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76B1 -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576B1
KR102523576B1 KR1020200180102A KR20200180102A KR102523576B1 KR 102523576 B1 KR102523576 B1 KR 102523576B1 KR 1020200180102 A KR1020200180102 A KR 1020200180102A KR 20200180102 A KR20200180102 A KR 20200180102A KR 102523576 B1 KR102523576 B1 KR 10252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rapping paper
front side
unit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460A (ko
Inventor
김진후
이재용
배규현
윤현진
이소진
심문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0018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에 감긴 원사를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보호하기 위한 포장지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탈피하여 제거할 수 있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포장지를 탈피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원사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원사를 준비위치에서 작업위치로 또는 상기 작업위치에서 준비위치로 이동시키는 투입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면서 그리핑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원사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진공압을 통해 흡착력을 발휘하는 흡착구가 구비되어 제1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원사의 포장지 상부를 1차로 흡착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각 이후인 제2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하가 뒤집어진 상기 원사의 포장지 하부를 2차로 흡착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를 상기 원사에서 탈피하여 분리하는 탈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Stripping apparatus for wrapping paper for yarn}
본 발명은 보빈에 감긴 원사를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보호하기 위한 포장지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탈피하여 제거할 수 있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제조 공정은 크게 원사를 준비하는 원사 준비 공정, 원사를 원단으로 제조하는 제직 공정, 제직된 원단을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 전처리된 원단을 염색하여 색을 입히는 염색 공정, 염색된 원단을 정해진 형태로 재단하고 봉제하여 의류를 완성하는 재봉 공정 및 완성된 의류를 포장하는 포장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의류 제조 공정에 포함된 대부분의 공정들은 전용기계설비를 통해 수행되고 있지만, 일부 나머지 공정들은 전용기계설비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거나 전용기기계설비로 대체할 수 없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의류 제조 공장의 상황은 작업자 고령화와 인력 부족 등으로 작업자 수급이 어렵게 되면서 공장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존하는 공정들은 대부분 고중량의 원사나 원단을 작업자가 직접 다루면서 수행해야 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특히, 제직 공정과 재봉 공정을 위해 다량의 원사를 원사적재틀에 한 개씩 차례대로 적재할 때 10~20kg에 달하는 원사를 작업자가 직접 들고 뒤집으면서 포장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무수히 반복해야 하므로 높은 노동강도로 인해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자를 보호하여 의류 제조 공장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로봇을 이용하여 원사의 포장지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의 개발과 보급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222호, 2017.08.07.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인력 부족과 노동 기피 현상으로 인한 의류 제조 공장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로봇을 통해 원사의 포장지를 손쉽게 자동으로 탈피하여 제거하여 투입 인력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는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포장지를 탈피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원사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원사를 준비위치에서 작업위치로 또는 상기 작업위치에서 준비위치로 이동시키는 투입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면서 그리핑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원사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진공압을 통해 흡착력을 발휘하는 흡착구가 구비되어 제1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원사의 포장지 상부를 1차로 흡착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각 이후인 제2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하가 뒤집어진 상기 원사의 포장지 하부를 2차로 흡착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를 상기 원사에서 탈피하여 분리하는 탈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원사를 작업위치로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된 원사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는 파지부와, 파지 및 회전되는 원사의 포장지를 탈피하는 탈피부가 포함되어 원사의 포장지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으므로 포장지 탈피로 인한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동강도를 줄여 작업자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원사가 투입부에 적재된 여부를 확인하는 원사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원사가 투입부에 적재되면 투입부와 파지부와 탈피부가 서로 자동으로 연동할 수 있으므로 원사의 포장지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운용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의 투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의 투입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의 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의 탈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에 의해 원사의 포장지가 탈피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의료 제조 공정 중에 원단 재직 공정과 원단 봉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보빈에 감긴 고중량 원사의 포장지를 탈피하여 제거할 수 있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는 인력 부족과 노동 기피 현상으로 인한 의류 제조 공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투입 인력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로봇을 통해 원사의 포장지를 자동화 방식으로 탈피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는 보빈에 권취된 원사(Y)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포장지(W)를 자동으로 탈피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투입부(200), 파지부(300), 탈피부(400), 제1원사감지부(500), 제2원사감지부(600) 및 동작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지(W)는 원사(Y)를 외부에서 감싼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포장지(W)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개방된 상부가 보빈의 상단 내부로 밀어넣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바닥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10)의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200)는 본체부(100)의 수평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되어 원사(Y)를 포장지(W)의 탈피 작업을 위한 작업위치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입부(200)는 수평프레임(1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간 상측에 회전축(211)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실린더(210)와, 회전축(211)의 단부에 하부 중심측이 연결되어 회전실린더(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11)과 함께 회전 운동하는 회전바(220)와, 회전바(22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고 원사(Y)가 각각 안착되는 제1,2안착플레이트(230,240)와, 수평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실린더(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설치되고 회전바(220)를 하부에서 받치면서 회전바(22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2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바(220)와 함께 제1,2안착플레이트(230,240)는 회전실린더(210)의 작동에 따라 한 번에 180°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안착플레이트(230)의 위치와 제2안착플레이트(240)의 위치는 각각 준비위치와 작업위치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회전바(220)의 회전에 따라 제1안착플레이트(230)의 위치는 준비위치, 제2안착플레이트(240)의 위치는 작업위치가 되거나 제1안착플레이트(230)의 위치는 작업위치, 제2안착플레이트(240)의 위치는 준비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부(200)는 회전실린더(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바(220)가 한 번에 180° 단위로 회전 운동하면서 준비위치에 위치한 제1안착플레이트(230) 또는 제2안착플레이트(240)에 안착된 원사(Y)를 작업위치로 투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입부(200)는 회전바(220)가 회전실린더(210)의 회전축(211)과 함께 180°단위로 회전 운동할 때 안내롤러(25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제1안착플레이트(230)와 제2안착플레이트(240)에 각각 안착된 원사(Y)를 준비위치 또는 작업위치로 투입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부(300)는 본체부(100)의 수직프레임(120)에 설치되어 투입부(200)에 의해 작업위치로 투입된 원사(Y)를 그리핑하여 상하로 승강시키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지부(300)는 수직프레임(120)의 하부 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0)과, 가이드레일(310)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록(320)과, 승강블록(320)의 전측에 설치되고 회전축(미도시)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회전실린더(330)와,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실린더(33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블록(340)과, 회전블록(3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봉(350)과, 구동봉(35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봉(35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1안착테이블(220) 또는 제2안착테이블(230)에 안착된 원사(Y)를 그리핑하는 한 쌍의 그리퍼암(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블록(340)의 내부에는 구동봉(350)의 직선 운동을 위해 내부회전실린더(미도시)와, 내부회전실린더의 회전축에 축설되는 피니언기어(미도시)와, 피니언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치합되고 단부가 구동봉(350)과 연결되는 한 쌍의 렉기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블록(340)은 회전실린더(330)의 작동에 따라 한 번에 180°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300)는 내부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회전블록(340)의 양측에서 각각 직선 운동하는 구동봉(350)에 의해 한 쌍의 그리퍼암(360)이 그리핑 동작을 수행하면서 원사(Y)를 그리핑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00)는 승강블록(320)의 작동에 따라 그리퍼암(360)에 그리핑된 원사(Y)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300)는 회전실린더(330)의 작동에 따라 그리퍼암(360)에 그리핑된 원사(Y)를 180°단위로 회전시켜 원사(Y)를 상하가 반대되게 뒤집을 수도 있고 상하가 바로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피부(400)는 본체부(100)의 수직프레임(120)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부(200)에 의해 작업위치로 투입된 후 파지부(300)에 의해 그리핑된 원사(Y)의 포장지를 진공압으로 흡착시켜 원사(Y)로부터 탈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탈피부(400)는 수직프레임(120)의 상부 전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10)과, 가이드레일(410)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록(420)과, 승강블록(420)의 전측에 설치되고 회전축(미도시)이 하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회전실린더(430)와, 회전축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실린더(43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과 함께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진공배관(440)과, 회전실린더(430)의 상측에 설치되고 진공배관(440)의 일단에 진공압을 공급하는 진공압공급관(450)과, 진공배관(440)의 타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판브래킷(460)과, 진공배관(440)의 타단에 각각 분기되어 각각의 내부에 상기 진공압이 공급되는 복수 개의 분기관(470)과, 원판브래킷(46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을 통해 내부가 분기관(470)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진공압으로 포장지(W)를 흡착하여 원사(Y)에서 탈피하는 복수 개의 흡착구(48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구(480)는 원판브래킷(46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몸체(481)와, 몸체(481)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착패드(482)로 구성될 수 있다.
단, 흡착구(480)의 흡착패드(482)가 포장지(W)에 밀착될 때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481)는 탄성을 발휘하는 완충부재(483)를 사이에 두고 원판브래킷(460)의 하부에 상하로 소정거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흡착패드(482)는 벨로즈 형상을 가진 완충관(484)을 사이에 두고 몸체(48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탈피부(400)는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승강블록(420)이 승강 운동하는 과정에서 흡착구(482)의 흡착패드(482)가 진공압을 이용하여 파지부(300)에 그리핑된 원사(Y)의 포장지(W)를 진공압으로 흡착함으로써 포장지(W)를 원사(Y)에서 탈피할 수 있다.
그리고 탈피부(400)는 진공배관(440)이 회전실린더(430)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되고 흡착구(480)에 공급되는 진공압이 해제되면서 원사(Y)에서 탈피한 포장지(W)가 흡착구(480)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탈피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Y)로부터 포장지(W)를 완벽하게 탈피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파지부(300) 및 투입부(200)와 함께 복수 회에 걸쳐 서로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제1시각에 파지부(300)가 원사(Y)를 그리핑하여 제1높이로 상승시키면 탈피부(400)도 하강하여 포장지(W)의 상부를 1차로 흡착한 후 탈피부(400)가 상승함과 동시에 파지부(300)가 원사(Y)를 상하가 반대되게 180°로 회전시키면 포장지(W)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시각에 탈피부(400)가 다시 하강하여 포장지(W)의 하부를 2차로 흡착한 후 파지부(300)가 원사(Y)에 대한 그리핑을 해제하여 원사(Y)를 투입부(200)에 낙하시킴과 동시에 탈피부()가 상승하면 포장지(W)를 원사(Y)에서 완전히 탈피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탈피부(400)가 포장지(W)의 하부를 흡착한 상태에서 회전 운동하면 원사(Y)에서 분리된 원사(Y)를 외부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300)가 포장지(W)가 분리된 원사(Y)를 그리핑하여 상하가 바로되게 다시 180°로 회전시킨 후 투입부()에 의해 원사()를 작업위치에서 준비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지(W) 탈피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원사감지부(500)는 본체부(100)의 수평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부(200)의 준비위치와 작업위치에 각각 원사(Y)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원사감지부(500)는 적외선신호를 이용하여 준비위치에 위한 제1안착플레이트(230) 또는 제2안착플레이트(240)에 원사(Y)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원사(Y)의 안착시 제1a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제1감지센서(510)와, 적외선신호를 이용하여 작업위치에 위치한 제1안착플레이트(230) 또는 제2안착플레이트(250)에 원사(Y)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원사(Y)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제1b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제2감지센서(5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원사감지부(600)는 본체부(100)의 수평프레임(110)와 투입부(200)의 제1,2안착플레이트(230,240)에 설치되어 투입부(200)의 제1,2안착플레이트(230,240)에 각각 원사(Y)가 안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원사감지부(600)는 본체부(100)의 수평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준비위치와 작업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제1,2감지로드(611,621)가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1,2감지실린더(610,620)와, 제1,2안착플레이트(220,230)의 중심에 각각 상방으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감지실린더(610,620)의 작동에 따라 상승하는 제1,2감지로드(611,621)의 단부와 접촉하면서 상승되는 제1,2승강편(630,640)과, 제1,2감지실린더(610,620)에 연결되어 제1,2감지실린더(610,620)의 작동에 따라 제1,2감지로드(611,621)가 상승할 때 원사(Y)의 중량에 따른 제1,2감지실린더(610,620)에 작용하는 압력 크기를 측정하여 원사(Y)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고 제2a, 2b감지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2감지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작제어부(미도시)는 제1,2원사감지부(500)(600)에서 각각 출력된 제1a, 1b, 2a, 2b감지신호에 따라 제2원사감지부(600)와 투입부(200)와 파지부(300)와 탈피부(400)가 자동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작제어부는 제1원사감지부(500)에서 제1a,2a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2원사감지부(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제어부는 제2원사감지부(600)에서 제2a,2b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원사(Y)의 포장지(W)를 탈피하여 분리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200)와 파지부(300)와 탈피부(4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10: 수평프레임
120: 수직프레임
200: 투입부
210: 회전실린더
211: 회전축
220: 회전바
230: 제1안착플레이트
240: 제2안착플레이트
250: 안내롤러
300: 파지부
310: 가이드레일
320: 승강블록
330: 회전실린더
340: 회전블록
350: 구동봉
360: 그리퍼암
400: 탈피부
410: 가이드레일
420: 승강블록
430: 회전실린더
440: 진공배관
450: 진공압공급관
460: 원판브래킷
470: 분기관
480: 흡착구
481: 몸체
482: 흡착패드
483: 완충부재
484: 완충관
500: 제1원사감지부
510: 제1감지센서
520: 제2감지센서
600: 제2원사감지부
610: 제1감지실린더
611: 제1감지로드
620: 제2감지실린더
621: 제2감지로드
630: 제1승강편
640: 제2승강편
Y: 원사
W: 포장지

Claims (5)

  1.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포장지를 탈피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원사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원사를 준비위치에서 작업위치로 또는 상기 작업위치에서 준비위치로 이동시키는 투입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면서 그리핑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원사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수평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진공압을 통해 흡착력을 발휘하는 흡착구가 구비되어 제1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승된 상기 원사의 포장지 상부를 1차로 흡착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각 이후인 제2시각에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하가 뒤집어진 상기 원사의 포장지 하부를 2차로 흡착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포장지를 상기 원사에서 탈피하여 분리하는 탈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위치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하부면 중심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원사가 각각 안착되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를 하부에서 받치면서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전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전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전측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블록와, 상기 회전블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수평으로 직선으로 왕복 운동하는 구동봉과, 상기 구동봉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봉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원사를 그리핑하는 한 쌍의 그리퍼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전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하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함께 수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진공배관과, 상기 회전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배관의 일단에 진공압을 공급하는 진공압공급관과, 상기 진공배관의 타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판브래킷과, 상기 진공배관의 타단에 각각 분기되어 각각의 내부에 상기 진공압이 공급되는 복수 개의 분기관과, 상기 원판브래킷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을 통해 내부가 상기 분기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공압으로 상기 포장지를 흡착하여 상기 원사에서 탈피하는 복수 개의 상기 흡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가 상기 준비위치와 작업위치 상에 존재하는지를 적외선신호를 통해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원사감지부;
    상기 원사가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각각 안착되어 있는지를 상기 원사의 중량을 통해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원사감지부; 및
    상기 제1,2원사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된 상기 제1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원사감지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탈피부가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KR1020200180102A 2020-12-21 2020-12-21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KR10252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02A KR102523576B1 (ko) 2020-12-21 2020-12-21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02A KR102523576B1 (ko) 2020-12-21 2020-12-21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60A KR20220089460A (ko) 2022-06-28
KR102523576B1 true KR102523576B1 (ko) 2023-04-19

Family

ID=8226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02A KR102523576B1 (ko) 2020-12-21 2020-12-21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58B1 (ko) * 2023-03-21 2023-11-06 이경옥 용기 포장 김치의 자동 운반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79B1 (ko) 2020-02-19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주) 물품으로부터 포장 필름을 제거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6543A (en) * 1979-02-16 1980-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Apparatus for depackaging article
JPS63152527A (ja) * 1986-12-03 1988-06-25 システム工業株式会社 封止袋体の開封方法とその装置
JPH01226535A (ja) * 1988-03-02 1989-09-11 Jgc Corp 自動開袋機
JPH0257536A (ja) * 1988-08-12 1990-02-27 Kanebo Ltd 包装袋除去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IT1258130B (it) * 1992-12-24 1996-02-20 Comas Spa Macchina automatica per il taglio e la rimozione dell'involucro di unaballa, in particolare di una balla di tabacco.
JP3525660B2 (ja) * 1996-12-06 2004-05-10 神鋼電機株式会社 カップ包装袋の抜き取り装置
KR20170090222A (ko) 2016-01-28 2017-08-07 이만호 원사 포장용 완충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79B1 (ko) 2020-02-19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주) 물품으로부터 포장 필름을 제거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60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4847B (zh) 橡膠塊之吊升搬運方法及其裝置
KR102523576B1 (ko) 원사 포장지 탈피 장치
CN106120071B (zh) 整经装纱系统
CN106120070B (zh) 整经系统
KR20200006982A (ko) 직물류 전장 장치
US7827709B2 (en) Linen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CN112474427A (zh) 一种实现点胶和密封测试一体的自动化密封测试设备
KR20070086327A (ko) 의복 포장 장치
CN106081609B (zh) 筒子纱中转机构及筒子纱排向装置
US8646594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of textile articles from a linking machine to a boarding machine
CN204606331U (zh) 一种全自动非标香烟盒自动供料机构
EP3680188A1 (en) Apparatus for the manipulation of pouch envelopes
CN104494930A (zh) 一种全自动非标香烟盒自动供料机构
JPH0291255A (ja) 編地引張り装置
CN206188973U (zh) 整经系统
KR102030917B1 (ko) 로터리형 포장기의 엠(m)형 파우치 개봉장치
KR101868864B1 (ko) 경편기의 원사빔 리프팅 장치
KR100938741B1 (ko) 라셀 편직물 적재장치
KR102546546B1 (ko) 원사 자동 거치 장치
JPH0425120Y2 (ko)
KR102457971B1 (ko) 원사 자동 투입 장치
CN213727932U (zh) 一种实现点胶和密封测试一体的自动化密封测试设备
CN209701090U (zh) 半自动压纱收整机
JPS63317435A (ja) 梱包解体装置
CN114802974A (zh) 轴承塑料瓶自动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