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080B1 -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 Google Patents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080B1
KR102518080B1 KR1020200104304A KR20200104304A KR102518080B1 KR 102518080 B1 KR102518080 B1 KR 102518080B1 KR 1020200104304 A KR1020200104304 A KR 1020200104304A KR 20200104304 A KR20200104304 A KR 20200104304A KR 102518080 B1 KR102518080 B1 KR 10251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charging service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969A (ko
Inventor
임송빈
Original Assignee
임송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송빈 filed Critical 임송빈
Priority to KR102020010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0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69A/ko
Priority to KR1020230042444A priority patent/KR2023004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유선 USB 동글; 상기 휴대단말의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을 인식 및 인증하는 NFC 모듈;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충전수신기를 포함하며,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유선 USB 동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식별된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통해서 획득되는 충전서비스 이용정보를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REMOTE HANDHELD TERMINAL WIRELESS CHAR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CASE}
본 발명은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유로운 이동과 충전이 가능한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은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전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이 있다.
전자기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내며 이와 같은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전자기유도방식은 가장 실용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는 방식으로 다양한 기기에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충전이라고 하는 무접점 충전기술로서는 이와 같은 전자기 유도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자기공진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해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만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수 MHz에서 수십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기적 공명을 이루어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로서, 전자기유도방식보다 먼 거리에서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1m 가량 떨어진 곳에서는 약 90%의 높은 효율로, 2m에서도 약 40%의 효율로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기술의 상용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무선 충전기에 대한 이용료의 과금 방법 또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휴대폰의 충전 방식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이용료 과금을 통하여 수익성 창출이 가능한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자기공진방식의 무선 충전을 제공하는 무선충전케이스를 결합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매장 등의 장소의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과 자동 충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매장과 가정 등에 설치하여 충전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송신기 및 서비스의 보급과 함께 무선충전서비스의 유료 가입자의 확보를 통한 수익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업 시설 등의 매장 운영자가 무선 충전 이용료 지급에 사용할 수 있는 이용료 감면 쿠폰을 고객(사용자)에게 발행함으로써, 자사 매장을 선호하는 고객(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통한 해당 매장의 이용을 유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로서,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유선 USB 동글; 상기 휴대단말의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을 인식 및 인증하는 NFC 모듈;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충전수신기를 포함하며,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유선 USB 동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식별된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통해서 획득되는 충전서비스 이용정보를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무선충전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충전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의 충전서비스 이용료가 처리되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로부터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를 이용하는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사용자의 정보, 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매장 운영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매장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에 따른 이용료 감면 쿠폰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 측으로 충전서비스 이용료에 관한 감면 쿠폰을 발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감면 쿠폰을 수신하여 충전서비스 이용료를 감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충전서비스 이용료를 납부 받으면, 상기 매장 운영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매장 중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에 상응하는 매장 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송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를 통해서 획득되는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이용료의 납부를 처리하는 이용료 처리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충전서비스 이용료를 납부 받으면,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를 통해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를 매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충전서비스 제어부;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 충전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빅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매장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매장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에 따른 이용료 감면 쿠폰 발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 측으로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의 발급을 처리하는 쿠폰 발급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료 처리부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이용료 감면 쿠폰을 수신하여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을 처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유선충전 또는 접근식 무선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휴대단말의 충전 방식이 별도의 휴대단말 충전 케이블 또는 패드가 필요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자기공진방식의 무선 충전을 제공하는 무선충전케이스를 결합 및 휴대하여,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매장 등의 장소의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과 자동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과 가정 등에 설치하여 충전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송신기 및 서비스의 보급과 함께 무선충전서비스의 유료 가입자의 확보를 통한 수익을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업 시설 등의 매장 운영자가 무선 충전 이용료 지급에 사용할 수 있는 이용료 감면 쿠폰을 고객(사용자)에게 발행함으로써, 자사 매장을 선호하는 고객(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통한 해당 매장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케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도 5에서는 휴대단말로서 스마트폰이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면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시스템은 휴대단말(110), 상기 휴대단말(110)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120),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 무선충전송신기(140) 및 매장 운영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는 휴대단말(110)에 결합되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한다. 즉,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는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는 상기 휴대단말(110)과 NFC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10)의 기기 식별 또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하며, 휴대단말 충전서비스의 이용료가 납부되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는 상기 휴대단말(110)의 충전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의 사용자는 휴대단말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을 발급 받아서 휴대단말 충전서비스의 이용료를 감면 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는, 상기 휴대단말(110)이 인식되어 인증되고 충전서비스 이용료가 납부되면,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충전을 통해서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충전 전류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기 휴대단말(110)의 기기 정보, 사용자의 정보 또는 충전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와의 통신을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110) 인증 또는 사용자 인증되고 충전서비스 이용료가 납부되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110) 측으로 무선충전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이용료 감면 쿠폰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 측으로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의 발급을 처리하며,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이용료 감면 쿠폰을 수신하면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장 운영 서버(150)는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상기 휴대단말(110)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매장의 사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휴대단말(110) 측으로 이용료 감면 쿠폰을 직접 발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매장 운영 서버(150)는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 측으로 이용료 감면 쿠폰을 발급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휴대단말(110) 측으로 이용료 감면 쿠폰을 발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특정 매장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그 사용 실적에 따라 해당 매장 내에서의 충전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이용료 감면쿠폰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 측면에서는 이용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매장 운영자 측면에서는 자신의 매장의 이용객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케이스의 구성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케이스(120)는, 유선 USB 동글(121), NFC 모듈(122), 무선충전모듈(123) 및 무선통신모듈(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선 USB 동글(121)은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 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단말로 충전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FC 모듈(122)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10)의 NFC 태그와의 통신하여 상기 휴대단말(110)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123)은 자기공진방식이 채용된 무선충전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140)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유선 USB 동글(121)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123)은, 상기 무선통신모듈(124)이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통신하여 상기 휴대단말(110)의 사용자의 충전서비스 이용료가 처리되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로부터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24)은 상기 NFC 모듈(122)을 통해 식별된 상기 휴대단말(110)의 기기 정보,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무선충전모듈(123)을 통해서 획득되는 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모듈(124)은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10)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충전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증 처리부(131), 이용료 처리부(132), 충전서비스 제어부(133), 빅데이터 처리부(134), 사용자 정보 제공부(135) 및 쿠폰 발급 처리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처리부(131)는 무선충전케이스(120)를 통해서 획득되는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110)의 인증을 처리한다.
상기 이용료 처리부(132)는 상기 휴대단말(110)의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이용료의 납부를 처리한다.
상기 충전서비스 제어부(133)는 상기 휴대단말(110)으로부터 충전서비스의 이용료를 납부 받으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를 통해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120)를 매개하여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빅데이터 처리부(134)는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사용자의 정보 또는 충전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빅데이터 처리부(134)는 구성한 상기 빅데이터를 별도의 빅데이터 서버(139)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매장 운영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쿠폰 발급 처리부(136)는 상기 매장 운영 서버(15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에 따른 이용료 감면 쿠폰 발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110) 측으로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의 발급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용료 처리부(132)는 상기 휴대단말(110)으로부터 상기 이용료 감면 쿠폰을 수신하면,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술한 무선충전케이스(12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한다(S410).
상기 인증 후에는,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기 휴대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충전서비스의 이용료가 납부되면(S415),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를 통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20)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110)으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한다(S420). 이때, 상기 매장 운영 서버(150)에 의해 관리되는 매장 중 상기 휴대단말(110)의 위치에 상응하는 매장 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송신기(140)를 통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110)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110)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충전송신기(140)는 자기공진방식으로 여러 대의 휴대단말을 동시 충전할 수 있는 15W 이하의 저전력 및 2M 이내의 근거리 무선 충전을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휴대단말(110)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120)에 자기공진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110)에 무선충전케이스(120)를 결합하여 휴대하여,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매장 등의 장소의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과 자동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서비스의 제공 이후에는,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휴대단말(110)의 기기 정보, 사용자의 정보 또는 충전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한다(S425).
이와 같이 빅데이터를 구성한 이후에는,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매장 운영 서버(15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430).
이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매장 운영 서버(15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에 따른 이용료 감면 쿠폰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S435), 상기 휴대단말(110) 측으로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을 발급한다(S44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110)을 통해 상기 발급받은 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S445), 그에 따라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충전서비스의 이용료를 감면해줄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커피 매장에서 주로 휴대단말의 무선충전서비스를 이용하였다면, 해당 사용자의 활동 반경, 활동 이력, 선호 장소 등에 관한 빅데이터가 쌓이며,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즉, 해당 커피 매장에서는 그 사용자가 자사 매장을 자주 사용한다는 정보를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받은 커피 매장의 매장 운영 서버(150)는 해당 사용자가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에 무선 충전을 위한 월 이용료를 납부할 때, 사용자가 해당 월 이용료 지급에 사용할 수 있는 이용료 감면 쿠폰을 발행함으로써, 자사 매장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주어 해당 커피 매장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와 통신 연동되는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유선 USB 동글; 상기 휴대단말의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을 식별하는 NFC 모듈;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충전수신기를 포함하며,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유선 USB 동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식별된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를 통해서 획득되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충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휴대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무선충전서비스 이용료 납부를 전제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에 상응하는 매장 내에 설치된 무선충전송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로 상기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매장 내에서의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매장을 관리하는 매장 운영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매장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실적에 상응하는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 측으로 무선충전서비스 이용료에 관한 감면 쿠폰을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감면 쿠폰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충전서비스 이용료의 감면 처리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2.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무선충전케이스와의 통신 연동을 통해서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유선 USB 동글; 상기 휴대단말의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을 식별하는 NFC 모듈;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충전수신기를 포함하며, 원격의 무선충전송신기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획득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유선 USB 동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식별된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를 통해서 획득되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충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휴대단말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이용료의 납부를 처리하는 이용료 처리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무선충전서비스 이용료 납부를 전제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에 상응하는 매장 내에 설치된 무선충전송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충전케이스를 매개로 상기 휴대단말로 상기 무선충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충전서비스 제어부;
    상기 휴대단말의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빅데이터 처리부;
    상기 매장 내에서의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매장을 관리하는 매장 운영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매장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해당 매장의 사용 실적에 상응하는 상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료 감면 쿠폰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 측으로 무선충전서비스 이용료에 관한 감면 쿠폰의 발급을 처리하는 쿠폰 발급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료 처리부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감면 쿠폰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충전서비스의 이용료의 감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서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04304A 2020-08-20 2020-08-20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KR10251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04A KR102518080B1 (ko) 2020-08-20 2020-08-20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KR1020230042444A KR20230048283A (ko) 2020-08-20 2023-03-31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04A KR102518080B1 (ko) 2020-08-20 2020-08-20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444A Division KR20230048283A (ko) 2020-08-20 2023-03-31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69A KR20220022969A (ko) 2022-03-02
KR102518080B1 true KR102518080B1 (ko) 2023-04-05

Family

ID=80815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04A KR102518080B1 (ko) 2020-08-20 2020-08-20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KR1020230042444A KR20230048283A (ko) 2020-08-20 2023-03-31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444A KR20230048283A (ko) 2020-08-20 2023-03-31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80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611B2 (ja) * 1996-03-05 2001-09-04 東京瓦斯株式会社 配管内面の接着用組成物
JP2016099801A (ja) * 2014-11-21 2016-05-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及びクーポン配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456B1 (ko) * 2011-04-25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TWM511731U (zh) * 2015-07-03 2015-11-01 Mobileconn Technology Co Ltd 擴充裝置與具有其之保護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611B2 (ja) * 1996-03-05 2001-09-04 東京瓦斯株式会社 配管内面の接着用組成物
JP2016099801A (ja) * 2014-11-21 2016-05-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及びクーポン配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69A (ko) 2022-03-02
KR20230048283A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5842B (zh) 無線充電的電源管理系統及其方法
US20110119135A1 (en) Condition-based wireless power
KR2012011313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CN102760332A (zh) 用于提供无线充电服务的装置和系统
TWI704514B (zh) 無線充電服務方法及無線充電裝置
CN104093593A (zh) 具有计费处理单元的电力供给装置和电力接收装置
KR20120011776A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JP2008245359A (ja) 充電システム、充電制御方法、充電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526300B1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CN108734872A (zh) 一种手机共享无线充电方法及系统
KR102518080B1 (ko) 원거리 휴대단말 무선충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충전케이스
US10312720B2 (en) Wireless charging service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JP5066170B2 (ja) アタッチメント、アダプタ、管理サーバ及び課金システム
CN105096452A (zh) 短距离通信终端、智能卡充值系统及方法
KR101227433B1 (ko)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20170113007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48654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역방향 주문결제 시스템
KR200485324Y1 (ko)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JP2015046986A (ja) 認証シーケンスを実行する充電器、携帯型情報機器、認証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90100665A (ko) 스마트 폰 무선전력충전 시스템
KR102647321B1 (ko)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20130049712A (ko)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20140088663A (ko)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083207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6489339B1 (ja) 充電解析システム及び充電解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