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879B1 -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879B1
KR102517879B1 KR1020220071977A KR20220071977A KR102517879B1 KR 102517879 B1 KR102517879 B1 KR 102517879B1 KR 1020220071977 A KR1020220071977 A KR 1020220071977A KR 20220071977 A KR20220071977 A KR 20220071977A KR 102517879 B1 KR102517879 B1 KR 102517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connector
rainwater
expansion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651A (ko
Inventor
백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란산업개발
백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란산업개발, 백판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란산업개발
Publication of KR2022008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30Relating to industrial water supply, e.g. used f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주택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모듈식 구조의 구조물과, 구조물의 외면에 밀착되는 벽돌본체 및 벽돌본체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이 구성되어 조적 시공되는 조적벽돌과, 지하에 매립되어 외부의 우수를 수집, 저장 및 사용가능한 우수처리부를 포함하며, 우수처리부에 의해 빗물에 대한 수집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의 원활한 에너지 순환과 함께 낭비되는 에너지의 최소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ENERGY RECYCLING PASSIVE HOUSE HAVING MODULAR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 조립구조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빗물의 수집 및 정화 구조를 구성하여 주택 내 물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 중 하나로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자원부족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등과 함께 도시시설 및 산업시설 증가에 따라 폐수와 생활하수로 인하여 수자원의 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수자원은 생명유지에 필수적 존재로, 보다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거지역으로 수자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정수시설을 구축하여 정화, 소독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정화시설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기 어려운 도서산간에서는 산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이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이중 빗물을 사용하는데 따른 종래의 방법은 빗물을 저장공간에 받아 저장하고, 일정 시간동안 불순물이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한 후, 위쪽 부분의 물만을 걸러내어 청소용이나, 화단의 식물에 공급하는 등의 용도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용도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빗물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수기와 같은 정수장치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함으로써 음용이나 샤워 등의 용도로 사용가능할 수 있는 빗물 재생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빗물을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622269호는 제1 집수조 내로 포집되어 저장된 우수를 충진된 제강슬래그로서 중화시키는 단계, 중화 처리된 우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제1 수위측정기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제1 이송펌프를 작동시켜 우수를 여과장치의 여과재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 및 탁도를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장치를 통화하여 여과된 우수를 제2 집수조에 저장하고, 여과우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제2 수위측정기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우수배출관의 밸브부재를 개방하여 제2 집수조 내의 우수를 지하수층으로 배출처리하는 단계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450486호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여과재의 하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이송배관과,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여과재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역세수 배출 배관이 설치된 저장조, 빗물의 유로가 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저장도 내의 표면에 활성탄을 코팅한 직경 3~15mm의 재생 폐타이어 여재층과 부직포층, 스폰지층이 하부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여과재로 이루어진 빗물 여과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빗물을 정화하기 위한 설비가 복잡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정수 효과가 나타나는 문제점과 함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다소 부적합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설비 규모 및 설치비용과 함께 유지비용으로 인해 소규모의 개인주택에 적용하기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2269호 (2006.09.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0486호 (2004.09.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러 주택을 구성하는데 있어 외벽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조적 시, 구조물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 감소 및 태풍, 지진과 같은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빗물을 수집하고 이를 정화하여 생활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택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구조물(A)와, 상기 구조물(A)의 외면에 밀착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2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복수개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조적벽돌(B) 및 지하에 매립되어 외부의 우수를 수집하여 저장 및 사용가능한 우수처리부(C)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벽돌(B)은 복수개가 조적될 때, 조적벽돌(B)이 서로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조적연결체(100)와, 상기 조적연결체(100)의 상, 하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조적된 상, 하측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각각 체결되어지는 연결구(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200)는 이웃하는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조적연결체(100)에 의해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적연결체(100)는 일측으로 연장되어 건물 외벽을 포함하는 구조물(A)에 체결되어지는 외벽연결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연결체(300)는 조적연결체(100)에 연결되는 이음판부(310)와, 상기 이음판부(31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체결판부(320)와, 상기 체결판부(320)에 형성된 체결홀(33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330a)은 앵커볼트(330b)에 의해 관통되어지며, 상기 앵커볼트(330b)는 상기 체결홀(330a)을 관통하고 구조물(A)에 체결되어 상기 조적연결체(100)가 구조물(A)에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적연결체(100)와 이음판부(310)는 복수의 타공(100a)(310a)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제작되어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음판부(310)는 조적연결체(100) 상에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200)는 조적연결체(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어지는 제1 확관부(210)와, 상기 제1 확관부(2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어지는 제2 확관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처리부(C)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우수를 수집하며, 지중에 매입된 저장탱크에 우수를 저장하고, 이를 처리하여 생활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우수 처리시설(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 처리시설(4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 수집부(410)와, 상기 우수 수집부(410)로부터 수집되는 우수는 제1 관체(P1)를 통해 이송되며, 제1 관체(P1)로부터 이송된 우수를 저장하여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제1 저장부(420)와, 상기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의 이송을 제어하는 이송제어부(430)와, 상기 이송제어부(430)로부터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제2 저장부(440) 및 상기 제2 저장부(440)에 저장된 우수가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펌프(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 수집부(4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우수를 포집하는 다각형 형상의 수집부(411)와, 상기 수집부(411)의 최상측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측부는 완만한 곡선형태로 빗면을 형성하는 빗면부(412)와, 상기 수집부(411)와 빗면부(412) 사이에는 우수가 수집부(411) 내부로 흘러들어가도록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홀(413) 및 상기 수집부(411)의 하측단부를 관통하는 관체로 구성되되, 상측단부가 상기 수집부(411)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우수 이동부(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켜 소요되는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수집 및 정화 구조로 인한 주택 내 생활용수 공급이 가능하여 물 사용량의 절감으로 인한 비용감소 및 자원순환에 따른 수자원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벽돌 조적 및 연결구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조적연결체와 외벽연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외벽연결체 길이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연결구 확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제1, 2 확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조적벽돌에 모르타르가 충진된 외벽연결체의 길이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모르타르가 충진된 제1, 2 확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우수 수집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따른 본원발명은 구조물(A), 조적벽돌(B) 및 우수처리부(C)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먼저 상기 구조물(A)은 모듈식 구조로 주택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것으로 목재, 철재, 콘크리트재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물(A)은 주택의 내벽, 즉 내부구조를 구성하게 되며 각종 전기시설, 수도시설 및 환기시설 등의 일반적인 주택 내부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적벽돌(B)은 상기 구조물(A)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벽돌본체(10)와 관통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0)은 벽돌본체(10)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관통홀(20)이 구비된다.
상기 조적벽돌(B)은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조적되는데, 이때 조적벽돌(B)과 조적벽돌(B)의 사이에는 줄눈이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조적연결체(100)와, 상기 조적연결체(100)의 상, 하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조적된 상, 하측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각각 체결되어지는 연결구(200)를 구성한다.
또한 조적연결체(100)는 조적 시공되는 조적벽돌(B)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조적연결체(100)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구조물(A)의 줄눈 역할을 하게 된다.
벽돌 조적에 있어서 줄눈은 벽돌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되는데, 이때 벽돌끼리 맞닿아 있는 상태로 수축, 팽창되어 벽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줄눈시공에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적의 품질이 결정된다.
조적연결체(100)에 의해 줄눈이 형성되는 경우 조적벽돌(B)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어 비숙련공에 의해 조적 품질이 향상되고,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방법으로 주변 환경을 신경 쓰지 않고 조적이 가능하다.
도 2에서 연결구(200)는 상기 조적연결체(100) 상면 중앙에 1개 및 조적연결체(100) 저면의 양측에 2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상면에 2개, 저면에 1개가 형성되거나, 조적연결체(100)의 상, 하면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에 따른 벽돌 조적을 위한 연결구 구조체를 사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기초바닥에 조적벽돌(B)을 횡방향으로 시공한 후,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조적연결체(100)의 저면 연결구(200)를 끼움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조적연결체(100)의 상면 연결구(200)에 다른 조적벽돌의 관통홀(20)을 끼움 결합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적벽돌(B)과 조적연결체(100) 및 연결구(200)에 의해 종방향으로 결속되는 조립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2와 같이 연결구(200)를 조적연결체(100)의 상면 중앙에 1개, 조적연결체(100)의 저면 양측에 2개를 형성할 시, 연결구(200)가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각각 체결되어, 조적연결체(100)의 의해 횡방향으로 결속되는 조립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조적벽돌(B)이 조적연결체(100) 및 연결구(200)에 의해 종, 횡방향으로 조립 시공됨에 따라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조적벽돌(B)과 조적연결체(100)로 결속력 증대를 도모하여 태풍과 같은 외력에 대한 강한 내구성이 확보되고, 자립 안전성으로 인해 구조물(A)에 연계 시공 시, 상기 구조물(A)과 연계되어 내구성이 보강되므로 지진, 태풍을 포함하는 자연재해로부터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조적연결체(100) 일측으로 연장되어, 건물 외벽을 포함하는 구조물(A)에 체결되는 외벽연결체(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벽연결체(300)는 조적연결체(100)에 연결되는 이음판부(310)와, 상기 이음판부(31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체결판부(320)와, 상기 체결판부(32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어지는 앵커볼트(330b) 및 상기 앵커볼트(330b)가 결합되어지는 체결홀(33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판부(310)는 도 2와 같이 조적연결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연결체(100)와 별도로 분할 형성되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음판부(310)의 단부에 구조물(A)에 장착되는 체결판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어느 하나에 한정 짓지 아니하고 설명한다.
이에, 구조물(A)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조적벽돌(B)을 조적 시, 조적벽돌(B)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적연결체(100)가 외벽연결체(300)에 의해 구조물(A)과 체결되므로, 태풍 및 지진과 같은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향상된다.
도 4에서 상기 조적연결체(100)와 이음판부(310)는 복수의 타공(100a)(310a)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제작되고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음판부(310)는 조적연결체(100) 상에서 돌출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음판부(310)는 조적연결체(1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포개지도록 구비되거나, 슬라이드홈과 돌기에 의해 맞물려 조립될 수 있으며, 또한 조적연결체(100)의 측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이음판부(31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구조물(A)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조적벽돌(B)을 조적 시, 구조물(A)의 외벽이 기울거나 돌출부 및 함몰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더라도 조적연결체(100)를 기준으로 이음판부(310)를 이동하여 외벽연결체(300)의 돌출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구조물(A)의 외벽 형상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조적벽돌(B)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의 수직방향 조적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5에서 상기 연결구(200)는 조적연결체(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제1 확관부(210)와, 상기 제1 확관부(2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제2 확관부(211)와, 상기 제1, 2 확관부(210)(211)를 방사형으로 분할하는 절개라인(230)과, 제1, 2 확관부(210)(211) 중 어느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홈(220a)(220b)과, 제1, 2 확관부(210)(211)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되어 스톱홈(220a)(220b)에 맞물려 제1, 2 확관부(210)(211)의 외경 크기가 확장되어지도록 구비되는 밀편(24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조적연결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구(200)의 제2 확관부(211)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적연결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구(200)의 제1 확관부(210)는 조적연결체(100)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적연결체(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연결구(200)의 제1 확관부(210)의 스톱홈(220a)은 밀편(240)의 하방향 이송은 허용하되, 상방향 이송이 제한되도록 하는 하향 경사면을 가진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또 조적연결체(1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연결구(200)의 제2 확관부(211)에 형성되는 스톱홈(220b)은 밀편(240)의 하방향 이송은 허용하되, 상방향 이송이 제한되도록 하는 하향 경사면을 가진 톱니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도 5a와 같이 조적연결체(1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연결구(200)는 조적연결체(100)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통하여 밀대를 삽입하면, 밀편(240)이 가압되어 하향 이송되면서 제2 확관부(211)의 확장력에 의해 관통홀(20)에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후 조적벽돌(B)을 추가 적층한다.
또한 도 5b와 같이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을 통하여 밀대를 삽입하여 조적연결체(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연결구(200) 내에 구비되는 밀편(240)을 가압하면, 밀편(240)이 하향 이송되면서 제1 확관부(210)의 확장력에 의해 관통홀(20)에 가압 고정된다.
한편, 밀편(240)의 위치에 따라 연결구(200)의 확관 크기가 조절되므로, 단일의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관통홀(20)에 적용되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가령, 본 발명은 모르타르(M)를 타설하지 않는 방법과, 모르타르(M)가 타설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M)의 타설 여부 중 그 어느 하나에 한정 짓지 아니하고 설명한다.
도 7에서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관통홀(20)이 구비되는 조적벽돌(B), 상기 조적벽돌(B) 조적 시, 조적벽돌(B)과 조적벽돌(B)의 사이에 모르타르(M)가 타설될 수 있다.
기초바닥에 조적벽돌(B)을 횡방향으로 시공한 후,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조적연결체(100)의 저면 연결구(20)를 횡방향으로 시공한 후,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에 조적연결체(100)의 저면 연결구(200)를 끼움 결합되도록 설치하고 모르타르(M)를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모르타르(M)의 위에 조적벽돌(B)을 적층하게 된다.
이때, 조적벽돌(B)은 조적연결구(100)의 상면 연결구(200)에 다른 조적벽돌 조적연결체(100)의 관통홀(20)을 끼움 결합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적벽돌(B)과 조적연결체(100) 및 연결구(200)에 의해 종방향으로 결속되는 조절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상기 조적벽돌(B)이 조적연결체(100) 및 연결구(200)에 의해 종, 횡방향으로 조립 시공됨에 따라 모르타르(M)와 함께 조적벽돌(B) 간에 결속력 증대를 도모하여 태풍과 같은 외력에 대한 강한 내구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 8에서 상기 조적연결체(100)와 상기 이음판부(310)는 복수의 타공(100a)(310a)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제작되고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음판부(310)는 조적연결체(100) 상에서 돌출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조적벽돌(B)의 사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M)가 타공(100a)(310a)으로 유입되어 조적연결체(100)와 이음판부(3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구조물(A)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조적벽돌(B)을 조적 시, 구조물(A)의 외벽이 기울거나 돌출부 및 함몰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더라도 조적연결체(100)를 기준으로 이음판부(310)를 이동하여 외벽연결체(300)의 돌출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구조물(A)의 외벽 형상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조적벽돌(B)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의 수직방향 조적 정밀도가 향상되고, 특히 외벽연결체(300)의 돌출길이를 조절 후에 타설되는 모르타르(M)가 조적연결체(100)와 이음판부(310)의 타공(100a)(310a)으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조적연결체(100)와 이음판부(310)의 위치조절상태가 간단하게 고정된다.
도 9에서 제1, 2 확관부(210)(211)의 단부를 통해서 모르타르(M)가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모르타르(M)는 개방홀(210a)(211a)에 주입되어 지는데, 밀편(240)을 경계로 상부영역에 모르타르 충진부(250b)가 형성되어 제1, 2 확관부(210)(211)의 확장위치를 고정하고, 밀편(240)을 경계로 하부영역에 중공의 공간부(250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밀편(240)을 가압하여 제1, 2 확관부(210)(211)의 확장력에 의해 상기 밀편(240)이 연결구(200)가 관통홀(20)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로 개방홀(210a)(211a)을 통하여 모르타르(M)를 충진하면, 모르타르(M)가 밀편(240)을 경계로 상부영역인 모르타르 충진부(250b)에 국부적으로 타설 경화되어 밀편(240)이 위치 고정되면서 제1, 2 확관부(210)(211)의 확장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지진, 태풍과 같은 반복 진동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밀편(240)에 의해 연결구(200) 하부영역에 중공의 공간부(250a)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구(200)의 내부로 모르타르(M)를 투입시 공간부(250a)의 체적만큼 모르타르(M)의 투입량이 감소되므로, 조적벽돌(B)의 조적 시공에 따른 모르타르(M)의 소모량 절감과 더불어 조적벽돌(B)로 형성되는 벽체구조물의 전체 중량 감소로 구조물(A)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된다.
도 10은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조물(A)을 구성하는 스틸하우스의 골조를 제작하는 단계(S10)와, 상기 구조물(A)의 내부에는 전기 주름관을 시공하는 단계(S20)와, 상기 전기 주름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보일러 액셀 및 미장을 시공하는 단계(S40)와, 상기 구조물(A)의 외벽에 조적벽체(B)를 시공하는 외부 마감 시공단계(S50)를 거쳐 모듈식 주택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우수처리부(C)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우수를 수집하며, 지중에 매입된 저장탱크에 우수를 저장하고, 이를 처리하여 생활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우수 처리시설(400)을 더 포함한다.
도 1에서 상기 우수 처리시설(4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 수집부(410)와, 상기 우수 수집부(410)로부터 수집되는 우수는 제1 관체(P1)를 통해 이송되며, 상기 제1 관체(P1)로부터 이송된 우수를 저장하여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제1 저장부(420)와, 상기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의 이송을 제어하는 이송제어부(430)와, 상기 이송제어부(430)로부터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제2 저장부(440) 및 상기 제2 저장부(440)에 저장된 우수가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펌프(450)로 구성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 수집부(4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우수를 포집하는 다각형 형상의 수집부(411)와, 상기 수집부(411)의 최상측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측부는 완만한 곡선형태로 빗면을 형성하는 빗면부(412)와, 상기 수집부(411)와 빗면부(412) 사이에는 우수가 수집부(411) 내부로 흘러들어가도록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홀(413) 및 상기 수집부(411)의 하측단부를 관통하는 관체로 구성되되, 상측단부가 상기 수집부(411)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우수 이동부(41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우수 이동부(414)는 수집부(411) 내부에 수집된 우수가 일정 양을 초과해야지만 제1 관체(P1)로 우수가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서 1차적으로 우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우수 수집부(410)를 통해 수집된 우수는 제1 관체(P1)를 통해 제1 저장부(420)로 이송된다. 상기 이때 상기 제1 관체(P1)는 제1 저장부(420)의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짐으로써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가 소정의 시간을 거쳐 침전물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제어부(430)는 상기 별도의 전력 및 제어장치를 통해 능동적으로 개폐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제어부(430)를 통해 제2 저장부(440)로 이송된 우수는 상기 제어펌프(450)의 작동에 따라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이동되어 생활용수로 공급되어짐으로써 빗물의 재순환이 가능하여, 수도사용량의 절감 및 수질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A : 구조물 B : 조적벽돌
C : 우수처리부 10: 벽돌본체
20 : 관통홀 100 : 조적연결체
200 : 연결구 300 : 외벽연결체
400 : 우수 처리시설

Claims (3)

  1. 주택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모듈식 구조의 구조물(A)과, 구조물(A)의 외면에 밀착되는 벽돌본체(10) 및 벽돌본체(10)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관통홀(20)이 구성되어 조적 시공되는 조적벽돌(B)과, 지하에 매립되어 외부의 우수를 수집, 저장 및 사용가능한 우수처리부(C)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벽돌(B)은 조적 시공되는 조적벽돌(B)의 사이에 배치되며, 판 형태로 형성되어 구조물(A)의 줄눈 역할을 하는 조적연결체(100);와, 조적연결체(100)의 상하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어 이웃하는 벽돌본체(10)의 관통홀(20)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연결구(200);와, 조적연결체(10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조물(A)의 외벽에 체결되는 외벽연결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처리부(C)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 수집부(410)와, 우수 수집부(410)로부터 수집되는 우수는 제1 관체(P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우수를 저장하여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제1 저장부(420)와,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의 이송을 제어하는 이송제어부(420)와, 이송제어부(420)로부터 제1 저장부(420)에 저장된 우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제2 저장부(440) 및 제2 저장부(440)에 저장된 우수가 제2 관체(P2)를 통해 주택 내외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펌프(450)로 구성되는 우수 처리시설(40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200)는 조적연결체(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제1 확관부(210)와, 제1 확관부(2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제2 확관부(211)와, 제1, 2 확관부(210)(211)를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절개라인(230)과, 제1, 2 확관부(210)(211) 중 어느 일측 내부면에 형성되어 밀편(240)의 하방향 이송을 허용하되, 상방향 이송이 제한되도록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톱니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홈(220a)(220b)과, 제1, 2 확관부(210)(211)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되어 스톱홈(220a)(220b)과 맞물려 제1, 2 확관부(210)(211)의 외경 크기를 확장시키는 밀편(24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200)는 조적연결체(100)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통해 삽입되는 밀대에 의해 밀편(240)이 가압되어 하향 이송되면서 제2 확관부(211)의 확장력에 의해 관통홀(20)에 맞물려 고정되고, 조적벽돌(B)의 관통홀(20)을 통하여 삽입되는 밀대에 의해 연결구(200) 내에 구비되는 밀편(240)이 가압되어 하향 이송되면서 제1 확관부(210)의 확장력에 의해 관통홀(20)에 맞물려 고정되고, 상기 제1, 2 확관부(210)(211)의 단부를 통하여 모르타르(M)가 투입되되, 밀편(240)을 경계로 하부영역에는 중공의 공간부(250a)와, 밀편(240)을 경계로 상부영역에는 개방홀(210a)(211a)에 모르타르(M)가 주입되어 제1, 2 확관부(210)(211)의 확장위치를 고정하는 모르타르 충진부(250b)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수집부(4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우수를 포집하는 다각형 형상의 수집부(411)와, 수집부(411)의 최상측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측부는 오나만한 곡선형태로 빗면을 형성하는 빗면부(412)와, 수집부(411)와 빗면부(412) 사이에는 우수가 수집부(411) 내부로 흘러들어가도록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홀(413) 및 수집부(411)의 하측단부를 관통하는 관체로 구성되되, 상측단부가 수집부(411)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우수 이동부(414)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는
    제1 확관부(210)는 조적연결체(100)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확관부(211)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연결체(300)는 조적연결체(100)에 연결되는 이음판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판부(310)는 조적연결체(1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포개지도록 구비되거나 슬라이드홈과 돌기에 의해 맞물려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적연결체(100)는 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이음판부(31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KR1020220071977A 2020-08-05 2022-06-14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KR102517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8105 2020-08-05
KR1020200098105 2020-08-05
KR1020220001593A KR102415708B1 (ko) 2020-08-05 2022-01-05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구비되는 에너지 순환형 주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93A Division KR102415708B1 (ko) 2020-08-05 2022-01-05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구비되는 에너지 순환형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651A KR20220088651A (ko) 2022-06-28
KR102517879B1 true KR102517879B1 (ko) 2023-04-05

Family

ID=7934209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16A KR102350113B1 (ko) 2020-08-05 2020-10-27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갖춘 친환경주택
KR1020220001593A KR102415708B1 (ko) 2020-08-05 2022-01-05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구비되는 에너지 순환형 주택
KR1020220071977A KR102517879B1 (ko) 2020-08-05 2022-06-14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16A KR102350113B1 (ko) 2020-08-05 2020-10-27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갖춘 친환경주택
KR1020220001593A KR102415708B1 (ko) 2020-08-05 2022-01-05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구비되는 에너지 순환형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50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6732B (zh) * 2023-05-05 2023-11-03 江苏鼎有建设有限公司 带有雨水收集装置的装配式住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472B2 (ja) * 1996-04-16 2000-03-06 プリマハム株式会社 畜肉スプレ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5504B1 (ko) * 2013-10-15 2014-11-26 최연수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472U (ja) * 1995-03-31 1995-10-03 日出夫 堤 貯水装置
KR100622269B1 (ko) 2000-12-21 2006-09-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우수 재이용 방법
KR100450486B1 (ko) 2004-06-18 2004-10-01 엘지건설 주식회사 빗물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수도 처리 시스템
KR101691690B1 (ko) * 2013-08-26 2017-01-02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472B2 (ja) * 1996-04-16 2000-03-06 プリマハム株式会社 畜肉スプレ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5504B1 (ko) * 2013-10-15 2014-11-26 최연수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651A (ko) 2022-06-28
KR20220017951A (ko) 2022-02-14
KR102350113B1 (ko) 2022-01-13
KR102415708B1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9640A1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US10626580B2 (en) Honeycomb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US8770890B2 (en) Module and assembly for managing the flow of water
CN202369968U (zh) 拼装式排水箱涵
KR102517879B1 (ko)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JP5726507B2 (ja) 筒状濾過槽及び雨水処理装置
CN101469556A (zh) 一种建筑外墙绿化方法
KR101143511B1 (ko) 우수저류조
KR101067046B1 (ko)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CN113453859A (zh) 用于浅层应用的流体地下管理用模块和组件
CN206477382U (zh) 雨水回收综合利用结构
CN201762756U (zh) 一种埋地式矩形雨水收集模块
CN113057106B (zh) 分段式预制粪槽和猪舍排污系统
KR101332600B1 (ko) 인공지반 빗물유출수의 수질을 고려한 다중 관로형 빗물 저류 침투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KR102060039B1 (ko) 축사용 분뇨 배출 바닥 프레임
WO1995025852A1 (de) Bauwerk in fertigbauweise aus stahlbeton oder einem ersatzstoff
KR100598365B1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CN208329106U (zh) 一种城市蓄水海绵体
CN218060369U (zh) 地下室gql管施工结构及配套的gql管
CN106703157B (zh) 雨水回收综合利用结构施工方法
KR200399673Y1 (ko) 빗물 저장탱크
CN215760053U (zh) 一种零坡度虹吸排水收集系统
KR200261921Y1 (ko) 상수원지 하수처리를 위한 수중 접합관 구조
KR200338567Y1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CN207392363U (zh) 生活区雨水自动调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