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889B1 -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889B1
KR102516889B1 KR1020220039462A KR20220039462A KR102516889B1 KR 102516889 B1 KR102516889 B1 KR 102516889B1 KR 1020220039462 A KR1020220039462 A KR 1020220039462A KR 20220039462 A KR20220039462 A KR 20220039462A KR 102516889 B1 KR102516889 B1 KR 10251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formation
fluid amount
turbid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김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콘
Priority to KR1020220039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1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필터부에 교체시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대한 제1 탁도정보와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에 대한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는 한쌍의 탁도센서들 및 상기 필터부의 선단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부로 흐르는 유체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를 통해 계측되는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에 대한 교환주기를 판단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FILTER REPLACEMENT CYCL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필터부에 교체시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원수는, 대부분 강 또는 하천으로부터 얻어진다. 얻어진 원수는 침전, 약품, 및 소독 등의 단계를 거쳐서 각종 이물질, 불순물을 걸러내어 수돗물로서 가정 또는 산업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은 국가에서 엄격하게 관리하는 정수장에서 고도의 정수 처리를 하여 물을 깨끗하게 정수시킨 다음 각 가정에 공급시키고 있으며,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정수된 수돗물은 정수장으로부터 수도 배관을 타고 각 가정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정수장으로부터 각 가정으로 연결된 수도 배관은 배관 자재가 통상 부식성이 강한 금속재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상기 금속재의 수도 배관을 매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없는 것이어서 노후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 가정에서는 수돗물이 그 자체적으로 매우 깨끗한 정수과정을 거친 식용 가능한 물로 인식하고 있지만, 수도 배관의 노후화로 인한 녹물의 발생,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많은 불신을 초래함은 물론, 실질적으로 각종 통계상으로도 수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냥 식음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실정이며, 이를 끓여 먹거나 별도의 정수 장치를 통하여 정수시켜 먹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수돗물을 일일이 가열시켜 먹는 방법은 시간적인 낭비와 취 사연료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수돗물을 끊이는 과정에서 수돗물 속에 포함된 각종 유용한 성분을 파괴시킨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염된 수돗물을 정수하는 정수 처리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수 처리 장치들은 일정 기간마다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도록 알림을 제공할 뿐, 정수 처리 장치들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필터의 수명에 따라 필터교환주기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해서는 시사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37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적유체량에 따라 한쌍의 탁도센서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필터교환주기를 제공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대한 제1 탁도정보와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에 대한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는 한쌍의 탁도센서들 및 상기 필터부의 선단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부로 흐르는 유체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를 통해 계측되는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에 대한 교환주기를 판단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체량에 따라 자기 회전자가 회전하여 전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코일에서 전기력을 유도하는 발전기를 통해 일정주기로 출력된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를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웨이크업모드에서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량계를 통해 계측된 유체량을 일정주기마다 누적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필터부에 대하여 유지 대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와 상기 여과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전송받는 여과재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재,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진단정보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여과재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으로 결정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에 대하여 장애 대상으로 진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누수점검 대상으로 진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적유체량에 따라 한쌍의 탁도센서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필터교환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부(110)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필터부(110)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장치(1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를 포함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부(110)에 대한 일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부(110)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필터부(110),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 및 제어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필터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111)과 하우징(111) 내부에 배치되어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재(112)는 부직포, 활성탄, 이온 교환 수지, 세라믹볼, 미네랄 수소볼, 토르말린볼, 자철광 세라믹볼, 매직정수볼, 항균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1)은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10)는 상수도관(1)을 따라 흐르는 물을 유입구를 통해 유입받고 여과재(112)를 통해 불순물을 정화하며 유출구로 정화된 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필터부(110)는 다단의 필터부들이 직렬로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연결된 필터부재(15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필터부(110_1~110_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터부(110_1)는 제1 유입구와 제1 유출구가 구비된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1 여과재 및 상기 제1 여과재 전체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1 내지 10mm 길이로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부(110_2)는 제2 유입구와 제2 유출구가 구비된 제2 하우징, 제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2 여과재 및 상기 제2 여과재 전체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1,000 내지 3,000 메쉬의 입경을 갖도록 분쇄된 전기석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부(110_3)는 제3 유입구와 제3 유출구가 구비된 제3 하우징과 제3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3 여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필터부(110_1~110_2)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제2 필터부(110_2)로부터 상수도관을 따라 일정걸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은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대한 제1 탁도정보와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에 대한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도록 상수도관을 감싸는 형태나 'ㄷ'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은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향해 일정 광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수광된 광량의 비율에 따라 제1 탁도정보를 측정하는 제1 탁도센서(120_1)와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을 향해 일정 광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수광된 광량의 비율에 따라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는 제2 탁도센서(120_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탁도 센서(120_1, 120_2)는 일정크기의 발광 광량을 물에 발광시키는 발광부, 물을 통과하는 광량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발광 광량과 수광 광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탁도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터부(110)가 필터부재(150)로 구현된 경우, 제1 필터부(110_1)의 제1 유입구가 제1 탁도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유입구이고, 제3 필터부(110_3)의 제3 유출구가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유출구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30)는 상수도관(1)을 따라 필터부(110)의 선단에 배치되어 필터부(110)로 흐르는 유체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20)를 통해 계측되는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에 따라,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130)는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주기를 판단하여 상기 필터부(110)에 대한 교체시기를 음성, 영상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장치(130)는 필터부(110)로 흐르는 유체량에 따라 자기 회전자가 회전하여 전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코일에서 전기력을 유도하는 발전기(151)를 통해 일정주기로 출력받는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140)를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40)는 웨이크업모드로 전환될 때,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40)는 슬립모드일 때,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발전기(151)를 통해 출력된 전기신호를 감지하도록 제어장치(13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누적유체량에 따라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을 동작시킴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필터교환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어장치(1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30)는 정보관리부(131), 비교부(132) 및 결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보관리부(131)는 배터리(140)가 웨이크업모드일 때, 유량계(20)를 통해 계측된 유체량을 일정주기마다 누적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는 일정기간 동안 사용되는 물의 누적 사용량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부(132)는 정보관리부(131)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을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부(133)는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필터부(110)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결정부(133)는 필터부(110)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결정부(133)는 필터부(110)에 대하여 유지 대상으로 결정하고, 배터리(140)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결정부(133)는 여과재(112)를 촬영하는 카메라(152)를 통해 전송받는 여과재 이미지와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여과재(112),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 및 하우징(111)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진단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133)는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결정부(133)는 여과재(112)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정부(133)는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대하여 장애 대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정부(133)는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지 않고,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하우징(111)에 대하여 누수점검 대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정부(133)는 여과재(112)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터리(140)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를 리셋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를 포함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터교환주기 판단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슬립모드에서 배터리(140)의 잔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웨이크업모드에서 배터리(140)의 잔량 정보,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시점, 여과재(112)에 대한 교환시점,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대한 장애여부 및 하우징(111)에 대한 누수여부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200)는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를 통해 전송받는 배터리(140)의 잔량 정보,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시점, 여과재(112)에 대한 교환시점,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대한 장애여부 및 하우징(111)에 대한 누수여부를 사용자별로 분류하고, 암호화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00)는 배터리(140)의 잔량 정보,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시점, 여과재(112)에 대한 교환시점,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대한 장애여부 및 하우징(111)에 대한 누수여부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은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시점, 여과재(112)에 대한 교환시점,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에 대한 장애여부 및 하우징(111)에 대한 누수여부 중 어느 하나에 응답하여, 구비된 레이저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판단되는 호흡 및 심박 신호에 대한 불안정상태에 따라 관리서버(200)로 지원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센서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IR-UWB(Impulse Radio - Ultra Wide Band) 레이더 센서, FMCW (Frequency-modulated continuous-wave) 레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R-UWB 레이더 센서는 출력 파워가 50㎼로서 호흡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IR-UWB 기술은 수ns~ 수백 ps에 이르는 매우 좁은 폭의 임펄스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 신호들에 비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임의의 객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탐지하고 이로부터 호흡 신호를 유효하게 추출하는데 이로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레이저 센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임펄스 라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함에 따라 호흡 및 심박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10)은 임펄스 라디오 신호로부터 기설정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임펄스 라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주파수 도메인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호흡 및 심박 신호에 대한 불안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의 변환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200)는 지원요청신호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30)에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에 대하여 점검하도록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먼저, S110 단계에서,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배터리(140)를 슬립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유량계(20)를 통해 계측되는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에 따라, 배터리(140)를 웨이크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S130 단계에서,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웨이크업모드에서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쌍의 탁도센서들(120_1, 120_2)을 통해 감지된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S140 단계에서,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100)는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부(110)에 대한 교환주기를 판단하여 필터부(110)의 교체시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
110: 필터부
120_1, 120_2: 한쌍의 탁도센서들
130: 제어장치

Claims (8)

  1.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대한 제1 탁도정보와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에 대한 제2 탁도정보를 측정하는 한쌍의 탁도센서들; 및
    상기 필터부의 선단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부로 흐르는 유체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계를 통해 계측되는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탁도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에 대한 교환주기를 판단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체량에 따라 자기 회전자가 회전하여 전자기장을 형성함에 따라 코일에서 전기력을 유도하는 발전기를 통해 일정주기로 출력된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를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웨이크업모드에서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량계를 통해 계측된 유체량을 일정주기마다 누적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 간의 비교 결과와 상기 여과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전송받는 여과재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재,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진단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한쌍의 탁도센서들에 대하여 장애 대상으로 진단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필터부에 대하여 유지 대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여과재에 대하여 교환주기 대상으로 결정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여과재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여과재 객체에 대한 특정색상의 농도정보가 기설정된 농도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교환주기용 유체량정보가 기설정된 누적유체량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누수점검 대상으로 진단하는, 필터교환주기 판단장치.



KR1020220039462A 2022-03-30 2022-03-30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62A KR102516889B1 (ko) 2022-03-30 2022-03-30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62A KR102516889B1 (ko) 2022-03-30 2022-03-30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889B1 true KR102516889B1 (ko) 2023-04-03

Family

ID=8593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462A KR102516889B1 (ko) 2022-03-30 2022-03-30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8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459A (ja) * 2003-10-09 2011-04-2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l Llc 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2096182A (ja) * 2010-11-02 2012-05-24 Sharp Corp 浄水器
KR101920811B1 (ko) * 2017-06-29 2018-11-21 울산과학기술원 영상데이터의 딥러닝 처리에 기반하는 수처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343749B1 (ko) 2021-04-28 2021-12-28 주식회사 에콘 다중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459A (ja) * 2003-10-09 2011-04-2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l Llc 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2096182A (ja) * 2010-11-02 2012-05-24 Sharp Corp 浄水器
KR101920811B1 (ko) * 2017-06-29 2018-11-21 울산과학기술원 영상데이터의 딥러닝 처리에 기반하는 수처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343749B1 (ko) 2021-04-28 2021-12-28 주식회사 에콘 다중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84509U (zh) 净水机智能测控系统
CN103116345B (zh) 超纯水机全自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4083936B (zh) 监测净水装置的滤芯状态的方法、监测装置及净水装置
US2015010293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liquid water
US10324117B2 (en)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by electrical devices using monitored operational parameters
CN201711036U (zh) 一种净水器
JP2008527331A (ja) 流体処理システム用の導電率測定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H04220565A (ja) 水質モニター
AU2020102377A4 (en) CNI-Water Management Technology: WATER COLLECTION AND NOTIFICATION INTELLIGENT MANAGEMENT TECHNOLOGY
EP3562362B1 (en) Method for adapting a water recycling device to external conditions
KR20180103295A (ko)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KR102546080B1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내에서 재해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6889B1 (ko) 필터교환주기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5699870A (zh) Uv灯寿命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20150015414A1 (en) Magnetically-impervious retrofit kit for a metered-commodity consumption meter
JP2008006354A (ja) 汚水浄化装置用の異常検知装置
CN205450191U (zh) Uv灯寿命检测装置
CN102373476A (zh) 一种检测热水器阳极棒消耗并报警指示的方法
CN112229877A (zh) 一种锅炉前端侧给水的电导率监测方法、装置及系统
US6860988B2 (en) Fluid filtration system with fluid flow meter
JP3209489B2 (ja) イオン交換式純水製造装置の終点検知方法
CN111938532B (zh) 渗漏检测方法、装置、设备及可渗漏检测的洗碗机
CN203284225U (zh) 一种紫外线饮用水净化器
CN210885353U (zh) 一种水处理设备物联网监控器
CN211706125U (zh) 一种智能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