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340B1 - 세탁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340B1
KR102522340B1 KR1020207032957A KR20207032957A KR102522340B1 KR 102522340 B1 KR102522340 B1 KR 102522340B1 KR 1020207032957 A KR1020207032957 A KR 1020207032957A KR 20207032957 A KR20207032957 A KR 20207032957A KR 102522340 B1 KR102522340 B1 KR 10252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aundry treatment
wireless power
treatment apparatus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920A (ko
Inventor
기우세페 로씨
안드레아 바닌
니콜라 리드
코스탄티노 마구올로
이반 아자린
안드레아 콘타리니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Publication of KR2021001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Abstract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는 캐비닛(20), 캐비닛(2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럼(50), 상기 드럼(50)과 별개로 상기 캐비닛(20)에 연관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으로, 상기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전력을 무선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을 포함하고;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는 상기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의해 급전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 예를 들어 (세탁기로도 지칭되는) 세탁물 세탁기, (세탁 겸용 건조기(washer-drier)로도 지칭되는) 세탁물 세탁 겸용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세탁물 처리 장치, 예를 들어 세탁기, 세탁 겸용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는 통상적으로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비닛 또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공지된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에서, 캐비닛은 또한 통상적으로 스프링 및 덤퍼를 통해 캐비닛에 현수되는 세탁조를 수용하고, 드럼이 세탁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포함된다.
공지된 회전식 건조기에서, 세탁조는 제공되지 않으며, 드럼은 일반적으로 캐비닛에 대해 정지된 지지 구조에 피벗되는 롤러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공지된 세탁물 처리 장치에는, 드럼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세탁물 처리 장치의 "비회전" 부분(예를 들어, 캐비닛)으로부터 드럼의 내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전기적으로 급전될 필요가 있는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기구를 드럼 내에 장착할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제기하지 않으며, 보다 특정적 및 효율적 방식으로 세탁물을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출원인은,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 또는 회전식 건조기의 드럼에, 드럼과 별개로 캐비닛에 연관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드럼 내에/상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의해 급전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특정적, 국부적, 및 효율적 방식으로 세탁물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내었다.
실제로, 드럼 내에/상에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을 장착하고 무선 에너지 전달에 의해 드럼의 외부로부터 이러한 액추에이터들로 무선 급전할 가능성은, 보다 특정적 및 효율적 방식으로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처리를 세탁물에 적용할 가능성을 연다.
예를 들어,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은 세탁 및/또는 헹굼 및/또는 스핀 건조를 개선하는 특정의 국부화된 기계적 작업을 세탁물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가 보다 균일한 건조를 위해 드럼 내에 직접 공기 스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세탁물 처리 장치의 "비회전" 부분 내에 위치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급전되기 위해 예를 들어 유선에 의해 장치의 전기 시스템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에 따라, 전력이 회전하는 드럼에 용이하게 무선 공급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캐비닛, 캐비닛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별개로 상기 캐비닛에 연관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으로, 상기 드럼 내에/상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전력을 무선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로서, 상기 드럼 내에/상에 장착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의해 급전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유선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이며, 캐비닛은 상기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세탁조를 수용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상기 세탁조 내에/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전력 송신기 유닛 및 전력 수신기 유닛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세탁조 및 드럼에 고정되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회전식 건조기이며, 캐비닛은 상기 드럼 내에 고온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정지 또는 고정 부분(예를 들어, 정면 플랜지) 내에/상에 장착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드럼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회전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회전 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모터는 상기 드럼 내에/상에 장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회전 요소는 상기 드럼의 후방벽에 대향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회전 요소는 드럼에 동심으로 드럼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교반 디스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 디스크는 상기 드럼의 중앙 영역에 대향하는 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회전 요소는 상기 드럼에 동심으로 상기 드럼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울형(bowl-shaped)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울형 요소는 이의 측면으로부터 중앙 영역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드럼은 상기 드럼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리프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럼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 내에 수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 및/또는 공압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는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는 드럼에 대해 6자유도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의 형상 및/또는 부피를 선택적으로 수정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내에 수용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의 형상 및/또는 부피를 선택적으로 수정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선형 액추에이터 및/또는 공압 액추에이터 및/또는 펌프 및/또는 밸브 및/또는 웜 나사(endless screw)를 포함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는 중공의 신축성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상기 신축성 리프터의 신축성 추출/삽입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는 중공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및 가역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탄성 변형가능 외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증가/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충진하거나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중공 형상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천공형 또는 공기 투과성인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공 리프터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팬 또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은, 송신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로 발생된 전력을 공급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코일 및 수신 코일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중앙에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코일 및 수신 코일은 드럼 외부 반경에 대략 상응하는 공통 반경 치수를 가지며, 이들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송신 코일 및 수신 코일은 10 cm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송신 코일 및 수신 코일은 5 cm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유리하게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은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탁조를 구비하는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의 경우,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는 수신 코일과 드럼측 사이에 위치하고,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는 송신 코일과 세탁조측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에 대해 수신 코일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는 전력 수신기 유닛에 대해 무선 송신 코일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2개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각각의 수신 코일은 별개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급전한다.
유리한 구현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위치하며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능하게는 또한 2개 이상의 온도 감지 요소(들)를 포함하되, 측정 데이터는, 드럼에 고정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의해 급전되는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기기 제어 유닛에 무선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에 의해 급전되며 기기 제어 유닛에 측정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은 드럼 외부측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 유닛은 기기 제어 유닛에 무선 전송되는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추가 측정 파라미터를 수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비제한적 예시의 차원에서 제공되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 특히 세탁기의 제1 가능한 구현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의 가능한 구현예의 세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세탁조에 고정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 및 드럼에 고정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의 유리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의 전원 공급 회로의 일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의 전원 공급 회로의 다른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의 전원 공급 회로의 또 다른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유리한 구현예의 세탁조 및 드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면(VIII-VIII)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유리한 구현예의 세탁조 및 드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표면(X-X)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의 세탁조 및 드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면(XII-XII)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의 세탁조 및 드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면(XIV-XIV)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 특히 회전식 건조기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리프터의 제1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리프터의 제2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리프터의 제3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0)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유리한 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로도 지칭되는 세탁물 세탁기이지만, 본 발명이 임의의 실질적 수정 없이 세탁물 세탁 겸용 건조기(즉, 세탁물을 또한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 및 회전식 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리하게는, 도 1의 세탁물 세탁기(10)는 프론트-로딩 타입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임의의 실질적 수정 없이 탑-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는 외부 케이싱(20)을 포함하되, 이의 전방벽(20a)에는 액세스 개구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벨로우즈(미도시)를 통해 외부 케이싱(2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로딩/언로딩 도어(4)가 유리하게는 스프링(40) 및 덤퍼(80)를 통해 캐비닛(20)에 현수되는 세탁조(30)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세탁조(30)는 유리하게는 세탁될 세탁물(미도시)이 로딩될 수 있는 회전식 천공형 드럼(50)을 포함한다.
드럼(50)은 바람직하게는 이의 후방벽(50b)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6)를 구비하는데, 이는 세탁조(30)의 후방벽(30b)에 제공되는 1개 이상의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샤프트(6) 및 그에 따라 드럼(50)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전기 모터(5)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세탁조(30)의 후방벽(30b)에 직접 고정되거나, 벨트-풀리 조립체(미도시)에 의해 샤프트(6)에 연결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세탁기(1)는 바람직하게는 세탁조(30) 내로 물 및 세탁/헹굼 제품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물 유입 회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세탁기(1)는 또한 유리하게는 세탁기로부터 세탁/헹굼 제품을 배수하도록 구성되는 물 토출 회로(미도시)를 구비한다. 세탁기의 물 유입 회로와 물 토출 회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기재되지 않는다.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이 드럼(50)과 별개로 캐비닛(20)에 연관된다; 세탁물 처리 장치가 세탁조(30)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유리하게는 세탁조(30), 바람직하게는 드럼(50)에 대향하는 세탁조(30)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하에 더 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조를 구비하지 않고(예를 들어, 회전식 건조기의 경우),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은 캐비닛(20)의 정지 또는 고정 부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 장치(10)는 또한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을 구비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전력을 무선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세탁물 처리 장치(10)의 전기 시스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바람직하게는 유선 연결된다); 전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장치(10)가 설치되는 건물의 전기 설비(미도시)에 의해 급전되도록 이러한 전기 설비에 연결가능하다.
도 1의 유리한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세탁조(30) 및 드럼(50)에 고정되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도 1의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유리하게는 개구측에 대응하여 드럼(50)의 전방벽(50a)에 고정되고,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대향하여 세탁조(30)의 전방벽(30a)에 고정된다.
다른 유리한 구현예(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바람직하게는 드럼(50)에 대향하여 세탁조(30)의 후방벽(30b)에 고정되고,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세탁조(30)에 대향하여 드럼(50)의 후방벽(50b)에 고정된다.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환형이다(예를 들어, 전기전도성 코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드럼(50) 중심에 따라 중앙에 놓이며, 세탁조(30; 제공되는 경우) 및 드럼(50) 상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된다.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유리하게는 전력 송신기 유닛(62)의 반대편에서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50)은 드럼(50)의 측면(50c)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리프터(500)를 구비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바람직하게는 전력 수신기 유닛(63)의 수신 코일(630)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송신 코일(620)을 구비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봉입 재료(622, 632)에 통합되고,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결합 영역의 외부에 있는 측면들에 측면 자기 차폐부를 제공하며 두 코일(620, 630) 사이의 자기 결합을 개선하는 자성 시트(621, 631)를 각각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결합을 최대화하기 위해 평행하게 드럼(50) 중심에 대해 중앙에 놓인다.
도 3의 유리한 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드럼(50) 외주에 형성되는 U자형 개구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한편, 전력 송신기 유닛은 이의 측면(622)이 세탁조(30) 벽에 나사 고정되거나 글루 결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세탁물 처리 장치(10)는 제어 유닛(60)을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 장치(10)는,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의해 급전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한다.
도 4의 유리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제어 유닛(60)에서, 발진 전압이 스위칭 소자들(602)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이들은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의 수신 코일(630)에 결합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의 송신 코일(620)에 급전한다. 코일(630) 내에 유도되는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코일 인터페이스 블록(611) 내에서 정류 및 조절되어, 바람직하게는 유선으로, 바람직하게는 드럼(50) 내에 장착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도 4에는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됨)에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 블록(611)의 구성요소들은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 유닛(60)은 바람직하게는 세탁물 처리 장치(10)의 동작들을 관리하며, 예를 들어 드럼 모터 회전 속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 장치 내에 포함되는 다른 액추에이터들, 예를 들어 배수 펌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도 제어한다.
다른 유리한 구현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다수의 코일(630)을 구비하되, 각각의 코일(630)은 자체 인터페이스 블록(611)을 통해 1개 이상의 각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에 급전한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드럼(50) 상에는, 전력 수신기 유닛(63) 및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와 함께, 인터페이스 유닛(61)이 고정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유닛(63)의 전용 수신 코일(640)에 의해 급전될 수 있거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200)에 급전하는 수신 코일(630)에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1)은 바람직하게는 기기 제어 유닛(60)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연결부(60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유닛(61)은 예를 들어 리프터들(500) 내에 위치하는 온도 측정 요소(들)로부터 기기 제어 유닛(60)으로 측정 온도(615)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이클의 초기에 매우 상이할 수 있는 세탁조(30) 내에서 측정된 온도에 의해 추정된 온도가 아니라, 드럼(50) 내에서 측정된 실제 온도에 기반하여 세탁 사이클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간단한 긴 건조 사이클을 실시하는 스피닝 중에 의류를 가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1)은 예를 들어 전력 수신기 유닛(63)의 단열 지지 재료(632)에 통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드럼(50)의 후방벽(50b) 상에, 바람직하게는 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55)의 최대 이점은 높은 원심력이 인터페이스 유닛(61)의 구성요소들에 가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200)의 여러가지 가능한 유리한 구현예들이 기재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라는 표현은,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급전되며 바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 해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표현은 예를 들어 전기 모터, 전기 펌프, 전기 팬, 전자 밸브, 전공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드럼(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세탁조(3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유리한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그에 따라, 이 경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이다.
어쨌든,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유리한 해결방안이 회전식 건조기(10b;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회전식 건조기(10b)는 내부에 담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 드럼(50) 내에 고온 공기 스트림(192)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 회로(개략적으로 참조 번호 191로 지시됨)를 구비한다. 회전식 건조기의 공기 회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기재되지 않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에 대한 주요한 차이점은, 회전식 건조기(10b)가 세탁조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이 캐비닛(20)의 정지 또는 고정 부분, 예를 들어 드럼(50)의 유입 개구(12)에 대향하는 정면 플랜지(11), 또는 캐비닛(20)의 상이한 부분, 또는 캐비닛(20)에 고정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되고 드럼(50)에 대향하는, 특히 그 안에 장착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에 대향하는 요소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또한, 회전식 건조기(10b)의 경우, 드럼(50)은 1개 이상의 리프터(50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4의 구현예들의 설명은 도 15의 회전식 건조기(10b)에도 적용될 수 있고, 유일한 차이점은 회전식 건조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이 세탁조 대신에 캐비닛(20)의 정지 또는 고정 부분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들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바람직하게는 세탁조(30)의 후방벽(30b) 상에 장착되고,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에 대향하도록 드럼(50)의 후방벽(50b) 상에 장착된다; 어쨌든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실질적 수정 없이 세탁조(30)의 전방벽(30a) 및 드럼(50)의 전방벽(50a) 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동일한 고려사항이 도 15의 회전식 건조기(10b)에도 유효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들에서,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요소(13)가 제공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가 드럼에 대해 이 회전 요소(13)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드럼(50) 내에 장착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의해 전기적으로 급전되는 회전 전기 모터(20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유선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에서, 회전 요소(13)는, 드럼(50)에 동심으로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의 후방벽(50b)에 대향하는 교반 디스크(131)를 포함한다.
교반 디스크(131)는 드럼(50)의 중앙 영역에 대향하는 이의 표면(131a)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블레이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회전 요소(13)는 유리하게는, 드럼(50)에 동심으로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의 후방벽(50b)에 대향하는 보울형 요소(132)를 포함한다. 이 유리한 구현예에서, 보울형 요소(132)는 이의 측면(132b)으로부터 중앙 영역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리브(15)를 포함한다.
드럼(50)에 대해 모터(20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회전 요소(13; 예를 들어, 디스크(131) 또는 보울형 요소(132))는 세탁물의 기계적 교반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세탁기의 경우 세탁-헹굼 성능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고, 회전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50) 내에 세탁물을 더 잘 분배하고 보다 균일한 건조를 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드럼(50)은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의 경우와 회전식 건조기의 경우 모두에서, 유리하게는 1개 이상의 리프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에서, 이러한 1개 이상의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500a),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드럼(50)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액추에이터(200) 중 적어도 하나는 드럼(50)에 대해 이동가능 리프터(들)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된다.
드럼(50)에 대해 리프터(500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의 가능한 예가 도 1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리프터(500a) 내에 수용되며 드럼(50)에 대해 이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전기 모터(202) 및/또는 공압 장치(20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a), 유리하게는 모든 리프터가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에 의해 드럼(5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a), 유리하게는 모든 리프터가 드럼(50)에 대해 6자유도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리프터들(500a)의 가능한 이동이 점선 화살표(502)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 바람직하게는 모든 리프터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6은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를 구동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 부피를 갖는 리프터(500b)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리프터(500b)는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신축성 구조를 갖는다;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리프터(500b) 내에 수용되며 이의 신축성 추출/삽입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는 예를 들어 펌프(204) 및 토출 밸브(205)를 포함하는 조립체 또는 리니어 모터(미도시)일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미도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 유리하게는 모든 리프터가 중공 구조, 및 탄성 변형가능 외벽(예를 들어, 탄성 합성 재료로 만들어짐)을 구비할 수 있고,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예를 들어, 전기 리니어 모터, 펌프 및 토출 밸브를 포함하는 조립체, 전공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리프터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증가/감소시키기 위해 리프터에 유체(물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선택적으로 충진하거나 배출하도록 리프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리프터들(500b)은 최소 부피 상태(실선)와 최대 부피 상태(점선) 모두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c), 유리하게는 모든 리프터가 중공 형상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천공형 또는 공기 투과성인 표면(501)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중공 리프터(500c) 내에 수용되며 리프터(500c)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화살표(19)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됨)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팬 또는 송풍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예를 들어 회전식 건조기(10b)의 경우 건조 과정 중에 세탁물 내에 열을 더 잘 분배하고 보다 균일한 건조를 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어떻게 제안된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는지 나타나 있고, 드럼 내에 제공되며 드럼의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무선 급전되는 전기기계 액추에이터들로 인해, 이러한 액추에이터들을 사용하여, 보다 특정적, 국부적, 및 효율적 방식으로 세탁물을 처리할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세탁물 처리 장치(예를 들어, 세탁기, 세탁 겸용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가 제공된다.

Claims (40)

  1. 캐비닛(20), 상기 캐비닛(2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럼(50), 상기 드럼(50)과 별개로 상기 캐비닛(20)에 연관되고, 상기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전력을 무선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로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는 상기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는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에 급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620)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상기 송신 코일(62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로 상기 발생된 전력을 공급하는 수신 코일(630)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620) 및 상기 수신 코일(630)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중앙에 정렬되고,
    상기 송신 코일(620) 및 상기 수신 코일(630)은 상기 드럼(50) 외부 반경에 대략 상응하는 공통 반경 치수를 가지며, 이들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유선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의 상기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는 세탁기 또는 세탁 겸용 건조기이며,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드럼(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세탁조(30)를 수용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상기 세탁조(30) 내에/상에 장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기 유닛(62) 및 상기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상기 세탁조(30) 및 상기 드럼(50)에 고정되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b)는 회전식 건조기이며,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드럼(50) 내에 고온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회로(191)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상기 캐비닛(20)의 정지 또는 고정 부분(11) 내에/상에 장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b).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요소(13, 131, 132)를 포함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1)는 상기 드럼(50)에 대해 상기 회전 요소(13, 131, 132)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는 상기 드럼(50)에 대해 상기 회전 요소(13, 131, 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201)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모터(201)는 상기 드럼(50) 내에/상에 장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13, 131, 132)는 상기 드럼(50)의 후방벽(50b)에 대향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13, 131)는 상기 드럼(50)에 동심으로 상기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교반 디스크(131)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디스크(201)는 상기 드럼(50)의 중앙 영역에 대향하는 이의 표면(131a)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블레이드(14)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13)는 상기 드럼(50)에 동심으로 상기 드럼(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울형 요소(132)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형 요소(132)는 이의 측면(132b)으로부터 중앙 영역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교반 리브(15)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은 상기 드럼(50)의 측면(50c)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리프터(500, 500a, 500b, 500c)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500, 500a, 500b, 500c) 중 적어도 하나(500a)는 상기 드럼(50)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2, 203)는 상기 드럼(50)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2, 2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 내에 수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에 연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2)는 전기 모터(202) 및/또는 공압 장치(203)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는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5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리프터(500a)는 상기 드럼(50)에 대해 6자유도로 이동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500, 500a, 500b, 500c) 중 적어도 하나(500b)는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4, 205)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가지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의 형상 및/또는 부피를 선택적으로 수정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4, 20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 내에 수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의 형상 및/또는 부피를 선택적으로 수정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4, 205)는 선형 액추에이터 및/또는 공압 액추에이터(203) 및/또는 펌프(204) 및/또는 밸브(205) 및/또는 웜 나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4, 205)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는 중공의 신축성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4, 205)는 상기 신축성 리프터(500b)의 신축성 추출/삽입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4, 205)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는 중공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4, 205)에 의해 선택적으로 및 가역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탄성 변형가능 외벽을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4, 205)는 선택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형상 및/또는 부피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증가/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b)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충진하거나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리프터(500, 500a, 500b, 500c) 중 적어도 하나(500c)는 중공 형상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천공형 또는 공기 투과성인 표면(501)을 구비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200, 206)는, 상기 중공 리프터(500c)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500c)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팬 또는 송풍기(206)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620) 및 상기 수신 코일(630)은 10 cm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620) 및 상기 수신 코일(630)은 5 cm보다 작은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631)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은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621)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드럼(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세탁조(30)를 수용하고, 상기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631)는 상기 수신 코일(630)과 상기 드럼(50)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621)는 상기 송신 코일(620)과 상기 세탁조(30)측 사이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자기 차폐 부재(631)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유닛(62)에 대해 상기 수신 코일(63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자기 차폐 부재(621)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대해 상기 송신 코일(62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은 적어도 2개의 수신 코일(630)을 포함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는 적어도 2개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를 포함하되, 각각의 수신 코일(630)은 별개의 전기기계 액추에이터(200, 201, 202, 203, 204, 205, 206)에 전기적으로 급전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 내에 위치하며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데이터는, 상기 드럼(50)에 고정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의해 급전되는 인터페이스 유닛(61)에 의해 기기 제어 유닛(60)에 무선 전송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유닛(63)에 의해 급전되며 상기 기기 제어 유닛(60)에 측정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61)은 상기 드럼(50) 외부측에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61)은 상기 기기 제어 유닛(60)에 무선 전송되는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추가 측정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10, 10b).
KR1020207032957A 2018-05-21 2018-05-21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522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63259 WO2019223850A1 (en) 2018-05-21 2018-05-21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920A KR20210011920A (ko) 2021-02-02
KR102522340B1 true KR102522340B1 (ko) 2023-04-14

Family

ID=6223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957A KR102522340B1 (ko) 2018-05-21 2018-05-21 세탁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07307A1 (ko)
EP (1) EP3797189B1 (ko)
KR (1) KR102522340B1 (ko)
CN (1) CN112189066A (ko)
AU (1) AU2018424694A1 (ko)
WO (1) WO2019223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403B2 (en) 2019-06-21 2024-05-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appliance
WO2021160247A1 (en) 2020-02-10 2021-08-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laundry washing machine
CN113308841A (zh) * 2020-02-27 2021-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KR20220114167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0572A1 (en) * 2015-05-08 2016-11-10 Dexter Laund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689A (ja) * 1990-05-29 199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US5318705A (en) * 1992-09-11 1994-06-07 Pellerin Milnor Corporation Apparatus for use in extracting liquid from cloth or other water-absorbing goods
KR100451747B1 (ko) * 2002-09-25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JP4364866B2 (ja) * 2005-12-15 2009-11-18 三星電子株式会社 洗濯機
EP2514864B1 (en) * 2010-03-15 2020-08-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47931B1 (ko) * 2011-08-10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604740B1 (en) * 2011-12-16 2015-12-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machine with lighting apparatus for drum lighting
ITTO20120880A1 (it) * 2012-10-09 2014-04-10 Indesit Co Spa Macchina asciugatrice di biancheria ad uso domestico
WO2016182540A1 (en) * 2015-05-08 2016-11-17 Dexter Laund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WO2018091717A1 (en) * 2016-11-21 2018-05-24 Chiriatti Antonio Francesco Heating system for a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0572A1 (en) * 2015-05-08 2016-11-10 Dexter Laund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3850A1 (en) 2019-11-28
CN112189066A (zh) 2021-01-05
US20210207307A1 (en) 2021-07-08
EP3797189B1 (en) 2023-10-04
EP3797189A1 (en) 2021-03-31
AU2018424694A1 (en) 2020-11-12
BR112020023553A2 (pt) 2021-02-09
KR20210011920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340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US1105029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50043771A (ko) 건조 세탁기
KR102588467B1 (ko) 세탁물 건조기
EP3406784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190101266A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070063997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BR112020023553B1 (pt)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US20220396907A1 (e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vapor and/or mist and/or aerosol generator
EP4103776B1 (en) A laundry washing machine
CN114729493A (zh) 具有改善的洗涤性能的洗衣机
US20220403581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washing performances
KR20080057727A (ko) 건조겸용 세탁기
EP3406786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14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8190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55210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