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55B1 -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55B1
KR102518755B1 KR1020210046158A KR20210046158A KR102518755B1 KR 102518755 B1 KR102518755 B1 KR 102518755B1 KR 1020210046158 A KR1020210046158 A KR 1020210046158A KR 20210046158 A KR20210046158 A KR 20210046158A KR 102518755 B1 KR102518755 B1 KR 10251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nterlock
terminal
connect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099A (ko
Inventor
황의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4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는, 일측에 인터락회로연결부가 연결되는 제1접속공간부와, 타측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접속공간부와, 제1접속공간부와 제2접속공간부를 연결하는 장착홀부를 형성하는 수커넥터와, 장착홀부에 삽입되어 제1접속공간부에 일부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제1접속단자부에 연결되어 제2접속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접속되어 인터락회로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수커넥터의 제1접속공간부에 구비되는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INTERLOCK COMMO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커넥터의 내부에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상호 결합하는 데 있어, 인터락 핀 터미널에 피치변경부를 구비하여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증진시키므로 기존의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가능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는 각각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각각 단자가 구비되어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최근에 엔진 외에 모터를 구동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들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때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즉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특히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순간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구비된 단자의 물리적 결합의 해제 전에 통전이 끊어지도록 하고, 회로적으로 연결된 것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인터락이라고 하며 커넥터 장치에 인터락 구조가 적용된다. 이때, 인터락은 커넥터 체결 시 인터락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전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터락 구조는 전기식 인터락과 기계식 인터락이 있는데, 먼저 전기식 인터락은 커넥터 분리 시 단자의 삽입깊이의 차이를 활용해서 인터락 회로를 구성한다.
그러나, 커넥터의 인터락구조는 커넥터의 크기 및 차종의 사양에 따라 터미널 부품을 공용화하지 못하므로 일부 부품(인터락 핀 터미널)의 피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에 접속되는 다른 부춤(인터락 쇼팅 터미널)도 변경해야 하는 등 신규 개발로 인한 원가 상승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3769호(2018.04.04, 발명의 명칭: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커넥터의 내부에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상호 결합하는 데 있어, 인터락 핀 터미널에 피치변경부를 구비하여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증진시키므로 기존의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는, 일측에 인터락회로연결부가 연결되는 제1접속공간부와, 타측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접속공간부와, 상기 제1접속공간부와 제2접속공간부를 연결하는 장착홀부를 형성하는 수커넥터;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속공간부에 일부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접속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 및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접속되어 인터락회로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커넥터의 제1접속공간부에 구비되는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의 피치에 비해 한 쌍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변경하도록 피치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치변경부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크기가 크게 변경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는 한 쌍의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피치에 비해 크게 변경하여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크기 변경없이도 변경된 상기 외부커넥터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치변경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제1,제2접속단자부의 직각방향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커넥터의 장착홀부에 압입 구속되어 상기 장착홀부에서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쐐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은,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가 끼움홀에 삽입되는 인터락하우징; 상기 인터락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를 탄성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탄성그립부재; 및 상기 인터락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그립부재를 외측에서 보조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접속단자부를 추가적으로 가압 고정하는 탄성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그립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상하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함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는, 수커넥터의 내부에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상호 결합하는 데 있어, 인터락 핀 터미널에 피치변경부를 구비하여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증진시키므로 기존의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쐐기부를 구비하여 수커넥터의 장착홀부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락 쇼팅 터미널에 탄성구속부를 추가 구성하여 탄성그립부재를 보조적으로 눌러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를 추가적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에서,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로서,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 변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를 수커넥터의 제1수용공간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에서,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로서,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 변경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를 수커넥터의 제1수용공간부 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D"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는, 수커넥터(100), 인터락 핀 터미널(200) 및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을 포함한다.
수커넥터(100)는 일측에 인터락회로연결부(10)가 연결되는 제1접속공간부(110)와, 타측에 외부커넥터(20)가 연결되는 제2접속공간부(120)와, 제1접속공간부(110)와 제2접속공간부(120)를 연결하는 장착홀부(13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수커넥터(100)는 통상 암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전기를 통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인터락회로가 연결되는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는 주로 전기자동차용 고전압용 커넥터로 사용된다.
인터락회로는 수커넥터(100)와 암커낵터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스피크가 발생하여 전기자동차의 동력부 및 구동부가 파손되는 것을 벙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인터락 핀 터미널(200)은 장착홀부(130)에 삽입되어 제1접속공간부(110)에 일부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부(210)가 구비되고, 제1접속단자부(210)에 연결되어 제2접속공간부(120)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부(22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인터락 핀 터미널(200)은 접속단자 역활을 수행한다.
인터락 핀 터미널(200)에는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110)의 피치에 비해 한 쌍의 제2접속단자부(120)의 피치(P2)를 변경하도록 피치변경부(230)가 구비된다.
피치변경부(230)는 외부커넥터(20)의 크기가 크게 변경되는 경우, 한 쌍의 제2접속단자부(220)의 피치(P2)는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210)의 피치(P1)에 비해 크게 변경하여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의 크기 변경없이도 변경된 외부커넥터(20)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들어 어느 하나의 인터락 핀 터미널(200a)의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210)의 피치(P1)와 한 쌍의 제2접속단자(220)의 피치(P1)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커텍터(20)를 적용하다가 차종 등의 변경으로 외부커넥터(20)의 크기가 크게 변경됨으로 인해 한 쌍의 제2접속단자부(210)의 피치(P2)가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210)의 피치(P1)에 비해 더 크게 변경된 경우, 인터락 쇼팅 터미널(330) 역시 변경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피치변경부(230)를 통해 제1접속단자부(210)의 피치(P1)에 비해 제2접속단자부(220)의 피치(P2)민을 피치변경부(230)를 이용하여 더 크게 변경 제조하므로 인터락 핀 터미널(200)의 변경만으로 기존의 인터락 쇼팅 터미널(200)의 변경 없이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피치변경부(230)는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피치변경부(230)는 제1접속단자부(210)와 제2접속단자부(220)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되, 제1,제2접속단자부(210)의 직각방향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치변경부(230)는 제1접속단자부(210)의 피치(P1)에 비해 제2접속단자부(220)의 피치(P2)가 작아지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접속단자부(210)의 양측에는 수커넥터(100)의 장착홀부(130)에 압입 구속되어 장착홀부(130)에서 인터락 핀 터미널(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쐐기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쐐기부(240)는 장착홀부(130)에 쐐기 형태로 안입 구속됨으로써, 수커넥터(100)와 일체화되는 효과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쐐기와 같이 걸려지므로 장착홀부(1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쐐기부(240)는, 제1접속단자부(210)의 진입 양측에 구비되고, 완만한 경사각도 갖는 제1쐐기부(242)와, 제1쐐기부(242)의 후방에서 제1접속단자부(2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쐐기부(242)에 비해 급격한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제2쐐기부(244)를 포함한다.
제1쐐기부(242)는 장착홀부(130)에 부드러운 진입을 도와주고, 제2쐐기부(244)는 부드러운 진입 이후에 걸림 구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은 인터락 핀 터미널(200)의 제1접속단자부(210)에 접속되어 인터락회로연결부(10)에 연결되도록 수커넥터(100)의 제1접속공간부(110)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은, 인터락 핀 터미널(200)의 제1접속단자부(210)가 끼움홀(312)에 삽입되는 인터락하우징(310)과, 인터락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접속단자부(210)를 탄성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탄성그립부재(320)와, 인터락하우징(310)에 구비되어 탄성그립부재(320)를 외측에서 보조적으로 가압하여 제1접속단자부(210)를 추가적으로 가압 고정하는 탄성구속부(334)를 포함한다.
탄성구속부(330)는, 인터락하우징(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3개면이 걸개 형성되는 절개부(332)와, 절개부(332)에서 걸개 안된 나머지 면에서 일체로 연결되고,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져서 제1접속단자부(210)를 추가적으로 누르기 위해 탄성그립부재(320)를 가압하는 탄성편(334)을 포함한다.
탄성그립부재(320)에는 제1접속단자부(210)를 가압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함물부(3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함물부(322)는 제1접속단자부(210)의 상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탄성그립부재(320)의 상측면이 하측으로 눌려져 오목하게 형성된 상측함몰부와, 제1접속단자부(210)의 하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탄성그립부재(320)의 하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눌려져 형성되는 하측함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터락 핀 터미널(200)을 인터락 쇼팅 티미널(300)에 결합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인터락 핀 터미널(100)의 제1접속단자부(210)를 수커넥터(100)의 장착홀부(130)에 삽입하여 안착 구속시킨 상태에서 제1접속공간부(110)로 노출된 제1접속단자부(210)에 인터락 쇼팅 터미널(300)의 인터락하우징(310)의 끼움홀(312)에 삽입하면, 탄성그립부재(320)의 함몰부(322)에 제1접속단자부(210)가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진다.
상하측에 위치한 함몰부(322)의 간격은 제1접속단자부(210)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인터락 하우징(310)은 제1접속단자부(210)에서 이탈아 방지된다.
이때, 인터락하우징(310)에 형성된 탄성구속부(330)의 탄성편(334)은 턴성그립부재(32)를 추가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인터락하우징(31)과 제1접속단자부(210)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는, 수커넥터의 내부에 인터락 핀 터미널과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상호 결합하는 데 있어, 인터락 핀 터미널에 피치변경부를 구비하여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증진시키므로 기존의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쐐기부를 구비하여 수커넥터의 장착홀부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락 쇼팅 터미널에 탄성구속부를 추가 구성하여 탄성그립부재를 보조적으로 눌러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를 추가적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인터락회로연결부 20: 외부커넥터
100: 수커넥터 110: 제1접속공간부
120: 제2접속공간부 130: 장착홀부
200, 200a: 인터락 핀 터미널 210: 제1접속단자부
220: 제2접속단자부 230: 피치변경부
240: 쐐기부 242: 제1쐐기부
244: 제2쐐기부 300: 인터락 쇼팅 터미널
310: 인터락하우징 320: 탄성그립부재
333: 함몰부 330: 탄성구속부
332: 절개부 334: 탄성편
:

Claims (6)

  1. 일측에 인터락회로연결부가 연결되는 제1접속공간부와, 타측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접속공간부와, 제1접속공간부와 제2접속공간부를 연결하는 장착홀부를 형성하는 수커넥터;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속공간부에 일부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접속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 및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접속되어 인터락회로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커넥터의 제1접속공간부에 구비되는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커넥터의 장착홀부에 압입 구속되어 상기 장착홀부에서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쐐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접속단자부의 피치에 비해 한 쌍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를 변경하도록 피치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치변경부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크기가 크게 변경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피치는 한 쌍의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피치에 비해 크게 변경하여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크기 변경없이도 변경된 상기 외부커넥터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트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변경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상기 제2접속단자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제1,제2접속단자부의 직각방향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4. 삭제
  5. 일측에 인터락회로연결부가 연결되는 제1접속공간부와, 타측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접속공간부와, 제1접속공간부와 제2접속공간부를 연결하는 장착홀부를 형성하는 수커넥터;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속공간부에 일부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접속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인터락 핀 터미널; 및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에 접속되어 인터락회로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커넥터의 제1접속공간부에 구비되는 인터락 쇼팅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쇼팅 터미널은,
    상기 인터락 핀 터미널의 제1접속단자부가 끼움홀에 삽입되는 인터락하우징;
    상기 인터락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를 탄성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탄성그립부재; 및
    상기 인터락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그립부재를 외측에서 보조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접속단자부를 추가적으로 가압 고정하는 탄성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그립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상하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함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KR1020210046158A 2021-04-08 2021-04-08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KR10251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58A KR102518755B1 (ko) 2021-04-08 2021-04-08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58A KR102518755B1 (ko) 2021-04-08 2021-04-08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99A KR20220140099A (ko) 2022-10-18
KR102518755B1 true KR102518755B1 (ko) 2023-04-07

Family

ID=838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158A KR102518755B1 (ko) 2021-04-08 2021-04-08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9376A (ja) * 2012-09-03 2014-03-17 Yazaki Corp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20047579A (ja) * 2018-09-13 2020-03-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源プラグ変換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90B1 (ko) * 2016-09-26 202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9376A (ja) * 2012-09-03 2014-03-17 Yazaki Corp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20047579A (ja) * 2018-09-13 2020-03-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源プラグ変換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99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1728B1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EP070623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guide means for a mating connector
US7946887B1 (en) Combo electrical connector
JP7012245B2 (ja)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WO2007094149A1 (ja) コネクタ
JP6100663B2 (ja) 端子台
JP3779848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US7128614B1 (en) Electrical adapter with reinforcing member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EP1686663A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WO2014126162A1 (ja) コネクタ装置
US7281943B1 (en) Connector
CN112670758B (zh) 连接器
KR20220093428A (ko) 차량용 전기 접속 장치
KR102518755B1 (ko) 커넥터용 인터락 공용 접속장치
KR101479078B1 (ko) 커넥터
CN108429029B (zh) 连接器、插座以及连接系统
KR102302286B1 (ko) 커넥터
US11769966B2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and plug
JP7264864B2 (ja) コネクタ
CN211404810U (zh) 用于高压连接器的高压互锁机构
CN108429055B (zh) 连接器以及连接系统
JP6687260B1 (ja) コネクタ
JP2004178823A (ja)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JPH11135179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