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492B1 -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492B1
KR102523492B1 KR1020230009707A KR20230009707A KR102523492B1 KR 102523492 B1 KR102523492 B1 KR 102523492B1 KR 1020230009707 A KR1020230009707 A KR 1020230009707A KR 20230009707 A KR20230009707 A KR 20230009707A KR 102523492 B1 KR102523492 B1 KR 10252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unit
shaft
fixing memb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23000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하는 제안 서버가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Virtual Interior Proposal System}
본 발명은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하는 제안 서버가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집에 입주하여 인테리어를 해야 하거나, 오래된 집의 인테리어를 새롭게 변경하고 싶을 때 인테리어 업체에 견적을 요청하면 인테리어 업체에서 고객의 집에 방문을 하여 집을 살펴보고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개개인의 디자인 성향, 성격에 따라서 개성있는 디자인의 인테리어를 원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테리어를 하고자 할 때, 다양한 제품과, 그 제품의 사양을 미리 체크하고 확인해야 자신이 원하는 인테리어 상담 또는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살펴보고 싶지만, 인테리어 업체로부터 구두로 전달받거나, 간단한 팜플렛을 확인하고 시공에 착수하게 되는데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 스타일과 다른 스타일이 되어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객의 니즈를 인테리어 자재, 가구, 공간별로 나누어 자유롭게 반영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인테리어 시공 방법보다 현실감 있고 수월한 피드백이 가능한 인테리어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제안 서버가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된 실내 공간 이미지를 자재, 공간, 가구 항목으로 분류하여 고객의 니즈에 맞게 수정한 후 이를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하는 기능부들이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본체를 보호하는 완충 유닛이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주위의 분진을 제거하여 촬영 시야를 확보하는 분진 제거 유닛이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은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제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막대 형상으로 특수 제작된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를 내장하여 보호하도록 구비된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전단부에 상기 카메라 본체와 조립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모듈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 개의 완충 유닛, 상기 모듈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촬영 영역 주위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양 측에 설치된 자기장 하우징, 상기 자기장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의 자력을 형성하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에 조립되어 상기 소정의 자력을 자기장으로 변환시키는 코일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축을 고정하는 완충축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축 고정부재는, 사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감쇄 샤프트, 복수 개의 상기 감쇄 샤프트 각각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감쇄부재, 상기 감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감쇄부재 홈, 상기 감쇄부재의 양 측에 설치되어 감쇄 작용을 하는 감쇄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축은, 고정 가능한 고정부가 둘레부에 형성된 완충 샤프트, 상기 완충 샤프트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상기 제 2 고정부재에 이어 삽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완충 스프링에 이어서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제 3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가 삽입되어 보호하는 외부 완충 바디, 상기 외부 완충 바디의 전단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완충 샤프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내부 완충 바디, 상기 내부 완충 바디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완충 샤프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제 1 와셔, 상기 제 1 와셔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베어링, 상기 제 1 베어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시키는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제 2 베어링, 상기 제 2 베어링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고정부재는, 제 3 와셔, 상기 제 3 와셔에 끼움결합되는 제 3 베어링, 상기 제 3 와셔 및 상기 제 3 베어링을 상기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축 고정부재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완충축이 완충 작용을 하면, 상기 감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완충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자석부 및 상기 코일부에서 생성된 자기장 및 자기 공명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고, 상기 완충 샤프트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에 탄성력을 생성하여 2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내부 전단부에 상기 모듈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분사된 공기를 전개하기 위한 전개부가 형성된 전단 몸체, 전단부 및 후단부의 2단으로 구획된 후단 몸체, 상기 후단 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분사부, 상기 후단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설치된 집진 필터, 상기 후단 몸체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기류를 생성하는 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는, 후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분사부 하우징, 상기 분사부 하우징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를 둘러싸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재, 상기 팬 모터의 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팬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류를 형성하는 팬,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팬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전단 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를 통과한 기류가 모든 방향으로 전개하도록 형성된 전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팬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팬이 회전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기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류가 상기 분사부를 통과하여 1차로 전개되고, 상기 전개부를 통과하여 2차로 전개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의 분진을 제거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하는 제안 서버가 구비된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제안 서버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완충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은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100)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제안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제안 서버(10)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안 서버(10)는 이미지 수집부(11), 자재 분류부(12), 공간 분류부(13), 가구 분류부(14), 이미지 수정부(15) 및 이미지 구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집부(11)는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한 실내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자재 분류부(12)는 이미지 수집부(11)에서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 데이터에서 자재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공간 분류부(13)는 이미지 수집부(11)에서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 데이터에서 공간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가구 분류부(14)는 이미지 수집부(11)에서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 데이터에서 가구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부(15)는 자재 분류부(12), 공간 분류부(13), 및 가구 분류부(14)에서 저장된 데이터들을 수정할 수 있다.
이미지 구현부(16)는 이미지 수정부(15)에서 수정된 데이터들을 가상 현실 이미지 데이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S110 단계 : 카메라 모듈(100)이 실내 공간을 촬영한다.
S120 단계 : 촬영된 실내 공간 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한다.
S130 단계 : 변환된 실내 공간 이미지를 수집한다.
S140 단계 :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에서 자재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한다.
S150 단계 :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에서 공간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한다.
S160 단계 : 수집된 실내 공간 이미지에서 가구 항목을 분류 및 저장한다.
*S170 단계 : 각 항목별 데이터를 수정한다.
S180 단계 : 수정된 항목별 데이터를 가상 현실 이미지 데이터로 구현한다.
이때, 자재 항목은 벽지, 몰딩, 마루, 타일 등과 같이 인테리어의 외관을 구성하는 항목을 말한다.
또한, 공간 항목은 주방, 거실, 안방, 드레스룸 등과 같이 인테리어의 공간을 구성하는 항목을 말한다.
또한, 가구 항목은 서랍장, 팬(353)트리, TV 다이, 책상, 의자, 전등 등과 같이 인테리어의 객체를 구성하는 항목을 말한다.
상기 기능부들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한 실내 공간 이미지를 자재, 공간, 가구 항목으로 분류함으로써 고객 또는 디자이너가 실내 공간 이미지를 자유롭게 수정하여 이를 가상 현실 이미지로 구현하기 용이할 것이라는 효과가 기대된다.
종래에는 가상 현실 이미지로 실내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3D 모델링으로 일일이 점, 선, 면 등을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자재, 공간, 가구의 이미지 단위로 용이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카메라 모듈(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막대 형상으로 특수 제작된 카메라 본체(110), 모듈 본체(120), LED 램프(130), 복수 개의 완충 유닛(200), 및 분진 제거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본체(120)는 카메라 본체(110)를 내장하여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LED 램프(130)는 모듈 본체(120)의 전단부에 카메라 본체(110)와 조립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 유닛(200)은 모듈 본체(120)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카메라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진 제거 유닛(300)은 모듈 본체(120) 외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본체(11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촬영 영역 주위의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진 제거 유닛(300)은 전단 몸체(310), 후단 몸체(320), 분사부(330), 집진 필터(340), 및 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 몸체(310)는 내부 전단부에 모듈 본체(120)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부재(3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단 몸체(310)는 분사된 공기를 전개하기 위한 전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개부(311)는 전단 몸체(31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후술할 분사부(330)를 통과한 기류가 모든 방향으로 전개하도록 형성된 전개구(31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 몸체(320)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2단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330)는 후단 몸체(32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30)는 후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배출구(331a)가 형성된 분사부 하우징(3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30)는 분사부 하우징(331)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분사구(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 필터(340)는 후단 몸체(320)의 둘레부를 따라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집진 필터(340)의 필터망 크기나, 필터망의 소재는 촬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별한 크기나 소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팬부(350)는 후단 몸체(320)에 설치되어 분징늘 제거하기 위한 공기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팬부(350)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팬(353) 모터(3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부(350)는 팬(353) 모터(351)를 둘러싸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재(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부(350)는 팬(353) 모터(351)의 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팬(353) 모터(3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류를 형성하는 팬(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부(350)는 팬(353) 모터(351) 및 팬(353)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팬 하우징(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단 몸체(310)와 후단 몸체(320)가 조립된다.
후단 몸체(320)의 내부에는 후단부에 팬부(350)가, 전단부에는 집진 필터(340), 분사부(330)가 조립된다.
팬부(350)는 모터 고정부재(352)에 팬(353) 모터(351)가 고정되고, 팬(353) 모터(351)의 전단부에 팬(353)이 조립되고, 조립된 형상에 팬 하우징(354)이 이들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전단 몸체(310)의 둘레부에는 복수 개의 전개구(311a)가 형성된 전개부(311)가 구비된다.
분진 제거 유닛(300)은 팬(353) 모터(351)의 회전력에 의해 팬(353)이 회전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기류를 생성한다.
생성된 기류가 분사부(330)를 통과하여 1차로 전개되고, 전개부(311)를 통과하여 2차로 전개되어 카메라 모듈(100) 주변의 분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분진 제거 유닛(300)의 실시예에 의해 실내 공간 특성상 분진이 많이 유입되는데 이러한 실내 공간을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할 경우 분진에 의해 LED 조명이 난반사되어 안정적인 촬영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의 완충 유닛(2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유닛(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210), 자기장 하우징(220), 자석부(230), 코일부(240), 완충축(250), 및 완충축 고정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하우징(220)은 하우징(210) 내부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하우징(220)은 후술할 자석부(230), 코일부(240)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석부(230)는 자기장 하우징(220)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의 자력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코일부(240)는 자석부(230)에 조립되어 상기 소정의 자력을 자기장으로 변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축(250)은 하우징(210)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축(250)은 완충 샤프트(251), 제 1 고정부재(252), 제 2 고정부재(253), 완충 스프링(254), 제 3 고정부재(255), 외부 완충 바디(256), 내부 완충 바디(257), 및 커버부재(258)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샤프트(251)는 고정 가능한 고정부(251a)가 둘레부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252)는 완충 샤프트(251)의 후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재(252)는 제 1 와셔(2521), 제 1 와셔(2521)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베어링(2522), 및 제 1 베어링(2522)에 끼움결합되어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시키는 고무링(2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253)는 완충 샤프트(251)의 전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재(253)는 제 2 베어링(2531), 제 2 베어링(2531)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와셔(2532)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스프링(254)은 완충 샤프트(251)의 전단부에 제 2 고정부재(253)에 이어 삽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생성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재(255)는 완충 스프링(254)에 이어서 완충 샤프트(251)의 전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3 고정부재(255)는 제 3 와셔(2551), 제 3 와셔(2551)에 끼움결합되는 제 3 베어링(2552), 및 제 3 와셔(2551), 제 3 베어링(2552)을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링(2553)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축 고정부재(260)는 하우징(2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완충축(250)을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축 고정부재(260)는 감쇄 샤프트(261), 감쇄부재(262), 감쇄부재 홈(263), 및 감쇄 스프링(264)을 포함할 수 있다.
감쇄 샤프트(261)는 사방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쇄 샤프트(26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축(250)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감쇄부재(262)는 복수 개의 감쇄 샤프트(261) 각각의 말단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쇄부재 홈(263)은 감쇄부재(262)를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말단부의 둘레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감쇄 스프링(264)은 감쇄부재(262)의 양 측에 설치되어 감쇄 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생성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210) 내부의 중앙부에 완충축(250)이 돌출 삽입되고, 완충축(250)을 기준으로 양 측에 자석부(230) 및 코일부(240)가 내장된 자기장 하우징(220)이 조립된다.
하우징(210)의 일단부에 완충축 고정부재(260)가 조립된다.
이때, 완충축(250)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감쇄 샤프트(261)가 연장형성되고, 감쇄 샤프트(261)의 말단부에 감쇄부재(262)가 감쇄부재 홈(263)에 수직으로 조립된다.
감쇄부재(262)의 양 측에는 감쇄 스프링(264)이 조립된다.
완충축 고정부재(260)는 외부 충격에 의해 완충축(250)이 완충 작용을 하면 감쇄 스프링(264)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축(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완충축(250)은 완충 샤프트(251)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제 2 고정부재(253), 제 3 고정부재(255) 순으로 조립되고, 후단부에 제 1 고정부재(252)가 조립된다.
조립된 상기 형상이 외부 완충 바디(256) 및 내부 완충 바디(257)에 삽입되어 완충축(250)이 조립된다.
완충 유닛(200)은 카메라 본체(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자석부(230) 및 코일부(240)에서 생성된 자기장 및 자기 공명에 의해 충격 매개의 전달을 방해하여 1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완충 샤프트(251)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완충 스프링(254)에 탄성력을 생성하여 2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완충 유닛(200)의 실시예에 의해 카메라 본체(110)는 외부 충격을 받아도 이탈하지 않고 실내 공간을 안정적으로 촬영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제안 서버(10)
이미지 수집부(11)
자재 분류부(12)
공간 분류부(13)
가구 분류부(14)
이미지 수정부(15)
이미지 구현부(16)
카메라 모듈(100)
카메라 본체(110)
모듈 본체(120)
LED 램프(130)
완충 유닛(200)
하우징(210)
자기장 하우징(220)
자석부(230)
코일부(240)
완충축(250)
완충 샤프트(251)
고정부(251a)
제 1 고정부재(252)
제 1 와셔(2521)
제 1 베어링(2522)
고무링(2523)
제 2 고정부재(253)
제 2 베어링(2531)
제 2 와셔(2532)
완충 스프링(254)
제 3 고정부재(255)
제 3 와셔(2551)
제 3 베어링(2552)
고정링(2553)
외부 완충 바디(256)
내부 완충 바디(257)
커버부재(258)
완충축 고정부재(260)
감쇄 샤프트(261)
감쇄부재(262)
감쇄부재 홈(263)
감쇄 스프링(264)
분진 제거 유닛(300)
전단 몸체(310)
카메라 지지부재(310a)
전개부(311)
전개구(311a)
후단 몸체(320)
분사부(330)
분사부 하우징(331)
배출구(331a)
분사구(332)
집진 필터(340)
팬부(350)
팬 모터(351)
모터 고정부재(352)
팬(353)
팬 하우징(354)

Claims (2)

  1.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특수 제작된 카메라 모듈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제안 서버;
    를 포함하는,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막대 형상으로 특수 제작된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를 내장하여 보호하도록 구비된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전단부에 상기 카메라 본체와 조립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모듈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 개의 완충 유닛;
    상기 모듈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촬영 영역 주위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은,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양 측에 설치된 자기장 하우징;
    상기 자기장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의 자력을 형성하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에 조립되어 상기 소정의 자력을 자기장으로 변환시키는 코일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축을 고정하는 완충축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축 고정부재는,
    사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감쇄 샤프트;
    복수 개의 상기 감쇄 샤프트 각각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감쇄부재;
    상기 감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감쇄부재 홈;
    상기 감쇄부재의 양 측에 설치되어 감쇄 작용을 하는 감쇄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축은,
    고정 가능한 고정부가 둘레부에 형성된 완충 샤프트;
    상기 완충 샤프트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상기 제 2 고정부재에 이어 삽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완충 스프링에 이어서 상기 완충 샤프트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제 3 고정부재;
    상기 완충 샤프트가 삽입되어 보호하는 외부 완충 바디;
    상기 외부 완충 바디의 전단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완충 샤프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내부 완충 바디;
    상기 내부 완충 바디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완충 샤프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제 1 와셔;
    상기 제 1 와셔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베어링;
    상기 제 1 베어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시키는 고무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제 2 베어링;
    상기 제 2 베어링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와셔;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고정부재는,
    제 3 와셔;
    상기 제 3 와셔에 끼움결합되는 제 3 베어링;
    상기 제 3 와셔 및 상기 제 3 베어링을 상기 외부 완충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링;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축 고정부재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완충축이 완충 작용을 하면,
    상기 감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완충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자석부 및 상기 코일부에서 생성된 자기장 및 자기 공명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고,
    상기 완충 샤프트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에 탄성력을 생성하여 2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내부 전단부에 상기 모듈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분사된 공기를 전개하기 위한 전개부가 형성된 전단 몸체;
    전단부 및 후단부의 2단으로 구획된 후단 몸체;
    상기 후단 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분사부;
    상기 후단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설치된 집진 필터;
    상기 후단 몸체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기류를 생성하는 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후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분사부 하우징;
    상기 분사부 하우징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분사구;
    를 포함하고,
    상기 팬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를 둘러싸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재;
    상기 팬 모터의 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팬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류를 형성하는 팬;
    상기 팬 모터 및 상기 팬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팬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전단 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를 통과한 기류가 모든 방향으로 전개하도록 형성된 전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팬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팬이 회전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기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류가 상기 분사부를 통과하여 1차로 전개되고, 상기 전개부를 통과하여 2차로 전개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의 분진을 제거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09707A 2022-09-19 2023-01-25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KR10252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707A KR102523492B1 (ko) 2022-09-19 2023-01-25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08A KR102493680B1 (ko) 2022-09-19 2022-09-19 가상 이미지에 기반한 인테리어 구현 시스템
KR1020230009707A KR102523492B1 (ko) 2022-09-19 2023-01-25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08A Division KR102493680B1 (ko) 2022-09-19 2022-09-19 가상 이미지에 기반한 인테리어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492B1 true KR102523492B1 (ko) 2023-04-18

Family

ID=851089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08A KR102493680B1 (ko) 2022-09-19 2022-09-19 가상 이미지에 기반한 인테리어 구현 시스템
KR1020230009707A KR102523492B1 (ko) 2022-09-19 2023-01-25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08A KR102493680B1 (ko) 2022-09-19 2022-09-19 가상 이미지에 기반한 인테리어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3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136A (ko) * 2015-08-05 2017-02-16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136A (ko) * 2015-08-05 2017-02-16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80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492B1 (ko) 버츄얼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KR102300389B1 (ko) 수동적 지팡이를 추적하고 검출된 지팡이 경로에 기초한 효과를 활성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20514890A5 (ko)
CN108133680A (zh) 一种减震效果好的全息投影装置
JP6715333B2 (ja) ダンパ構造およびそのダンパ構造を用いた雲台アセンブリ、無人機
CN104295511A (zh) 减震风扇
CN112513880A (zh) 用于定位和消除昆虫的系统和方法
KR20190036868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실내공간의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06821B2 (ja) 移動ロボット
EP2097871A1 (en) Method for detecting a moving object in a sequence of images captured by a moving camera,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30013851A (ko) 공가시성 그래프 기반의 관심지점 지도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8088028A1 (ja) 防振具及び無人航空機
US20210185297A1 (en) Multi-spectral volumetric capture
CN10612785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2124765A5 (ko)
CN208915460U (zh) 一种便于装卸的消防无人机照明装置
CN111198616A (zh) 一种应用于互动投影游戏的虚拟场景产生方法
KR102621796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CN109413391A (zh) 一种安防监控装置
US20190347855A1 (en) Augmented Reality Image Generation
KR102488251B1 (ko) 오디오 입체음향을 웹툰에 접목한 녹음 시스템
KR102459947B1 (ko) 임무장비 마운트 장치
JP2019197523A5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7589004U (zh) 一种摄像头
CN207627241U (zh) 风机组件及具有其的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