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397B1 -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397B1
KR102522397B1 KR1020160160632A KR20160160632A KR102522397B1 KR 102522397 B1 KR102522397 B1 KR 102522397B1 KR 1020160160632 A KR1020160160632 A KR 1020160160632A KR 20160160632 A KR20160160632 A KR 20160160632A KR 102522397 B1 KR102522397 B1 KR 10252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axis
vertex
meet
axi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545A (ko
Inventor
이병주
진유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397B1/ko
Priority to CN201711132830.XA priority patent/CN108124149B/zh
Priority to US15/824,614 priority patent/US10447988B2/en
Publication of KR2018006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광학셀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패널은 픽셀 및 픽셀들 및 픽셀들 내에 각각 구비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축변과 제2 단축변,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축변과 제2 장축변으로 정의된다. 개구부는 픽셀들 내에 각각 구비되며, 장축변과 나란한 제1 변과 제2 변, 및 제1 단축변과 제1 장축변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서로 나란한 제3 변과 제4 변으로 정의된다. 제1 단축변과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변과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Description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과 복합시차지각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이 있고 두 방식 모두 실용화되고 있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을 바꿔서 표시하고 편광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거나, 좌우 시차 영상을 시분할방식으로 표시하고 셔터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방식은 일반적으로 패럴렉스 배리어, 렌티큘러 시트 등의 광학판을 사용하여 좌우시차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셔터안경이나 편광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편의성 때문에, 무안경 방식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소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가로보기(도 1a) 및 세로보기(도 1b)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시청 할 수 있는, 피벗(pivot)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 요구되고 있다.
도 2a는 도 1a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가로보기 하는 경우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구현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가로보기 하는 경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픽셀들 각각은 단축이 x축 방향으로, 장축이 y축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렌즈는 도 2a와 같이 픽셀들 각각의 단축을 기준으로 2 개의 픽셀마다 형성된다. 렌즈는 좌안 영상(L)을 사용자의 좌안으로 굴절시키고, 우안 영상(R)을 사용자의 우안으로 굴절시키므로, 사용자는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2b는 도 1b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세로보기 하는 경우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구현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세로보기 하는 경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픽셀들 각각은 단축이 y축 방향으로, 장축이 x축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렌즈는 도 2b와 같이 픽셀들 각각의 장축을 기준으로 2 개의 픽셀마다 형성된다. 렌즈는 좌안 영상(L)을 사용자의 좌안으로 굴절시키고, 우안 영상(R)을 사용자의 우안으로 굴절시키므로, 사용자는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렌즈의 초점거리(f)는 렌즈의 폭(w)에 반비례한다. 도 2a와 같이 렌즈가 픽셀들 각각의 단축을 기준으로 2 개의 픽셀마다 형성되는 경우, 렌즈의 폭(w)은 2 개의 픽셀들의 단축 길이(2s)가 된다. 도 2b와 같이 렌즈가 픽셀들 각각의 장축을 기준으로 2 개의 픽셀마다 형성되는 경우, 렌즈의 폭(w)은 2 개의 픽셀들의 장축 길이(2l)가 된다. 도 2a와 같이 렌즈의 폭(w)이 2 개의 픽셀들의 단축 길이(2s)일 때 렌즈의 초점거리(f)는 도 2b와 같이 렌즈의 폭(w)이 2 개의 픽셀들의 장축 길이(2l)일 때 렌즈의 초점거리(f)보다 짧아진다.
결국,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가로보기 할 때와 세로보기 할 때 각각에서 렌즈의 초점거리(f)가 다르므로, 사용자가 피벗을 실행하는 경우 최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입체영상 시청거리(d)가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피벗하는 경우, 사용자는 최적의 입체영상 시청거리(d)를 찾기 전까지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이 겹쳐보이는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피벗 동작을 수행 하는 경우에도 최적 시청 위치의 변화 없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광학셀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패널은 픽셀 및 픽셀들 및 픽셀들 내에 각각 구비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축변과 제2 단축변,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축변과 제2 장축변으로 정의된다. 개구부는 픽셀들 내에 각각 구비되며, 장축변과 나란한 제1 변과 제2 변, 및 제1 단축변과 제1 장축변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서로 나란한 제3 변과 제4 변으로 정의된다. 제1 단축변과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변과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렌티큘러 렌즈의 폭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피벗을 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입체영상 시청거리 변화 없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피벗을 하는 경우에도 3D 크로스토크 없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입체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픽셀의 단축변과 장축변의 비를 1:2로 정의하고, 개구부의 제1 및 제2변과 픽셀의 장축변의 비를, 1:2로 정의함으로써, 하나의 픽셀 내에서 개구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일 픽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 해상도 표시장치에서도 충분한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피벗 기능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2a는 도 1a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가로보기 하는 경우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구현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2b는 도 1b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세로보기 하는 경우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구현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픽셀과 개구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모드에서 표시패널과 광학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모드에서 표시패널과 광학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렌티큘러 렌즈에 의해 구분된 뷰 영역과 개구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픽셀과 개구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셀 및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셀 및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픽셀과 개구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모드에서 표시패널과 광학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모드에서 표시패널과 광학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피벗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가로보기 모드(landscape mode) 및 세로보기 모드(portrait mode)의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벗 동작은 가로보기 모드 및 세로보기 모드를 상호 변환하는 일련의 동작을 의미한다. 가로보기 모드는 세로보기 모드의 화면을 90˚ 회전시킨 것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 모드가 가로보기 모드이고, 제2 모드가 세로보기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및 광학셀(20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의 평판 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패널(100)이 액정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표시패널(100)에는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픽셀(P)들이 배열된다. 픽셀(P)들은 x축 및 y축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다. 픽셀(P)들 각각은 개구부 (aperture) (AP)를 포함한다. 개구부(AP)는 색을 구현하는 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AP)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한 색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거나,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중 어느 한 색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AP)의 형상은 블랙 매트릭스 (black matrix)(BM)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개구부(AP)를 제외한 영역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셀(200)은 표시패널(100) 상에 배치된다. 광학셀(200)은 입체영상 유닛을 포함하여 3D 영상 중 좌안 영상을 사용자의 좌안으로 굴절시키고, 우안 영상을 사용자의 우안으로 굴절시킨다. 입체영상 유닛은 좌우 시차 영상을 분리하는 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광학셀(200)은 렌티큘러 시트(leticular sheet), 액정렌즈(liquid crystal lens), 패럴렉스 배리어(pallax barrier), 및 스위쳐블 배리어(switchable barrier)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체영상 유닛이 렌티큘러 렌즈(LN)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픽셀(P)은 단축변(SL)과 장축변(LL)을 포함한다. 단축변(SL)은 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장축변(LL)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개구부(AP)는 픽셀(P)의 내측에 구비된다. 개구부(AP)는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및 제4 변(L4)으로 정의된다.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픽셀(P)의 장축변(LL)과 나란하며,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픽셀(P)의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45˚로 기울어지며,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개구부(AP)는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변(L1)과 장축변(LL)의 비, 및 제2 변(L2)과 장축변(LL)의 비는, 1:2로 정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변(L1)과 단축변(SL)의 비, 및 제2 변(L2)과 단축변(SL)의 비는 1:1로 정의된다.
제1 모드(MODE1)에서, 픽셀(P)은 장축변(LL)이 y축 방향으로 놓이고, 단축변(SL)이 x축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제2 모드(MODE2)에서, 픽셀(P)은 장축변(LL)이 x축 방향으로 놓이고, 단축변(SL)이 y축 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모드(MODE1)에서, 렌티큘러 렌즈(LN)는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45˚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렌티큘러의 렌즈의 폭(w1)은 수학식 1과 같이 개구부(AP)의 폭(w2), 양안 간격(E), 및 뷰의 수(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117128157-pat00001
제1 모드에서,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은 연속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픽셀(P)들에 형성된 개구부(AP)들의 폭(w2)에 대응된다. 여기서 개구부(AP)의 폭(w2)은 제3 변(L3)과 상기 제4 변(L4)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은 연속하는 2 개의 픽셀(P)들에 형성된 개구부(AP)의 폭(w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개구부(AP)들이 제1 및 제2 뷰(V1, V2)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중심으로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픽셀(P)들이 제1 내지 제n 뷰를 포함하는 멀티 뷰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은 제1 내지 제n 뷰를 표시하는 n 개의 픽셀(P)들에 형성된 개구부(AP)의 폭(w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드(MODE1)에 대응되는 3D 영상은 제1 및 제2 뷰(V1, V2)를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LN)의 왼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는 제2 뷰(V2)를 표시하고, 렌티큘러 렌즈(LN)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는 제1 뷰(V1)를 표시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LN)의 왼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가 표시하는 제2 뷰(V2)는 렌티큘러 렌즈(LN)에 의해 굴절되어 사용자의 우안으로 입력되고, 렌티큘러 렌즈(LN)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가 표시하는 제1 뷰(V1)는 렌티큘러 렌즈(LN)에 의해 굴절되어 사용자의 좌안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모드(MODE2)에서, 렌티큘러 렌즈(LN)는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45˚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은 연속하는 n 개의 픽셀(P)들에 형성된 개구부(AP)들의 폭(w2)에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제1 모드(MODE1)와 제2 모드(MODE2)에서 렌티큘러 렌즈(LN)의 폭(w1)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모드(MODE2)에 대응되는 3D 영상은 제1 및 제2 뷰(V1, V2)를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LN)의 왼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는 제2 뷰(V2)를 표시하고, 렌티큘러 렌즈(LN)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는 제1 뷰(V1)를 표시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LN)의 왼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가 표시하는 제2 뷰(V2)는 렌티큘러 렌즈(LN)에 의해 굴절되어 사용자의 우안으로 입력되고, 렌티큘러 렌즈(LN)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개구부(AP)가 표시하는 제1 뷰(V1)는 렌티큘러 렌즈(LN)에 의해 굴절되어 사용자의 좌안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제1 모드(MODE1)와 제2 모드(MODE2)에서 렌티큘러 렌즈(LN)의 폭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피벗을 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입체영상 시청거리 변화 없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피벗을 하는 경우에도 3D 크로스토크 없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입체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픽셀(P)의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를 1:2로 정의하고, 개구부(AP)의 제1 및 제2 변(L1, L2)과 픽셀(P)의 장축변(LL)의 비를, 1:2로 정의함으로써, 하나의 픽셀(P) 내에서 개구부(AP)가 차지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일 픽셀(P)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 해상도 표시장치에서도 충분한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렌티큘러 렌즈에 의해 구분된 뷰 영역과 개구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렌티큘러 렌즈(LN)에 의해 n 개의 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 뷰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P)들에서는 기 할당된 뷰 영상을 표시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뷰 영역(V1A)과 제2 뷰 영역(V2A)에서, 제1 뷰(V1) 와 제2 뷰(V2)가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뷰 영역(V1A)에는, 제1 뷰(V1) 영상이 할당된 개구부(AP)들이 배치된다. 제2 뷰 영역(V2A)에는, 제2 뷰(V2) 영상이 할당된 개구부(AP)들이 배치된다.
픽셀(P)은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장축변(LL1)과 제2 장축변(LL2), 및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단축변(SL1)과 제2 단축변(SL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뷰 영역(V1A, V2A)은 픽셀(P)의 제1 장축변(LL1), 제2 장축변(LL2), 가상의 제1 기준 라인(RL1), 및 가상의 제2 기준 라인(RL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뷰 영역(V1A, V2A)들은 각각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은 렌티큘러 렌즈(LN)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즉,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들은 각각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45˚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1 기준 라인(RL1)은 제1 장축변(LL1)과 제1 단축변(SL1)이 만나는 제1 점(P1)을 지나며, 제2 장축변(LL2)의 중앙을 가로지른다. 제2 기준 라인(RL2)은 제1 장축변(LL1)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제2 장축변(LL2)과 제2 단축변(SL2)이 만나는 제2 점(P2)을 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개구부(AP)의 제3 및 제4 변(L3, L4)을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에 접하도록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개구부(AP)의 선폭이 감소하여 제1 기준 라인(RL1)과 이와 이웃하는 개구부(AP)들의 제3 및 제4 변(L3, L4)들이 제1 기준 라인(RL1)과 접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gap)되는 경우, 제1 기준 라인(RL1)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뷰 영역(V1A, V2A)들 사이에 밝은 영역이 발생하고 그 경계 부분에서 휘도가 급격히 증가되는 휘도 불균일 문제가 발생한다. 휘도 불균일 문제는 사용자에게 휘선으로 인지되어 입체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개구부(AP)의 제3 변 및 제4 변(L3, L4)을 기준 라인(RL1, RL2)과 접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입체영상 표시 품질이 향상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AP)는,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가 1:2로 정의된 픽셀(P) 내에서,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
1. 픽셀(P)의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는, 1:2로 정의.
2. 개구부(AP)는, 픽셀(P) 내에 구비되며, 장축변(LL)과 나란한 제1 변(L1) 및 제2 변(L2)을 포함하고,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45˚로 기울어진 제3 변(L3) 및 제4 변(L4)을 포함.
3.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픽셀(P)의 장축변(LL)과의 비가 1:2를 만족하도록 형성.
5.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뷰 영역(V1A, V2A)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RL1, RL2)에 접하도록 형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AP)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개구부(AP)의 제1 변(L1) 및 제2 변(L2)이 픽셀(P)의 장축변(LL)과 반드시 접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개구부(AP)의 제1 변(L1)은 픽셀(P)의 제1 장축변(LL1)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고, 제2 변(L2)은 픽셀(P)의 제2 장축변(LL2)과 이격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개구부(AP)를 형성함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갖는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셀 및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전술한 휘도 불균일 문제와 같은 공정 편차에 기인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AP)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개구부(AP)의 형상은,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함을 전제로 조정된다.
[아래]
1. 픽셀(P)의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는, 1:2로 정의.
2. 개구부(AP)는, 픽셀(P) 내에 구비되며, 장축변(LL)과 나란한 제1 변(L1) 및 제2 변(L2)을 포함하고,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지며 서로 나란한 제3 변(L3) 및 제4 변(L4)을 포함.
3.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픽셀(P)의 장축변(LL)과의 비가 1:2를 만족하도록 형성.
도 11의(a)를 참조하면, 픽셀(P)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축변(SL1)과 제2 단축변(SL2),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축변(LL1)과 제2 장축변(LL2)으로 정의된다. 픽셀(P)은 제1 단축변(SL1)과 제1 장축변(LL1)이 만나는 제1 점(P1), 및 제2 단축변(SL2)과 제2 장축변(LL2)이 만나는 제2 점(P2)을 포함한다.
개구부(AP1)는 픽셀(P)들 내에 구비되며,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제4 변(L4)으로 정의된다.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단축변(SL1, SL2)과 나란하며 서로 이격 된다.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제1 단축변(SL1)과 제1 장축변(LL1)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고, 서로 나란하며, 서로 이격 된다. 개구부(AP)는 제1 변(L1)과 제3 변(L3)이 만나는 제1 꼭짓점(VT1), 제2 변(L2)과 제4 변(L4)이 만나는 제2 꼭짓점(VT2), 제1 변(L1)과 제4 변(L4)이 만나는 제3 꼭짓점(VT3), 및 제2 변(L2)과 제3 변(L3)이 만나는 제4 꼭짓점(VT4)을 포함한다.
도 11의(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AP2, AP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될 수 있도록, 개구부(AP1)의 형상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형상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되, 공정 편차를 고려하여, 공정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개구부(AP2, AP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기준 라인(RL1)은 제1 점(P1)과 제2 장축변(LL2)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라인이다. 제2 기준 라인(RL2)은 제1 장축변(LL1)의 중앙과 제2 점(P2)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라인이다.
이웃하는 뷰 영역(V1A, V2A)과의 관계에서 3D 크로스토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정된 개구부(AP2, AP3)가 차지하는 면적 중 기준 라인(RL1, RL2)을 넘어서는 부분의 면적은 공정상 가능한 최소 범위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1 꼭짓점(VT1)과 제3 꼭짓점(VT3)은 각각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 상에 위치하고, 제4 꼭짓점(VT4)과 제2 꼭짓점(VT2)은 각각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조정된 개구부(AP2, AP3)는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된다.
제2 꼭짓점(VT2)과 제4 꼭짓점(VT4)이 각각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RP라 하고, 공정 상 요구되는 개구부(AP)의 공차를 b라 할 때, 휘도 차이 LD(Luminance Difference)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6117128157-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BR을 증가시킴으로써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3D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 RP는 최소 범위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4 꼭짓점(VT4)과 제2 꼭짓점(VT2)은 각각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 상에 위치하고, 제1 꼭짓점(VT1)과 제3 꼭짓점(VT3)은 각각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조정된 개구부(AP2, AP3)는 제1 기준 라인(RL1)과 제2 기준 라인(RL2)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AP2, AP3)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공정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기인한 휘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강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셀 및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전술한 휘도 불균일 문제와 같은 공정 편차에 기인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AP1, AP2, AP3)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개구부(AP1, AP2, AP3)의 형상은,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함을 전제로 조정된다.
[아래]
1. 픽셀(P)의 단축변(SL)과 장축변(LL)의 비는, 1:2로 정의.
2. 개구부(AP)는, 픽셀(P) 내에 구비되며, 장축변(LL)과 나란한 제1 변(L1) 및 제2 변(L2)을 포함하고, 단축변(SL)과 장축변(LL)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지며 서로 나란한 제3 변(L3) 및 제4 변(L4)을 포함.
3.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픽셀(P)의 장축변(LL)과의 비가 1:2를 만족하도록 형성.
4.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뷰 영역(V1A, V2A)을 정의하는 기준 라인(RL1, RL2)과 교차되도록 형성.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AP2, AP3)의 적어도 일부가 기준 라인(RL1, RL2)에 접하거나 중첩될 수 있도록, 개구부(AP1)의 형상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형상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되, 공정 편차를 고려하여, 공정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개구부(AP2, AP3)의 적어도 일부가 기준 라인(RL1, RL2)에 중첩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웃하는 뷰 영역(V1A, V2A)과의 관계에서 3D 크로스토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정된 개구부(AP2, AP3)가 차지하는 면적 중 기준 라인(RL1, RL2)을 넘어서는 부분의 면적은 공정상 가능한 최소 범위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픽셀(P)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축변(SL1)과 제2 단축변(SL2),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축변(LL1)과 제2 장축변(LL2)으로 정의된다. 픽셀(P)은 제1 단축변(SL1)과 제1 장축변(LL1)이 만나는 제1 점(P1), 및 제2 단축변(SL2)과 제2 장축변(LL2)이 만나는 제2 점(P2)을 포함한다.
개구부(AP1, AP2, AP3)는 픽셀(P)들 내에 구비되며,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제4 변(L4)으로 정의된다. 제1 변(L1) 및 제2 변(L2)은 단축변(SL1, SL2)과 나란하며 서로 이격 된다.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제1 단축변(SL1)과 제1 장축변(LL1)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고, 서로 나란하며, 서로 이격 된다. 개구부(AP1, AP2, AP3)는 제1 변(L1)과 제3 변(L3)이 만나는 제1 꼭짓점(PP1, PP2, PP3), 및 제2 변(L2)과 제4 변(L4)이 만나는 제2 꼭짓점(PQ1, PQ2, PQ3)을 포함한다.
개구부(AP1, AP2, AP3)의 제1 꼭짓점(PP1, PP2, PP3)은, 제1 점(P1)과 제2 장축변(LL2)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1 기준 라인(RL1)에 대하여 수직인 제1 틸팅 라인(AX1) 상에 위치한다. 제2 꼭짓점(PQ1, PQ2, PQ3)은, 제1 장축변(LL1)의 중앙과 제2 점(P2)을 가로지르는 제2 기준 라인(RL2)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틸팅 라인(AX2) 상에 위치한다. 제1 틸팅 라인(AX1)과 제2 틸팅 라인(AX2)은 서로 나란하다. 개구부(AP1, AP2, AP3)의 형상이 조정되더라도,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1 꼭짓점(PP2, PP3)은 제1 틸팅 라인(AX1) 상에 위치하고,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2 꼭짓점(PQ2, PQ3)은 제2 틸팅 라인(AX2) 상에 위치한다.
픽셀(P)의 중심(c)을 가정할 때,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1 꼭짓점(PP1, PP2)과 픽셀(P)의 중심(c)과의 거리는, 조정된 개구부(AP2, AP3)의 제2 꼭짓점(PQ1, PQ2)과 픽셀(P)의 중심(c)과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정된 개구부(AP2, AP3)가 차지하는 면적 중 제1 및 제2 기준 라인(RL1, RL2)을 넘어선 면적들이 일정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AP1, AP2, AP3)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공정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기인한 휘도 차이(Luminance Difference)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강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광학셀(200), 게이트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타이밍 컨트롤러(140), 호스트 시스템(150) 등을 구비한다.
표시패널(100)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 하에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00)은 상호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D)들과 게이트 라인(G)들(또는 스캔 라인들)을 포함하고, 데이터 라인(D)들과 게이트 라인(G)들에 의해 정의된 픽셀들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상부기판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공통전극 등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표시패널(100)의 상부기판에는 상부 편광판이 부착되고, 하부기판에는 하부 편광판이 부착된다. 상부 편광판의 광투과축과 하부 편광판의 광투과축은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는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표시패널(100)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기판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기판상에 형성된다. 표시패널(100)의 액정모드는 전술한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백라이트 유닛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따라 점등하는 광원, 도광판(또는 확산판), 다수의 광학시트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 하에 2D 모드에서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3D 영상을 표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2D 모드에서 표시패널(100)에 2D 영상 데이터가 어드레싱되도록 제어하고, 3D 모드에서 표시패널(100)에 3D 영상 데이터가 어드레싱되도록 제어한다. 3D 영상은 제1 내지 제n 뷰(view)를 갖는 멀티 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00)의 픽셀들과 컬러필터들은 입체영상 시청시에도 피벗 가능하도록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입력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감마전압 발생회로(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로부터 출력되는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은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라인(D)들에 공급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COG(Chip On Glass) 공정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으로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라인(D)들에 접속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 하에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를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G)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하여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화소의 TFT 구동에 적합한 스윙폭으로 변환하는 레벨 쉬프터, 및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TAB 방식으로 표시패널(100)에 부착되거나, GIP(Gate Drive IC i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00)의 하부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GIP 방식의 경우, 레벨 쉬프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상에 실장되고, 쉬프트 레지스터는 표시패널(100)의 하부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호스트 시스템(150)으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로 표시패널(100)을 구동시키고,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를 기준으로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발생할 수 있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도트 클럭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110)로 공급하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 게이트 쉬프트 클럭,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첫 번째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11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극성제어신호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12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120)에 입력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전송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와 소스 샘플링 클럭은 생략될 수 있다. 극성제어신호는 데이터 구동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L(L은 자연수) 수평기간 주기로 반전시킨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호스트 시스템(150)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 등을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50)은 2D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D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50)은 3D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뷰를 포함하는 멀티뷰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150)은 2D 모드인지 3D 모드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모드 신호(MODE)를 광학판 구동부(130)와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모드 신호(MODE)는 2D 모드에서 로우 로직 레벨로 발생하고, 3D 모드에서 하이 로직 레벨로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200 : 광학셀
P : 픽셀 SL : 단축변
LL : 장축변 AP : 개구부
L1 : 제1 변 L2 : 제2 변
L3 : 제3 변 L4 : 제4 변
BM : 블랙 매트릭스 LN : 렌티큘러 렌즈

Claims (12)

  1.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광학셀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축변과 제2 단축변,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축변과 제2 장축변으로 정의된 픽셀들; 및
    상기 픽셀들 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축변과 나란한 제1 변과 제2 변, 및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서로 나란한 제3 변과 제4 변으로 정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의 비는, 1:2로 정의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인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이 만나는 제1 점; 및
    상기 제2 단축변과 상기 제2 장축변이 만나는 제2 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변은,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장축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1 기준 라인에 접하고,
    상기 제4 변은,
    상기 제1 장축변의 중앙과 상기 제2 점을 가로지르는 제2 기준 라인에 접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이 만나는 제1 점; 및
    상기 제2 단축변과 상기 제2 장축변이 만나는 제2 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3 변이 만나는 제1 꼭짓점;
    상기 제2 변과 상기 제4 변이 만나는 제2 꼭짓점;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4 변이 만나는 제3 꼭짓점; 및
    상기 제2 변과 상기 제3 변이 만나는 제4 꼭짓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꼭짓점은,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장축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1 기준 라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꼭짓점은, 상기 제1 장축변의 중앙과 상기 제2 점을 가로지르는 제2 기준 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4 꼭짓점 및 상기 제2 꼭짓점은, 상기 제1 기준 라인 및 상기 제2 기준 라인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이 만나는 제1 점; 및
    상기 제2 단축변과 상기 제2 장축변이 만나는 제2 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3 변이 만나는 제1 꼭짓점;
    상기 제2 변과 상기 제4 변이 만나는 제2 꼭짓점;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4 변이 만나는 제3 꼭짓점; 및
    상기 제2 변과 상기 제3 변이 만나는 제4 꼭짓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꼭짓점은,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장축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1 기준 라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꼭짓점은, 상기 제1 장축변의 중앙과 상기 제2 점을 가로지르는 제2 기준 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꼭짓점 및 상기 제3 꼭짓점은, 상기 제1 기준 라인 및 상기 제2 기준 라인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상기 제1 단축변과 상기 제1 장축변이 만나는 제1 점; 및
    상기 제2 단축변과 상기 제2 장축변이 만나는 제2 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3 변이 만나는 제1 꼭짓점; 및
    상기 제2 변과 상기 제4 변이 만나는 제2 꼭짓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꼭짓점은,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장축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1 기준 라인에 대하여 수직인 제1 틸팅 라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꼭짓점은,
    상기 제1 장축변의 중앙과 상기 제2 점을 가로지르는 제2 기준 라인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틸팅 라인 상에 위치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꼭짓점과 상기 픽셀의 중심과의 거리는,
    상기 제2 꼭짓점과 상기 픽셀의 상기 중심과의 거리와 동일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차지하는 면적 중 제1 및 제2 기준 라인을 넘어선 면적들이 일정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축변과 상기 제1 변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2 장축변과 상기 제2 변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갖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셀은,
    상기 제3 및 제4 변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연속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상기 개구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입체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3 변과 상기 제4 변 사이의 간격인 입체영상 표시장치.
    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단축변이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및 제2 장축변이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모드; 및
    제1 및 제2 장축변이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및 제2 단축변이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서, 입체 영상의 최적 시청 거리는 동일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60160632A 2016-11-29 2016-11-29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52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32A KR102522397B1 (ko) 2016-11-29 2016-11-29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201711132830.XA CN108124149B (zh) 2016-11-29 2017-11-15 立体图像显示器
US15/824,614 US10447988B2 (en) 2016-11-29 2017-11-28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32A KR102522397B1 (ko) 2016-11-29 2016-11-29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45A KR20180061545A (ko) 2018-06-08
KR102522397B1 true KR102522397B1 (ko) 2023-04-17

Family

ID=6219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632A KR102522397B1 (ko) 2016-11-29 2016-11-29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47988B2 (ko)
KR (1) KR102522397B1 (ko)
CN (1) CN1081241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3206B (zh) * 2020-12-25 2022-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驅動裝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0482A (ja) 2013-08-29 2015-03-16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424A (en) *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GB2351866A (en) * 1999-07-07 2001-01-10 Sharp Kk Stereoscopic display
JP2004157411A (ja) * 2002-11-07 2004-06-03 Sanyo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JP3885077B2 (ja) * 2004-03-26 2007-02-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三次元ディスプレイ
GB2415850A (en) * 2004-06-29 2006-01-04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operable in two orientations.
JP4327758B2 (ja) * 2005-03-24 2009-09-09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JP4476905B2 (ja) * 2005-08-31 2010-06-09 株式会社東芝 立体表示画像データの構造、立体表示画像データの記録方法、表示再生方法、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再生プログラム
DE602006018164D1 (de) * 2005-09-16 2010-12-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kopische anzeigevorrichtung und filter dafür
JP4834592B2 (ja) * 2007-03-29 2011-12-14 株式会社東芝 三次元映像表示装置
GB2470752B (en) * 2009-06-03 2015-01-07 Au Optronics Corp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GB2477294B (en) * 2010-01-27 2015-05-06 Au Optronics Corp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5796761B2 (ja) * 2010-09-15 2015-10-2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JP5449238B2 (ja) * 2011-03-10 2014-03-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三次元映像表示装置
EP2696233A4 (en) * 2011-03-29 2014-12-10 Toshiba Inc Kk THREE-DIMENSIONAL PICTURE-GENERATING DEVICE
JP5935238B2 (ja) * 2011-04-20 2016-06-15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る端末装置
EP2703874B1 (en) * 2011-04-28 2019-09-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Video display device
JP5197814B2 (ja) * 2011-08-29 2013-05-15 株式会社東芝 3次元映像表示装置
WO2013073007A1 (ja) * 2011-11-15 2013-05-23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800897B1 (ko) * 2011-12-06 2017-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572474B (zh) * 2011-12-13 2015-04-08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装置
KR101316795B1 (ko) * 2012-02-02 2013-10-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역 평탄화 및 동적 크로스토크 최소화를 위한 무안경식 3차원 영상표시장치
CN103635950B (zh) * 2012-05-23 2017-05-2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影像显示装置
JP6099892B2 (ja) * 2012-07-09 2017-03-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映像表示装置
WO2014018269A1 (en) * 2012-07-23 2014-01-30 Reald Inc. Observer tracking autostereoscopic display
JP5696107B2 (ja) * 2012-09-11 2015-04-08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US8963808B2 (en) * 2012-10-29 2015-02-24 Corning Incorporated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9554124B1 (en) * 2014-02-05 2017-01-24 Eos Vision, Inc Image display with full-depth viewing
KR102214355B1 (ko) * 2014-06-16 2021-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24283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BR112017013418B1 (pt) * 2014-12-24 2021-03-02 Koninklijke Philips N.V tela autoestereoscópica, e, dispositivo portátil
KR102316982B1 (ko) * 2015-03-12 2021-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04730720A (zh) * 2015-04-13 2015-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0482A (ja) 2013-08-29 2015-03-16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52689A1 (en) 2018-05-31
US10447988B2 (en) 2019-10-15
CN108124149B (zh) 2020-10-27
KR20180061545A (ko) 2018-06-08
CN108124149A (zh)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22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68965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80089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20274748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3033973A (zh) 显示设备、显示面板和电子装置
US9349310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without a black matrix
US942026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0611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27932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126532B1 (ko) 멀티뷰 영상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522397B1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70590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92055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25783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60021650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089323B1 (ko) 멀티뷰 영상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80062575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0357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27902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4889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30048622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0356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886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9092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20139221A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