 기체공급장치를 연결하고, 반대측에는 그 배관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는 커플러를 결합하여, 물이 담긴 수조에 넣은 상태로 기포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거나, 별도의 압력게이지를 결합하여 설정된 압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밀시험을 반복하기 위해서 배관의 단부를 폐쇄하는 커플러를 반복적으로 결합 및 분리해야 함에 따라,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부위가 기밀하게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기밀시험을 할 수 있는 커플러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67980호에는 커플러몸체(10)와, 커플러몸체에 삽입 결합되는 핀축(30)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레버(20)와, 레버의 회전작동에 따라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드 동작하는 가스주입부재(40)와, 냉매용 보조탱크의 주입구를 잡아주도록 끝단면에 톱니부(50a)가 형성된 콜렛부재(50)와, 탄성작용에 의해 콜렛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60)와, 콜렛부재에 의한 주입구의 물림길이를 조정하도록 커플러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70)와, 케이스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더블너트(80)으로 구성된 커플러가 제안되었다.
이는, 냉매용 보조탱크의 주입구를 가스주입부재의 외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가 커플러몸체에 직각이 되도록 조작하면 가스주입부재와 콜렛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콜렛부재의 끝단면에 형성된 톱니부가 냉매용 보조탱크의 주입구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어, 냉매용 보조탱크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커플러는 다수개의 구성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있어 조립 및 분해가 번거롭고, 각 구성부의 파손에 따른 수리를 요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매용 보조탱크의 주입구를 고정하는 작업을 위해 회전 작동되는 레버(20)와 가스주입부재(40)의 밀편(40b)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레버(20) 또는 밀편(40b)의 접촉면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가스주입부재(40) 및 콜렛부재(50)의 정상적인 슬라이딩 이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톱니부가 냉매용 보조탱크의 주입구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없게 되므로, 기밀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정상적인 검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67980호 (2000.02.15., 커플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0273호 (2000.02.15., 커플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807호 (2012.11.26.,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13-0123692호 (2013.11.13., 기밀테스트용 커플링 기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의 일측 단부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밀시험용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와의 결합 및 기밀시험 과정에서 결합부위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시험용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밀시험용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된 내주면에 단차부가 마련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으로 관통되되, 양측 중 작은 직경을 갖는 일측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의 주입구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의 양측에 지지되어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는 몸체부와, 내부는 양측으로 관통되고, 일측은 외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고, 그 반대측은 상기 배관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와, 내부는 양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단부면이 상기 단차부에 지지되며, 상기 주입구의 끝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주입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 및 이동이 완료된 후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복원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에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된 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바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더 큰 크기의 통공을 통해 상기 주입구가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주입구가 상기 밀폐부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바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 더 작은 크기의 통공에 의해 상기 주입구의 외면이 견고하게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 내경 및 상기 주입구의 외경은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삽입공과, 상기 주입구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지지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바가 삽입되는 끝단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반대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하향 절곡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에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와 함께 상기 가이드바의 끝단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측면에 관통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슬라이드바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및 가이드바 사이에 양측이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구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바가 탄성 복원되면 상기 슬라이드바의 하면 및 상기 지지공에 지지되도록 상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고정부와, 상기 돌출고정부와 끝단부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결합홈이 마련된 결합보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상측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주입구의 끝단부가 견고하게 지지 및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패킹과, 외주면에 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이 견고하게 지지 및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밀시험용 커플러는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의 일측 단부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와의 결합 및 기밀시험 과정에서 결합부위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밀시험용 커플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가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부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결합보조부재가 몸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가압된 가이드부가 탄성복원되어 결합보조부재가 가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밀시험용 커플러는 크게 몸체부(100), 연결부(200), 밀폐부재(300), 제1제1탄성부재(400) 및 개폐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한 몸체부(100), 연결부(200) 및 밀폐부재(300)는 내부가 축방향으로 중공(관통)되어, 기밀시험의 대상이 되는 배관(P)으로 기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기밀시험의 대상이 되는 배관(P)의 주입구(S)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관통되어 중공된 내주면에는 후술할 밀폐부재(300)가 밀착 지지되는 단차부(110)가 마련되고, 양측 중 작은 직경을 갖는 상측 단부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몸체부(100)의 외주면 양측에 지지되어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120)이 마련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상측 내경은 주입구(S)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의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의 주입구(S)가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00)는 상측 외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그 반대측인 하측은 주입구(S)를 통해 배관(P)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D)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종래에 공지된 수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외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300)는 기체공급관(D)으로부터 공급된 기체가 누설되지 않고 온전히 배관(P)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단부면은 몸체부(100)의 하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차부(110)에 지지되며, 외면은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된다.
이때, 밀폐부재(300)를 통한 기밀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상측에는 주입구(S)의 끝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링 형상의 패킹(311)을 더 구비하여, 이 패킹(311)이 억지끼움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삽입홈(310)에 결합하고, 외주면에는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결합링(321)을 더 구비하여, 밀폐부재(300)가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기밀시험을 위한 기체 공급 중에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홈(32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1탄성부재(400)는 밀폐부재(300)가 단차부(110) 또는 주입구(S)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기밀시험을 위해 기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주입구(S)에 작용하는 고압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은 밀폐부재(300)의 하면 및 연결부(200)의 상부면에 각각 지지된다.
이때, 제1제1탄성부재(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부재(300)의 하면에는 제1제1탄성부재(400)의 내부공간에 일정 길이 삽입되는 돌출고정부(330)가 마련되고, 연결부(200)의 상면에는 제1제1탄성부재(400)가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함몰되는 안착홈(2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수단(500)은 슬라이드홈(12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510)를 일측으로 이동하면 주입구(S)를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고,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삽입된 주입구(S)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바(510)가 슬라이드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20)와, 탄성력을 통해 슬라이드바(510)의 이동을 지지 및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복원부(530)가 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때, 슬라이드바(510)에는 슬라이딩되는 양측 이동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된 통공(540)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통공(540)은 주입구(S)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슬라이드바(5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공(542)과, 몸체부(100)의 상측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슬라이드바(5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삽입공(541)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삽입공(541)과 지지공(542)은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삽입공(541)과 지지공(542)이 연통되는 부분은 삽입공(541)을 통해 몸체부(100)에 삽입된 주입구(S)의 외면이 슬라이드바(510)의 탄성 복원 시 지지공(542)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공(542)의 직경과 같거나 큰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부(520)는 슬라이드바(510)가 삽입되는 끝단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521)과, 고정홀(521)에 결합되어 몸체부(100)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바(5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편(522)로 구성된다.
더불어, 탄성복원부(530)는 몸체부(100)의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하향 절곡되는 가이드부(531)와, 가이드부(531)의 내면에 대향되는 몸체부(100)의 외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바(532)와, 가이드바(532)의 끝단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바(510)와 함께 이동되도록 가이드부(531)의 내·외측면에 관통되는 가이드홀(533)과, 몸체부(100) 및 가이드바(532) 사이에 양측이 지지되도록 가이드바(532)의 외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바(510)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입구(S)의 끝단부에는 몸체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폐부재(300) 및 슬라이드바(510)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주입구(S)가 직접 가압됨에 따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결합보조부재(6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보조부재(600)는 몸체부(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바(510)가 탄성 복원되면 지지공(542)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가압지지부(610)와, 슬라이드바(510)의 하면에 지지되어 기밀하게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지지부(620)와, 돌출지지부(620)의 하측에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결합홈(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보조부재(6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지지공(542)의 직경이 가입지지부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밀시험용 커플러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의 주입구(S)가 삽입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배관(P)의 주입구(S)와 커플러가 견고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입구(S)의 끝단부에 결합보조부재(600)를 결합하고, 이 결합보조부재(600)가 밀폐부재(300)와 슬라이드바(510)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밀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이 준비되면, 가이드부(531)를 가압하여 삽입공(541)과 몸체부(100)의 내경이 일치되도록 한 후 결합보조부재(600)를 몸체부(100) 내에 삽입한다.
이때, 결합보조부재(600)가 몸체부(100)에 삽입된 이후에는 결합보조부재(600)의 끝단부가 밀폐부재(300)에 밀착될 때까지 즉, 돌출지지부(620)가 슬라이드바(51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몸체부(100)에 결합보조부재(600)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부(53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가이드부(531)는 제2탄성부재(53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공에 삽입된 가이드바(532)를 따라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슬라이드바(510)는 가이드바(5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탄성부재(534)의 복원력에 의해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고, 돌출지지부(620)는 슬라이드바(510)의 하측으로 가압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드바(5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에 따라 삽입공(541)에 연통된 지지공(542)에 의해 가압지지부(610)가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처럼,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과의 결합이 완료되고 난 이후에는 연결부(200)의 하측을 기체공급관(D)과 연결하며, 공급된 기체에 의해 기밀시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과 몸체부(100)를 결합하기에 앞서, 연결부(200)와 기체공급관(D)을 먼저 연결한 이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보조부재(600)를 몸체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과 몸체부(100), 연결부(200)와 기체공급관(D)의 결합이 각각 완료되면, 기체공급관(D)을 통해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며, 물이 채워진 수조에 상기와 같이 결합된 구성들을 잠입시킨 상태에서는 기체 누설에 의한 기포 생성여부를 통해 기밀상태를 확인하고, 압력게이지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압력의 변화 여부를 통해 기밀상태를 확인한다.
기체공급관(D)을 통한 배관(P)의 기밀시험은 수조에 잡입시키는 방법과 압력게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게이지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조에 잡입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체공급관(D)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면 결합보조부재(600)와 밀폐부재(300)가 밀착 지지된 상태라 하더라도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리된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밀폐부재(300)는 제1제1탄성부재(400)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이므로, 기체가 공급되는 초기의 높은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이후 일정한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다시 견고하게 밀착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결합보조장치 및 커플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한 기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배관(P)의 기밀시험이 완료되고 난 이후에는, 몸체부(100)에 결합보조부재(600)를 삽입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가이드바(532)를 가압하여 삽입공(541)과 몸체부(100) 내경의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보조부재(600)를 몸체부(100)에서 탈거한 후, 가이드바(532)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하나의 배관(P)에 대한 기밀시험이 간단히 종료되며, 다수의 배관(P)에 대한 기밀시험이 이루어질 때는 이상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결합보조부재(600)를 몸체부(100)에 결합 및 탈거하는 과정과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된 기체를 통한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밀시험용 커플러는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의 일측 단부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검사 대상이 되는 부재와의 결합 및 기밀시험 과정에서 결합부위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몸체부 110 : 단차부
120 : 슬라이드홈 200 : 연결부
210 : 나사산 220 : 안착홈
300 : 밀폐부재 310 : 삽입홈
311 : 패킹 320 : 결합홈
321 : 결합링 330 : 돌출고정부
400 : 제1탄성부재 500 : 개폐수단
510 : 슬라이드바 520 : 이탈방지부
521 : 고정홀 522 : 고정편
530 : 탄성복원부 531 : 가이드부
532 : 가이드바 533 : 가이드홀
534 : 제2탄성부재 540 : 통공
541 : 삽입공 542 : 지지공
600 : 결합보조부재 610 : 가압지지부
620 : 돌출지지부 630 : 나사결합홈
D : 기체공급관 P : 배관
S : 주입구

Claims (6)

  1. 중공된 내주면에 단차부(110)가 마련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으로 관통되되, 양측 중 작은 직경을 갖는 일측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배관(P)의 주입구(S)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일측 단부면과 상기 단차부(110) 사이에서 외주면의 양측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120)이 마련되는 몸체부(100);
    내부는 양측으로 관통되고, 일측은 외면에 나사산(210)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며, 그 반대측은 상기 배관(P)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D)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200);
    내부는 양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단부면이 상기 단차부(110)에 지지되며, 상기 주입구(S)의 끝단부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밀폐부재(300);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주입구(S)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부(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밀폐부재(30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는 제1제1탄성부재(400);
    상기 슬라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바(510)에는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20) 및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원부(530)가 양측으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주입구(S)를 상기 몸체부(100)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주입구(S)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주입구(S)의 외면이 가압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바(5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되는 통공(540)이 마련되는 개폐수단(500);을 포함하여,
    상기 통공(540)은 상기 주입구(S)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삽입공(541)과, 상기 주입구(S)의 외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주입구(S)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지지공(542)이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부(520)는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삽입되는 끝단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521)과, 상기 고정홀(521)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바(5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편(522)을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탄성복원부(5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하향 절곡되는 가이드부(531)와, 상기 가이드부(531)의 내면에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바(532)와, 상기 가이드바(532)의 끝단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바(510)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부(531)의 내·외측면에 관통되는 가이드홀(533)과, 상기 몸체부(100) 및 가이드바(532) 사이에 양측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바(532)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34)를 포함하여 마련되며,
    상기 주입구(S)는 그 끝단부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바(510)가 탄성 복원되면 상기 지지공(542)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가압지지부(610)와, 상기 슬라이드바(510)의 하면에 지지되어 기밀하게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압지지부(610)의 하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지지부(620)와, 상기 돌출지지부(620)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사결합홈(630)으로 이루어진 결합보조부재(6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시험용 커플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측에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310)과, 상기 삽입홈(310)에 삽입되어 상기 주입구(S)의 끝단부가 견고하게 지지 및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패킹(311)과, 외주면에 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320)과, 상기 결합홈(32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이 견고하게 지지 및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링(3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시험용 커플러.
  6. 삭제
KR1020150121776A 2015-08-28 2015-08-28 기밀시험용 커플러 KR10160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76A KR101608492B1 (ko) 2015-08-28 2015-08-28 기밀시험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76A KR101608492B1 (ko) 2015-08-28 2015-08-28 기밀시험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492B1 true KR101608492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776A KR101608492B1 (ko) 2015-08-28 2015-08-28 기밀시험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01B1 (ko) * 2017-02-27 2017-12-04 위성길 차량용 가스배관 리크검사장치
KR101805010B1 (ko) 2017-06-14 2017-12-06 주식회사 코스 기밀시험용 커플러
CN113358287A (zh) * 2021-06-23 2021-09-07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装配式接头结构模拟监测系统
CN113431975A (zh) * 2021-06-23 2021-09-24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防水试验接口结构及装配式接头压力防水测试试验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01B1 (ko) * 2017-02-27 2017-12-04 위성길 차량용 가스배관 리크검사장치
KR101805010B1 (ko) 2017-06-14 2017-12-06 주식회사 코스 기밀시험용 커플러
CN113358287A (zh) * 2021-06-23 2021-09-07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装配式接头结构模拟监测系统
CN113431975A (zh) * 2021-06-23 2021-09-24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防水试验接口结构及装配式接头压力防水测试试验系统
CN113431975B (zh) * 2021-06-23 2022-08-09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防水试验接口结构及装配式接头压力防水测试试验系统
CN113358287B (zh) * 2021-06-23 2024-05-28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装配式接头结构模拟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492B1 (ko) 기밀시험용 커플러
JP6714138B1 (ja) 配管用連結装置
CN201651629U (zh) 一种自锁式快速接头
KR102230449B1 (ko) 배관용 연결기구
JP2013540963A (ja) 挿入型配管用連結装置
KR101558493B1 (ko) 플랜지 체결 공구
US11215300B2 (en) Pipe joint and joint connection device
JP2017145868A (ja) 管継手
JP2007292128A (ja) 管継手用結合部材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CN220037798U (zh) 管道用连接器
US20100194102A1 (en) Push-in adaptor
JP2021139491A (ja) 配管用接続具及びこれを含む配管用接続装置
KR101691502B1 (ko) 가스관 기밀 시험장치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US7478838B2 (en) Quick-connect fitting
KR20170067988A (ko) 나사 커플러
KR101728954B1 (ko) 저압배관의 수밀도 점검용 수압 확인장치
CN214119286U (zh) 管路连接结构
KR20160082724A (ko) 파이프 연결구
JP2020003249A (ja) 流体機器部品のリークテスト用プラグおよび該プラグを用いたリークテスト方法
KR20140060880A (ko) 결합돌기와 첵 마아킹이 형성된 튜브체결구
JP7258615B2 (ja) 合成樹脂製電気融着サドル分水栓に対する耐圧試験具の着合方法
US20230167934A1 (en) Plugs for anchoring within equipment and methods of use for pressure testing
JP2007292127A (ja) カップリング取付用の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