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290B1 -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290B1
KR102523290B1 KR1020210039254A KR20210039254A KR102523290B1 KR 102523290 B1 KR102523290 B1 KR 102523290B1 KR 1020210039254 A KR1020210039254 A KR 1020210039254A KR 20210039254 A KR20210039254 A KR 20210039254A KR 102523290 B1 KR102523290 B1 KR 10252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ies
battery
constant current
curren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081A (ko
Inventor
김재국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2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류원과; 일단이 상기 정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쌍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전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 각각의 연결노드에는 다수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정전류원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으로 충전되는 충전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harging Part And P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 자동차 연구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의 보급 확대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사용자가 탈착 불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있지만, 제작 방식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배터리 탈착식 구조의 전기 자동차에서는 탈착된 배터리를 사용자가 직접 충전부에 꽂아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 탈착식 전기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용량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더 긴 주행거리를 필요로 하는 차량의 경우 다수의 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부(20)는, 입력전원(15)을 이용하여 배터리부(30)를 충전하는데, 충전부(20)는 제1 내지 제3충전기(22, 24, 26)를 포함하고, 배터리부(30)는 제1 내지 제3배터리(32, 34, 36)를 포함한다.
입력전원(15)은 제1 내지 제3충전기(22, 24, 26) 각각에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충전기(22, 24, 26)는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32, 34, 36)를 충전한다.
즉, 제1 내지 제3충전기(22, 24, 26)가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32, 34, 36)를 동시에 충전함으로써,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충전부에서는, 충전기(22, 24, 26)와 배터리(32, 34, 36)가 일대일로 연결되므로, 배터리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충전기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충전부 구축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충전부의 설치면적이 증가되고 충전부를 전기 자동차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전류원으로 다수의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전기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전류원과; 일단이 상기 정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쌍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전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 각각의 연결노드에는 다수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정전류원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으로 충전되는 충전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치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스위치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및 제6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제5 및 제6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3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제2, 제4 및 제6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를 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이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가장 낮은 충전상태를 갖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 중 하나가 충전되도록 스위칭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전압이 될 때까지 동시에 충전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터리전압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2, 제4 및 제6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전압이 될 때까지 방전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저항의 양단은 상기 배터리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다이오드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및 제6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3 및 제4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제5 및 제6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3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전류원과, 일단이 상기 정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쌍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전저항을 포함하는 충전부와;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 각각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원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으로 충전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고전위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하는 고전압 직류컨버터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저전위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장부하에 공급하는 저전압 직류컨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전류원으로 다수의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전기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충전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120)는, 입력전원(115)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한다.
충전부(120)는 정전류원(Id), 제1 내지 제6스위치(SW1 내지 SW6), 방전저항(Rd)을 포함하고, 배터리부(130)는 제1 내지 제3스위치(132, 134, 136)를 포함한다.
충전부(120)에 공급되는 입력전원(115)은 정전류원(Id)으로 등가적으로 표시되는데, 입력전원(115)은 교류이고 정전류원(Id)은 직류이고 충전부(12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스위치(SW3, SW4)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5 및 제6스위치(SW5, SW6)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의 스위치 쌍과 제3 및 제4스위치(SW3, SW4)의 스위치 쌍과 제5 및 제6스위치(SW5, SW6)의 스위치 쌍은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배터리(132)는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제2배터리(134)는 제3 및 제4스위치(SW3, SW4)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제3배터리(136)는 제5 및 제6스위치(SW5, SW6)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은 제1, 제3 및 제5스위치(SW1, SW3, SW5)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정전류원(Id)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1스위치(SW1)의 제1전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1스위치(SW1)의 제2전극은 제1배터리(132)의 제1전극과 제2스위치(SW2)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2스위치(SW2)의 제1전극은 제1스위치(SW1)의 제2전극과 제1배터리(132)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3스위치(SW3)의 제1전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3스위치(SW3)의 제2전극은 제2배터리(134)의 제1전극과 제4스위치(SW4)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4스위치(SW4)의 제1전극은 제3스위치(SW3)의 제2전극과 제2배터리(134)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5스위치(SW5)의 제1전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5스위치(SW5)의 제2전극은 제3배터리(136)의 제1전극과 제6스위치(SW6)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6스위치(SW6)의 제1전극은 제5스위치(SW5)의 제2전극과 제3배터리(136)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방전저항(Rd)의 제1전극은 제2, 제4 및 제6스위치(SW2, SW4, SW6)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방전저항(Rd)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방전저항(Rd)의 제1 및 제2전극 사이는 배터리전압(Vb)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배터리(132)의 제1전극은 제1스위치(SW1)의 제2전극과 제2스위치(SW2)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1배터리(132)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2배터리(134)의 제1전극은 제3스위치(SW3)의 제2전극과 제4스위치(SW4)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2배터리(134)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3배터리(136)의 제1전극은 제5스위치(SW5)의 제2전극과 제6스위치(SW6)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3배터리(136)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충전부(120)가 6개의 스위치(SW1 내지 SW6)를 포함하고 배터리부(130)가 3개의 배터리(132, 134, 136)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충전부(120)가 2n개(n은 자연수)의 스위치(n개의 스위치 쌍)를 포함하고 배터리부(130)가 n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120)에서, 제1, 제3 및 제5스위치(SW1, SW3, SW5)는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의 충전에 이용되고, 제2, 제4 및 제6스위치(SW2, SW4, SW6)는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의 방전에 이용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스위치(SW1 내지 SW6)는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따라 스위칭 되고, 이를 위하여 충전부(120)는 제1 내지 제6스위치(SW1 내지 SW6)의 동작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전류원(Id)과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제3 및 제5스위치(SW1, SW3, SW5)는,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상이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가장 낮은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는 배터리를 먼저 충전하고, 이후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때부터 배터리전압(Vb)이 될 때까지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터리(132)가 제2 및 제3배터리(134, 136) 보다 낮은 전압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제1스위치(SW1)는 온(on) 상태를 갖고 제3 및 제5스위치(SW3, SW5)는 오프(off) 상태를 갖고, 정전류원(Id)과 제1배터리(132) 사이에만 충전경로(CP)가 생성되어 제1배터리(132)가 충전되고, 제2 및 제3배터리(134, 136)는 충전되지 않는다.
이후,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제1, 제3 및 제5스위치(SW1, SW3, SW5)가 온 상태를 갖고, 정전류원(Id)과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 각각 사이에 충전경로가 생성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모두 배터리전압(Vb)으로 충전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와 방전저항(Rd)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제4 및 제6스위치(SW2, SW4, SW6)는,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가 배터리전압(Vb)으로 방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 중 배터리전압(Vb)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는 배터리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배터리(134)가 배터리전압(Vb)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고, 제1 및 제3배터리(132, 136)가 배터리전압(Vb)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제4스위치(SW4)는 온 상태를 갖고 제2 및 제6스위치(SW2, SW6)는 오프 상태를 갖고, 제2배터리(134)와 방전저항(Rd) 사이에만 방전경로(DP)가 생성되어 제2배터리(134)가 배터리전압(Vb)까지 방전되고, 제1 및 제3배터리(132, 136)는 방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배터리(132, 134, 136)는 모두 배터리전압(Vb)의 충전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기 자동차로부터 배터리부(130)의 다수의 배터리(132, 134, 136)를 탈착하고, 탈착된 배터리부(130)의 다수의 배터리(132, 134, 136)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120)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스위치(SW1 내지 SW6)를 포함하는 하나의 충전부(120)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의 다수의 배터리(132, 134, 1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12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SW1 내지 SW6)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전류원(Id)으로 배터리부(130)의 다수의 배터리(132, 134, 1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120)의 설치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6스위치(SW1 내지 SW6)는 제1 내지 제6다이오드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부(220)는, 입력전원를 이용하여 배터리부(230)를 충전한다.
충전부(220)는 정전류원(Id), 제1 내지 제6다이오드(D1 내지 D6), 방전저항(Rd)을 포함하고, 배터리부(230)는 제1 내지 제3스위치(232, 234, 236)를 포함한다.
충전부(220)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은 정전류원(Id)으로 등가적으로 표시되는데, 입력전원은 교류이고 정전류원(Id)은 직류이고 충전부(22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다이오드(D3, D4)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5 및 제6다이오드(D5, D6)는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의 다이오드 쌍과 제3 및 제4다이오드(D3, D4)의 다이오드 쌍과 제5 및 제6다이오드(D5, D6)의 다이오드 쌍은 정전류원(Id) 및 방전저항(R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배터리(232)는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제2배터리(234)는 제3 및 제4다이오드(D3, D4)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제3배터리(236)는 제5 및 제6다이오드(D5, D6)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은 제1, 제3 및 제5다이오드(D1, D3, D5)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되고, 정전류원(Id)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1다이오드(D1)의 제1전극(양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1다이오드(D1)의 제2전극(음극)은 제1배터리(232)의 제1전극과 제2다이오드(D2)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된다.
제2다이오드(D2)의 제1전극(양극)은 제1다이오드(D1)의 제2전극(음극)과 제1배터리(232)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3다이오드(D3)의 제1전극(양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3다이오드(D3)의 제2전극(음극)은 제2배터리(234)의 제1전극과 제4다이오드(D4)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된다.
제4다이오드(D4)의 제1전극(양극)은 제3다이오드(D3)의 제2전극(음극)과 제2배터리(234)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제5다이오드(D5)의 제1전극(양극)은 정전류원(Id)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제5다이오드(D5)의 제2전극(음극)은 제3배터리(236)의 제1전극과 제6다이오드(D6)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된다.
제6다이오드(D6)의 제1전극(양극)은 제5다이오드(D5)의 제2전극(음극)과 제3배터리(236)의 제1전극에 연결된다.
방전저항(Rd)의 제1전극은 제2, 제4 및 제6다이오드(D2, D4, D6)의 제2전극(음극)에 연결되고, 방전저항(Rd)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방전저항(Rd)의 제1 및 제2전극 사이는 배터리전압(Vb)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배터리(232)의 제1전극은 제1다이오드(D1)의 제2전극(음극)과 제2다이오드(D2)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되고, 제1배터리(232)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2배터리(234)의 제1전극은 제3다이오드(D3)의 제2전극(음극)과 제4다이오드(D4)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되고, 제2배터리(234)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3배터리(236)의 제1전극은 제5다이오드(D5)의 제2전극(음극)과 제6다이오드(D6)의 제1전극(양극)에 연결되고, 제3배터리(236)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충전부(220)가 6개의 다이오드(D1 내지 D6)를 포함하고 배터리부(230)가 3개의 배터리(232, 234, 236)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충전부(220)가 2n개(n은 자연수)의 다이오드(n개의 다이오드 쌍)를 포함하고 배터리부(230)가 n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220)에서, 제1, 제3 및 제5다이오드(D1, D3, D5)는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의 충전에 이용되고, 제2, 제4 및 제6다이오드(D2, D4, D6)는 각각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의 방전에 이용된다.
제1 내지 제6다이오드(D1 내지 D6)는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따라 스위칭 된다.
즉, 정전류원(Id)과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제3 및 제5다이오드(D1, D3, D5)는,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상이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가장 낮은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는 배터리를 먼저 충전하고, 이후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때부터 배터리전압(Vb)이 될 때까지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터리(232)가 제2 및 제3배터리(234, 236) 보다 낮은 전압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전압차이를 갖는 제1다이오드(D1)는 온(on) 상태를 갖고 상대적으로 작은 전압차이를 갖는 제3 및 제5다이오드(D3, D5)는 오프(off) 상태를 갖고, 정전류원(Id)과 제1배터리(232) 사이에만 충전경로(CP)가 생성되어 제1배터리(232)가 충전되고, 제2 및 제3배터리(234, 236)는 충전되지 않는다.
이후,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제1, 제3 및 제5다이오드(D1, D3, D5)가 온 상태를 갖고, 정전류원(Id)과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 각각 사이에 충전경로가 생성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모두 배터리전압(Vb)으로 충전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와 방전저항(Rd)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제4 및 제6다이오드(D2, D4, D6)는,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가 방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 중 배터리전압(Vb)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는 배터리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배터리(234)가 배터리전압(Vb)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갖고, 제1 및 제3배터리(232, 236)가 배터리전압(Vb)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순방향 전압차이를 갖는 제4다이오드(D4)는 온 상태를 갖고 전압차이를 갖지 않는 제2 및 제6다이오드(D2, D6)는 오프 상태를 갖고, 제2배터리(234)와 방전저항(Rd) 사이에만 방전경로(DP)가 생성되어 제2배터리(234)가 방전되고, 제1 및 제3배터리(232, 236)는 방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배터리(232, 234, 236)는 모두 배터리전압(Vb)의 충전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기 자동차로부터 배터리부(230)의 다수의 배터리(232, 234, 236)를 탈착하고, 탈착된 배터리부(230)의 다수의 배터리(232, 234, 236)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부(220)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다이오드(D1 내지 D6)를 포함하는 하나의 충전부(220)를 이용하여 배터리부(230)의 다수의 배터리(232, 234, 2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22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다이오드(D1 내지 D6)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전류원(Id)으로 배터리부(230)의 다수의 배터리(232, 234, 2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220)의 설치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충전부를 전기 자동차에 장착하여 전력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전력 시스템(310)은, 충전부(320), 배터리부(330), 고전압 직류컨버터(high DC-DC converter: HDC)(340), 인버터(342), 저전압 직류컨버터(low DC-DC converter: LDC)(350), 전장부하(352)를 포함한다.
충전부(320)는, 입력전원(315)을 이용하여 배터리부(330)를 배터리전압(Vb)으로 충전하고, 제1 내지 제6스위치(도 3의 SW1 내지 SW6) 또는 제1 내지 제6다이오드(도 5의 D1 내지 D6)와 방전저항(도 3, 도 5의 Rd)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330)는, 충전된 배터리전압(Vb)을 고전압 직류컨버터(340) 및 저전압 직류컨버터(350)에 공급하고, 충전부(320)에 병렬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배터리(332, 334, 336)를 포함한다.
고전압 직류컨버터(340)는 배터리전압(Vb)을 고전위전압으로 승압하여 모터(342)에 공급하는데, 고전압 직류컨버터(340) 및 모터(342) 사이에는 직류 고전위전압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저전압 직류컨버터(350)는 배터리전압(Vb)을 저전위전압으로 강압하여 전장부하(352)에 공급한다.
전장부하(352)는 저전위전압을 전원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데, 예를 들어, 전장부하(352)는 램프, 히터, 에어컨, 와이퍼, ABS(anti-lock brake system), EPS(electric power ste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전력 시스템(310)에서는, 다수의 스위치(SW1 내지 SW6) 또는 다수의 다이오드(D1 내지 D6)를 포함하는 하나의 충전부(320)를 이용하여 배터리부(330)의 다수의 배터리(332, 334, 3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32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SW1 내지 SW6) 또는 다수의 다이오드(D1 내지 D6)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전류원(Id)으로 배터리부(330)의 다수의 배터리(332, 334, 336)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부(320)의 설치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5: 입력전원 120: 충전부
SW1 내지 SW6: 제1 내지 제6스위치
130: 배터리부 132, 134, 136: 제1, 제2 및 제3배터리

Claims (8)

  1. 정전류원과;
    일단이 상기 정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쌍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전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 각각의 연결노드에는 다수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정전류원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류원의 제1전극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원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제1전극은 상기 제1스위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스위치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방전저항의 제1전극은 상기 제2스위치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방전저항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는 충전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스위치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및 제6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제5 및 제6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3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충전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제2, 제4 및 제6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를 방전하는데 이용되는 충전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이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가장 낮은 충전상태를 갖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 중 하나가 충전되도록 스위칭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동일한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1, 제3 및 제5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전압이 될 때까지 동시에 충전되도록 스위칭 되는 충전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터리전압보다 큰 전압의 충전상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2, 제4 및 제6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전압이 될 때까지 방전되도록 스위칭 되는 충전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저항의 양단은 상기 배터리전압으로 유지되는 충전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다이오드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5 및 제6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3 및 제4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제5 및 제6다이오드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3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부.
  8. 정전류원과, 일단이 상기 정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쌍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전저항을 포함하는 충전부와;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 각각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원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으로 충전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고전위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하는 고전압 직류컨버터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저전위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장부하에 공급하는 저전압 직류컨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 쌍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방전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류원의 제1전극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원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제1전극은 상기 제1스위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스위치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방전저항의 제1전극은 상기 제2스위치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방전저항의 제2전극은 접지전극에 연결되는 전력 시스템.
KR1020210039254A 2021-03-26 2021-03-26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KR10252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54A KR102523290B1 (ko) 2021-03-26 2021-03-26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54A KR102523290B1 (ko) 2021-03-26 2021-03-26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81A KR20220134081A (ko) 2022-10-05
KR102523290B1 true KR102523290B1 (ko) 2023-04-18

Family

ID=8359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54A KR102523290B1 (ko) 2021-03-26 2021-03-26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945A (ja) * 2012-05-30 2013-12-12 Sekisui Chem Co Ltd 蓄電システム
JP2017120685A (ja)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システムおよび蓄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9080474A (ja) 2017-10-27 2019-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蓄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867B1 (ko) * 2011-05-18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86008B1 (ko) * 2016-10-24 2021-08-04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팩의 충방전 제어 방법
KR102439179B1 (ko) * 2018-03-07 2022-08-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945A (ja) * 2012-05-30 2013-12-12 Sekisui Chem Co Ltd 蓄電システム
JP2017120685A (ja)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システムおよび蓄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9080474A (ja) 2017-10-27 2019-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蓄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81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7009B (zh) 供电系统
JP5660105B2 (ja) 蓄電システム
US9266482B2 (en) Onboard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onboard power supply system
US6930404B1 (en) Power supply for an automotive vehicle
EP3543063B1 (en) High voltage electrical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CN109080466B (zh) 控制车辆电池充电的系统和方法
US20180342881A1 (en)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JP2007082375A (ja) 車両用電源装置
US11063462B2 (en) Charging apparatus
WO2019200332A1 (en) Led emergency lighting system having low standby power
KR102523290B1 (ko) 충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KR102489508B1 (ko) 배터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N112550072A (zh) 用于电驱动车辆的能量系统
JP2015082866A (ja) 太陽電池を備えた電気自動車
JP2004236384A (ja) 燃料電池車両用電源システム
CN116215307A (zh) 用于电池系统的电池控制组件及电动车辆的电传动系
JP2019221038A (ja) 電源装置
JP2019134636A (ja)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KR102519526B1 (ko) 배터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N213167796U (zh) 光储充装置
KR20240015392A (ko) 배터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JP2021052453A (ja) 変換装置及び変換システム
CN110722999A (zh) 车载充电器和具有其的电动车辆、及功率因数校正装置
KR20230126912A (ko) 전력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218453328U (zh) 一种放电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