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231B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231B1
KR102520231B1 KR1020210061002A KR20210061002A KR102520231B1 KR 102520231 B1 KR102520231 B1 KR 102520231B1 KR 1020210061002 A KR1020210061002 A KR 1020210061002A KR 20210061002 A KR20210061002 A KR 20210061002A KR 102520231 B1 KR102520231 B1 KR 10252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duction gear
rotational force
output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425A (ko
Inventor
권현식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2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변경하여 피스톤에 변경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변경된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지지되도록 서로 요철구조의 결합 형태를 갖는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 및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틸트보정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A MOTOR REDUCER FOR ELECTR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에서 전달되는 동력의 입력축과 동력의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크는 한쌍의 마찰패드를 구비한 캐리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퇴하면서 디스크를 멈추게 한다. 캐리어의 슬라이딩은 캘리퍼 하우징의 피스톤 왕복 운동으로 이루어지는데 피스톤의 동작은 스핀들 유닛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핀들 유닛은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된 모터 감속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스톤을 동작시키게 된다.
복수의 감속기어들로 구성된 감속기는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기어열을 통해 전달하면서 회전속도는 감속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대시키는 장치이다. 감속기의 기어비가 클수록 회전속도는 감소하고 출력 토크는 증가한다.
유성기어는 동력전달효율이 우수하며 다양한 기어비를 얻을 수 있어, 각종 기계장치의 동력 전달계의 감속기에 적용되고 있다. 유성기어는 중심의 선기어와 이와 이격 배치된 링기어의 사이에 위성 기어들을 배치하고, 캐리어가 위성기어들을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많은 부품들이 전자식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자동차의 제동과 조향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이 적용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ic Parking Brake: EPB)도 승객 편의와 안전을 위해 최근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평지나 경사에서 차량을 홀드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기계식 파킹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레버나 페달에 가하는 힘에 의해 작동되는데 반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된 감속장치가 액츄에이터로 기능하여 차량을 홀드한다.
또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케이블 풀러형과 캘리퍼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캘리퍼형은 후륜 주 브레이크의 캘리퍼에 일체로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캘리퍼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케이블 풀러형에 비해 레이아웃을 구성하기가 유리하다.
이와 같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좁은 공간에 설치되거나 자동차의 타부품에 장착 또는 연결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7092호는 한개의 캐리어로 다단 유성기어 세트가 다단 세트 형태로 배치된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도록 하여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 시킨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47092호는 모터와 감속기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도록 한 후, 브래킷을 이용하여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 제10-2047092호는 감속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단순화하였지만 모터 회전력의 입력축과 감속기의 출력축이 이격되어 있어 여전히 수평 방향의 비점유 공간이 많은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감속기와 모터가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인데, 감속기나 모터가 점유하지 않은 공간이 발생할 경우 모터나 감속기를 소용화한 이점이 줄어들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은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는 감속기의 입력축과 감속기의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 주차 브레이크의 설치 및 설계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7092호 (2019.11.20)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변경하여 피스톤에 변경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변경된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지지되도록 서로 요철구조의 결합 형태를 갖는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 및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틸트보정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얼라인 수단은,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에서 획득한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보정하는 제1 및 제2 틸트보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입력지지부 또는 출력지지부에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센서발광부와 센서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는 제1 위치센서와 제2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지지부 사이의 제1 거리 정보와 상기 제2 위치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지지부 사이의 제2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방향으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하여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동일선상 위치하도록 틸트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감속기어는 동축 구조 형태로 배치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 및 제2 감속기어그룹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선기어에서 제공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출력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에서 각각 출력되는 회전력은 상기 출력기어에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얼라인 수단은,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지지부는 일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고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큰 구조를 갖는 제1 얼라인 확인부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지지부는 일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제1 얼라인 확인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제1 얼라인 확인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큰 제2 얼라인 확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제1 얼라인 확인부는 상기 돌출부의 홈 내측에 배치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는 입력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한 후, 변경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피스톤으로 출력하는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기 입력축과 결합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제공된 변경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 및 상기 입력축의 일단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과 마주하는 출력축의 일단에는 각각 배치된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은 상기 감속기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중첩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감속기어는 입력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들은 계단식 나선형태로 연속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선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선기어에서 제공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으로 분산된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출력기어에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모터와 감속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모터와 감속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평면도와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평면도와 단면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입력축에 배치된 입력지지부와 출력축에 배치된 출력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되는 얼라인 수단을 구성하는 위치 센서가 입력축과 출력축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된 얼라인 수단이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보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되는 얼라인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의 제1 얼라인 확인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모터와 감속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모터와 감속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차량을 홀드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기능을 하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모터(120)는 감속기(15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회전력을 제공받은 감속기(150)는 회전속도는 감속시키면서 회전 토크는 크게하는 회전력 변경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운전자의 간단한 입력만(예를 들어, 스위치의 온/오프)으로 자동차가 일정시간 홀드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감속기(150)는 최초 모터(120)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의 기어축 역할을 하는 입력축(141)과, 모터(1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감쇄시켜 출력하는 출력축(142)과, 입력축(141: 선기어(160)와 출력축(14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와, 제3 감속기어(163)로부터 제공된 변경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피스톤에 저달하는 출력기어(164)와, 입력축(141: 선기어(160)), 출력축(142),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 및 출력기어(164)를 수용하는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는 각각 직경이 큰 기어(제1 피니언(F1))와 제1 피니언(F1)보다 직경이 작은 기어(제2 피니언(F2))로 구성된 이중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141)과 모터(120) 회전력을 감속(감쇄)하여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축(142)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동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축 구조로 구현할 경우,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적층 배치할 수 있어 설치시 부품이 점유하지 않는 비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 및 감속기(150)를 소형화하거나 제작 및 설치시 충분한 설계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 사이에 계단식 나선형태로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를 배치한다. 또한, 입력축(141)의 모터(120) 회전력은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를 통해 감속된 후 출력축(142)을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이 선기어(160)로 전달되면, 선기어(160)는 맞물려 있는 제1 감속기어(16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2 감속기어(161)에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제2 감속기어(162)와 제3 감속기어(163)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들 각각은 직경이 큰 기어인 제1 피니언(F1)과 제1 피니언(F1)보다 직경이 작은 기어인 제2 피니언(F2)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인접한 감속기어들에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기능을 한다.
제1 감속기어(161)는 선기어(16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피니언(제2 피니언(F2))에 의해 인접한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 회전력은 인접한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다.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 회전력은 출력축(142)과 결합된 출력기어(164)에 전달된다.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출력기어(164)는 결합된 출력축(142)에 전달되어 출력축(142)을 통해 회전력이 출력된다. 특히, 감속기어를 구성하는 제1 피니언(F1)과 제2 피니언(F2)의 직경에 따라 전달되는 회전력의 속도 감소비와 토크 증가비가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일직선 상(도면에서는 수직한 직선에 입력축과 출력축이 중첩된 동축 구조)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미스 얼라인되면 입력축(141)과 결합된 선기어(160)와의 거리가 변동되어 선기어(160)의 회전력이 제1 감속기어(161)에 모두 전달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위치가 동축 구조로 고정되지 않으면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에 대한 회전 속도 감소비와 토크 증가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출력축(142)과 결합된 출력기어(164)는 인접한 제3 감속기어(163)와 맞물려 회전력(회전속도와 토크)을 전달받기 때문에 출력축(142)이 경사지거나 틸트로 인하여 입력축(141)과의 동축 구조가 깨지게 되면 감속기어들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손실없이 출력축(142)에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모터(120)와 감속기(150)의 소형화에 따른 비점유 면적을 최소화하고 설계 마진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위치가 동축 구조가 되지 않으면(입력축 또는/및 출력축의 이동, 틸트 등)되면 종래 기술보다 오히려 감속기(150)의 출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미스 얼라인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의 구조를 서로 결합 형태의 요철구조로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141)과 피스톤 동작을 위해 변경된 회전력을 제공받는 출력축(142)이 분리된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였다. 즉,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은 분리된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개별로 배치될 때보다 고정 지지력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축(141) 또는/및 출력축(142)의 유동 및 틸트(tilt)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 사이에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비동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에 배치된 얼라인 수단은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와 위치센서에서 획득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의 틸트보정을 진행하는 틸트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는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던 비점유 영역을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모터(120)의 회전력을 변경하여 변경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142)은 수직한 직선상에 중첩 배치되는 동축 구조로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 모터 감속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감속기의 일단에 모터가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의 회전축이 공급되는 입력축과 감속기의 출력축 사이에는 아이들러 기어가 배치되어 있어 모터의 회전력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출력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감속기의 출력축이 비동축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감속기의 입력축과 출력축이 평행하게 이격된 비동축 구조인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감속기와 감속기의 일단에 모터가 조립된다. 따라서, 감속기와 평행한 모터가 위치한 영역에 구성품들의 비점유 영역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감속장치의 구조는 감속기와 모터가 소형화로 제작되더라도 항상 비점유 영역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모터 감속장치의 감속기와 모터를 소형화하더라도 소형화에 따른 이점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평면도와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에 배치되는 감속기의 입력축과 출력축을 동축 분할 구조로 구현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함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모터(120)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와, 제3 감속기어(163)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 및 출력기어(164)는 계단식 나선형 구조로 서로 연속하게 맞물려 결합되어 입력축(141)에서 제공된 모터(12)의 회전력을 입력축(141)과 분할된 동축 구조의 출력축(142)에 전달한다. 도면에는 도시 하지 않았지만, 감속장치 외부에는 제품명칭, 기어사이즈, 샤프트, 제품타입, 감속비, 입력단, 체결위치, 출력단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코드가 라벨 형태로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입력축(141)에는 선기어(160)가 체결되어 있어, 입력축(141)의 회전과 동일하게 선기어(160)는 회전한다. 즉, 모터(1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은 선기어(160)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선기어(160)는 인접한 제1 감속기어(161)에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 감속기어(16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축(17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기어축(171)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는 한쌍의 피니언(F1, F2)으로 구성된다. 즉, 직경이 큰 기어인 제1 피니언(F1)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어인 제2 피니언(F2)이 쌍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기어(160)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직경이 큰 제1 피니언(F1)에 전달되고, 제1 피니언(F1)은 체결된 제1 기어축(17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 기어축(171)에는 직경이 작은 제2 피니언(F2)이 인접한 제2 감속기어(162)의 제1 피니언(F1)과 체결되어 있어, 제1 기어축(171)의 회전력은 다시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다.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설명하지 않은 A-A'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에 중첩되는 가상의 동축 기준선을 나타내는 것이고 B-B'는 제1 기어축(171)과 중첩되는 가상의 제1 기어축 기준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 감속기어(162)의 제1 및 제2 피니언(F1, F2)은 제2 기어축(172)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다. 제3 감속기어(163)의 제1 및 제2 피니언(F1, F2)은 제3 기어축(173)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에 전달된다. 출력기어(164)는 출력축(142)과 결합되어 있어, 출력기어(164)에 전달된 회전력은 출력축(142)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 동작을 위해 실린더의 피스톤(1200)에 전달된다.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설명하지 않은 C-C'선은 제2 기어축 기준선이고, D-D'는 제3 기어축 기준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축 분할 구조로 변경하였지만, 모터(120)의 회전력은 입력축(141)에서 선기어(160), 제1 감속기어(161), 제2 감속기어(162), 제3 감속기어(163) 및 출력기어(164)를 경유해 출력축(142)에 전달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의 기능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와 감속기의 배치 구조를 수직 적층 구조로 구현할 수 있어 설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는 입력축과 감속기의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나란히 배치하되 분할 구조로 구현하여 종래 모터 감속장치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의 동축 분할 구조에서 감속기어의 개수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감속기(150) 내에 제1 및 제2 감속기어(161, 162)가 배치된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속도와 토크를 변경하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161, 162)와, 제2 감속기어(162)로부터 변경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피스톤(1200)에 제공하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모터(120)의 회전력이 입력축(141)에서 출력축(142)으로 전달되는 과정은 전술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별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감속기어(161)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2 감속기어(162)로 전달되고,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와 출력축(142)에 전달된다. 출력축(14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스톤(1200)에 전달되어 실린더(미도시) 내에서 피스톤(1200)이 왕복운동을 한다. 피스톤(1200)은 자동차의 휠(디스크)을 가압하여 멈추게 하는 마찰패드에 연결되어 자동차를 홀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감속기(150) 내에 제1 감속기어(161)만 배치된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에서 순차적으로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감속기어(161)와, 제1 감속기어(161)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는 선기어(160)와 출력기어(164) 사이에 제1 감속기어(161)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1 감속기어(161)의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와 출력축(142)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평면도와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를 도 4a 내지 도 6b와 같이 입력축과 출력축을 동축 분할 구조로 구현하고, 추가적으로 감속기어들을 분할 그룹으로 배치하여 동력 분할 구조로 구현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함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모터(120)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출력기어(164) 및 출력축(142)에 제공하는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을 포함한다.
제1 감속기어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일 수 있다. 제2 감속기어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내지 제6 감속기어(261, 262, 263)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와 제4 내지 제6 감속기어(261, 262, 263)들은 각각 직경이 큰 기어인 제1 피니언(F1)과 직경이 작은 기어인 제2 피니언(F2)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설명하지 않은 b-b', c-c' 및 d-d'는 제4 내지 데6 감속기어(261, 262, 263)에 각각 배치되는 제4 기어축 기준선, 제5 기어축 기준선 및 제6 기어축 기준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중심으로 모터(120)에 제공되는 회전력을 분할하기 위해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이 배치된다. 제1 감속기어그룹으로 구성된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와 출력기어(164)는 계단식 나선형태로 서로 연속하게 결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감속기어그룹으로 구성된 제4 내지 제6 감속기어(261, 262, 263)와 출력기어(164)도 계단식 나선형태로 서로 연속하게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선기어(160) 영역에서는 회전력이 제1 감속기어그룹의 제1 감속기어(161)와 제2 감속기어그룹의 제4 감속기어(261)로 분할된다(모터의 동력 분할 구조). 출력기어(164) 영역에서는 제1 감속기어그룹의 제3 감속기어(163)와 제2 감속기어그룹의 제6 감속기어(263)에 전달된 모터(120)의 변경된 회전력(회전속도와 토크가 변경)이 서로 합해져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감속기(150) 내에서 동력이 분할되도록 감속기어그룹들을 배치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즉, 감속기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피니언(F1, F2)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감속기어의 제조 단가를 줄이면서 종래 감속기어에 인가되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입력축(141)에는 선기어(160)가 체결되어 있어, 입력축(141)의 회전과 동일하게 선기어(160)는 회전한다. 즉, 모터(1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은 선기어(160)에 직접 전달된다. 선기어(160)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도 4a 내지 도 6b와 달리 제1 감속기어그룹의 제1 감속기어(161)와 제2 감속기어그룹의 제4 감속기어(261)에 분할되어 전달된다.
제1 감속기어그룹은 제1 감속기어(161), 제2 감속기어(162) 및 제3 감속기어(163)로 구성되고, 제1 감속기어(161), 제2 감속기어(162) 및 제3 감속기어(163)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식 나선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감속기어그룹은 제4 감속기어(261), 제5 감속기어(262) 및 제6 감속기어(263)로 구성되고, 제4 감속기어(261), 제5 감속기어(262) 및 제6 감속기어(263)는 제1 감속기어그룹의 감속기어들과 같이, 계단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속기어(161)는 제1 기어축(17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선기어(160)에서 제공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1 감속기어(161)를 통해 제1 기어축(171)으로 전달된다. 제1 기어축(171)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1 감속기어(161)의 제2 피니언(F2)을 통해 인접한 제2 감속기어(162)로 전달되고, 다시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감속기어(163)로 전달된다. 특히, 제3 감속기어(163)로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164)에 전달되는데,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도 4a 내지 도 6b와 달리 출력기어(164)에 모터(120)의 회전력의 절반 정도가 전달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감속기어그룹의 제4 감속기어(261), 제5 감속기어(262) 및 제6 감속기어(263)들도 순차적으로 선기어(160)로부터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을 출력축(142)에 전달한다.
제4 내지 제6 감속기어(261, 262, 263)들은 각각 제4 기어축(271), 제5 기어축(272) 및 제6 기어축(273)과 결합되어 있다. 선기어(160)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4 감속기어(261)의 제1 피니언(F1)에 전달되고 제1 피니언(F1)은 제4 기어축(27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4 기어축(271)은 제2 피니언(F2)과 결합되어 있어, 제4 기어축(271)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인접한 제5 감속기어(26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선기어(160)의 회전력은 제2 감속기어그룹의 제4 내지 제6 감속기어(261, 262, 263)들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출력축(14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으로 분할되어 전달된 후, 출력축(142)에서 다시 통합된다. 회전력이 통합된 출력축(142)은 연결된 피스톤(12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피스톤(1200)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분산하여 감속하거나 변경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감속기어에 인가되는 로드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41)과 감속기(150)의 출력축(142)을 동출 구조로 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을 분산하도록 하여 감속기(150)에 배치되는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의 동력 분할 구조(동축 분할 구조에서 회전력을 다시 분산하는 구조)에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에 배치되는 감속기어의 개수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감속기(150) 내의 제1 감속기어그룹에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161, 162)가 배치되고 제2 감속기어그룹에는 제4 및 제5 감속기어(261, 262)가 배치된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제공된 선기어(160)의 회전력을 분산하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과,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모터(120)의 회전력이 선기어(160)와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에서 분할된 후, 전달되는 과정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구별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감속기어그룹은 선기어(16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1 감속기어(161)와 제2 감속기어(162)에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2 감속기어(162)의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에 전달되고, 출력기어(164)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출력기어(164)와 결합된 출력축(142)에 전달된다.
또한, 제2 감속기어그룹은 선기어(16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4 감속기어(261)와 제5 감속기어(262)에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제5 감속기어(262)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제5 감속기어(262)의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에 전달되고, 출력기어(164)에 전달된 모터(120)의 회전력은 출력기어(164)와 결합된 출력축(14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회전력이 출력축(142)에서 통합된 후, 출력축(142)과 연결된 피스톤(1200)에 전달되어 실린더(미도시) 내에서 피스톤(1200)을 왕복시킨다.
도 9a 및 도 9b는 감속기(150) 내에 배치된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에 각각 제1 감속기어(161)와 제4 감속기어(261)만 배치된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포함한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의 회전력을 분산하는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과,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즉, 도 9a 및 도 9b는 모터(1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제1 감속기어(161)와 제4 감속기어(261)에서 분산된 후, 출력기어(164)에서 변경된 회전력이 서로 통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의 입력축에 배치된 입력지지부와 출력축에 배치된 출력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모터(120)의 회전력을 변경한 후 이를 피스톤(1200)으로 출력하는 감속기(150)의 출력축(142)이 수직한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에 제공되는 모터(120)의 회전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구조가 형성된다. 즉, 감속기(150)의 입력축(141)의 일단에는 입력지지부(141a)가 배치되고, 입력지지부(141a)와 마주하는 출력축(142)의 일단에는 출력지지부(142a)가 배치된다.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는 서로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가 돌출구조(요철 구조 중 철부)인 경우 이와 마주하는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는 함몰구조(요철구조중 요부)일 수 있다. 또한,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가 함몰구조일 경우, 이와 마주하는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는 돌출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에 배치되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지지구조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동축 구조를 유지하면서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출력축(142) 사이에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모터(120)와 감속기(150)를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되는 얼라인 수단을 구성하는 위치 센서가 입력축과 출력축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된 얼라인 수단이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보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의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에 위치센서와 틸트보정부로 구성된 얼라인 시스템을 배치하여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의 틸트 불량을 보정하도록 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 사이에는 제1 위치센서(1100)와 제2 위치센서(1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센서(1100)는 제1 센서발광부(1100a)와 제1 센서수광부(1100b)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위치센서(1110)는 제2 센서발광부(1110a)와 제2 센서수광부(1110b)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센서발광부(1100a)와 제2 센서발광부(1110a)는 제1 입력지지부(141a)에 배치되고, 제1 센서수광부(1100b)와 제2 센서수광부(1110b)는 출력지지부(142a)에 배치되었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입력지지부(141a)에 제1 센서발광부(1100a)와 제2 센서수광부(1110b)가 배치되고, 이와 각각 대응되는 제1 센서수광부(1100b)와 제2 센서발광부(1110a)는 출력지지부(142a)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위치센서(1100, 111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은 얼라인 시스템의 제1 틸트보정부(1500) 또는 제2 틸트보정부(1600)에 의해 틸트보정될 수 있다.
제1 틸트보정부(1500)는 입력축(141)이 틸트로 인하여 기울어져 있거나 출력축(142)과의 동축 구조가 아닌 경우 입력축(141)의 위치 또는 기울기를 변경하는 틸트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얼라인 시스템의 제1 틸트보정부(1500)는 모터(120) 영역에 설치되거나 모터(120)와 입력축(14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틸트보정부(1600)는 실린더와 피스톤(1200) 영역에 설치되거나 피스톤(1200)과 출력축(14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얼라인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위치센서(1100, 1110)는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축(141)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러진 경우(점선), 제1 위치센서(1100)에서 측정한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 사이의 거리와 제2 위치센서(1110)에서 측정한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른 값을 갖게된다.
따라서, 제1 위치센서(1100)의 거리 정보와 제2 위치센서(1110)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이루었는지를 알 수 있다. 제1 위치센서(1100)의 거리정보가 제2 위치센서(1110)의 거리정보보다 작은 경우, 입력축(141)은 제1 위치센서(1100) 방향으로 기울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틸트보정부(1500)에 의해 입력축(141)의 기울기 방향을 제2 위치센서(1110) 방향으로 틸트 보정하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이루도록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의 얼라인 시스템은 제1 위치센서(1100)의 거리 정보와 제2 위치센서(1110)의 거리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인지에 따라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위치센서(1100, 1110)의 거리 정보가 서로 동일할 경우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서로 동축 구조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위치센서(1100, 1110)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보다 작은 경우,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위치하여 모터 감속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서로 맞닿을 위험이 있다고 보고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간격을 기준거리 범위 내로 얼라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틸트보정부(1500)에 의해 입력축(141)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제2 틸트보정부(1600)에 의해 출력축(14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위치센서(1100, 1110)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보다 큰 경우,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의 거라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판단하고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을 동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 사이의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센서(1100)와 제2 위치센서(1110)의 거리 정보가 서로 다르면서 이들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보다 작거나 큰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에 대한 틸트보정과 함께 거리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에 배치되는 얼라인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의 제1 얼라인 확인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10a 및 도 10b와 함께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감속기(150)의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동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감속기(150) 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에 얼라인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는 서로 요철 구조로 형성하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지만 서로 지지 구조로 형성한다.
얼라인 수단은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갖도록 하지만 동작 중 또는 감속기어와 기어축 조립시 입력축(141) 또는/및 출력축(142)이 틸트되어 동일선상에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기어축 조립시 자동으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과 함게 도 13a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의 감속기(150)에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일 선상(동축 구조)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축(141)의 일단에는 입력지지부(141a)를 배치하고 출력축(142)의 일단에는 출력지지부(142a)를 배치하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서로 분리된 구조로 배치되지만 서로 지지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는 요철구조 형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는 각각 요부 또는 철부로 형성하여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가 서로 결합 지지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하지만,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은 서로 분리된 구조이기 때문에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는 서로 맞닿는 결합 구조로 조립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요부 구조를 갖는 입력지지부(141a) 또는 출력지지부(142a)와 철부 구조를 갖는 출력지지부(142a) 또는 입력지지부(141a)에 얼라인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였다.
입력지지부(141a) 또는 출력지지부(142a)가 철부 구조를 갖는 경우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부(541)와 돌출부(541)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1 얼라인 확인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철부 구조의 입력지지부(141a) 또는 출력지지부(142a)와 대응되는 요부 구조의 출력지지부(142a) 또는 입력지지부(141a)는 돌출부(541)와 제1 얼라인 확인부(54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41)와 수용부(641)의 상측에 배치된 제2 얼라인 확인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가 철부 구조를 갖고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가 요부 구조를 갖도록 도시하였지만, 입력지지부(141a)가 요부 구조를 갖고 출력지지부(142a)가 철부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41)의 폭을 D2,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을 D3, 제2 얼라인 확인부(642)의 폭을 D1, 수용부(641)의 폭을 D4라 하면,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D3)은 돌출부(541)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641)의 폭(D4)은 제2 얼라인 확인부(642)의 폭(D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얼라인 확인부(642)의 폭(D1)은 제1 얼라인 확인부(6542)의 폭(D3)보다 작고 돌출부(541)의 폭(D2)보다 클 수 있다. 수용부(641)의 폭(D4)은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D3)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용부(641) 내에는 돌출부(541)의 전단과 제1 얼라인 확인부(542)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지지부(141a) 또는 출력지지부(142a)에 배치되는 돌출부(541)는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41)의 폭(D2)은 입력축(141) 또는 출력축(14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철부 구조를 갖는다.
돌출부(541)의 일부 영역에는 제1 얼라인 확인부(54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얼라인 확인부(542)는 돌출부(541)에 형성된 홈(G)에 체결되고 돌출부(541)의 측면(둘레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얼라인 확인부(542)는 돌출부(541)의 홈(G) 내면(바닥면)에 배치된 탄성부(542a)와, 탄성부(542a)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부(542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542a)는 탄성부(542a)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541)의 측면(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슬라이드부(542a)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슬라이드부(542a)는 돌출부(541)의 측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542a)는 중앙 영역의 폭이 가장 크고 중앙 영역에서 양측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 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축 구조(동일선상에 배치)로 조립할 때,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 또는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의 철부를 출력축(142)의 출력지지부(142a) 또는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조립과정에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동축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41)의 입력지지부(141a)에 배치된 돌출부(541)와 제1 얼라인 확인부(42)는 출력축(142)이 출력지지부(142a)에 배치된 제2 얼라인 확인부(642)와 수용부(641)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D3)은 제2 얼라인 확인부(642)의 폭(D1)보다 크지만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슬라이드부(542a)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541)의 측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얼라인 확인부(542)는 제2 얼라인 확인부(642)에 삽입된 후, 수용부(641)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확인부(542)와 돌출부(541)의 일부는 수용부(641)의 내부 공간에 수용부(641)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입력축(141)과 제1 얼라인 확인부(542) 사이의 돌출부(541)는 제2 얼라인 확인부(642) 영역에 위치하지만 돌출부(541)의 폭(D2)이 제2 얼라인 확인부(642)의 폭(D1)보다 작기 때문에 돌출부(541)와 제2 얼라인 확인부(642)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동축 구조로 조립할 때, 돌출부(541)와 제1 얼라인 확인부(542)를 제2 얼라인 확인부(642)에 삽입하면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은 자동으로 동일 선상(동축 구조)에 위치하게 된다. 즉, 입력축(141) 또는/및 출력축(142)이 틸트되어 서로 동축 구조가 되지 않더라도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은 서로 동축 구조로 조립된다.
특히, 돌출부(541)에 배치된 제1 얼라인 확인부(542)는 제2 얼라인 확인부(642)에 삽입전에는 D3 폭을 갖지만 제2 얼라인 확인부(642)에 삽입되면서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은 돌출부(541)의 폭(D2) 보다 작아진다. 입력지지부(141a)와 출력지지부(142a)가 서로 완전히 결합(조립)되는 경우에는 제1 얼라인 확인부(542)의 폭(D3)은 돌출부(541)의 측면(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분리된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축(141) 또는/및 출력축(142)이 동축 방향(동일선상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제1 얼라인 확인부(542)는 다시 제2 얼라인 확인부(642)를 통과해야 분리되기 때문에 입력축(141)과 출력축(142)이 설정된 기준범위 보다 크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15a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자동차 휠(바퀴)에 마찰패드의 가압하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20)와, 모터(1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회전속도 및 토크 등을 변경하는 감속기(150)와, 감속기(15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마찰패드가 가압되도록 하는 피스톤(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피스톤(1200)과 감속기(150) 사이(도 15) 또는 모터(120)와 감속기(150)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2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6b에 도시한 감속기(15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감속기(150)를 적용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감속기(150)의 구조는 도 5a 내지 도 6c 또는 도 7a 내지 도 9c이 감속기 구조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감속기(150)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제공받는 선기어(160)와 선기어(160)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모터(120)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와, 제3 감속기어(163)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16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 및 출력기어(164)는 계단 형태로 서로 연속하게 결합되어 입력축(141)에서 제공된 모터(12)의 회전력을 입력축(141)과 분할된 동축 구조의 출력축(142)에 전달한다. 출력축(142)에 전달된 회전력은 출력축(142)과 결합된 보조 감속기어(2200)에 제공된 후 피스톤(1200)에 전달된다. 보조 감속기어(2200)는 제1 유성기어(2201), 제2 유성기어(2202), 링기어(2203), 케이스(2220) 및 제2 유성기어(2202)에 기어축을 제공하는 캐리어(2210)를 포함한다. 보조 감속기어(2200)는 출력축(14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대한 감쇠비를 설정한 유성기어들을 배치하여 피스톤(1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12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입력축(141)에는 선기어(160)가 체결되어 있어, 입력축(141)의 회전과 동일하게 선기어(160)는 회전한다. 즉, 모터(1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은 선기어(160)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선기어(160)는 인접한 제1 감속기어(161)에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 감속기어(16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축(17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기어축(171)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감속기어(161, 162, 163)은 한쌍의 피니언(F1, F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직경이 큰 기어인 제1 피니언(F1)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어인 제2 피니언(F2)이 쌍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기어(160)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직경이 큰 제1 피니언(F1)에 전달되고, 제1 피니언(F1)은 체결된 제1 기어축(17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 기어축(171)에는 직경이 작은 제2 피니언(F2)이 인접한 제2 감속기어(162)의 제1 피니언(F1)과 체결되어 있어, 제1 기어축(171)의 회전력은 다시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다.
제2 감속기어(162)의 제1 및 제2 피니언(F1, F2)은 제2 기어축(172)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감속기어(162)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다. 제3 감속기어(163)의 제1 및 제2 피니언(F1, F2)은 제3 기어축(173)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감속기어(163)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 피니언(F2)을 통해 출력기어(164)에 전달된다. 출력기어(164)는 출력축(142)과 결합되어 있어 출력기어(164)의 회전력은 출력축(142)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100)는, 출력축(142)에 보조 감속기어(2200)가 배치되는데, 보조 감속기어(2200)의 제1 유성기어(2201)는 출력기어(164)와 같이 출력축(142)과 결합된다. 따라서, 출력기어(164)의 회전력은 출력축(142)과 제1 유성기어(2201)에 전달되고, 제2 유성기어(2201)는 인접한 제2 유성기어(220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캐리어(2210)에 조립된 제2 유성기어(2202)는 링기어(2203)와 제1 유성기어(2201) 사이에서 회전하는데, 보조 감속기어(2200)에 배치된 기어들의 직경 비를 통해 출력축(14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소정의 비율로 감쇠된 후 주차 브레이크 동작을 위한 피스톤(1200)에 전달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 및 도 15b와 달리 모터(120)와 감속기(150)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2200)를 배치한 것이다. 모터(1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은 보조 감속기어(2200)의 제1 유성기어(2201)에 전달된 후, 링기어(2203)와 제1 유성기어(2201) 사이에 배치된 제2 유성기어(2202)를 통해 소정의 비로 감쇠된 회전력이 캐리어(2210)로 전달된다. 캐리어(2210)는 입력축(141)과 결합되어 있어 캐리어(2210)의 회전력은 입력축(141)에 전달되고, 입력축(141)에 전달된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150)에 배치된 감속기어들을 경유하여 출력축(142)의 출력기어(164)에 전달된다. 또한, 출력축(142)에 제공된 회전력은 출력축(142)과 연결된 피스톤(120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높임)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마진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이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일방향으로 적층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복수의 감속기어그룹을 배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동력)을 분할함으로써 감속기어들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입력축과 회전력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축을 분리된 동축 구조로 구현하고,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의 분리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얼라인 수단을 배치하여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축 구조를 벗어나도록 틸트된 정보를 획득한 후 틸트보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용 감속기와 모터 사이 또는 감속기와 피스톤 사이에 보조 감속기어를 배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다양한 회전력 감쇠비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120: 모터
141: 입력축
141a: 입력지지부
142: 출력축
142a: 출력지지부
150: 감속기
160: 선기어
161: 제1 감속기어
162: 제2 감속기어
163: 제3 감속기어
164: 출력기어
261: 제4 감속기어
262: 제5 감속기어
263: 제6 감속기어
541: 돌출부
542: 제1 얼라인 확인부
641: 수용부
642: 제2 얼라인 확인부
1100: 제1 위치센서
1110: 제2 위치센서
1200: 피스톤

Claims (14)

  1.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변경하여 피스톤에 변경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변경된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지지되도록 서로 요철구조의 결합 형태를 갖는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 및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틸트보정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수단은,
    상기 입력축의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축의 출력지지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에서 획득한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보정하는 제1 및 제2 틸트보정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입력지지부 또는 출력지지부에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센서발광부와 센서수광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제1 위치센서와 제2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지지부 사이의 제1 거리 정보와 상기 제2 위치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입력지지부와 상기 출력지지부 사이의 제2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방향으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을 틸트하여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동일선상 위치하도록 틸트보정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동축 구조 형태로 배치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 및 제2 감속기어그룹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선기어에서 제공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분산시키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출력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에서 각각 출력되는 회전력은 상기 출력기어에서 통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수단은,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지지부는 일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고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큰 구조를 갖는 제1 얼라인 확인부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지지부는 일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제1 얼라인 확인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제1 얼라인 확인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큰 제2 얼라인 확인부로 구성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확인부는 상기 돌출부의 홈 내측에 배치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10.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공급받는 입력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한 후, 변경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피스톤으로 출력하는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기 입력축과 결합된 선기어;
    상기 선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제공된 변경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 및
    상기 입력축의 일단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과 마주하는 출력축의 일단에는 각각 배치된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은 상기 감속기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입력지지부와 출력지지부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선상에 중첩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갖고,
    상기 감속기어는 입력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과 제2 감속기어그룹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들은 계단식 나선형태로 연속하게 서로 결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첫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선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선기어에서 제공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분산시키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와 상기 제2 감속기어그룹의 마지막번째 감속기어는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 출력기어와 공통으로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감속기어그룹으로 분산된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출력기어에서 통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KR1020210061002A 2021-05-11 2021-05-11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KR10252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02A KR102520231B1 (ko) 2021-05-11 2021-05-11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02A KR102520231B1 (ko) 2021-05-11 2021-05-11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25A KR20220153425A (ko) 2022-11-18
KR102520231B1 true KR102520231B1 (ko) 2023-04-10

Family

ID=8423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002A KR102520231B1 (ko) 2021-05-11 2021-05-11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2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0443B (en) * 2005-09-09 2009-06-01 Yamatake Corp Electrical actuator
KR102456349B1 (ko) * 2016-01-07 2022-10-19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를 이용한 전동식 조향장치
KR102047092B1 (ko) 2019-04-05 2019-11-20 주식회사마르스 기어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25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2118B (zh) 电动盘式制动器
US7247117B2 (en) Drive axle with a work drive that can be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of a traction drive
US20130270047A1 (en) Electric parking brake
CN105730428B (zh) 用于车辆的集成制动装置
US9636999B2 (en) In-wheel assembly and vehicle with the in-wheel assembly
CN102272483B (zh) 包含湿式制动器的传动装置
US9097302B2 (en) Brake actu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motor
US9447831B2 (en) Actuator for electrical parking brake system
US11890942B2 (en) Corner module of vehicle
JP6855832B2 (ja) 車両の駆動システム
US20180238408A1 (en) Electronic disc brake
CN103963766A (zh) 具有驻车制动器的驱动模块
US20140138206A1 (en) Gear shift arrangement with parking block and method for its activation
CN103608204A (zh) 可选择的接地齿轮线性致动装置
US20210053537A1 (en) Progressive steering system for an all-terrain vehicle
CA2734319C (en) Vehicle final reduction gear unit
KR102520231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감속장치
WO2019176771A1 (ja) 車両駆動装置のパークロック装置及び車両駆動装置
CN101523080B (zh) 多级式减速器
CN106050973A (zh) 行星间离合器致动器
CN108999969A (zh) 一种配置有驻车机构的减速箱
US7245052B2 (en) Wheel hub drive
WO2004096581A1 (en) Inverted portal axle configuration for a low floor vehicule
KR20200128573A (ko) 브레이크 장치
CN105190097A (zh) 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