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37B1 -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37B1
KR102518137B1 KR1020210110099A KR20210110099A KR102518137B1 KR 102518137 B1 KR102518137 B1 KR 102518137B1 KR 1020210110099 A KR1020210110099 A KR 1020210110099A KR 20210110099 A KR20210110099 A KR 20210110099A KR 102518137 B1 KR102518137 B1 KR 10251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unit
event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852A (ko
Inventor
양정하
황인찬
최하영
Original Assignee
(주)이지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위드 filed Critical (주)이지위드
Priority to KR102021011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주는 이벤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상기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주는 이벤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 및 박람회장이나 다양한 목적을 가진 행사장 등에서는, 관람객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체험 공간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체험 공간은, 일반적인 쇼케이스(showcase)나 모형 전시가 아닌 관람객이 직접 관찰하고 느끼며, 직접적인 참여 행동과 작동을 통해 경험하는 공간으로 진보하고 있다.
전시 및 박람회장이나 행사장을 방문한 관람객들은,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의 보급과 활발한 SNS 사용 등에 힘입어 체험 공간에서 다양한 포즈로 사진 촬영을 하고, 이를 타인들과 공유하며 체험을 즐기고 있다.
이에, 관람객들은, 전시 및 박람회장이나 행사장 등에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특수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지만,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카메라로는, 특수 사진을 촬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부 행사장에서는, 이러한 관람객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즉석 사진 키오스크 등을 체험 공간에 설치하기도 하였지만, 이 역시, 관람객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관람객에게 재미와 흥미를 선사하는 이벤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행사장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91417호(2019년 08월 06일)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촬영 대상을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선사하고, 행사장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촬영한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상기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체,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리니어 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체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체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되는 제1 볼스크류,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일측 끝단과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볼스크류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일측에 상기 제1 볼스크류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 볼스크류,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풀리에 연결된 타이밍 밸트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 상기 제2 볼스크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균형추, 그리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카메라의 최상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위치 센서, 그리고 상기 카메라의 최하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부는, 다수의 조명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조명 패널은, 다수의 발광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 패널의 양측에 연결되어 후방의 고정 부재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조명 패널의 측면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할 때, 상기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포토 스팟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구동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은, 카메라,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 상기 카메라가 진입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구간에 상기 카메라가 진입하면 상기 동작 구간에서 상기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촬영 대상을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선사하고, 행사장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촬영한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이벤트 영상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 카메라(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00), 카메라(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300), 그리고 카메라(100) 및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100)를 활성화시키고,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카메라(10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하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300)는, 카메라(100)의 최상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위치 센서와, 카메라(100)의 최하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센싱부(300)는, 촬영 대상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3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5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500)는, 다수의 조명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조명 패널은, 다수의 발광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조명부(5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센싱부(300)로부터 센싱되는 촬영 대상의 위치를 기초로 조명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활성화할 때,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포토 스팟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500)를 제어하고, 조명부(500)가 구동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10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할 때, 카메라 가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와 카메라 감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400)는, 구동부(300)를 제어할 때, 카메라 동작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가 카메라 가속 구간 또는 감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보다 더 길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카메라(100)의 촬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할 때,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 카메라(100)의 이동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카메라 동작 구간에서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의 카메라 최대 이동 속도를 유지하며, 카메라 감속 구간에서 카메라(100)의 이동 속도를 점차 감소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200)는, 카메라(100)를 지지하는 카메라 브라켓, 카메라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카메라 브라켓과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리니어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체, 그리고 회전 구동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은, 리니어 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 포함하고, 회전 구동체는, 제1, 제2 가이드 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동력원은, 서보 모터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는, 카메라(100), 구동부(200), 센싱부(300), 조명부(500) 및 제어부(400)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400)는, 하우징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서 하우징에 포함되는 카메라(100), 구동부(200) 및 조명부(500)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는, 리니어 가이드의 구간 초과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카메라(100)에 연결되는 배선을 가이드하는 배선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배선 가이드는, 카메라(1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촬영 대상을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선사하고, 행사장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촬영한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2는, 영상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영상 촬영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4는, 영상 촬영 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도 5는, 카메라 및 카메라 브라켓의 상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카메라 및 카메라 브라켓의 하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상단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00)는, 카메라(100)를 지지하는 카메라 브라켓(210), 카메라 브라켓(210)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20), 카메라 브라켓(210)과 가이드 레일(220)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230), 리니어 가이드(230)에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리니어 가이드(230)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체(230), 그리고 회전 구동체(230)를 회전시키는 동력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레일(220)은, 리니어 가이드(2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가이드 레일(222)과 제2 가이드 레일(224)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구동체(230)는, 제1, 제2 가이드 레일(222, 224)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구동체(230)는, 제1, 제2 가이드 레일(222, 224) 사이에 배치되어 리니어 가이드(230)에 연결되는 제1 볼스크류(231), 제1 볼스크류(231)의 일측 끝단과 동력원(240)에 연결되고 동력원(240)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234), 제1 볼스크류(231)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브라켓(237), 제1 가이드 레일(222) 일측에 제1 볼스크류(231)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 볼스크류(232), 제2 볼스크류(23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제1 풀리(234)에 연결된 타이밍 밸트(236)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235), 제2 볼스크류(232)에 연결되고 제2 볼스크류(232)의 회전에 의해 리니어 가이드(23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균형추(233), 그리고 제2 볼스크류(232)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 고정 브라켓(238)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동력원(240)은,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 본 발명은, 카메라(100), 구동부(200) 및 센싱부(300)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은, 바닥판, 바닥판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전방이 개방되는 측판, 바닥판을 마주하보록 측판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상판, 그리고 바닥판에 수직하고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판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220) 및 센싱부(30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250)는,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50)는, 지지 플레이트(250)의 후면과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판 사이에 진동 저감 부재(255)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카메라(100)의 상하 이동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촬영 영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250)의 상측에 리니어 가이드(230)의 구간 초과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330)를 배치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250)의 상측에 카메라(100)에 연결되는 배선(341)을 가이드하는 배선 가이드(34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선 가이드(340)는, 지지 플레이트(250)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배선(341)이 다른 구성 요소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배선 가이드(340)는, 카메라(1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회전 롤러는, 카메라(10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선(341)을 늘려주고, 카메라(10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선(341)을 줄여주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롤러의 회전 속도는, 카메라(100)의 이동 속도에 비례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센싱부(300)는, 카메라(100)의 최상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위치 센서(322), 그리고 카메라(100)의 최하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위치 센서(32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센싱부(300)는, 촬영 대상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3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게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500)는, 다수의 조명 패널(510)을 포함하고, 각 조명 패널(510)은, 다수의 발광 소자(540)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500)는, 조명 패널(510)의 양측에 연결되어 후방의 고정 부재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520), 그리고 고정 브라켓(520)과 조명 패널(510)의 측면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조명부(5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제3 위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촬영 대상의 위치를 기초로 조명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100)를 활성화할 때,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포토 스팟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고, 조명부가 구동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10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카메라(10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동 시작점과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가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와 카메라 감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가 동일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가 카메라 가속 구간 또는 감속 구간을 지나는 카메라(100)의 이동 거리보다 더 길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촬영 대상의 촬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 카메라(100)의 이동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카메라 동작 구간에서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의 카메라 최대 이동 속도를 유지하며, 카메라 감속 구간에서 카메라(100)의 이동 속도를 점차 감소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 카메라(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00), 카메라(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300),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500),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0), 그리고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700), 그리고 카메라(100), 구동부(200), 조명부(500), 디스플레이부(600) 및 통신부(7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100)를 활성화시키고,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카메라(10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하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디바이스는, PC(Personal Computer),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와 본 발명의 통신부(700) 사이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부(700) 사이 또는 통신부(700)와 다른 외부 서버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부(700)는,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그리고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모듈은,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부(70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다음,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은, 온수 공급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비콘 모듈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부(7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부(7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부(7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비가청음파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6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이벤트 영상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10)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카메라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 대상자(20)를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10)는,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35)을 외부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30)는, PC(Personal Computer),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10)와 외부 디바이스(3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벤트 영상(35)을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고속 촬영한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0).
그리고, 본 발명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20).
여기서, 본 발명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포토 스팟에 조명을 조사하고, 조명이 구동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카메라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S30).
다음, 본 발명은, 이동 시작점과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 카메라가 진입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
여기서, 본 발명은,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 카메라의 이동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카메라 동작 구간에서 상기 카메라 가속 구간에서의 카메라 최대 이동 속도를 유지하며, 카메라 감속 구간에서 카메라의 이동 속도를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작 구간에 카메라가 진입하면 동작 구간에서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0).
이어, 본 발명은,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60).
다음, 본 발명은,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0).
그리고, 본 발명은,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S80).
여기서, 본 발명은,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종료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S90), 영상 촬영 종료 요청이 있으면 영상 촬영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촬영 대상을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선사하고, 행사장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속 촬영한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영상 촬영 장치
20: 촬영 대상자
30: 외부 디바이스
100: 카메라
200: 구동부
300: 센싱부
400: 제어부
500: 조명부
600: 디스플레이부
700: 통신부

Claims (15)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싱한 카메라 위치를 기초로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서 상기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체;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리니어 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체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체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되는 제1 볼스크류;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일측 끝단과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볼스크류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일측에 상기 제1 볼스크류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 볼스크류;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풀리에 연결된 타이밍 밸트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
    상기 제2 볼스크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니어 가이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균형추; 그리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는 배선을 가이드하는 배선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가이드는,
    상기 카메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카메라의 최상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위치 센서; 그리고,
    상기 카메라의 최하부 이동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다수의 조명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조명 패널은,
    다수의 발광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 패널의 양측에 연결되어 후방의 고정 부재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조명 패널의 측면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할 때, 상기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포토 스팟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구동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4. 카메라,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촬영 대상을 포커싱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측의 이동 시작점에서 하측의 이동 종착점까지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시작점과 상기 이동 종착점 사이의 구간 중 카메라 가속 구간의 종료 시점과 카메라 감속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동작 구간에 상기 카메라가 진입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구간에 상기 카메라가 진입하면 상기 동작 구간에서 상기 촬영 대상을 연속적으로 고속 촬영하여 이벤트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KR1020210110099A 2021-08-20 2021-08-20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51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99A KR102518137B1 (ko) 2021-08-20 2021-08-20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99A KR102518137B1 (ko) 2021-08-20 2021-08-20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52A KR20230027852A (ko) 2023-02-28
KR102518137B1 true KR102518137B1 (ko) 2023-04-05

Family

ID=8532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99A KR102518137B1 (ko) 2021-08-20 2021-08-20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323A (ja) 1999-07-09 2001-02-23 Woon Yong Kim ファン/チルトカメラ及びその構造
JP2007028383A (ja) 2005-07-20 2007-02-0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10B1 (ko) * 2005-03-16 2007-03-09 (주)넥스트인스트루먼트 다중 해상도 기법을 이용한 자동 영상 초점 조정 방법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273420B1 (ko) * 2011-10-28 2013-06-11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체 추적 고속 3d 영상의 촬영장치
KR20190091417A (ko) 2019-06-21 2019-08-06 김민지 정보안내형 관광지 즉석사진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323A (ja) 1999-07-09 2001-02-23 Woon Yong Kim ファン/チルトカメラ及びその構造
JP2007028383A (ja) 2005-07-20 2007-02-0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52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90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JP7490556B2 (ja) 周囲光検出方法
US9762320B2 (en) Techniques for enhancing baud rate in light-based communication
US9680571B2 (en) Techniques for selective use of light-sensing devices in light-based communication
CN103493480A (zh) 视频会议显示装置
US20230328213A1 (en) Cloud-based Rendering of Interactive Augmented/Virtual Reality Experiences
JP2019004243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518137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N110612713B (zh) 控制多个用户终端的群体控制系统
US201201482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exchange service
JP2009130725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とその光受信装置
KR2018002586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502678B1 (ko) Did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6740870A (zh) 应援棒控制信息发送装置、应援棒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18519638A (ja) スマートランプを制御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4672524B2 (ja) 情報提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61165A (ko) 광고를 포함하는 360°비디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6180786A (ja) 投影装置、端末、投影システム及び投影方法
CN111176337B (zh) 一种投影装置以及投影方法、计算机存储介质
JP2007129479A5 (ko)
JP2017055936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41012B1 (ko)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5917A (ko) 컨텐츠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로봇 장치 및 로봇 제어 방법, 그리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버
US20210409579A1 (en) Camera-mirror apparatus
JP20170625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