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664B1 -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664B1
KR102518664B1 KR1020180036688A KR20180036688A KR102518664B1 KR 102518664 B1 KR102518664 B1 KR 102518664B1 KR 1020180036688 A KR1020180036688 A KR 1020180036688A KR 20180036688 A KR20180036688 A KR 20180036688A KR 102518664 B1 KR102518664 B1 KR 102518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atch
guide
sliding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59A (ko
Inventor
박창길
김종범
안계영
최은호
이경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지는 암레스트 노브(300)와 그 조작력을 전달받는 암레스트 래치(400)에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이드 접촉부(400-1)로 이루어진 가변터치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암레스트 노브(300)의 조작에 따른 암레스트 래치(400)의 오픈(즉, 잠금 해제)으로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부품수량 축소와 중량 절감 구조가 가능하고, 특히 슬라이딩 전후 두 지점으로 만 국한되던 암레스트 오픈 조건을 해소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Knob Interlocking type Sliding Arm Res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량 축소와 중량 절감 구조를 갖는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암 레스트 콘솔은 센터 페시아 구간(center fascia portion)과 변속레버 구간(shift lever portion) 및 암 레스트 구간(arm rest portion)으로 구분되고,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공간으로 위치된다.
상기 센터 페시아 구간에는 클러스터(cluster)로 이어져 각종 조작 버튼 등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레버 구간에는 변속조작을 위한 변속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암 레스트 구간에는 물건 수납이나 팔 받침을 위한 암 레스트 또는 슬라이딩 타입 암 레스트가 구비된다.
일례로, 슬라이딩 타입 암 레스트는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암 레스트 콘솔의 수납공간 개방을 위해 뒤로 젖혀지는 암 레스트의 개방 동작이 가능하고, 후크 구조를 적용하여 콘솔수납공간을 차단한 암 레스트의 잠금/해제 동작이 가능하며, 레일 구조를 적용하여 슬라이딩 동작에 의한 암 레스트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통상의 암 레스트에 비해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후크 구조는 걸림 방식의 후크 노브를 적용하고, 상기 후크 노브는 암 레스트를 암 레스트 콘솔에 고정하여 암 레스트가 구속되는 콘솔 고정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후크 노브 조작으로 콘솔 고정력을 해제하면, 암 레스트 콘솔과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암 레스트의 슬라이딩 동작과 개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05-0058574(2005.06.17)
하지만 기존의 슬라이딩타입 암 레스트는 힌지구조와 후크구조 및 레일구조의 연계로 복잡하게 구성되고, 특히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힌지구조는 노브와 래치 및 링크의 연계에 의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구 구성이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슬라이딩타입 암 레스트는 구조 복잡성에 더해 원가 상승을 가져오고, 특히 암레스트 오픈 조건이 슬라이딩 전,후 두 포인트에서 만 작동됨으로써 제한적인 암레스트 오픈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암레스트 노브와 암레스트 래치의 연동에 의한 가변터치구조로 암레스트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암레스트 래치의 오픈으로 슬라이딩 이동 구현을 위한 부품수량 축소와 중량 절감 구조가 가능하고, 특히 슬라이딩 전후 두 지점으로 만 국한되던 암레스트 오픈 조건이 해소되는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지는 암레스트 노브;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암레스트 래치; 상기 암레스트 노브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가 서로 맞닿은 접촉점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점이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을 따라 상기 암레스트 래치를 잠금 해제시켜주는 가변터치구조;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터치구조는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가이드 접촉부로 구성된다.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진 슬라이딩 경사각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경사각은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레버 경사각과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래치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및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중앙부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의 좌우부위로 위치시키며, 상기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의 끝부위로 위치시켜 준다. 상기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직선구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측면 접촉 가이드, 중앙 접촉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암레스트 래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를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중앙부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측면 접촉 가이드를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의 좌우부위로 위치시켜 준다.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는 삼각형상 돌출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암레스트 노브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각각은 샤프트를 회전중심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은 슬라이딩 위치 고정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위치 고정은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스프링 홈의 걸림턱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구조는 상기 슬라이딩 위치 고정을 다단계로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노브 연동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셀프 록킹을 구현으로써 슬라이딩 전,후 두 포인트로 한정된 암레스트 오픈 조건을 해소하고, 특히 슬리이딩 구조 단순화와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암레스트 노브에 형성된 가변터치구조의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암레스트 래치가 구현하는 가변터치구조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이동 전후 동작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노브와 암레스트 래치의 연동에 의한 가변터치구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동작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디텐트 스프링 스토퍼 구조를 이용한 단계별 슬라이딩 포지션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작동부(1-1)와 고정 상태로 있는 고정부(1-2)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고정부(1-2)에 대한 작동부(1-1)의 노브 연동 슬라이딩 이동 후 이동 위치에서 셀프 록킹이 이루진다.
일례로, 상기 작동부(1-1)는 암레스트 커버(100), 암레스트 어퍼(200), 암레스트 노브(300), 노브 스프링(310), 노브 사프트(320) 및 디텐트 스프링(60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1-1)는 슬라이딩 이동 시 하나의 어셈블리로 전진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암레스트 커버(100)는 외관을 이루고, 상기 암레스트 어퍼(200)는 암레스트 커버(100)의 안쪽으로 결합되어져 암레스트 노브(300)의 조작에 따른 힘을 전달받는다.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와 상기 노브 스프링(310) 및 상기 노브 사프트(320)는 조작에 따른 힘을 암레스트 어퍼(2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는 외부 조작으로 시이소우 운동을 형성한다. 상기 노브 사프트(320)는 암레스트 노브(300)와 결합되어 시이소우 운동의 작용점을 형성한다. 상기 노브 스프링(310)은 노브 사프트(320)와 결합되어 암레스트 노브(300)의 시이소우 운동에 대한 초기 위치 복원력을 형성시켜 준다. 특히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에는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를 형성하고,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는 슬라이딩 이동 시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이드 접촉부(400-1)와 조합되어 가변터치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디텐트 스프링(600)은 슬라이딩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2)는 암레스트 래치(400), 래치 스프링(410), 래치 샤프트(420), 슬라이딩 서포터(500), 디텐트 스프링(600), 암레스트 로워(700) 및 슬라이딩 레일(800)로 구성된다.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와 래치 스프링(410) 및 래치 샤프트(420)는 암레스트 노브(300)의 조작에 따른 회전을 발생시켜 준다.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는 암레스트 노브(300)로부터 전달 받은 힘으로 래치 스프링(410)과 래치 샤프트(420)를 회전시켜 오픈 락킹을 해제한다. 특히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에는 가이드 접촉부(400-1)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접촉부(400-1)는 슬라이딩 이동 시 암레스트 노브(300)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와 조합되어 가변터치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래치 스프링(410)은 암레스트 래치(400)와 결합되어 암레스트 래치(400)의 회전 운동에 대한 초기 위치 복원력을 형성시켜 준다. 상기 래치 샤프트(420)는 암레스트 래치(400)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
상기 슬라이딩 서포터(500)는 슬라이딩 레일(800)을 고정 시키고, 디텐트 스프링 홈(500-1)을 구비하여 디텐트 스프링(600)의 걸림턱 구조가 적용되어 슬라이딩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레스트 로워(700)는 암레스트 커버(100)와 결합되어 내부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암레스트 노브(300)와 암레스트 래치(400)가 외부 노출되도록 홈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800)은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800-1,800-2)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800-1)과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800-2)이 디텐트 스프링 홈(500-1)에 대해 죄ㅏ우로 위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서포터(500)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에 형성된 정위치/이동위치/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300-1b,300-1c)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이드 접촉부(400-1)에 형성된 측면/중앙 접촉 가이드(400-1A,400-1B)의 조합으로 가변터치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가변터치구조는 고정부(1-2)에 대한 작동부(1-1)의 노브 연동 슬라이딩 이동 후 이동 위치에서 셀프 록킹을 형성하여 준다.
도 2와 도 3은 암레스트 노브(300)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와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이드 접촉부(400-1)에 의한 가변터치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가변터치구조는 암레스트 노브(300)의 회전량은 위치 변경 시 암레스트 래치(400)의 회전량과 동일하도록 작용하고, 암레스트 래치(400)의 회전량은 고정부 특성을 감안하여 접촉부위에 대한 동일조건의 힘에서 동일한 회전량을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터치구조는 암레스트 노브(300)의 레버 경사각(a)(도 5 참조)과 암레스트 래치(400)의 래치 경사각(A)으로 슬라이딩 경사각(H)을 형성함으로써 암레스트 노브(300)의 길이 증가와 노브 궤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는 노브 레버(301), 노브 바디(302), 노브 힌지(303) 및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 레버(301)는 외부에서 조작하도록 암레스트 커버(100)에서 노출되고, 상기 노브 바디(302)는 노브 레버(301)에 대해 소정 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노브 힌지(303)는 노브 레버(301)와 노브 바디(302)의 절곡부위에 형성되어 시이소우 운동을 위한 힌지점으로 작용하도록 노브 사프트(320)가 관통된다.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는 노브 바디(302)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레버 경사각(a)(도 5 참조)을 형성한다. 상기 레버 경사각(a)은 슬라이딩 암레스트(1)의 전체 사이즈에 맞춰 설정된다.
특히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는 전체 구간을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b) 및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c)로 구분된다. 상기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는 노브 바디(302)의 길이를 따라 좌우부위로 구비되어 레버 경사각(a)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b)는 노브 바디(302)의 길이를 따라 중앙부위로 구비되어 레버 경사각(a)을 형성한다. 상기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c)는 노브 바디(302)의 끝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 경사각(a)을 제거하는 직선구간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는 래치 바디(401), 래치 레버(402), 래치 힌지(403) 및 가이드 접촉부(400-1)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 바디(401)는 외부로 노출되어 암레스트 노브(300)로부터 전달 받은 힘으로 회전되고, 상기 래치 레버(402)는 래치 바디(401)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 구간에 접촉되며, 상기 래치 힌지(403)는 래치 바디(401)와 래치 레버(402)의 절곡부위에 형성되어 회전 운동을 위한 힌지점으로 작용하도록 래치 샤프트(420)가 관통된다. 상기 가이드 접촉부(400-1)는 래치 레버(402)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래치 경사각(A)(도 5 참조)을 형성한다. 상기 래치 경사각(A)은 슬라이딩 암레스트(1)의 전체 사이즈에 맞춰 설정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접촉부(400-1)는 측면 접촉 가이드(400-1A), 중앙 접촉 가이드(400-1B)로 구분된다. 상기 측면 접촉 가이드(400-1A)는 래치 레버(402)의 정점 구간에서 좌우부위로 구비되어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와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 접촉 가이드(400-1A)는 마찰저항 감소를 위한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400-1B)는 측면 접촉 가이드(400-1A)의 사이에서 래치 레버(402)의 중앙부위로 구비되어 삼각형상 돌출 구조로 래치 경사각(A)을 형성한다.
한편 도 4와 도 5는 셀프 록킹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1)의 슬라이동 이동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암레스트 노브(300)의 조작으로 암레스트 래치(400)를 해제함으로써 작동부(1-1)가 밀어내는 외부 힘으로 고정부(1-2)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결과 작동부(1-1)는 고정부(1-2)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거리(약, 60mm)(K)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암레스트 슬라이딩시 어느 위치에서든 암레스트 노브(300)를 당기면 암레스트 래치(400)가 작동하여 암레스트를 오픈 할 수 있는 구조 이다. 특히 암레스트 노브(300)와 암레스트 래치(400)는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와 가이드 접촉부(400-1)의 가변터치구조로 각각 2개의 접촉 점이 존재함으로써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각각 가까운 접촉 포인트 교차로 암레스트 래치(400)를 작동 시켜 암레스트 오픈이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이동 거리(K)가 암레스트 노브(300)와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변터치구조로 이루어짐을 상세히 알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 노브(300)의 노브 바디(301)에 가해진 노브 조작력(Fup)은 노브 힌지(30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노브 레버(302)를 밑으로 내려주는 래치 조작력(Fdown)을 형성시켜 준다. 그 결과 암레스트 래치(400)는 래치 조작력(Fdown)을 래치 레버(402)로 받아 래치 힌지(403)를 회전 중심으로 하는 래치 바디(401)의 오픈 회전력(M)을 형성한다.
정위치인 경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의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와 가이드 접촉부(400-1)의 측면 접촉 가이드(400-1A)가 서로 접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암레스트 노브(300)에 노브 조작력(Fup)을 가하여 작동시키면, 노브 사프트(320)를 축으로 회전되고, 시소 구조로 인해 암레스트 래치(400)와 접촉되는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30-1)가 래치 조작력(Fdown)으로 암레스트 래치(400)에 오픈 회전력(M)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암레스트 래치(400)를 오픈 시켜준다.
이동위치인 경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의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a) 및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b)와 가이드 접촉부(400-1)의 측면 접촉 가이드(400-1A) 및 중앙 접촉 가이드(400-1B)가 서로 접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암레스트 커버(100)를 약 30mm로 전진시켜 줄 수 있다.
최종위치인 경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의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c)와 가이드 접촉부(400-1)의 중앙 접촉 가이드(400-1B)가 서로 접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암레스트 커버(100)를 약 60mm로 전진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도 6은 슬라이딩 암레스트(1)에 적용되어 단계별 슬라이딩 포지션을 형성하는 디텐트 스프링 스토퍼 구조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서포터(500)의 디텐트 스프링 홈(500-1)에 위치된 디텐트 스프링(600)은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800-1,800-2)의 이동에 따라 디텐트 스프링 홈(500-1)의 단계별 포지션에서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슬라이딩 암레스트(1)의 슬라이딩 이동 시 단계별 슬라이딩 포지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암레스트(1)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지는 암레스트 노브(300)와 그 조작력을 전달받는 암레스트 래치(400)에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300-1)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400)의 가이드 접촉부(400-1)로 이루어진 가변터치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암레스트 노브(300)의 조작에 따른 암레스트 래치(400)의 오픈(즉, 잠금 해제)으로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부품수량 축소와 중량 절감 구조가 가능하고, 특히 슬라이딩 전후 두 지점으로 만 국한되던 암레스트 오픈 조건을 해소한다.
1 : 슬라이딩 암 레스트 1-1 : 작동부
1-2 : 고정부 100 : 암레스트 커버
200 : 암레스트 어퍼 300 : 암레스트 노브
300-1 :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300-1a :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300-1b :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300-1c :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301 : 노브 레버 302 : 노브 바디
303 : 노브 힌지 310 : 노브 스프링
320 : 노브 사프트
400 : 암레스트 래치 400-1 : 가이드 접촉부
400-1A : 측면 접촉 가이드 400-1B : 중앙 접촉 가이드
401 : 래치 바디 402 : 래치 레버
403 : 래치 힌지 410 : 래치 스프링
420 : 래치 샤프트
500 : 슬라이딩 서포터 500-1 : 디텐트 스프링 홈
600 : 디텐트 스프링 700 : 암레스트 로워
800 : 슬라이딩 레일 800-1,800-2 :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

Claims (13)

  1. 외부 조작이 이루어지는 암레스트 노브;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암레스트 래치;
    상기 암레스트 노브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가 서로 맞닿은 접촉점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점이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을 따라 상기 암레스트 래치를 잠금 해제시켜주는 가변터치구조;가 포함되고;
    상기 가변터치구조는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가이드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진 슬라이딩 경사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경사각은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레버 경사각과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래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 및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암레스트 노브의 중앙부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정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의 좌우부위로 위치시키며, 상기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를 상기 이동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의 끝부위로 위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종위치 암레스트 래치 가이드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직선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측면 접촉 가이드, 중앙 접촉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암레스트 래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접촉부는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를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중앙부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측면 접촉 가이드를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의 좌우부위로 위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접촉 가이드는 삼각형상 돌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노브와 상기 암레스트 래치의 각각은 샤프트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은 슬라이딩 위치 고정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위치 고정은 디텐트 스프링과 디텐트 스프링 홈의 걸림턱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구조는 상기 슬라이딩 위치 고정을 다단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20180036688A 2018-03-29 2018-03-29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251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88A KR102518664B1 (ko) 2018-03-29 2018-03-29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88A KR102518664B1 (ko) 2018-03-29 2018-03-29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59A KR20190114259A (ko) 2019-10-10
KR102518664B1 true KR102518664B1 (ko) 2023-04-06

Family

ID=6820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88A KR102518664B1 (ko) 2018-03-29 2018-03-29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71B1 (ko) * 2019-11-14 2021-07-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CN112158138B (zh) * 2020-08-18 2023-03-03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滑动扶手、副仪表台及车辆
CN112459632A (zh) * 2020-11-17 2021-03-09 东风佛吉亚汽车内饰有限公司 可滑移后翻的扶手机构
KR102502295B1 (ko) * 2021-01-13 2023-02-2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52B1 (ko) *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730B1 (ko) 2003-12-12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52B1 (ko) *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59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664B1 (ko) 노브 연동 슬라이딩 암레스트
US10077004B2 (en) Multi-link knob type armrest and armrest conso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8662589B2 (en) Vehicle seat
JP4182984B2 (ja) シート
US9617764B2 (en) Hidden flush outside handle
US20150008680A1 (en) Interior apparatus of a vehicle
US10378183B2 (en) Work vehicle
JP6882140B2 (ja) シートスライド機構
JP2007196896A (ja) シート
KR20220039092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0703176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amper using knob of air vent
US20190169892A1 (en) Inside handle with integrated grip
US20100154309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JP6618861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20170305310A1 (en) Headrest
JP2012092636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5952285B2 (ja) 2つのレバーを有する車両用ドアハンドル
US9534426B2 (en) Child protector mechanism
US20180106080A1 (en) Activation installation
US10273728B2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in broadside collision of vehicle
JP6711722B2 (ja) 車両ドアの開閉装置
JP4951797B2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JP5447779B2 (ja) オープナー構造
JP7265105B2 (ja) リッドロックユニットの取付構造
CN105275282A (zh) 车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