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696B1 -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696B1
KR102519696B1 KR1020220158756A KR20220158756A KR102519696B1 KR 102519696 B1 KR102519696 B1 KR 102519696B1 KR 1020220158756 A KR1020220158756 A KR 1020220158756A KR 20220158756 A KR20220158756 A KR 20220158756A KR 102519696 B1 KR102519696 B1 KR 10251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detachable
power
tension contro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민준
Original Assignee
차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준 filed Critical 차민준
Priority to KR102022015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형태의 제1 스트레칭부재와,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일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매듭방식으로 연결되는 탄성재질의 제2 스트레칭부재로 구성된 스트레칭부; 사용자의 머리 부위 또는 모자에 탈착 가능하도록 벨크로스트랩 형태로 이루어고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탈착부재와, 사용자의 허리 부위 또는 바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클램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탈착부재로 구성된 탈착부;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착부재와 상기 제2 탈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STRETCHING DEVICE FOR CORRECT POSTURE}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의복이나 또는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부통증(neck pain:Cervical pain)은 현대인이 장시간 컴퓨터 작업이나, 불안정한 자세 또는 습관적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경추 주위 근육의 경직화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최근 거북목 증후군과 같이 그 발병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부통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력훈련과 스트레칭훈련을 실시할 경우 경추 주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근육이 강화되어 기능회복과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목 근육 강화를 위한 등척성운동은 특별한 장소에 구애없이 할 수 있어서 권장된다.
하지만, 등척성운동은 머리의 네 방향, 즉 앞과 뒤 및 좌우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실시하여야 목 강화가 균 형있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손을 깍지 끼어 머리 뒷부분을 손바닥으로 감싸 잡아야 하므로 자세잡기는 물론 운동을 실시하는 데에도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많았다.
그리고, 종래에는 경추 주변 근육을 이완시켜 경추 관련 통증 및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546974호의 목 운동기구,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506278호의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대한민 국 특허 등록 제 10-1272196 호의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가 기술이 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체육관이나 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특정장소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못할 뿐아 니라 휴대가 어려워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6974호 (2015.8.18)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복이나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되며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꾸준한 자세 교정이 유도되도록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근력 수준에 맞추어 목 부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손쉽게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형태의 제1 스트레칭부재와,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일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매듭방식으로 연결되는 탄성재질의 제2 스트레칭부재로 구성된 스트레칭부; 사용자의 머리 부위 또는 모자에 탈착 가능하도록 벨크로스트랩 형태로 이루어고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탈착부재와, 사용자의 허리 부위 또는 바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클램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탈착부재로 구성된 탈착부;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착부재와 상기 제2 탈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탈착부재에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며, 측정되는 측정 값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성된 장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제어부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장력 조절을 위해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와 연결 구성되는 장력제어모듈과, 상기 장력제어모듈에 가해지는 물리력에 따라 상기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에 따른 측정 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과, 전원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의 가용전력으로 변환시키며 전력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전모듈과, 상기 전원공급처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장력제어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모듈로 전달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의 가용전력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배터리 와,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 구성되는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값 및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장력제어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이나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되며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꾸준한 자세 교정이 유도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근력 수준에 맞추어 목 부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손쉽게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중, 장력제어부의 세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중, 장력제어부의 세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복이나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되며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꾸준한 자세 교정이 유도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근력 수준에 맞추어 목 부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손쉽게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1)와, 탈착부(2)와, 커버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트레칭부(1)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장력을 이용해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칭부(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형태의 제1 스트레칭부재(11)와,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11)의 일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매듭방식으로 연결되는 탄성재질의 제2 스트레칭부재(12)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트레칭부(1)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여 매듭을 수행함에 따라 길이 조절 및 장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착용이 가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트레칭부재(11) 및 제2 스트레칭부재(12)는 매듭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클램프 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탈착부(2)는 상기 스트레칭부(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탈착부(2)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 또는 모자에 탈착 가능하도록 벨크로스트랩(Velcro strap) 형태로 이루어고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1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탈착부재(21)와, 사용자의 허리 부위 또는 바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클램프(clamp)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탈착부재(21)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3)는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11)와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간에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 즉, 각각의 연결 단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13)는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이 장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착부재(21)와 상기 제2 탈착부재(22)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3)는 벨크로 형태로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11)와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편리한 동시에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결합이 풀리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제1 스트레칭부재(11)와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호 매듭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구성으로 휴대도 간편하며,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근력 수준에 맞추어 목 부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손쉽게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3)는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11)와 상기 제2 스트레칭(12)의 연결단부로 위치되며 커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의 착용시 상기 연결단부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탈착부재(21)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의 뒷부분에 결착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탈착부재(22)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바지의 뒷부분에 결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의복이나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되며 걷거나 이동하는 동안에도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꾸준한 자세 교정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탈착부재(22)에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며, 측정되는 측정 값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성된 장력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력제어부(23)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근력상태에 따라 장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자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장력 강도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장력제어부(23)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의 장력 조절을 위해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solenoid)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와 연결 구성되는 장력제어모듈(231)과,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에 가해지는 물리력에 따라 상기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에 따른 측정 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232)과, 전원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23)의 가용전력으로 변환시키며 전력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전모듈(234)과, 상기 전원공급처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장력제어부(23)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모듈(234)로 전달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35)와, 상기 충전모듈(2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23)의 가용전력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배터리(236) 와, 상기 충전모듈(2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 구성되는 제2 배터리(237),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236,23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센서모듈(232)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값 및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23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력제어모듈(231)은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12)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로드로써, 승,하강 작동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 실린더(solenoid cylinder)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제2 센서모듈(232)은 상기 장력제어모듈(231)로부터 전해져오는 물리력 즉,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산출되는 측정 값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지의 센서모듈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233)은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에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력 및 인정력을 이용해 전력 발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지의 압전소자형태 채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처는 외부 전력 즉, 공지의 전원공급 콘센트에 접속된 케이블과 이 케이블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모듈(234)은 공지된 정류기 및 충전모듈에 의해 전력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충전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값은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238)로부터 기설정된 장력의 값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센서모듈(232)로부터 산출되어 생성된 상기 측정 값의 단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 값이 값으로 10일 경우, 상기 설정 값을 5 또는 15로 설정될 경우, 상기 센서모듈(232)로부터 측정 되는 측정 값이 상기 설정 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어모듈(238)이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238)은 상기 설정 값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액정 및 설정 값을 입력에 의한 장력조절 및 전원의 온/오프 구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공지의 PLC 및 제어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이용해 가능하도록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더욱 간편하게 사용자가 장력을 조절하여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가 있고, 사용자가 스트레칭을 진행하면서 스트레칭 강도나 근력의 향상 정도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력제어부(23)는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상기 전력을 상기 제1 배터리(236)로 전달하도록 연결 구성된 발전모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238)은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충전모듈(234)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236,237)의 충전 수행시,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제1 배터리(236)의 최대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1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236)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장력제어모듈(231)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2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배터리(237)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상기 제1 배터리(236)의 휴대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2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236)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구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2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236)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236)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모듈(2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236)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구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설정값은 최대로 저장이 가능한 제1 배터리(236)의 최대 저장량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배터리(236)의 최대 저장량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1 배터리(236)의 최대 저장량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의 최대 저장량이 10Wh인 경우, 제1 설정값은 9Wh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휴대 시 사용되기 위해 최소 저장되어야만 하는 제1 배터리(81)의 휴대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배터리(236)의 휴대용 저장량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1 배터리(236)의 휴대용 저장량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배터리(236)의 휴대용 저장량이 10Wh인 경우, 제2 설정값은 20Wh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시에도 가용전원으로서 구동전력을 원활히 공급함에 따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제1 배터리(236)와 상기 제2 배터리(237)의 수명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탈착부재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의류 및 잡화(예: 모자)에 결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 탈착부재는 사용자의 팔 및 등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탈착부재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는 제2 탈착부재의 길이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 신체 형태에 따라 제2 탈착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스트레칭부(1)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어째와 등부위가 탄성력에 의해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양 끝단부가 상기 장력제어부(23)의 좌측면에 결합되는 제3 스트레칭부재(113)와 상기 제3 스트레칭부재(113)와 대향하도록 상기 장력제어부(23)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제4 스트레칭부재(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스트레칭부재(113)와 상기 제4 스트레칭부재(114) 상호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호 대칭하도록 상기 장력제어부(23)의 측면에 각각 결합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스트레칭부재(113)와 상기 제4 스트레칭부재(114) 및 상기 장력제어부(23) 사이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팔을 넣어서 어째에 착용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어깨와 등부위의 스트레칭 운동을 장시간동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의복이나 신체에 간편하게 장착되며 장시간 동안 목 부위의 스트레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꾸준한 자세 교정이 유도되도록 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근력 수준에 맞추어 목 부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손쉽게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스트레칭부 2. 탈착부
11. 제1 스트레칭부재 12. 제2 스트레칭부재
13. 커버부재 21. 제1 탈착부재
22. 제2 탈착부재 23. 장력제어부
113. 제3 스트레칭부재 114. 제4 스트레칭부재
231.장력제어모듈 232. 센서모듈
233. 발전모듈 234. 충전모듈
235. 커넥터 236. 제1 배터리
237. 제2 배터리 238. 제어모듈

Claims (3)

  1.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형태의 제1 스트레칭부재와,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일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매듭방식으로 연결되는 탄성재질의 제2 스트레칭부재로 구성된 스트레칭부;
    사용자의 모자에 탈착 가능하도록 벨크로스트랩 형태로 이루어고 상기 제1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탈착부재와, 사용자의 신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탈착부재로 구성된 탈착부;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착부재와 상기 제2 탈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착부재에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며, 측정되는 측정 값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성된 장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어부는,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의 장력 조절을 위해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스트레칭부재와 연결 구성되는 장력제어모듈과, 상기 장력제어모듈에 가해지는 물리력에 따라 상기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에 따른 측정 값을 생성하는 센서모듈과, 전원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의 가용전력으로 변환시키며 전력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전모듈과, 상기 전원공급처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장력제어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모듈로 전달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장력제어부의 가용전력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배터리 와,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 구성되는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값 및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장력제어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KR1020220158756A 2022-11-23 2022-11-23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KR10251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756A KR102519696B1 (ko) 2022-11-23 2022-11-23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756A KR102519696B1 (ko) 2022-11-23 2022-11-23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696B1 true KR102519696B1 (ko) 2023-04-10

Family

ID=8598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756A KR102519696B1 (ko) 2022-11-23 2022-11-23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521A (ja) * 2011-12-19 2013-06-27 Rakuhoku Gishi:Kk 頚椎装具
JP2014117382A (ja) * 2012-12-14 2014-06-30 Mika Sato 猫背矯正装置
KR101546974B1 (ko)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74B1 (ko)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JP2013126521A (ja) * 2011-12-19 2013-06-27 Rakuhoku Gishi:Kk 頚椎装具
JP2014117382A (ja) * 2012-12-14 2014-06-30 Mika Sato 猫背矯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856B1 (en) Muscle conditioning /muscle assessment apparatus, system
US10857415B2 (en) Multifunctional therapeutic workout enhancement brace
US20210282473A1 (en) Muscle-Stimulating Athletic Wear
KR20190133607A (ko) 상체 보조력 제공 장치
US20190343205A1 (en) Self-Adjustment Belt with Bumps
US11478920B2 (en) Exosuit systems with lumbar and core support
US10010749B2 (en) Thoracic stabilizer
KR102519696B1 (ko)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CN206660096U (zh) 一种背带按摩器
CN107596638B (zh) 一种腰椎强化训练康复智能机器人
CN115556077B (zh) 一种智能型可穿戴腰部助力外骨骼装置及控制方法
WO2024112028A1 (ko) 자세 교정용 스트레칭 장치
CN208713970U (zh) 穿戴式外骨骼肩部助力设备
US20220008776A1 (en) Wearable device using flexible non-powered variable impedance mechanism
CN205407937U (zh) 一种颈部穿戴设备
WO2024037064A1 (zh) 一种腰部助力外骨骼
KR20120030820A (ko) 척추 자세 교정용 가방
CN218774071U (zh) 按摩机
KR20200060244A (ko) 신체 구동식 착용형 가변 임피던스 장치
CN217645526U (zh) 按摩机
CN111068254A (zh) 一种用于健身拉伸器材的数据采集控制系统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CN219127220U (zh) 一种理疗椅的上肢拉伸驱动机构
CN107671844A (zh) 一种助行机器人胸部支撑结构
CN216149003U (zh) 一种体操辅助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