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52B1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652B1
KR102517652B1 KR1020227033612A KR20227033612A KR102517652B1 KR 102517652 B1 KR102517652 B1 KR 102517652B1 KR 1020227033612 A KR1020227033612 A KR 1020227033612A KR 20227033612 A KR20227033612 A KR 20227033612A KR 102517652 B1 KR102517652 B1 KR 10251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t
mac
head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164A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다까요시 오데
요시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04L1/001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latency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종별의 제1 데이터와, 제2 종별의 제2 데이터를, 복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할 때, 상기 제2 데이터에, 논리 채널 번호 또는 데이터 길이의 정보를 생략한 MAC 헤더를 부여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네트워크는,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퓨처폰)의 트래픽이 네트워크 리소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하는 트래픽은, 앞으로도 확대될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예를 들어, 교통 시스템, 스마트 미터, 장치 등의 감시 시스템)의 전개에 맞추어, 다양한 요구 조건을 갖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5 세대 이동체 통신(5G 또는, NR(New Radio))의 통신 규격에서는, 4G(제4 세대 이동체 통신)의 표준 기술에 더하여, 더한층의 고데이터 레이트화, 대용량화, 저지연화를 실현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제5 세대 통신 규격에 대해서는, 3GPP의 작업부회(예를 들어, TSG-RAN WG1, TSG-RAN WG2 등)에서 기술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다종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서, 5G에서는, 예를 들어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assiv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로 분류되는 많은 유스케이스의 서포트를 상정하고 있다. 특히, URLLC는, 초고신뢰성과 저지연 둘다 요구되기 때문에, 실현이 곤란한 유스케이스 중 하나이다.
또한, 5G에서는,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 데이터(URLLC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eMBB 데이터 등)를 동일 캐리어로 동시에 서포트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그 실현을 위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5G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3GPP TS 36.211 V15.0.0 (2017-12) 3GPP TS 36.212 V15.0.1 (2018-01) 3GPP TS 36.213 V15.0.0 (2017-12) 3GPP TS 36.300 V15.0.0 (2017-12) 3GPP TS 36.321 V15.0.0 (2017-12) 3GPP TS 36.322 V15.0.0 (2017-12) 3GPP TS 36.323 V14.5.0 (2017-12) 3GPP TS 36.331 V15.0.1 (2018-01) 3GPP TS 36.413 V15.0.0 (2017-12) 3GPP TS 36.423 V15.0.0 (2017-12) 3GPP TS 36.425 V14.0.0 (2017-03) 3GPP TS 37.340 V15.0.0 (2017-12) 3GPP TS 38.201 V15.0.0 (2017-12) 3GPP TS 38.202 V15.0.0 (2017-12) 3GPP TS 38.211 V15.0.0 (2017-12) 3GPP TS 38.212 V15.0.0 (2017-12) 3GPP TS 38.213 V15.0.0 (2017-12) 3GPP TS 38.214 V15.0.0 (2017-12) 3GPP TS 38.215 V15.0.0 (2017-12) 3GPP TS 38.300 V15.0.0 (2017-12) 3GPP TS 38.321 V15.0.0 (2017-12) 3GPP TS 38.322 V15.0.0 (2017-12) 3GPP TS 38.323 V15.0.0 (2017-12) 3GPP TS 38.331 V15.0.0 (2017-12) 3GPP TS 38.401 V15.0.0 (2017-12) 3GPP TS 38.410 V0.6.0 (2017-12) 3GPP TS 38.413 V0.5.0 (2017-12) 3GPP TS 38.420 V0.5.0 (2017-12) 3GPP TS 38.423 V0.5.0 (2017-12) 3GPP TS 38.470 V15.0.0 (2018-01) 3GPP TS 38.473 V15.0.0 (2017-12) 3GPP TR 38.801 V14.0.0 (2017-04) 3GPP TR 38.802 V14.2.0 (2017-09) 3GPP TR 38.803 V14.2.0 (2017-09) 3GPP TR 38.804 V14.0.0 (2017-03) 3GPP TR 38.900 V14.3.1 (2017-07) 3GPP TR 38.912 V14.1.0 (2017-06) 3GPP TR 38.913 V14.3.0 (2017-06) "New SID Proposal: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TT docomo, RP-160671, 3GPP TSG RAN Meeting #71, Goteborg, Sweden, 7.-10. March, 2016 "On co-existence of eMBB and URLLC", NTT docomo, R1-167391, 3GPP TSG RAN WG1 Meeting #86, Gothenburg, Sweden 22nd-26th August 2016
URLLC는, 예를 들어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데이터 사이즈가 작으면, 송신 메시지에 있어서의 헤더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헤더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한 오버헤드가 커진다. 이 경우, URLLC에서 요구되는 저지연을 실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개시의 하나 목적은, 헤더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한 오버헤드를 저감하는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종별의 제1 데이터와, 제2 종별의 제2 데이터를, 복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할 때, 상기 제2 데이터에, 논리 채널 번호 또는 데이터 길이의 정보를 생략한 MAC 헤더를 부여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다.
일 개시는, 헤더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한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eMBB에 있어서의 URLLC의 인터럽트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지국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말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MAC 헤더 패턴 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MAC 헤더 패턴 1을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MAC 헤더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MAC 헤더 패턴 2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LCMAP의 일부에 R 비트를 설정하는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MAC 헤더 패턴 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MAC 헤더 패턴 3을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LCMAP 패턴 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MAC 헤더 패턴 2에 있어서, LCMAP 패턴 5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MAC 헤더 패턴 2에 있어서, LCMAP 패턴 5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MAC 헤더 패턴 4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MAC 헤더 패턴 4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LCID의 번호와, 대응하는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과제 및 실시예는 일례이며, 본원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기재된 표현이 달랐다고 해도 기술적으로 동등하면, 다른 표현이어도 본원의 기술을 적용 가능하며,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최초에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통신 상대 장치(도시 생략)에,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송신부(290) 및 제어부(291)를 갖는다. 송신부(290) 및 제어부(291)는,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가 갖는 컴퓨터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실행함으로써 구축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5G에 있어서의gNodeB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제1 종별(예를 들어, eMBB)의 제1 데이터 및 제2 종별(예를 들어, URLLC)의 제2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송신부(29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복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한다. 송신부(290)는,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송신 중에 제2 데이터의 송신 계기가 발생하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제어부(291)는 송신부(290)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할 때, 제2 데이터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논리 채널 번호(LCID: Logical Chanel Identifier)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1)는 송신부(290)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할 때, 제2 데이터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데이터부의 사이즈(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L: Length)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200)는 MAC 헤더의 데이터양을 억제하여, 헤더부 송신에 의한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2는,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0)은 단말 장치(100) 및 기지국 장치(200)를 갖는다. 통신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5G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통신 시스템(10)은 이하에 나타내는 프로토콜 스택에 준거한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규격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기능을 일련의 층(레이어)으로 분할한 프로토콜 스택(계층형 프로토콜이라고도 칭해짐)으로서, 사양이 규정된다. 예를 들어, 제1층으로서 물리층이 규정되고, 제2층으로서 데이터 링크층이 규정되고, 제3층으로서 네트워크층이 규정된다. LTE 등의 제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2층은 복수의 부층으로 분할되어 있고, MAC(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 RLC(Radio Link Control) 레이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제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층은 PHY(Physical)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제3층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로 구성된다(RRC 레이어는 제어 플레인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각 레이어는,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 블록(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이라고도 칭해짐)에 대하여 헤더를 첨부하는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준거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피어 프로세스간에서 교환되는 정보 단위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을 생성하고, 하위 레이어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LTE의 RLC 레이어에서는, 상위 레이어인 PDCP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 블록인 PDCP-PDU를 RLC-SDU로 하고, 하위 레이어로부터 통지되는 TB(Transport Block) 길이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복수의 RLC-SDU를 연결하는 등으로 하여, RLC-PDU를 생성한다. 그와 같은 RLC-PDU는,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시퀀스 번호(SN: Sequence Number)를 갖는 RLC 헤더가 첨부된 상태로, 하위 레이어인 MAC 레이어로 전송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각 레이어는, 하위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 블록(PDU라고도 칭해짐)을 받아, 헤더를 제거하는 등으로 하여 취출된 데이터 블록(SDU라고도 칭해짐)을 상위 레이어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LTE의 RLC에서는, 하위 레이어인 MAC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 블록(MAC-SDU, RLC-PDU라고도 칭해짐)에 첨부된 RLC 헤더를 참조하여, 1개의 RLC-PDU에 저장된 복수의 RLC-SDU를 재구성하는 등의 처리가 행하여져, 상위 레이어인 PDCP 레이어에 RLC-SDU를 전송한다. 그 때, 상위 레이어에 대하여 RLC-SDU의 순서를 보상하기 위해서, RLC-SDU의 재구성에 있어서, RLC 헤더가 갖는 RLC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는 정서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RLC 시퀀스 번호에 누락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송신 장치에 대하여 RLC-PDU의 재송을 요구하는 RLC 재송 제어가 실행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네트워크(도시 생략)로부터 단말 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무선을 통하여 단말 장치(10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5G에 준거한 gNodeB이다.
단말 장치(100)는 기지국 장치(200)와, 혹은 기지국 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URLLC의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할 때, eMBB를 송신하는 리소스의 일부를 사용한다.
도 3은, eMBB에 있어서의 URLLC의 인터럽트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eMBB를 송신하는 데이터 영역의 일부인 eMBB 데이터 펑쳐 가능 영역을 사용하여, URLLC를 인터럽트(펑쳐)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메시지(M1)를 사용하여 URLLC를 송신한다. 메시지(M1)에 있어서, 「P」는 Preemption Indicator를 나타낸다. Preemption Indicator는, 당해 데이터(도 3 중의 D)가 eMBB의 데이터가 아닌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예를 들어 메시지 헤더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또한, 인터럽트 송신은, eMBB 데이터 펑쳐 가능 영역의 복수의 영역을 사용해도 되고, 일부를 사용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
도 4는, 기지국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0), 스토리지(220),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230), NIC(Network Interface Card)(240) 및 RF(Radio Frequency) 회로(250)를 갖는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URLLC의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이다.
스토리지(22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보조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22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 및 헤더 패턴(222)을 기억한다.
헤더 패턴(222)은 이후에 나타내는 헤더 패턴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또한, 헤더 패턴(222)은 프로그램에 내장되어도 된다.
메모리(230)는 스토리지(2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영역이다. 또한, 메모리(230)는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NIC(240)는,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도시 생략)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NIC(240)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RF 회로(250)는 단말 장치(100)와 무선 접속하는 장치이다. RF 회로(250)는, 예를 들어 안테나(251)를 갖는다.
CPU(210)는, 스토리지(2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230)에 로드하고,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이다.
CPU(21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을 실행함으로써, 송신부 및 제어부를 구축하여, 통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통신 제어 처리는, 단말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처리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통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 eMBB의 데이터(이하, eMBB 데이터라고도 칭할 경우가 있음) 및 URLLC의 데이터(이하, URLLC 데이터라고 칭할 경우가 있음)를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통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eMBB 데이터와 URLLC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URLLC 데이터의 헤더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헤더 패턴을 단말 장치(100)에 통지한다.
CPU(21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이 갖는 eMBB 송신 모듈(2211)을 실행함으로써, 송신부를 구축하여, eMBB 송신 처리를 행한다. eMBB 송신 처리는, eMBB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하는 처리이다.
CPU(21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이 갖는 URLLC 송신 모듈(2212)을 실행함으로써, 송신부를 구축하여, URLLC 송신 처리를 행한다. URLLC 송신 처리는, URLLC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하는 처리이다.
CPU(21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이 갖는 다중화 모듈(2213)을 실행함으로써, 송신부를 구축하여, 다중화 처리를 행한다. 다중화 처리는, eMBB 데이터와 URLLC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처리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다중화 처리에 있어서, URLLC 데이터를 eMBB 데이터 펑쳐 가능 영역의 일부에 인터럽트시킴으로써, 다중화를 행한다.
CPU(210)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221)이 갖는 헤더 패턴 선택 모듈(2214)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를 구축하여, 헤더 패턴 선택 처리를 행한다. 헤더 패턴 선택 처리는, 예를 들어 URLLC 데이터의 헤더 패턴을 선택하는 처리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eMBB 데이터와 URLLC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 송신되는 URLLC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헤더 패턴을 선택한다.
<단말 장치의 구성예>
도 5는, 단말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00)는 CPU(110), 스토리지(120), DRAM 등의 메모리(130) 및 RF 회로(150)를 갖는다.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URLLC의 데이터를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이다.
스토리지(12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HDD, 또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120)는 통신 프로그램(121) 및 헤더 패턴(122)을 기억한다.
헤더 패턴(122)은 이후에 나타내는 헤더 패턴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또한, 헤더 패턴(122)은 프로그램에 내장되어도 된다. 또한, 헤더 패턴(122)은,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가 갖는 헤더 패턴(222)과 같아도 된다.
메모리(130)는 스토리지(1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영역이다. 또한, 메모리(130)는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RF 회로(150)는 기지국 장치(200)와 무선 접속하는 장치이다. RF 회로(150)는, 예를 들어 안테나(151)를 갖는다.
CPU(110)는, 스토리지(1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130)에 로드하고,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이다.
CPU(110)는, 통신 프로그램(121)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 및 수신 제어부를 구축하여, 통신 처리를 행한다. 통신 처리는, 기지국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하는 처리이다. 단말 장치(100)는 통신 처리에 있어서, eMBB 데이터 및 URLLC 데이터(다중화된 데이터를 포함함)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 처리에 있어서, eMBB 데이터와 URLLC 데이터를 다중화했을 때의, URLLC 데이터의 헤더 패턴을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취득한다.
CPU(110)는, 통신 프로그램(121)이 갖는 eMBB 수신 모듈(1211)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를 구축하여, eMBB 수신 처리를 행한다. eMBB 수신 처리는, eMBB 데이터를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처리이다.
CPU(110)는, 통신 프로그램(121)이 갖는 URLLC 수신 모듈(1212)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를 구축하여, URLLC 수신 처리를 행한다. URLLC 수신 처리는, URLLC 데이터를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처리이다.
CPU(110)는, 통신 프로그램(121)이 갖는 헤더 패턴 취득 모듈(1213)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를 구축하여, 헤더 패턴 취득 처리를 행한다. 헤더 패턴 취득 처리는, 기지국 장치(200)가 선택한 헤더 패턴을 취득하는 처리이다. 단말 장치(100)는 헤더 패턴 취득 처리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통지되는 헤더 패턴을 수신함으로써, 헤더 패턴을 취득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헤더 패턴을 취득함으로써, eMBB 데이터와 다중화된 URLLC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처리>
도 6은, 데이터 송신 처리의 시퀀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하는 계기가 발생하면, 사용되는 헤더의 패턴(이후, 사용 헤더 패턴이라고 칭함)을 결정한다(S10).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송신되는 데이터가 URLLC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 헤더 패턴을 결정한다. URLLC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고정 길이의 데이터이다. 또한, URLLC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정값보다 작은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이며, eMBB 데이터보다 작은 데이터 사이즈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결정된 사용 헤더 패턴을,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100)로 송신한다(S11). RRC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RRC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용 신호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결정된 사용 헤더 패턴의 송신을, RRC 시그널링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 장치(100)가 수신하는 메시지나 신호를 사용한다.
단말 장치(100)는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사용 헤더 패턴을 취득한다(S12). 이후, 단말 장치(100)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사용 헤더 패턴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준비하고 기다린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 헤더 패턴을 단말 장치(100)에 통지한 뒤, 결정된 사용 헤더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송신한다.
<MAC 헤더의 사용 헤더 패턴>
이하에, MAC 헤더에 있어서의 사용 헤더 패턴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포맷에 있어서의 1행은 1옥텟을 나타낸다. 또한, 1옥텟은, 1바이트(8비트)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1. MAC 기본 패턴>
기본 패턴은, 예를 들어 어떠한 데이터의 송신에도 사용되는, 범용적인 헤더 패턴이다. 이하, MAC 기본 패턴인, MAC 헤더 패턴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MAC 헤더 패턴 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R은, R 비트(Reserved)를 나타낸다. R 비트(리저브 비트)는, 예를 들어 장래의 사양 변경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확보하는 영역이다.
LCID는, 논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이다. LCID는,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와 단말 장치(100) 사이에서 할당된 논리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LCID의 저장 영역은, 6비트로 구성된다.
L은, 데이터 길이(Length)이다. L의 저장 영역은, 8비트로 구성된다. 또한, L의 저장 영역은, 16비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MAC 헤더 패턴 1은 1옥텟째의 2비트째에 0을 설정한다. 0은 고정값이다.
도 8은, MAC 헤더 패턴 1을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논리 채널은, 예를 들어 8개 설정되고, 논리 채널 번호는, 2, 3, 4, 5, 12, 13, 14, 15라고 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논리 채널의 개수 및 번호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8에서는, MAC 헤더 패턴 1의 헤더에 URLLC 데이터(도 8에 있어서의 URLLC LCID=x(x는 논리 채널 번호))가 부여된다. 도 8에 있어서는, URLLC 데이터 하나에 대하여 헤더 하나를 부여한다. 각각의 URLLC 데이터는, 논리 채널 번호 2, 5, 14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L은, 각각의 URLLC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설정된다.
<2. LCID의 매핑>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수가 적은(예를 들어 8개 이하) 경우, 데이터 각각의 헤더부에 설정되는 LCID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논리 채널을 매핑한 매핑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URLLC가 고정 길이일 경우, 데이터 길이를 생략해도 된다.
도 9의 (A)는 MAC 헤더 패턴 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는, 논리 채널 번호를 매핑한 매핑 정보이다.
도 9의 (B)는 LCMAP 패턴 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는, 예를 들어 매핑 정보이며, L1로부터 L8의 8비트로 구성된다. Lx(x는 정수)는 각각 논리 채널 번호에 대응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논리 채널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Lx에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는 L1을 LCID2, L2를 LCID3, L3을 LCID4, L4를 LCID5, L5를 LCID12, L6을 LCID13, L7을 LCID14, L8을 LCID15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LCID의 번호에 대응하는 비트를 ON(1)으로 한다. 또한, 사용되는 논리 채널은, 내림차순으로 Lx에 대응해도 된다.
도 10은, MAC 헤더 패턴 2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되는 데이터는, 도 8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에 있어서는, 하나의 1옥텟의 헤더와 세 URLLC 데이터를 송신한다. 헤더는, L1, L4 및 L7이 1(ON)이다. 즉, L1에 대응하는 LCID2, L4에 대응하는 LCID5 및 L7에 대응하는 LCID14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LCMAP의 일부에 R 비트를 설정하는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LCMAP 패턴 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 패턴 2는 선두에 R 비트를 설정하고, L8을 설정하지 않은 LCMAP 패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논리 채널의 수가 7 이하인 경우, LCMAP 패턴 2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의 (B)는 LCMAP 패턴 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 패턴 3은 복수의 R 비트를 설정하는 LCMAP 패턴이다. LCMAP 패턴 3은 L7 및 L8을 설정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논리 채널의 수가 6 이하인 경우, LCMAP 패턴 3을 사용해도 된다.
도 11의 (C)는 LCMAP 패턴 4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 패턴 4는 선두 및 말미에 R 비트를 설정하고, L7 및 L8을 설정하지 않은 LCMAP 패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논리 채널의 수가 6 이하인 경우, LCMAP 패턴 3을 사용해도 된다.
도 11은, 1 또는 2의 R 비트가 설정되는 LCMAP 패턴이다. 그러나, R 비트는, 3 이상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R 비트의 위치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 말미, 2비트째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위치에 설정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논리 채널의 수에 따라서 R 비트를 설정하는 수를 변경해도 된다.
<2.1 데이터 길이의 부여>
기지국 장치(200)는 URLLC가 가변 길이일 경우, 데이터 길이를 부여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N(N은 정수)개의 URLLC 데이터를 송신할 때, N-1개의 데이터 길이를 부여한다. 최종 데이터의 말미는, 데이터 길이에 관한 정보가 없어도, MAC PDC의 트랜스포트 블록의 말미로 되기 때문이다.
도 12는, MAC 헤더 패턴 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AC 헤더 패턴 3은 LCMAP에 더하여, 예를 들어 1옥텟의 L 영역을 둘 갖는다. L 영역은, 예를 들어 송신되는 URLLC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여도 되고, MAC SDU의 데이터의 경계 위치(말미 또는 선두)를 나타내도 된다.
도 13은, MAC 헤더 패턴 3을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되는 데이터는, 도 8과 마찬가지이다. 도 1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00)는 하나의 1옥텟의 헤더와 3개의 URLLC 데이터를 송신한다. 헤더의 LCMAP는, LCMAP 패턴 1에 대응하는 경우, L1, L4 및 L7이 1(ON)이다. 즉, L1에 대응하는 LCID2, L4에 대응하는 LCID5 및 L7에 대응하는 LCID14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헤더에 포함되는 데이터 길이는, L=00010000이며, 32바이트인 것을 나타낸다. 즉, LCID2로 송신되는 URLLC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및 LCID5로 송신되는 URLLC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각각 32바이트인 것을 나타낸다. LCID14로 송신되는 URLLC 데이터의 말미는, MAC PDC의 트랜스포트 블록의 말미로 된다.
도 12, 도 13에서는, L 영역을 둘 설정했지만, 셋 이상 설정해도 된다. 또한, L 영역은, N-1개가 아니라, N개 설정해도 된다.
<2.2 헤더 패턴의 식별자>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헤더 패턴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부여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는 사용되는 LCID를 그대로 설정하는 헤더의 패턴(예를 들어, 도 7의 MAC 헤더 패턴 1)과, LCID를 대체해 매핑된 정보 요소를 설정하는 헤더 패턴을 식별하는 비트를 마련한다.
도 14는, LCMAP 패턴 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CMAP 패턴 5의 2비트째는, MID 비트이다. MID 비트는, 매핑된 정보 요소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이며, 헤더의 패턴을 식별하는 헤더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MAC 헤더의 1옥텟째의 2비트째는, 예를 들어 도 7의 MAC 헤더 패턴 1에서는, 고정값인 0이 설정된다. 단말 장치(100)는 MAC 헤더의 1옥텟째의 2비트째(MID 비트)가 1인 경우, 당해 헤더에는, LCID가 아니라, 매핑된 정보 요소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즉, LCMAP 패턴 5의 MID 비트는, 1로 된다.
도 15는, MAC 헤더 패턴 2에 있어서, LCMAP 패턴 5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LCID2를 사용해서 하나의 URLLC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5의 (A)는 MAC 헤더 패턴 2에 있어서, LCMAP 패턴 5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에 있어서, 헤더의 LCMAP은, 2비트째의 MID가 1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LCMAP 패턴 5로 URLLC 데이터가 송신된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LCMAP는, L1이 ON이며, LCID2를 사용하여 URLLC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의 (B)는 MAC 헤더를 생략하는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가 사용하는 논리 채널이 1개인 경우, MAC 헤더를 생략해도 된다.
도 16은, MAC 헤더 패턴 2에 있어서, LCMAP 패턴 5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LCID2 및 LCID5를 사용하여, 두 URLLC 데이터를 송신한다. 헤더의 LCMAP는, 2비트째의 MID가 1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LCMAP 패턴 5로 URLLC 데이터가 송신된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LCMAP는, L1 및 L4가 ON이며, 각각 LCID2 및 LCID5를 사용하여 URLLC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MID는, 예를 들어 유저 데이터가 제어용 데이터인지를 식별해도 된다.
헤더 패턴의 식별자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어 MAC 레이어의 제어용 신호인 MAC CE(control element)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MAC CE의 MAC 헤더의 1옥텟째의 2비트째를 ON(1)으로 함으로써, MAC CE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단말 장치(100)에 인식시킬 수 있다.
<2.3 데이터 길이의 생략>
기지국 장치(200)는 URLLC가 고정 길이일 경우, 데이터 길이를 생략해도 된다.
도 17은, MAC 헤더 패턴 4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AC 헤더 패턴 4는 MAC 헤더 패턴 1의 데이터 길이를 생략한 패턴이다. 또한, 1옥텟째의 2비트째에 R 비트를 설정한다.
도 18은, MAC 헤더 패턴 4를 사용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헤더의 LCID 영역에 LCID2를 설정하고, URLLC 데이터를, LCID2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에서 나타낸 헤더를 사용하는 LCID를 정의해도 된다.
도 19는, LCID의 번호와, 대응하는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A)는 하행, 도 19의 (B)는 상행의 정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A)에 있어서, LCID의 번호(Index)의, 10001로부터 x(x는, 110111 미만의 수치)까지를, URLLC용 LCID(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for URLLC)로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도 19의 (B)에 있어서, LCID의 번호의, 10001로부터 x(x는, 110110 미만의 수치)까지를, URLLC용 LCID로서 정의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200)는 헤더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URLLC는, MAC 레이어에서의 결합(concatenation)을 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MAC 레이어에서의 결합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추가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는, 각각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길이의 생략이나, R 비트의 설정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행하여져도 된다.
10: 통신 시스템
100: 단말 장치
110: CPU
120: 스토리지
121: 통신 프로그램
122: 헤더 패턴
130: 메모리
150: RF 회로
151: 안테나
200: 기지국 장치
210: CPU
220: 스토리지
221: 통신 제어 프로그램
222: 헤더 패턴
230: 메모리
250: RF 회로
251: 안테나
290: 송신부
291: 제어부
1211: eMBB 수신 모듈
1212: URLLC 수신 모듈
1213: 헤더 패턴 취득 모듈
2211: eMBB 송신 모듈
2212: URLLC 송신 모듈
2213: 다중화 모듈
2214: 헤더 패턴 선택 모듈

Claims (11)

  1. 제1 종별의 제1 데이터와, 제2 종별의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의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첫 번째 옥텟의 첫 번째 비트 및 두 번째 비트에 R 비트(리저브 비트) 필드가 구성되고, 상기 첫 번째 옥텟의 세 번째 비트로부터 여덟 번째 비트에 LCID 필드가 구성되는 MAC 헤더와, 상기 제2 데이터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을 포함하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MAC 헤더의 상기 LCID 필드에 상기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가 생략된 상기 MAC 헤더에 대응하는 LCID를 저장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처리를 행하는 송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ID를 포함하는 복수의 LCID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갖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고정 길이인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별은, URLLC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별은, eMBB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보다 데이터 사이즈가 작은 송신 장치.
  9. 제1 종별의 제1 데이터와 제2 종별의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수신부와,
    상기 제2 데이터의 전방에 배치된 MAC (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MAC 헤더는,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가 생략되어 있고, 또한 첫 번째 옥텟의 첫 번째 비트 및 두 번째 비트에 R 비트(리저브 비트) 필드가 구성되고, 상기 첫 번째 옥텟의 세 번째 비트로부터 여덟 번째 비트에 LCID 필드가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MAC 헤더와 상기 제2 데이터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을 포함하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고
    상기 MAC 헤더의 상기 LCID 필드에는, 상기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가 생략된 상기 MAC 헤더에 대응하는 LCID를 저장하는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11. 삭제
KR1020227033612A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517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7793A KR102449687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PCT/JP2018/014339 WO2019193664A1 (ja) 2018-04-03 2018-04-03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93A Division KR102449687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164A KR20220137164A (ko) 2022-10-11
KR102517652B1 true KR102517652B1 (ko) 2023-04-05

Family

ID=677005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93A KR102449687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207013972A KR102159641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227033612A KR102517652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207026953A KR102330500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93A KR102449687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207013972A KR102159641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953A KR102330500B1 (ko) 2018-04-03 2018-04-03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97828B1 (ko)
EP (2) EP4093081A1 (ko)
JP (1) JP6959561B2 (ko)
KR (4) KR102449687B1 (ko)
CN (2) CN111480361B (ko)
WO (1) WO2019193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6405B1 (en) 2018-04-30 2022-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3 protocol data unit
CN113225256B (zh) * 2020-02-04 2022-09-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路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8016A1 (en) * 2004-04-23 2005-10-27 Yasuyuki Nishibayashi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879B1 (en) * 1999-05-17 2003-05-1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ansmission of variable length encoded data in a low signal to noise ratio environment
FI118244B (fi) 2001-06-27 2007-08-31 Nokia Corp Otsikkokenttien kompressiotunnisteen välittäminen datapakettiyhteydellä
FR2840482B1 (fr) * 2002-05-28 2004-10-15 Thales Sa Procede de reconstitution de messages achemines par un ou plusieurs reseaux de transmission par paquets
JP2005020163A (ja) * 2003-06-24 2005-01-20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718089B2 (en) * 2003-09-08 2014-05-0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ggregation and fragmentation of multiplexed downlink packets
JP4005974B2 (ja) *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889866B1 (ko) * 2004-06-14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전송데이터 유닛 처리 방법
KR100678941B1 (ko) * 2004-09-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할당된 시간 동안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JP2007089107A (ja) 2005-08-23 2007-04-05 Ntt Docomo Inc 無線通信装置及びマッピング方法
KR101377961B1 (ko) * 2007-07-27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더 오버헤드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 방법
US8902927B2 (en) * 2007-10-01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control header format
US8665857B2 (en) * 2007-12-18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random access respon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53470A1 (en) * 2008-04-02 2009-10-08 Shugong Xu Control of user equipment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via mac lcid
US8009620B2 (en) * 2008-05-09 2011-08-30 Nokia Siemens Networks Oy Variable header types for 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147777B1 (ko) * 2009-04-14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체접속제어 프로토콜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US20150271809A1 (en) * 2012-10-03 2015-09-24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1935630B1 (ko) * 2013-03-22 2019-01-04 후지츠 코네쿠텟도 테크노로지즈 가부시키가이샤 채널 품질 표시자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변조 및 코딩 체제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123236A (ko) 2016-04-28 201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볼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US10524255B2 (en) * 2016-05-20 2019-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C subcarrier in NR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25923B2 (en) * 2016-08-01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hannel multiplexing and waveform selection
JP6753205B2 (ja) * 2016-08-10 2020-09-0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EP3510824B1 (en) * 2016-09-08 2023-02-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le channel transmission in mmw wlan systems
CN106941724B (zh) * 2017-05-09 2020-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8016A1 (en) * 2004-04-23 2005-10-27 Yasuyuki Nishibayashi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3574*
3GPP R2-18025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641B1 (ko) 2020-09-25
KR20210145833A (ko) 2021-12-02
EP3780719A1 (en) 2021-02-17
WO2019193664A1 (ja) 2019-10-10
KR102449687B1 (ko) 2022-10-04
EP4093081A1 (en) 2022-11-23
CN111480361A (zh) 2020-07-31
JPWO2019193664A1 (ja) 2020-12-17
KR102330500B1 (ko) 2021-11-24
US11032738B2 (en) 2021-06-08
JP6959561B2 (ja) 2021-11-02
KR20220137164A (ko) 2022-10-11
CN113923720B (zh) 2023-10-20
EP3780719B1 (en) 2022-07-06
CN113923720A (zh) 2022-01-11
CN111480361B (zh) 2021-10-26
US10397828B1 (en) 2019-08-27
US20210235318A1 (en) 2021-07-29
EP3780719A4 (en) 2021-03-24
US20190327640A1 (en) 2019-10-24
KR20200061411A (ko) 2020-06-02
KR20200111279A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0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00228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network coordination
US11350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UE capability for MR-DC in NR system
US112455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data in wireless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WO201805369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20190132459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통신 시스템
US20210235318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RU2743676C1 (ru) Способ диспетчеризации ресурса,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727646A (zh) 发送装置、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系统、接收装置
KR10236424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807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227524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17006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nnection using a packet including transmission number
US202200866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terminal capability for multiple radio transmission schem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7161123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468867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기기
CN117528645A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