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231B1 -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231B1
KR102517231B1 KR1020220139144A KR20220139144A KR102517231B1 KR 102517231 B1 KR102517231 B1 KR 102517231B1 KR 1020220139144 A KR1020220139144 A KR 1020220139144A KR 20220139144 A KR20220139144 A KR 20220139144A KR 102517231 B1 KR102517231 B1 KR 10251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ream
lo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은
김미미
진선화
윤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2013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외상이 오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도포 시 수분 증발 차단력 및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무너져 지속력과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의 입자 크기를 특정 성분비로 배합하여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이면서도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종래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하였으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adhesion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외상이 오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도포 시 수분 증발 차단력 및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무너져 지속력과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고커버력을 위해 다량의 분체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욱 분체류가 피부의 피지와 뭉쳐져 모공에 끼여, 오히려 모공이 도드라져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에 필름 형성제를 다량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경우 끈적이는 마무리감이 발생하여 사용감이 저하되는 2차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우수한 화장 지속력 및 밀착력을 가지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아직 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분체의 입자 크기를 특정 성분비로 배합하여 종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단점을 보완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이면서도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종래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하였으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을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외상이 오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도포 시 수분 증발 차단력 및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무너져 지속력과 밀착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에 필름 형성제를 다량 사용할 경우, 끈적이는 마무리감이 발생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적이다.
또한,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구상 또는 판상의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여 땀이나 피지에 의해 화장이 번들거리거나 지워지는 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마이카와 탤크 등과 같은 판상 분체는 넓은 판이 겹겹이 퍼지면서 발리기 때문에 피부 밀착력은 우수하나 이를 다량 사용하였을 경우 땀 피지 성분에 의해 응집되어 뭉치거나 화장 들뜸으로 인해 화장 지속효과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구상 분체를 적용하였을 때에도 피부에 도포 시 베어링효과로 인해 부드럽게 구르는 사용감을 가지나 실리콘 레진 파우더에 비해 흡유능이 떨어지고, 이를 다량 사용하였을 경우 서걱거림이 심하고 건조한 사용감을 주며 밀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의 분체의 크기는 분체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의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란,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동일한 종류의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크기가 약 2 ㎛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분체와 크기가 약 6 ㎛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는 크기가 약 2 ㎛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분체와 크기가 약 12 ㎛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는 크기가 약 2 내지 4 ㎛인 소입자분체, 크기가 약 6 내지 8 ㎛인 중입자분체, 및 크기가 약 10 내지 15 ㎛인 대입자분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2종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는 크기가 약 2 내지 4 ㎛인 소입자분체, 크기가 약 6 내지 8 ㎛인 중입자분체, 및 크기가 약 10 내지 15 ㎛인 대입자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체(powder)는 실리콘 레진 파우더일 수 있다. 실리콘 레진(silicone resin)은 규소의 유기유도체 중합물을 의미한다. 보통의 플라스틱은 탄소가 조성의 뼈대인 것이 많으나 규소수지의 분자구조는 규소와 산소가 번갈아 있는 실록산결합(Si-O결합)의 형태로 된 규소를 뼈대로 하며 규소에 메틸기·페닐기·수산기 등이 첨가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다. 금속규소에 구리촉매를 이용하여 염화메틸을 약 300℃에서 작용시키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이나 메틸트리클로로실란의 혼합물을 얻는다. 이것을 가수분해하면 l차 수지가 생기고 이것은 에테르나 톨루엔에 녹아 니스로 시판되며 가공용 원료로서 중요하다. 또한 염화메틸 대신 염화벤젠을 작용시키면 페닐클로로실란을 얻는다. 1차수지에 금속염류나 아민류를 촉매로 하여 100℃ 이상에서 작용시키면 1차 수지의 수산기 사이에 탈수현상이 일어나 가교결합이 되어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레진은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Polymethylsilsesquioxane),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Polyphenylsilsesquiox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레진은 바람직하게는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또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Polymethylsilsesquioxane)일 수 있다. 상기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는 구형 실리콘 고무 파우더를 실리콘 레진으로 피복한 백색의 구형 실리콘 복합 분말로, 실리콘 고무와 수지의 성질을 겸비하여 특유의 매끄러움과 유연성이 우수하고, 뭉침 현상을 줄여 우수한 분산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 및 축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로 발수성, 윤활성, 내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화장품에 사용할 때 소프트 포커스 효과 및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체(powder)는 판상, 또는 구상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체(powder)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에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각각의 분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에 0.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0.5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체의 입자크기는 2 내지 15 ㎛가 보편적이나, 입자의 크기가 작은 분체만 사용하면 분체끼리 응집현상이 심화되어 제품의 안정성이 낮아지며, 밀착력 및 지속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 사용해야 해서 건조함과 뻑뻑한 발림성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주름 및 모공을 잘 메꿔주지만, 큰 분체만 적용하면 사용시 유연함이 저하되어 위화감이 있고 조성물 내 분산성이 떨어져 안정도가 좋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기가 약 2 내지 4 ㎛인 소입자분체, 크기가 약 6 내지 8 ㎛인 중입자분체, 및 크기가 약 10 내지 15 ㎛인 대입자분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분체를 포함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연구자들의 추가 연구에 의하면, 분체 크기가 3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른 표면적의 비율이 작아지게 되어 피지 흡유력이 떨어지고, 따라서 피부 번들거림이 만족할 수준으로 억제될 수 없었으며 매끄러운 발림성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을 빈틈없이 메꾸어 균일하며 매끄러운 피부 표현 연출이 가능하고 피부에 도포 시 퍼짐성을 개선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고, 에몰리언트(Emolli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분체에 대한 정의는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여기서의 에몰리언트는 피부 또는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윤기가 나게 하는 지방 친화성의 물질로서, 피부 표면의 촉감을 부드럽게 해주는 물질을 의미한다. 즉. 보습제와 같이 피부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 피부 표면을 부드럽게, 보기 좋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고 각질층 내의 대사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에스터 오일(Ester Oil), 및 실리콘 오일(Silicone Oi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의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은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의미한다. 주성분은 알케인(alkane)과 파라핀(paraffin)이다. 상기의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은 식물의 씨나 과육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비누나 화장품을 제조할 때 또는 오일을 블랜딩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베이스오일로서, 아로마테라피에서 에센셜오일을 사용함에 있어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캐리어오일이라고도 한다. 상기의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은 유기 측쇄가 있는 모든 액체 중합 실록산을 의미한다. 가장 중요한 구성원은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서, 이러한 폴리머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 안정성, 윤활성 및 유전 특성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실리콘 오일은 화장품의 제형 내에서 산뜻한 사용감, 향상된 흡수감, 영양감 있는 발림성, 끈적이지 않는 마무리감 등을 나타내어, 화장품 제형의 사용감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료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W/O)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연속상이 오일, 분산상이 수상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루스파우더, 트윈팩트, 투웨이케이크, 파우더 파운데이션, 컨실러, 쿠션, 립스틱, 립글로즈,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 첨가제, 바디 로션, 바디 밀크, 배스 오일, 베이비 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젤, 샤워크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탠 크림, 스킨 로션, 스킨 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클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운데이션, 컨실러, 또는 쿠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로서는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 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색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의 형태로서 파우더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파우더는 탤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실리카,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나일론-12,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알루미나,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산화철, 실리카, 펄, 유기 염료, 레이크, 및 유기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파우더류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피부 항산화는 피부의 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으로,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개념이다. 개체의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산소는 인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여분의 산소인 활성산소(Free Radical)를 생성한다. 활성산소는 체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세포의 산화(노화)를 막는 방법이며, 이러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이다.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비타민C(키위, 양배추 등에 다량 함유), 비타민E(아몬드, 해바라기씨 등에 다량 함유), 베타카로틴(당근, 토마토 등에 다량 함유), 셀레늄(각종 해산물에 다량 함유됨) 등이 있다. 상기 미백은 피부가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멜라닌 세포가 증가하고 그로 인해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를 엷게 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으로 생기는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및 흑색종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항염은 염증을 가라앉히고 저항하는 효능을 의미한다. 화장료에 있어서 항염 기능은 피부를 보호하고 안정시키며, 소독과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주름은 햇빛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진피 속의 콜라겐섬유, 탄력섬유 등에 변성이 일어나고, 피부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의 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접히게 되는 현상이다. 피하 지방의 흡수도 주름을 더욱 악화시킨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Extracellular Matrix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 섬유의 저하와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등 피부 성분의 변화로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 보습력이 떨어져 건조하고 탄력을 잃는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진피와 표피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 형성, 색소 침착, 건성, 두터운 피부, 탄성 감소가 나타난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서 MMP(Matrix Metalloproteinase) 생성을 유도하는데, 이 MMP는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Extracellular MatrixECM 단백질의 저하를 일으킨다. 이 중, MMP-1은 콜라겐 분해효소로서 피부의 주요 형태인 제1형 콜라겐(COL1A1)과 3형 콜라겐(COL3A1)을 분해한다.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와 광노화된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항주름 또는 주름 억제란 주름의 생성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해당 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을 응용하거나, 또는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되는 분체에 대한 정의는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입각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외상이 오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도포 시 수분 증발 차단력 및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무너져 지속력과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의 입자 크기를 특정 성분비로 배합하여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이면서도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종래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하였으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 중 분체 크기에 대한 효과 평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종래의 판상 분체 또는 구상 분체와 같은 분체의 형태가 아닌 분체의 입자 크기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체를 크기 2 내지 4 ㎛의 소입자분체, 크기 6 내지 8 ㎛의 중입자분체, 크기 10 내지 15 ㎛의 대입자분체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배합비에 따른 밀착력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들의 성분과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① 실리콘 또는 에스터계열 에몰리언트에 PEG 또는 폴리글리세릴계열 유화제와 합성 또는 천연 왁스를 첨가한 후, 가온하여 용해.
② 상기 ①의 용해가 완료되면, 유상 점증제를 첨가한 후 추가 10분 교반.
③ 상기 ②에 아토마이저 또는 3단 롤밀 작업한 색소를 투입.
④ 상기 ③에 소입자분체, 중입자분체, 및/또는 대입자분체를 특정성분비로 첨가하여 추가 10분 교반.
⑤ 상기 ④에 염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을 투입하고 20분간 유화.
⑥ 30℃까지 가온하며 혼합 후 냉각.
⑦ 진공압으로 최대 탈포.
화장료 조성물 성분명 제조예
1 2 3 4 5
1 유화제 적량
2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20
3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적량
4 크기 2 내지 4 ㎛의 소입자분체 6 0 0 0 2
5 크기 6 내지 8 ㎛의 중입자분체 0 6 0 0 2
6 크기 10 내지 15 ㎛의 대입자분체 0 0 6 0 2
7 정제수 To 100
8 부틸렌글라이콜 3
9 글리세린 1
10 방부제 적량
11 소듐클로라이드 1
상기 제조예에서, 소입자분체로는 크기 2 ㎛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를, 중입자분체로는 크기 6 ㎛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Polymethylsilsesquioxane)을, 대입자분체로는 크기 12 ㎛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분야에서 분체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분체를 혼합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종류의 분체를 크기를 다양화해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 1과 같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들의 실제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여성 전문패널요원 20명에게 1개월간 사용하도록 하고 지속력, 밀착력, 은폐력, 및 발림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평가항목 별로 매우 우수한 경우를 10으로, 가장 좋지 않은 점수를 1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고, 용이한 비교를 위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들을 얼굴에 도포 후, 도포 부위의 포피린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포피린비 결과는 점수가 높을수록 피지 분비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여, 지속력이 저하됨을 나타낸다.
평가항목 제조예
1 2 3 4 5
도포 4시간 후 지속력 1 3 1 1 10
도포 시 밀착력 6 6 5 1 9
피부결점 은폐력(모공, 주름) 6 6 7 1 9
도포 시 퍼짐성 3 3 4 2 9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도포 전 40 40 40 40 40
도포 1시간 후 10 5 7 17 4
도포 4시간 후 25 18 15 29 9
도포 6시간 후 30 25 20 30 10
평가 결과, 분체가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제조예 4) 또는 단일한 크기의 분체만 포함된 경우(제조예 1 내지 3)에 비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3종의 분체가 포함된 경우(제조예 5)에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밀착력, 은폐력, 및 도포 시 퍼짐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피린비 평가 결과로부터, 분체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일한 크기의 분체만 포함된 경우에 비하여도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가장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표 2의 사용감 결과와 마찬가지로, 분체가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단일한 크기의 분체만 포함된 경우에 비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3종의 분체가 포함된 경우에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도포 후 시험된 모든 시간대(1시간 후, 4시간 후, 및 6시간 후)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특정 크기의 분체가 단일 종류로서 포함되는 것 보다는, 크기가 다른 분체가 적정하게 혼합되어 포함되는 경우에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및 밀착력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 중 분체 크기 및 함량 최적화
최적의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분체의 크기와 함량을 다양화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제조예마다 상이하도록 조절된 분체의 종류와 비율만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조성물 성분명 제조예
5 6 7 8 9 10
4 크기 2 내지 4 ㎛의 소입자분체 2 0.3 3 0.5 1.5 2.5
5 크기 6 내지 8 ㎛의 중입자분체 2 0.3 3 2.5 0.5 1.5
6 크기 10 내지 15 ㎛의 대입자분체 2 0.3 3 1.5 2.5 0.5
상기 제조예 5 내지 10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감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고, 포피린비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제조예
5 6 7 8 9 10
도포 4시간 후 지속력 10 2 3 7 9 6
도포 시 밀착력 9 2 3 8 8 9
피부결점 은폐력(모공, 주름) 9 3 4 9 9 7
도포 시 퍼짐성 9 4 1 9 9 8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도포 전 40 40 40 40 40 40
도포 1시간 후 4 30 1 6 5 7
도포 4시간 후 9 26 1 9 8 10
도포 6시간 후 10 22 2 10 9 12
평가 결과, 크기가 서로 다른 3종의 분체가 포함된 경우일지라도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분체의 합량(total amounts)이 과도하게 많거나(제조예 7), 또는 과도하게 적은 경우(제조예 6)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밀착력, 은폐력, 및 도포 시 퍼짐성 등의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체가 총 0.9 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지속력 및 밀착력의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9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은폐력은 우수하였으나, 피부 건조감이 심하고 도포 시 균일한 발림성과 퍼짐성이 떨어져 오히려 지속력이 좋지 못하고 사용감이 저하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포함되는 분체의 적정 비율은 2 내지 8 중량%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크기가 서로 다른 3종의 분체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각각 분체의 최소 포함 비율은 0.5 중량% 임을 알 수 있었다.
포피린비 평가 결과에서는 분체가 가장 많이 포함된 경우가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편 이 경우에는 도포 시 퍼짐성이 저조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뭉침과 갈라짐이 심한 한계가 있었다. 크기가 서로 다른 3종의 분체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각각 분체가 0.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골고루 혼합된 경우(제조예 5, 및 제조예 8 내지 10)에는 모두 사용감 및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3종 이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분체는 크기 2 내지 4 ㎛의 분체, 크기 6 내지 8 ㎛의 분체, 및 크기 10 내지 15 ㎛의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실리콘 레진 파우더(Silicone resin powder)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몰리언트(Emolli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루스파우더, 트윈팩트, 투웨이케이크, 파우더 파운데이션, 컨실러, 쿠션, 립스틱, 립글로즈,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 첨가제, 바디 로션, 바디 밀크, 배스 오일, 베이비 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젤, 샤워크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탠 크림, 스킨 로션, 스킨 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클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또는 치약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크기가 서로 다른 분체를 3종 이상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체는 크기 2 내지 4 ㎛의 분체, 크기 6 내지 8 ㎛의 분체, 및 크기 10 내지 15 ㎛의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2 내지 8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실리콘 레진 파우더(Silicone resin powder)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에몰리언트(Emollient)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루스파우더, 트윈팩트, 투웨이케이크, 파우더 파운데이션, 컨실러, 쿠션, 립스틱, 립글로즈,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 첨가제, 바디 로션, 바디 밀크, 배스 오일, 베이비 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젤, 샤워크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탠 크림, 스킨 로션, 스킨 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클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또는 치약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39144A 2022-10-26 2022-10-26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1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144A KR102517231B1 (ko) 2022-10-26 2022-10-26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144A KR102517231B1 (ko) 2022-10-26 2022-10-26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231B1 true KR102517231B1 (ko) 2023-04-04

Family

ID=8592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144A KR102517231B1 (ko) 2022-10-26 2022-10-26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2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613A (ja) * 1994-08-05 1996-02-20 Kanebo Ltd 粉体化粧料
JP2003300827A (ja) * 2002-04-10 2003-10-21 Kao Corp 化粧料
KR20160117077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7024A (ko) * 2019-01-10 2020-07-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613A (ja) * 1994-08-05 1996-02-20 Kanebo Ltd 粉体化粧料
JP2003300827A (ja) * 2002-04-10 2003-10-21 Kao Corp 化粧料
KR20160117077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7024A (ko) * 2019-01-10 2020-07-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084B2 (ja) シリコーン微粒子及び不揮発性油を含む仕上げ剤組成物
JP3658561B2 (ja) 化粧料
US20070189989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US20010026811A1 (en) Stable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olid elastomeric organopolysiloxane and spherical particles
US11896684B2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40022822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keratinization modulators and methods for improving keratinous surfaces
CA2844082A1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
KR20000057945A (ko) 방수성 메이크업 또는 케어 조성물에서의 친수성폴리유기실록산 입자의 용도
CN113164343B (zh) 包含锂皂石和果胶的组合物
US20150313812A1 (en) Matte Cosmetic Compositions
EP0802785A1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s with dermatologically active agents
EP1875893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associant un dérivé C-glycoside à un polymère associatif
KR100678827B1 (ko)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JP2005511757A (ja) ゲル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US8021674B2 (en) Cosmetic gel product on the basis of oils and gelling agents
JP3942540B2 (ja) 油性ゲル状化粧料
KR102517231B1 (ko) 우수한 밀착지속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R2771003A1 (fr) Melanges de silicones volatils non cycliques et compositions cosmetiques a base desdits melanges
JPH1192335A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1919116B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6903000B2 (ja) 化粧品組成物
KR102501405B1 (ko) 지속 보습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8017B1 (ko) 대마섬유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또는 지성피부 조절용 조성물
KR102482662B1 (ko) 메이크업 지속성이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280325A (ja) 皮膚外用剤、育毛又は発毛剤、及び唇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