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286B1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286B1
KR102521286B1 KR1020200114961A KR20200114961A KR102521286B1 KR 102521286 B1 KR102521286 B1 KR 102521286B1 KR 1020200114961 A KR1020200114961 A KR 1020200114961A KR 20200114961 A KR20200114961 A KR 20200114961A KR 102521286 B1 KR102521286 B1 KR 10252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display
display module
automatic door
display modul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968A (ko
Inventor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286B1/ko
Priority to US17/236,690 priority patent/US11735075B2/en
Publication of KR2022003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7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User displays
    • E05Y2400/818User displays with visual display
    • E05Y2400/82Images, Symb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구 주위에 구비되는 자동문 케이스,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AN AUTOMATIC DOOR SYSTEM USING TRANSPATENT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기술 및 투명 전자 소자 개발 기술이 발달하면서, 후방의 객체가 보이는 한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예를 들어, 자발광을 이용하는 유기발광 패널이나 플라즈마 패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정보를 표시하면서, 이와 동시에 투명한 패널을 통해 후방의 객체가 보이는 특징이 있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는 고객의 편의와 매장의 가치를 위하여 자동문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문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형태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쇄지를 출입문에 부착하거나 광고 문안 또는 디자인이나 조명 등을 설치하여 출입하는 사람들로부터 심미감을 부여하고 시인성을 향상시켜 광고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그러나 인쇄지 기타 광고물을 자동문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며, 부착한 후에도 자동문의 동작 등으로 인하여 부착 부위가 탈락되는 등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자동문에 한번 부착된 광고물을 수시로 교체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닫이 방식의 자동문인 경우에는 자동문 전체가 좌우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자동문에 부착된 인쇄지나 광고물이 밀려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자동문에 설치되는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상술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자동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다양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여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문제점들도 해결하고자 한다. 당업자는 명세서 및 도면의 전 취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출입구 주위에 구비되는 자동문 케이스,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는, 상기 출입구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 케이스, 상기 출입구의 일 측면에서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출입구의 타 측면에서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맞닿아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충격완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상하로 나란히 연결된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투명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 앞 소정의 영역 내에 오브젝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부로 센싱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는 상기 출입구가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패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센싱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모두 삽입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측면 케이스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1 메인터넌스 도어(Maintenance door)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2 메인터넌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 및 상기 제2 메인터넌스 도어는 개폐되어 사용자가 상기 측면 케이스의 내부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비디오 데이터 출력이 오프(Off)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체 영상 정보를 제1 영상 정보 및 제2 영상 정보로 분할하여 출력하되, 모든 메인터넌스 도어가 폐쇄된 경우,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출력을 오프(Off)하고,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체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는 강화 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화유리의 두께는 3mm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문 주위 오브젝트의 감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동문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가 얇은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동작 신뢰성이 높은 자동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 일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완벽한 비디오 데이터를 재현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문의 동작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다양한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되어 주변 사용자의 시선을 끌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동문이 설치된 공간 내부를 볼 수 있어, 색다른 소비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문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터넌스 도어를 통해, 자동문 시스템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체결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에서, 케이블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의 구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도어(Maintenance door)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출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위 화소 또는 단위 화소의 집합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완성품에 한정하지 않고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의 일 부품에 해당하는 패널도 독자적으로 본 명세서 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완성품으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명세서에서 언급된 반도체 발광 소자는 LED, 마이크로 LED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은 사람들이 휴대한 휴대 단말기(휴대폰, PDA 등)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벽면(10)의 일부 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구(20) 주위에 구비되는 자동문 케이스(100),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20)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서(400), 상기 센서(40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미도시), 그리고 상기 센서(40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 각각에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면서도,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건너편에 위치하는 사물의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또는 기타 오브젝트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를 들어, 무기 박막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수동형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TFT가 필요 없기 때문에 광투과성이 충분히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OLED처럼, TFT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조성계 산화물 반도체와 같은 투명 물질을 이용해서 TFT를 제조하는 경우, 광투광성을 충분히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자동문 케이스(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20)의 양 측면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20)를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하/좌/우 4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투과성 있는 패널에 발광원를 배열하고,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극미세 가공된 전도선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면과 선형태의 문양 등을 표현하는 상기 발광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허공에 부상되는 문양이나 정보가 점형태의 조합이 아닌 면과 선 및 점과 같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평상시에 상기 발광원을 통해 광고를 하거나, 인사 동작과 같은 고객 응대를 하거나 계절성 이벤트 등을 홍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투과성이 있으므로, 상기 발광원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더라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배면에 위치하는 여러 오브젝트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영역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과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문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빈번하게 움직여야 하는 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자동문 케이스(100)에 지지되어,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상기 출입구(2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20)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서술에서, 설명의 편의상, 출입구(20)는 직사각형 모양의 통로임을 가정하고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상기 출입구(20)를 가리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20)와 동일하거나 더 큰 면적의 통로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20) 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상기 출입구(20) 주위의 벽면(10)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자동문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다양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기타 구성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상기 출입구(2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 케이스(110), 상기 출입구(20)의 일 측면에서 벽면(10)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면 케이스(121) 및 상기 출입구(20)의 타 측면에서 벽면(10)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면 케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출입구(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제1 측면 케이스(121)와 제2 측면 케이스(122)에 각각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함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케이스(121)와 상기 제2 측면 케이스(122) 간 거리는 상기 출입구(2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양 측면 케이스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양 측면 케이스에 방해 받지 않고, 상기 출입구(20)를 드나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상기 제1, 2 측면 케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투명 유리 자동문과는 달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 투명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 박스나 케이블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측면 케이스(121)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된 경우, 상기 양 측면 케이스에 완전히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및 케이블을 상기 불투명한 양 측면 케이스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결하며 외관상 깔끔한 자동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2는 도 1의 자동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에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400),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4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상기 구동부(300) 및 상기 컨트롤 박스(500)로 전송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센서(400)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구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하여 상기 출입구(2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슬라이딩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구동은 예를 들어서 모터와 롤러, 레일 등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센싱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센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501) 및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5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502)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개별 화면을 연동시켜 전체적으로 통일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는 HDMI 또는 Displayport(DP) 규격의 커넥터와 케이블(503)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규격 외에 다양한 데이터 전송 규격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컨트롤 박스(500)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개별 디스플레이 화면에 비디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 디스플레이 화면에 각기 다른 비디오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디스플레이 화면을 연동하여 전체 화면 모드로 비디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를 위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컨트롤 박스(500)가 구비되도록 설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 시스템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패널부(201) 및 상기 패널부(201) 주위를 감싸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부(201)를 지지하는 베젤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202)는 일부 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합홀(2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강화유리(204)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강화 유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부착되는 강화유리(20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강화유리(204)의 두께는 예를 들어 3mm 이하로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제어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는 후면에 HDMI나 DP를 포함한 다양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체결하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어 프레임(140)에 체결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서는 4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동문 시스템에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문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 각각은 상하로 나란히 연결된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또 다시 상하로 이어지는 제1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도 상하로 이어지는 제2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하부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을 체결하는 방법을 서술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운반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지그(Jig)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도어 프레임(140)에 상기 제1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한다. 상기 결합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젤부(202)에 구비된 결합홀(203)을 통한 나사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한 후에, 그와 맞은편 도어 프레임(140)에 제2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한다. 이후 제1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전체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조합을 완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서로 맞닿아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반적인 유리문과는 달리 반복적인 충격에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충격완화부재(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하로 연결된 제1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로 연결된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배치하도록 설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40)은 상기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150)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150)은 상기 도어 프레임(14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1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출력되는 비디오 영상을 왜곡 없이 투과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케이스(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자동문 케이스는 벽면(10)을 따라 출입구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문 케이스 중 양 측면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측면 케이스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측면 케이스 상부면을 따라 상기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구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레일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측면 케이스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에 부착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부 앞 소정의 영역 내의 오브젝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부(300)로 센싱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센서(400)의 감지 범위에 해당하며, 적절한 넓이를 가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400)는 또한 상기 센싱 신호를 상기 컨트롤 박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케이스 내부에는 컨트롤 박스(500)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0)와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케이블(503)을 통해 통신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디오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503)은 전원 케이블 및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케이블과 상기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된 케이블 세트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케이블(503)은 복수 개의 케이블 세트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503)의 한쪽 끝단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일 부분에 연결되며, 반대쪽 끝단은 상기 컨트롤 박스(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503)은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컨트롤 박스(500)를 일대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출입구 개폐를 위해 빈번하게 구동되어야 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503) 또한 계속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503)의 구동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케이블 설치 위치를 설계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에서, 케이블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5003)은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과 하나의 컨트롤 박스(50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상기 케이블(5003)이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과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5000)를 동시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5003)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박스(5000)의 일단에 마련된 케이블 포트(5004)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된 케이블 포트(5005)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5003)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에서 무작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5003)의 일부분을 자동문 케이스 내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컨트롤 박스(5000)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5003)은 상기 컨트롤 박스(5000)의 케이블 포트(5004)로부터 A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5003)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의 케이블 포트(5005)로부터 B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실험 결과, 상기 컨트롤 박스(5000)를 가로 754mm, 세로 238mm, 높이 34mm의 육면체로 형성시키는 경우, 전술한 케이블(5003)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A는 100mm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험 결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을 가로 1225mm, 세로 810mm, 두께 13.5mm의 얇은 판형 육면체로 형성시키는 경우, 전술한 케이블(5003)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B는 80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5000)로부터 상기 A만큼 이격된 지점을 이하 A 지점이라고 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로부터 상기 B만큼 이격된 지점을 이하 B 지점이라고 한다.
상기 케이블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A 지점과 상기 B 지점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5003)은 상기 A지점과 상기 B지점에 의해 설정되는 일정한 유동 구간 내에서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5003)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에서 무분별하게 유동하지 않고, 목적된 영역 내에서만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유동할 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5003)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7000)이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A 지점과 상기 B 지점에 의해 유동 가능한 최대 구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자동문 시스템의 사용자는 케이블(5003)이 유동 가능한 지점에 불필요한 구조물들을 배치하지 않고 자동문을 설계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03)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8000)이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A 지점과 상기 B 지점에 의해 유동 가능한 최소 구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자동문 시스템의 사용자는 상기 케이블(6003)이 가장 압축되어 유동되는 상황을 예상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해, 신뢰성 높은 상기 자동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 구간 내에서 상기 케이블(6003)이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 레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레일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의 케이블 유동 영역 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6003)을 기설정된 일정한 경로에 따라 유동시킨다.
도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자동문의 구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500)는 출입구가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의해 패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400)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센싱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100)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 비디오 데이터 처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영역(800) 내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은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기설정된 제1 비디오 데이터(206)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206)는 상기 컨트롤 박스(500)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206)는 모든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동되어 전체 화면 모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개별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별도의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영역(800) 내에 사용자 등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센서(400)는 이를 감지하고 센싱 신호를 구동부와 컨트롤 박스(500)로 전송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움직여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제1 측면 프레임에 수용 가능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측면 프레임에 수용 가능한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각각 상기 제1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에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을 하는 동안,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1 비디오 데이터와는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207)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과는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에 따라, 상기 출입구는 개방되고, 사용자는 출입구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모두 삽입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으며, 소정의 영역(800) 내에 오브젝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삽입되던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을 하는 동안,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제2 비디오 데이터와는 다른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500)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상기 제2 비디오 데이터와는 다른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입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되는 서로 다른 영상을 통하여,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는 안정적으로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상기 컨트롤 박스(500) 간 안정적인 비디오 데이터 입출력이 필요하며, 이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컨트롤 박스(500)로 접근하기 쉬운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케이스(121)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1 메인터넌스 도어(Maintenance door)(131)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122)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2 메인터넌스 도어(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 및 상기 제2 메인터넌스 도어(132)는 개폐되어 사용자가 상기 측면 케이스의 내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메인터넌스 도어는 상기 측면 케이스의 일부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 도어의 일측에는 힌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터넌스 도어를 여닫을 수 있다.
우선,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를 개방하면, 제1 측면 케이스(121)에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그에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500)에 접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메인터넌스 도어(132)를 개방하면, 제2측면 케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에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500)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터넌스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자동문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출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터넌스 도어(132)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전체 영상(700)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220)은 전체 영상(700) 정보를 제1 영상 정보 및 제2 영상 정보로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체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영상으로 인지될 수 있다.
도 9a에서 일 실시예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체 영상 정보는 하트 모양을 표현하는 영상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전체 영상 정보는 다시 하트 모양의 한 쪽 절반만을 표현하는 제1 영상 정보 및 나머지 절반을 표현하는 제2 영상 정보로 나뉘어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총 4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될 경우, 상기 제1 영상은 다시 제1-1 영상 및 제 1-2 영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1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상은 다시 제2-1 영상 및 제 2-2 영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2 상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문 시스템 앞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는, 상기 제1 상부 및 하부, 제2 상부 및 하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전체로서 하나의 통일된 영상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자동문 시스템의 운영 중 일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문제가 발생한 쪽의 메인터넌스 도어를 개방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컨트롤 박스를 점검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가 개방되는 경우, 구동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비디오 데이터 출력이 오프(Off)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앞서 출력되던 상기 제2 영상이 계속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다.
이이 따라, 사용자는 메인터넌스 도어 개방을 통해 상기 자동문 시스템 중 일부를 정지하고, 안전하게 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문 시스템 중 일부를 장시간 정지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정지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만으로 구동을 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상기 메인터넌스 도어의 개방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하는 대신, 제3 영상(703)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영상(703)은 상기 전체 영상과 동일한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영상(703)은 상기 전체 영상에서 표현되었던 컨텐츠와 동일하지만, 화면 사이즈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해상도를 스케일링하는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영상(703)은 상기 전체 영상이 표현하였던 하트 모양의 컨텐츠와 동일하게, 하트 모양의 컨텐츠(70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전체 영상과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할 경우, 전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시에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보다 상기 컨텐츠를 표현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지므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상도 변경은,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체 영상에서 출력되었던 컨텐츠에 비해 자동문의 높이 방향으로 보다 길게 표현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쪽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문제가 생겨 영상 정보 출력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나머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체 영상(700)과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시각 정보를 유사하게 제공할 수 장점이 있다.
상술한 자동문 시스템을 다시 말하면, 모든 메인터넌스 도어가 폐쇄된 경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제2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가 개방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제1 영상 의 출력을 오프(Off)하고,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가 개방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제3 영상(703)을 출력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영상(703)은 상기 전체 영상(700)과 컨텐츠는 동일하지만 해상도, 사이즈가 자동 변경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하다면, 상기 메인터넌스 도어를 닫고 상기 제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20)에 계속적으로 각각 제1 및 제2 영상(702)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 신호 없이도, 사용자는 상기 자동문 시스템에 따른 자동문 개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무분별한 센싱 동작을 막고, 필요한 인원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자동문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우선,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대기 상태를 가정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1001).
센서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자동문 인근 소정의 영역내에 오브젝트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2).
상기 판단 결과 감지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자동문이 개방된다(S1003).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구동부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슬라이딩 구동하여, 자동문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한 자동문 개방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4).
상기 판단 결과 완료된 경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든 비디오 데이터 출력이 차단된다 (S1005).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삽입이 완료되고, 상기 출입구의 개방이 완료된 후, 기설정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6).
상기 판단 결과 기설정 시간 초과시, 상기 구동부는 다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007).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구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구동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다시 상기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연결된 컨트롤 박스는 전체 영상을 제1 영상 및 제2 영상으로 분할하고(S1101), 이를 각각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S1102).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동 중,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자동문 케이스에 구비된 제1 메인터넌스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에 연결된 컨트롤 박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된 것이 감지된 경우(S1103),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 정보 전송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출력이 차단된다(S1104).
또한, 이와 동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슬라이딩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체 자동문 시스템을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의 개방이 기설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S1105),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제2 영상을 출력되는 대신 제3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S1106)
이에 따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전체 영상과 동일한 컨텐츠을 출력하여, 상기 자동문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발생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후,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131)를 폐쇄하면(S1107), 다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제1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제2 영상이 출력되어, 전체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연결되어 형성된 하나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S110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벽면 100: 자동문 케이스
200: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300: 구동부
400: 센서 500: 컨트롤 박스

Claims (13)

  1.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구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 케이스; 상기 출입구의 일 측면에서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출입구의 타 측면에서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문 케이스;
    상기 제1 측면 케이스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1 메인터넌스 도어;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의 일부 면에 구비되는 제2 메인터넌스 도어; 를 포함하는 메인터넌스 도어 - 상기 제1 메인터넌스 도어 및 상기 제2 메인터넌스 도어는 개폐되어 사용자가 상기 측면 케이스의 내부에 접근 가능함-;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며, 오브젝트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에는 제1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일부에는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영상인 제 3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제 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된 것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제 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 1 영상 정보의 출력을 오프하고, 상기 제 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계속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 2 영상 정보의 출력을 온 상태로 두고,
    상기 제 1 메인터넌스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 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보정된 제 3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보정된 제 3 영상 정보는 상기 제 3 영상 정보로부터 해상도가 보정된 영상 정보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2 측면 케이스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맞닿아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충격완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는 강화 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화유리의 두께는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상하로 나란히 연결된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투명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 앞 소정의 영역 내에 오브젝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부로 센싱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는
    상기 출입구가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패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센싱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자동문 케이스에 모두 삽입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트롤 박스는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3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자동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114961A 2020-09-08 2020-09-08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KR10252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61A KR102521286B1 (ko) 2020-09-08 2020-09-08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US17/236,690 US11735075B2 (en) 2020-09-08 2021-04-21 System for implementing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61A KR102521286B1 (ko) 2020-09-08 2020-09-08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68A KR20220032968A (ko) 2022-03-15
KR102521286B1 true KR102521286B1 (ko) 2023-04-13

Family

ID=8047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961A KR102521286B1 (ko) 2020-09-08 2020-09-08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35075B2 (ko)
KR (1) KR102521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293435A1 (en) * 2019-06-13 2021-10-2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wing door operator operable in powered and powerless mode
WO2020249455A1 (en) * 2019-06-13 2020-12-17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Method for testing a door operator
KR102639909B1 (ko) * 2022-07-18 2024-02-26 페인트팜 주식회사 리어스크린을 이용한 퀴즈 자동 액세스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446A (ja) * 2010-09-21 2012-04-05 Teraoka Facilities Inc 自動ドアシステム
JP2017114412A (ja) * 2015-12-25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1947C1 (de) * 1996-12-16 1998-03-12 Dorma Gmbh & Co Kg Brandschutztür
DE19959825C1 (de) * 1999-12-10 2001-07-26 Dorma Gmbh & Co Kg Schiebewand mit mehreren seitlich verschiebbaren Wandelementen
US8225458B1 (en) * 2001-07-13 2012-07-24 Hoffberg Steven M Intelligent door restraint
WO2010117506A2 (en) * 2009-04-06 2010-10-14 Lemerand L Gale Hands-free door opening system and method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38352B1 (ko) * 2015-06-10 2018-03-13 이관호 다양한 기능의 기밀성 방풍 자동문
US9447625B1 (en) * 2015-07-17 2016-09-20 Ravi Seebaransingh Door lock system
US11072965B2 (en) * 2016-12-07 2021-07-27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Automatic door operator for a swing door assembly
RU2764845C2 (ru) * 2017-04-10 2022-01-21 Асса Аблой Энтранс Системс АБ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ходной системы, имеющей один или несколько подвижных дверных элементов
US11639625B2 (en) * 2018-06-06 2023-05-02 Richard Chi-Hsueh Hinge system of electric door
CA3106290A1 (en) * 2018-08-09 2020-02-13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oor operator and method of its operation
TWI675958B (zh) * 2018-11-23 2019-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空間調整系統及其控制方法
KR20210023177A (ko) * 2019-08-22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21376023A1 (en) * 2020-11-04 2023-06-22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Touchless door open/close system
US11631348B2 (en) * 2021-04-12 2023-04-18 Bi-Search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ransparent organic lighting diode (TOLED) display with transparency control medium and with a versatile mou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446A (ja) * 2010-09-21 2012-04-05 Teraoka Facilities Inc 自動ドアシステム
JP2017114412A (ja) * 2015-12-25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68A (ko) 2022-03-15
US20220074254A1 (en) 2022-03-10
US11735075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286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문을 구현하는 시스템
KR102591365B1 (ko) 확장형 표시 장치
US20140232958A1 (en) Flat panel electronic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JP5870121B2 (ja) 半透明のデジタル表示システム
KR101252294B1 (ko) 투명 정보 전달 윈도우
JP2022000696A (ja) 情報処理装置
KR101122883B1 (ko) 전시물품을 배경으로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쇼케이스.
CN105531753A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2018010833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having multiple viewing regions
US20100214268A1 (en) Optical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067197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WO2014006490A1 (en) Display module and structure with such module
US11521521B2 (en) Display apparatus
US9105615B1 (en) Substrate vias for a display device
CN105556584A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9972669B2 (en) Display device with heterogeneous pixel array for borderless design
TWI706078B (zh) 一種帶顯示功能的窗戶以及使用該窗戶的房子
US20160327729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CN203786738U (zh) 移动装置保护壳
KR101385717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워크인 쿨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인 쿨러
KR2016012441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70140872A (ko) 인터랙티브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KR101999349B1 (ko) 표시장치
US11218581B2 (en) Display apparatus
CN101916023A (zh) 电子纸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