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261B1 -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261B1
KR102519261B1 KR1020210074015A KR20210074015A KR102519261B1 KR 102519261 B1 KR102519261 B1 KR 102519261B1 KR 1020210074015 A KR1020210074015 A KR 1020210074015A KR 20210074015 A KR20210074015 A KR 20210074015A KR 102519261 B1 KR102519261 B1 KR 10251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ubular structure
support
coupling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420A (ko
Inventor
이원석
신재철
황찬오
김태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7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형 구조물, 상기 관형 구조물을 수용하는 고정시설구조물 및 상기 고정시설구조물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관형 구조물의 외주면에 면접하여 상기 관형 구조물을 지지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시설구조물 내부에서 관형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SUPPORTING APPARATUS AND SYSTEM OF CIRCULAR CHAMBER IN A FACILITIES STRUCTURE}
본 발명은 고정시설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관형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형 구조물 중 원형의 평단면을 가지는 탑재물을 보관 및 방출하기 위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형관(원통형관)에 장입(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탑재물이 장입(삽입)된 원형관은 고정시설구조물에 장착되어 방출운용을 하게 되는데, 원형관이 고정시설구조물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고정시설구조물의 외경이 원형관의 외경에 비해 커야 한다. 다시 말해서 원형관을 고정시설구조물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원형관과 고정시설구조물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간격이 너무 작으면 삽입 과정에서 원형관이 고정시설구조물에 끼일 수 있고, 삽입 작업이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원형관의 원만한 삽입을 위해서라도 원형관과 고정시설구조물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상기의 필수불가결적인 간격으로 인하여 원형관은 외부의 진동 및 충격, 지진에 의해 흔들릴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고정시설구조물 내부에서 원형관이 흔들리게 되면, 원형관에 삽입되어 있는 탑재물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방출각도가 어긋나 탑재물이 정확한 위치로 방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고정시설구조물 내부에서 원형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51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정시설구조물 내부에서 관형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장치 및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형 구조물, 상기 관형 구조물을 수용하는 고정시설구조물 및 상기 고정시설구조물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관형 구조물의 외주면에 면접하여 상기 관형 구조물을 지지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상기 관형 구조물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일 단부는 상기 고정시설구조물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핸들, 일 단부는 상기 고정시설구조물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양 측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일 면에는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핸들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타 면의 양 측부에는 각각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한 쌍의 상기 리브 상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패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형 구조물은 평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리브가 결합된 양 측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타면과 가까워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핸들의 타 단부에는 핸들 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핸들 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핸들 핀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에는 지지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은 양 측방으로 상기 지지 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상기 핸들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핸들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이 상기 받침대 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받침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일 단부에는 고정시설구조물과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핸들, 일 단부에는 상기 고정시설구조물과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양 측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대 및 일 면에 상기 핸들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핸들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브라켓이 형성되고, 타면의 양 측부에는 각각 리브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리브 상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패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드는 상기 리브가 결합된 양 측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타면과 가까워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의 타 단부에는 핸들 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핸들 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핸들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에는 지지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은 양 측방으로 상기 지지 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핸들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핸들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이 상기 받침대 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받침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은 고정시설구조물 내 원형관을 복수의 지지 장치에 의해 밀착시켜 지지함으로써, 원형관이 외력에 의해 진동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작동 전 상태를, 도 5는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점선 부분을 별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7의 점선 부분을 별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시설구조물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 탑재물을 삽입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형 구조물을 고정시설구조물 내에 지지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며, 관형 구조물은 원형 내지 원통형, 즉 평단면 상 원형인 원형관일 수 있다.
즉, 이를 위한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원형관(20)의 외주면과 고정시설구조물(30)의 내주면 간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 마련되고,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둘레 방향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예시와 같이 4개의 원형관 지지 장치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인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원형관(20)의 외주면을 밀찰 지지하여 고정시설구조물(30) 내에서 원형관(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100)는 핸들(112), 지지대(122), 받침대(130), 패드(140) 등을 포함하여, 핸들(112)에 의해 받침대(130)를 원형관(2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패드(140)가 원형관(20)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핸들(112)을 지지하기 위해 핸들(112)의 일 단부에 고정부(111)가 형성되고, 핸들(112)의 양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122)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판(121)이 지지대(122)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111)와 지지판(121)은 고정시설구조물(30)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되고, 고정부(111) 및 지지판(121)에 대응되도록 고정시설구조물(30)에는 관통 홀이 형성됨으로써, 도 1과 같이 후술할 핸들 외통(114) 및 지지 외통(124)이 관통홀을 드나들 수 있게 마련된다.
핸들(112)은 일 단부에 사각 나사부가 형성된 로드 형상으로 마련되고, 핸들(112)의 외측 둘레에 핸들 외통(114)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대(122)의 외측 둘레에도 지지 외통(124)이 결합된다.
받침대(13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며, 일 면에 핸들(112), 지지대(122)와 결합되게 위한 핸들 브라켓(131)과 지지대 브라켓(132)이 형성된다.
받침대(130)와의 결합을 위해 핸들(112)의 타 단부에는 핸들 핀 결합홀(113-1)이 형성되고, 핸들 핀(113)이 핸들 핀 결합홀(113-1)과 이에 대응되게 핸들 브라켓(131)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지지대(122)의 타 단부에는 지지 핀 결합홀(123-1)이 형성되고, 지지 핀(123)이 지지 핀 결합홀(123-1)과 이에 대응되게 지지대 브라켓(132)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시킨다.
받침대(130)의 타 면의 양 측부에는 리브(133)가 형성되고, 리브(133) 상에 패드(140)가 결합된다.
패드(140)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리브(133)가 결합된 양 측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패드(140)의 타면과 가까워지는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원형관(2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100)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고정시설구조물(30)에 장착되어 고정시설구조물(30)의 내주면과 원형관(20)의 외주면 간에 배치되며, 도 5와 같이 동작하여 원형관(20)을 밀착 지지한다.
이 같은 동작을 위해서는 먼저 핸들(122)의 일 단의 사각 나사부를 회전 조작하여 사각 나사부의 스트로크(stroke)를 변화시켜주면, 예를 들어 볼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된 핸들 외통(114)과의 상대 운동에 의해 핸들(122)이 받침대(130) 측으로 전진 동작하게 되고, 핸들 외통(114)은 후퇴 동작하게 된다.
이 같이 동작하여 핸들(112)의 끝단이 받침대(130)를 가압하게 되고, 받침대(130) 및 패드(140)를 원형관(20) 측으로 이동시켜 패드(140)가 원형관(20)을 밀착시켜 원형관(20)이 지지되게 한다. 동시에 양 지지대(122)도 함께 원형관(20)을 지지하게 된다.
이동된 받침대(130)와 패드(140)는 핸들(112)에 의해 자립효과를 가짐으로 원형관(20) 외주면과 접촉에 의해 받침대(130)는 후퇴되지 않고 자립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패드(140)와 원형관(20) 외주면이 완전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세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핸들 핀(113)의 좌/우 회전이 양쪽 지지핀(123)에 의해 회전구속이 되지 않기 위하여,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 브라켓(132)에 형성된 결합홀은 양 측방으로 지지 핀(123)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구성함으로써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지대(1122)에는 핸들(112)과 같은 자립기능이 없으므로, 전진/후진 이동이 가능하여, 밀착접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드(140)의 좌/우 회전운동을 허용시켜 완전 면접촉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핸들 핀 결합홀(113-1)과 지지핀 결합홀(123-1)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25)을 삽입함으로써, 패드(140)와 원형관(20) 외주면과의 완전 면접촉을 위한 상/하 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관형 구조물이 고정시설구조물 내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11 : 고정부
112 : 핸들
113 : 핸들 핀 113-1 : 핸들 핀 결합홀
114 : 핸들 외통
121 : 지지판
122 : 지지대
123 : 지지 핀 123-1 :지지 핀 결합홀
124 :지지 외통
125 : 베어링
130 : 받침대
131 : 핸들 브라켓
132 : 지지대 브라켓 132-1 : 확장 홀
133 : 리브
140 : 패드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형 구조물;
    상기 관형 구조물을 수용하는 고정시설구조물; 및
    상기 고정시설구조물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관형 구조물의 외주면에 면접하여 상기 관형 구조물을 지지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3개 이상으로 상기 관형 구조물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일 단부는 상기 고정시설구조물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핸들;
    일 단부는 상기 고정시설구조물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양 측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 면에는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핸들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타 면의 양 측부에는 각각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한 쌍의 상기 리브 상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형 구조물은 평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리브가 결합된 양 측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타면과 가까워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타 단부에는 핸들 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핸들 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핸들 핀을 더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에는 지지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은 양 측방으로 상기 지지 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는,
    상기 핸들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핸들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이 상기 받침대 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받침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시스템.
  14. 일 단부에 고정시설구조물과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핸들;
    일 단부에 상기 고정시설구조물과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양 측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대; 및
    일 면에 상기 핸들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핸들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브라켓이 형성되고, 타면의 양 측부에는 각각 리브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리브 상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리브가 결합된 양 측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타면과 가까워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타 단부에는 핸들 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핸들 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핸들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핸들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타 단부에는 지지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에 대응되게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 핀을 더 포함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은 양 측방으로 상기 지지 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핀 결합홀 및 상기 지지핀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핸들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이 상기 받침대 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받침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KR1020210074015A 2021-06-08 2021-06-08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51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15A KR102519261B1 (ko) 2021-06-08 2021-06-08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15A KR102519261B1 (ko) 2021-06-08 2021-06-08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20A KR20220165420A (ko) 2022-12-15
KR102519261B1 true KR102519261B1 (ko) 2023-04-10

Family

ID=8443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15A KR102519261B1 (ko) 2021-06-08 2021-06-08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80Y1 (ko) * 2011-07-08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송용 라인파이프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3693D0 (en) 2007-02-26 2007-04-04 Jahre Group As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80Y1 (ko) * 2011-07-08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운송용 라인파이프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20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3474B2 (en) Clamping apparatus
US20150198190A1 (en) Rod-to-tube adapter
KR102519261B1 (ko) 고정시설구조물 내 관형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시스템
JP2004001515A (ja) 印刷用シリンダのスリーブをハンド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
JP2016019676A (ja) 幼児用サークル及び幼児用サークル用のジョイント
US20130249153A1 (en) Holding apparatus
KR101808848B1 (ko) 이송장치
JP6831559B2 (ja) クランプシステム
RU2005141542A (ru) Узел сегмент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CN104350163B (zh) 用于可倾翻的转炉的水平支撑部和用于改造可倾翻的转炉的方法
KR20110076159A (ko) 인공위성용 기계지상지원장치
KR100634097B1 (ko) 반력부재를 구비한 잭 장치
KR101827909B1 (ko)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어 및 모바일 장치
EP1166679B1 (en) Connection unit for the installation of shelves or support elements on bearing structures
CN111754845A (zh) 一种几何模型的动态立体展示装置
JP7132031B2 (ja) ピストンピンおよびスナップリングの組み付け装置
KR20180092162A (ko) 이동지지대
JPH07158613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6809259B2 (ja) 挿入装置、棒挿入部材の製造方法
JP6753611B2 (ja) レンズ鏡筒及び調芯方法
WO2016125306A1 (ja) 圧縮機用挿脱装置及びバンドル挿脱方法
JP3922719B2 (ja) スピン付与方法、スピン付与機構、宇宙機、及び人工衛星分離用スプリングアセンブリ
KR102145569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브라켓
JP2017213473A (ja) 幼児用サークル
JP2503054Y2 (ja) 型枠支持用ジャ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