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00B1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00B1
KR102515800B1 KR1020210023127A KR20210023127A KR102515800B1 KR 102515800 B1 KR102515800 B1 KR 102515800B1 KR 1020210023127 A KR1020210023127 A KR 1020210023127A KR 20210023127 A KR20210023127 A KR 20210023127A KR 102515800 B1 KR102515800 B1 KR 10251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emitting element
flakes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224A (ko
Inventor
윤의준
오제홍
이승민
김종명
유정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238,18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335766A1/en
Publication of KR2021013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01L33/0008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층 상의 복수개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 중 제1 화소 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발광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 상의 금속 산화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고,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본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효율 및 생산 효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극 상에 발광 소자를 직접 형성할 수도 있고, 발광 소자를 별도로 형성한 후에 상기 발광 소자를 전극에 배치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는 엘이디(LED)일 수 있다. 엘이디는,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으로 생기는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이다. 엘이디는 무기 엘이디 또는 유기 엘이디로 형성될 수 있다. 엘이디는 핸드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대형 TV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 효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층 상의 복수개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 중 제1 화소 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발광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 상의 금속 산화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고,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격벽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베이스층 상에 도포하는 것; 열처리를 수행하여, 도포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 중 활성 발광 소자를 상기 제1 전극에 접착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전극에 접착된 상기 활성 발광 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체 픽셀들 상에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발광 소자를 한번에 대면적으로 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를 위한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사되지 못한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전사되지 못한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의 공정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발광 소자를 뒤집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제1 화소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4는 각각 도 9, 도 11 및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들의 배치를 위한 장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도 21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7, 도 22 및 도 24는 각각 도 16, 도 21 및 도 2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신호 제어부(TC,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구동부(DDV), 및 스캔 구동부(GDV)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 데이터 구동부(DDV) 및 스캔 구동부(GDV) 각각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SLn) 및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SL1-SLn)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SL1-SLn)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각각의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 패널(DP)의 평면 상에서 일정한 규칙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주요색(primary color) 중 하나 또는 혼합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요색은 레드, 그린, 및 블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색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화소들(PX)이 표시하는 색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제어부(TC)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는 영상 데이터(RGB)를 표시 패널(DP)의 동작에 부합하도록 변환하여 변환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고, 변환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DDV)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 클럭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는 제1 제어 신호(CONT1)를 데이터 구동부(DDV)로 제공하고, 제2 제어 신호(CONT2)를 스캔 구동부(GDV)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CONT1)는 데이터 구동부(DDV)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CONT2)를 스캔 구동부(GDV)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신호 제어부(TC)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해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독립된 집적 회로로 구현되어서 표시 패널(DP)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DDV)는 단일 칩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GDV)는 신호 제어부(TC)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CONT2)에 응답해서 스캔 라인들(SL1-SLn)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캔 구동부(GDV)는 표시 패널(DP)의 하나의 영역에 집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구동부(GDV)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캔 구동부(GDV)는 독립된 집적 회로 칩으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DP)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SLn) 중 하나의 스캔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된 동안, 이에 연결된 한 행의 화소들 각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구동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1-DLm)로 제공한다. 데이터 라인들(DL1-DLm)로 공급된 데이터 구동 신호들은 턴-온 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해당 화소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신호들은 영상 데이터들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라인들은 스캔 라인(SL), 데이터 라인(DL), 제1 전원 라인(PL1), 및 제2 전원 라인(PL2)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 소자(ED) 및 화소 회로(PX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PXC)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AP),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화소(PX)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스캔 라인(SL)을 통해 전달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커패시터(CAP)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와 제1 전원 라인(PL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와 제1 전원 라인(PL1)에 인가된 제1 전원 전압(ELVDD)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커패시터(CAP)에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AP), 및 발광 소자(ED)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AP)에 충전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 소자(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커패시터(CAP)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라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턴-온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N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P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중 적어도 하나는 N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P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제2 전원 라인(P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달된 신호와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수신된 제2 전원 전압(ELVSS)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발광 소자(ED)가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초소형 엘이디 소자일 수 있다. 초소형 엘이디 소자는 수 나노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사이의 크기를 갖는 엘이디 소자일 수 있다. 다만, 초소형 엘이디 소자의 크기는 일 예로 기재한 것일 뿐, 초소형 엘이디 소자의 크기가 상기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제2 전원 라인(PL2) 사이에 하나의 발광 소자(ED)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발광 소자(ED)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로 제공된 발광 소자들(ED)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발광 소자를 뒤집은 사시도이다.
도3,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00) 상에 제1 내지 제4 화소들(PX1-PX4)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은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절연 필름,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화소들(PX1-PX4)은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들(PX1, PX2)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고, 제3 및 제4 화소들(PX3, PX4)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3 화소들(PX1, PX3)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고, 제2 및 제4 화소들(PX2, PX4)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 화소들(PX1-PX4)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및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4 화소들(PX1-PX4) 중 제1 화소(PX1)를 대표로 설명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베이스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제어 전극(CE1), 제1 입력 전극(IE1), 제1 출력 전극(OE1), 및 제1 반도체 패턴(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2 제어 전극(CE2), 제2 입력 전극(IE2), 제2 출력 전극(OE2),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은 베이스층(1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이 베이스층(100) 상에 제공되어,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을 덮을 수 있다. 즉,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은 제1 절연층(110)과 베이스층(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이 제1 절연층(1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들(SP1, SP2) 각각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물질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및 화합물 반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들(SP1, SP2) 각각은, 전자 또는 정공이 이동할 수 있는 채널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불순물 영역 및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 상에 제1 입력 전극(IE1) 및 제1 출력 전극(OE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입력 전극(IE1) 및 제1 출력 전극(OE1)은 각각 제1 반도체 패턴(SP1)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제2 불순물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SP2) 상에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은 각각 제2 반도체 패턴(SP2)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제2 불순물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0)이 제1 절연층(110) 상에 제공되어,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들(SP1, SP2), 제1 및 제2 입력 전극들(IE1, IE2), 및 제1 및 제2 출력 전극들(OE1, OE2)을 덮을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120) 사이에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들(SP1, SP2), 제1 및 제2 입력 전극들(IE1, IE2), 및 제1 및 제2 출력 전극들(OE1, OE2)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0) 상에 제3 절연층(130)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3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절연층(130) 상에 제1 출력 전극(OE1)과 제2 제어 전극(CE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CCE)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CE)은, 제2 및 제3 절연층들(120, 130)을 관통하여 제1 출력 전극(OE1)에 접속하는 제1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전극(CCE)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110, 120, 130)을 관통하여 제2 제어 전극(CE2)에 접속하는 제2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140)이 제3 절연층(130) 상에 제공되어, 연결 전극(CCE)을 덮을 수 있다. 제4 절연층(140) 상에 제1 전극(E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2 내지 제4 절연층들(120, 130, 140)을 관통하여 제2 출력 전극(OE2)에 접속하는 제3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150)이 제4 절연층(140) 상에 제공되어, 제1 전극(E1)을 덮을 수 있다. 제1 전극(E1) 상에 발광 소자(ED)가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5 절연층(15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면(SU1) 및 제1 면(SU1)에 제3 방향(D3)으로 대향하는 제2 면(SU2)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면(SU1)은 발광 소자(ED)의 바닥면일 수 있고, 제2 면(SU2)은 발광 소자(ED)의 상면일 수 있다. 제1 면(SU1)의 면적은 제2 면(SU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광 소자(ED)의 P 타입의 반도체층이 제1 면(SU1)에 인접할 수 있고, 발광 소자(ED)의 N 타입의 반도체층이 제2 면(SU2)에 인접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와 제1 전극(E1) 사이에 연결 패턴(CP)이 개재될 수 있다. 연결 패턴(CP)은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 패턴(CP)은 용융점이 낮은 금속(예를 들어, Ni, Au, Ni 및 Au의 합금, 또는 Ni/Au의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패턴(CP)을 통해 발광 소자(ED)와 제1 전극(E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전극(E1)은 발광 소자(ED)의 후술할 제1 반도체층(SL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P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전원 라인(PL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E1)에 도 2의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반도체층(SL1), 활성층(ACT), 제2 반도체층(SL2) 및 제3 반도체층(SL3)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ACT) 및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들(SL1, SL2, SL3)은 III-V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ACT) 및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들(SL1, SL2, SL3)은 GaN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활성층(ACT) 및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들(SL1, SL2, SL3)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들(SL1, SL2, SL3)은 서로 동일한 GaN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반도체층들(SL1, SL2, SL3)은 Ga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SL1)은 P 타입의 반도체층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SL1)은 마그네슘(Mg), 아연(Zn), 칼슘(Ca), 스트론튬(Sr), 또는 바륨(Ba)과 같은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SL2)은 N 타입의 반도체층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SL2)은 규소(Si), 게르마늄(Ge), 주석(Sn), 셀레늄(Se) 또는 텔루륨(Te)과 같은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도체층(SL3)은 언도프드 반도체층일 수 있다.
활성층(ACT)은 제1 반도체층(SL1)과 제2 반도체층(SL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활성층(ACT)은 제1 반도체층(SL1)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과 제2 반도체층(SL2)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가 재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층(ACT)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됨에 따라 빛이 생성될 수 있다. 활성층(ACT)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주 우물 구조, 양자선 구조, 또는 양자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활성층(ACT)은 InGaN/GaN을 포함하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SL1), 활성층(ACT), 제2 반도체층(SL2) 및 제3 반도체층(SL3)은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 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반도체층(SL1), 활성층(ACT), 제2 반도체층(SL2) 및 제3 반도체층(SL3)은 발광 소자(ED)의 측벽(SW) 상에서도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반도체층(SL1), 활성층(ACT) 및 제2 반도체층(SL2) 각각의 단면의 형태는 U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SL1), 활성층(ACT) 및 제2 반도체층(SL2) 각각은, 제3 반도체층(SL3)의 바닥면 및 측벽을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측벽(SW)에 인접하는 활성층(ACT)은, 제1 반도체층(SL1) 및 제2 반도체층(SL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발광 소자(ED)의 측벽(SW)에 인접하는 활성층(ACT)은 제1 반도체층(SL1)에 의해 덮여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측벽(SW)에 인접하는 제1 반도체층(SL1)은 활성층(ACT)을 패시베이션(passivation)할 수 있다. 활성층(ACT)이 제1 반도체층(SL1)에 의해 보호되므로 활성층(ACT)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발광 소자(ED)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SL1)은,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발광 소자(ED)의 측벽(SW) 상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반도체층(SL2)은,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발광 소자(ED)의 측벽(SW) 상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발광 소자(ED)의 성장 공정에서, 제3 방향(D3)으로의 GaN의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평면적 관점에서, 발광 소자(ED)는 팔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발광 소자(ED)는 육각형 형태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발광 소자(ED)의 단면은, 잘려진 역피라미드(truncated inverted pyrami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발광 소자(ED)는 잘려진 팔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참조).
발광 소자(ED)는 제1 면(SU1)에서 제2 면(SU2)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측벽(SW)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SW)은 제1 내지 제6 측벽들(SW1-SW6)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서로 인접하는 측벽들(SW)이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벽(SW2)과 제5 측벽(SW5)이 서로 만나서 모서리(VER)가 정의될 수 있다. 모서리(VER)는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으로부터 제2 면(SU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참조).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 제2 면(SU2) 및 측벽(SW) 각각은 우르차이트 결정 구조(wurtzite crystal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제1 및 제2 면들(SU1, SU2) 각각은, 극성 면(polar plane)인 c-면(c-plane)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면들(SU1, SU2) 각각은 (0001) 결정면 일 수 있다. 극성 면(또는 c-면)은 한가지 종류의 원자들만 포함하는 면일 수 있다. 일 예로, 극성 면(또는 c-면)은 Ga 원자들만 포함하는 면이거나 N 원자들만 포함하는 면일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측벽(SW)은 제1 및 제2 면들(SU1, SU2)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발광 소자(ED)의 제1, 제2, 제5 및 제6 측벽들(SW1, SW2, SW5, SW6)은 서로 동일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벽들(SW3, SW4)은 서로 동일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5 및 제6 측벽들(SW1, SW2, SW5, SW6)은, 제3 및 제4 측벽들(SW3, SW4)과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5 및 제6 측벽들(SW1, SW2, SW5, SW6) 각각은 제1 결정면(F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정면(FA1)은 제1 면(SU1)에 대해 제1 각도(θ1)를 이룰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
제1 결정면(FA1)은 반극성 면(semi-polar plan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정면(FA1)은 {n -n 0 k} 결정면일 수 있다. 여기서, n 및 k는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일 예로, 제1 결정면(FA1)은 {1 -1 0 1} 결정면일 수 있다.
만약 발광 소자(ED)의 측벽(SW)이 제1 면(SU1)에 수직한 면(예를 들어, θ1이 약 90°)으로 이루어질 경우, 활성층(ACT)에서 생성된 빛이 측벽(SW)을 통해 빠져나가 광 추출 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그의 측벽(SW)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므로, 빛이 측벽(SW)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발광 소자(ED)는 우수한 광 추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벽들(SW3, SW4) 각각은 제2 결정면(FA2) 및 제3 결정면(F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정면(FA2)은 제3 결정면(FA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정면(FA2)은 제2 면(SU2)에 인접할 수 있고, 제3 결정면(FA3)은 제1 면(SU1)에 인접할 수 있다. 수직하게 배열된 제2 결정면(FA2)과 제3 결정면(FA3)이 제1 면(SU1)과 제2 면(SU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b 참조).
제2 결정면(FA2)은 무극성 면(non-polar plane)으로, a-면(a-plane)일 수 있다. 제2 결정면(FA2)은 제1 면(SU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제2 결정면(FA2)은 제1 면(SU1)에 대해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제1 각도(θ1)보다 클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약 90°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결정면(FA2)은 {1 1 -2 0} 면일 수 있다.
제3 결정면(FA3)은 반극성 면(semi-polar plan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결정면(FA3)은 {n n -2n k} 결정면일 수 있다. 여기서, n 및 k는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일 예로, 제3 결정면(FA3)은 {1 1 -2 2} 결정면일 수 있다. 제3 결정면(FA3)은 제1 면(SU1)에 대해 제3 각도(θ3)를 이룰 수 있다. 제3 각도(θ3)는 제1 각도(θ1)보다 크고 제2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벽들(SW3, SW4) 각각은 제2 결정면(FA2)뿐만 아니라 제3 결정면(FA3)을 더 포함하므로, 활성층(ACT)에서 생성된 빛이 측벽(SW)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ED)의 경사진 측벽(SW)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폭은 베이스층(100)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와 제5 절연층(150) 사이에 반사 패턴(RP)이 개재될 수 있다. 반사 패턴(RP)은 발광 소자(ED)의 측벽(SW)을 직접 덮을 수 있다. 반사 패턴(RP)은 활성층(ACT)에서 생성된 빛이 발광 소자(ED)의 측벽(SW)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반사 패턴(RP)은 활성층(ACT)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시켜, 빛이 발광 소자(ED)의 제2 면(SU2)을 통해 방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제2 면(SU2) 상에 금속 산화물 패턴(MOP)이 제공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발광 소자(ED)의 제2 면(SU2)을 직접 덮을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제2 면(SU2)의 일부를 덮고 나머지 부분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SU2)의 전체 면적에 대한 금속 산화물 패턴(MOP)의 면적의 비는 0.2 내지 0.7일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절연체인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알루미늄 산화물(즉, 알루미나)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제2 면(SU2)의 일부를 덮는 패시베이션 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발광 소자(ED)의 장축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면(SU2)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제2 면(SU2) 상에서 제2 측벽(SW2)으로부터 제1 측벽(SW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5a 참조).
일 예로,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단결정 알파상(Single crystalline α-phase)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다결정 감마상(Poly-crystalline γ-phase)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단결정 알파상 층과 다결정 감마상 층이 적층된 멀티 레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5 절연층(150) 상에 제2 전극(E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제2 면(SU2)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금속 산화물 패턴(MOP)에 의해 노출된 제2 면(SU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b 참조). 제2 전극(E2)은 N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전원 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E2)에 도 2의 제2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각각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전 물질은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갈륨 산화물(IGZO),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전 물질은 금속일 수 있고, 상기 금속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가 제1 전극(E1) 및 연결 패턴(CP)을 통해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에 인가될 수 있다. 연결 패턴(CP)은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하고 접촉될 뿐, 발광 소자(ED)의 측벽(SW)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E1)을 통한 전기적 신호가 발광 소자(ED)의 측벽(SW)에는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금속 산화물 패턴(MOP)에 의해 노출된 제2 면(SU2)에만 접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전류는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에서 제2 면(SU2)을 향해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흐를 수 있다.
발광 소자(ED)에 있어서, 극성 면인 c-면에서 주로 빛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류가 제1 면(SU1, 즉 c-면)에서 제2 면(SU2, 즉 c-면)으로 흐르기 때문에 발광 소자(ED) 내의 c-면에 전류가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ED)의 발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전극(E2) 상에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가 제공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발광 소자(ED)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컬러 필터(CF)가 상기 개구부에 제공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다.
컬러 필터(CF)는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CF)는, 발광 소자(ED)에서 방출되는 빛 받아서 특정 파장의 빛만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컬러 필터(CF)는 양자점들(quantum dots)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컬러 필터(CF)는 양자점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일 예로, 컬러 필터(CF)는 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발광 소자(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청색일 경우, 청색 화소의 컬러 필터(CF)는 양자점 없이 투명 물질만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 상에 커버층(CV)이 제공될 수 있다. 커버층(CV)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CV)은 컬러 필터(CF) 및 발광 소자(ED)를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제1 화소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3,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대면적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00) 상에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대면적 표시 패널은 복수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을 예시하였다. 베이스층(100)은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절연 필름,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은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추가적인 화소들이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과 함께 베이스층(100) 상에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및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E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 중 제1 화소(PX1)를 대표로 설명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베이스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도3 및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절연층(140) 상에 격벽 구조체(PAR)가 제공될 수 있다. 격벽 구조체(PAR)의 바닥면은 제1 전극(E1)의 바닥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격벽 구조체(PAR)는 제1 전극(E1)의 상면을 노출하는 리세스 영역(RS)을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세스 영역(RS)은 격벽 구조체(PAR)의 내측벽 및 제1 전극(E1)의 상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S)은 격벽 구조체(PAR)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EP)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 영역(RS) 내의 제1 전극(E1) 상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ED)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소자들(ED)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3,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발광 소자들(ED)은 활성 발광 소자들(EDa) 및 더미 발광 소자들(EDd)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활성 발광 소자들(EDa)은, 그의 제1 면(SU1)이 제1 전극(E1)(또는 베이스층(100))을 마주볼 수 있다. 활성 발광 소자(EDa)와 제1 전극(E1) 사이에 연결 패턴(CP)이 개재될 수 있다. 연결 패턴(CP)을 통해 활성 발광 소자(EDa)의 제1 면(SU1)이 제1 전극(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더미 발광 소자들(EDd)은, 그의 제2 면(SU2)이 제1 전극(E1)(또는 베이스층(100))을 마주볼 수 있다. 더미 발광 소자(EDd)의 제2 면(SU2)은 금속 산화물 패턴(MOP)에 의해 제1 전극(E1)과 이격될 수 있다.
전체 발광 소자들(ED)의 개수에 대한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의 비는 약 4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전체 발광 소자들(ED)의 개수에 대한 더미 발광 소자들(EDd)의 개수의 비는 약 60% 내지 약 40%일 수 있다.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와 더미 발광 소자들(EDd)의 개수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체 발광 소자들(ED)의 개수에 대한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의 비는 약 6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즉,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가 더미 발광 소자들(EDd)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제4 절연층(140) 상에 제5 절연층(150)이 제공되어, 발광 소자들(ED) 사이를 채울 수 있다. 제5 절연층(150) 및 발광 소자들(ED) 상에 제2 전극(E2)이 제공될 수 있다. 활성 발광 소자(EDa)의 제2 면(SU2)을 덮는 금속 산화물 패턴(MOP)은, 제2 면(SU2)의 중심 영역을 노출하는 콘택홀(CTH)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콘택홀(CTH)을 통해 활성 발광 소자(EDa)의 제2 면(SU2)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극(E1)은 P 타입의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E2)은 N 타입의 전극일 수 있다. 활성 발광 소자(EDa)에 있어서, P 타입의 제1 전극(E1)과 제1 면(SU1)에 인접하는 P 타입의 반도체층이 연결 패턴(CP)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N 타입의 제2 전극(E2)과 제2 면(SU2)에 인접하는 N 타입의 반도체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활성 발광 소자(EDa)는 표시 장치의 동작 시 발광할 수 있다.
반면 더미 발광 소자(EDd)에 있어서, 제1 전극(E1)은 금속 산화물 패턴(MOP)에 의해 제2 면(SU2)과 접촉할 수 없다. N 타입의 제2 전극(E2)이 제1 면(SU1)에 인접하는 P 타입의 반도체층과 연결된다. 따라서 더미 발광 소자(EDd)는 표시 장치의 동작 시 발광할 수 없다. 전체 발광 소자들(ED) 중 약 40% 내지 약 60%가 활성 발광 소자들(EDa)이므로, 각각의 화소들(PX1-PX3)은 정상적인 화소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평면적 관점에서, 제1 화소(PX1)에서 제1 전극(E1)의 전체 면적에 대한 발광 소자들(ED)의 총 면적의 비는 0.5 내지 0.9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화소(PX1) 내에서 발광 소자들(ED)의 총 면적은, 발광 소자들(ED)이 배치되지 않은 제1 전극(E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발광 소자들(ED)은 활성 발광 소자들(EDa) 및 더미 발광 소자들(EDd)을 모두 포함한다.
제2 전극(E2) 상에 제6 절연층(160)이 제공될 수 있다. 제6 절연층(16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6 절연층(160) 상에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가 제공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리세스 영역(RS)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컬러 필터(CF)가 상기 개구부에 제공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 상에 커버층(CV)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를 다시 참조하여, 제1 화소(PX1)의 리세스 영역(RS) 내에 무작위하게 배열된 발광 소자들(ED)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화소(PX1)의 발광 소자들(ED)은, 제1 내지 제8 발광 소자들(ED1-ED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8 발광 소자들(ED1-ED8)은, 그의 중심(CG)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소자(ED)의 중심(CG)은 발광 소자(ED)의 무게 중심일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의 중심(CG)을 지나는 제1 중심선(CL1)이 정의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1 중심선(CL1)은 제1 발광 소자(ED1)의 장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의 제1 중심선(CL1)과 동일하게, 제2 내지 제4 발광 소자들(ED2-ED4)의 제2 내지 제4 중심선들(CL2-CL4)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중심선들(CL1-CL4)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발광 소자들(ED)이 무작위하게 배열되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중심선들(CL1-CL4)이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중심선들(CL1-CL4)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중심선(CL1)과 제2 방향(D2)은 제4 각도(θ4)를 이룰 수 있고, 제2 중심선(CL2)과 제2 방향(D2)은 제5 각도(θ5)를 이룰 수 있고, 제3 중심선(CL3)과 제2 방향(D2)은 제6 각도(θ6)를 이룰 수 있고, 제4 중심선(CL4)과 제2 방향(D2)은 제7 각도(θ7)를 이룰 수 있다. 제4 내지 제7 각도들(θ4-θ7)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5 발광 소자(ED5), 제6 발광 소자(ED6) 및 제8 발광 소자(ED8)가 제7 발광 소자(ED7)에 인접할 수 있다. 제7 발광 소자(ED7)의 중심(CG)과 제5 발광 소자(ED5)의 중심(CG)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VL1)이 정의될 수 있고, 제7 발광 소자(ED7)의 중심(CG)과 제6 발광 소자(ED6)의 중심(CG)을 연결하는 제2 가상선(VL2)이 정의될 수 있고, 제7 발광 소자(ED7)의 중심(CG)과 제8 발광 소자(ED8)의 중심(CG)을 연결하는 제3 가상선(VL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가상선(VL1), 제2 가상선(VL2) 및 제3 가상선(VL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5 발광 소자(ED5), 제6 발광 소자(ED6) 및 제8 발광 소자(ED8)는, 제7 발광 소자(ED7)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상선(VL1)과 제2 가상선(VL2)는 제8 각도(θ8)를 이룰 수 있고, 제2 가상선(VL2)과 제3 가상선(VL3)은 제9 각도(θ9)를 이룰 수 있다. 제8 각도(θ8)와 제9 각도(θ9)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micro-LED flakes)을 표시 장치의 픽셀들 상에 무작위하게 흩뿌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이 픽셀 상에 무작위하게 도포되었기 때문에, 제1 전극(E1) 상의 발광 소자들(ED)은 2차원적으로 무작위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E1) 상의 발광 소자들(ED) 각각은 50%의 확률로 활성 발광 소자(EDa)이거나, 또는 50%의 확률로 더미 발광 소자(ED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무작위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높이에 대한 최대 폭의 비가 큰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 중 약 50%는 활성 발광 소자로 기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것 대신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무작위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대면적의 표시 패널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4는 각각 도 9, 도 11 및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들의 배치를 위한 장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00) 상에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형성하는 것은, LTPS 공정 또는 LTPO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CCE)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전극(CCE) 상에 제4 절연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40) 상에 제1 전극(E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40) 상에 격벽 구조체(PAR)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 구조체(PAR)는, 제1 전극(E1)의 상면을 노출하는 리세스 영역(RS)을 정의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S)은 소정의 깊이(DE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 구조체(PAR)에 의해, 각각의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 상에 제1 전극(E1)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소자 배치 장비(LPA)는, 스테이지(ST), 이송부(TRP), 열처리부(ANP) 및 제어부(COP)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베이스층(100)을 로딩할 수 있다. 이송부(TRP)는 스테이지(ST)와 열처리부(ANP)를 연결할 수 있다. 이송부(TRP)는 베이스층(100)을 스테이지(ST)로부터 열처리부(ANP)로 이동시키거나, 베이스층(100)을 열처리부(ANP)로부터 스테이지(ST)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COP)는 스테이지(ST), 열처리부(ANP) 및 이송부(TRP)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지(ST) 상에 베이스층(100, 즉 도 9 및 도 10의 결과물)이 로딩될 수 있다. 베이스층(100) 상에 플레이크들(FLK)이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은 앞서 설명한 발광 소자들(ED)로서,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일 수 있다. 플레이크(FLK)는 수 나노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사이의 크기를 갖는 엘이디 소자이므로, 복수개의 플레이크들(FLK)의 집합은 파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을 제공하는 것은, 복수개의 플레이크들(FLK)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파우더(pED, 즉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를 베이스층(100) 상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참조).
스테이지(ST)를 흔들어 도포된 플레이크들(FLK)이 베이스층(100)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흔들릴 수 있다. 제어부(COP)는, 스테이지(ST)가 흔들리는 진동수(frequency) 및 스테이지(ST)가 흔들리는 진폭(amplitude)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면(SU1) 및 제2 면(SU2)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제1 면(SU1) 상에 연결 패턴(CP)이 부착되어 있다. 발광 소자(ED)의 높이에 대한 최대 폭의 비는 1 내지 100,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0일 수 있다.
스테이지(ST)를 제어함으로써, 플레이크들(FLK)이 베이스층(100) 상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크들(FLK), 즉 발광 소자(ED)는 제1 면(SU1)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제2 면(SU2)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그의 높이에 비해 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발광 소자(ED)는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없다. 즉, 발광 소자(ED)의 측벽(SW)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볼 수 없다.
플레이크들(FLK) 중 일부는 리세스 영역(RS) 내의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들(ED)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크들(FLK)을 베이스층(100) 상에 제공함으로써, 제1 전극(E1) 상에 발광 소자들(ED)이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 중 나머지는 격벽 구조체(PA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ED) 중 활성 발광 소자들(EDa)은 제1 면(SU1)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ED) 중 더미 발광 소자들(EDd)은 제2 면(SU2)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들(ED)이 무작위하게 도포되었기 때문에, 제1 전극(E1) 상의 발광 소자들(ED)은 2차원적으로 무작위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E1) 상의 발광 소자들(ED) 각각은 50%의 확률로 활성 발광 소자(EDa)이거나, 또는 50%의 확률로 더미 발광 소자(EDd)일 수 있다.
베이스층(100)이 이송부(TRP)를 통해 열처리부(ANP)로 이동될 수 있다. 열처리부(ANP)는 베이스층(100) 상에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활성 발광 소자(EDa)와 제1 전극(E1) 사이의 연결 패턴(CP)이 상기 열처리에 의해 용융되어, 연결 패턴(CP)이 제1 전극(E1)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활성 발광 소자들(EDa)이 제1 전극(E1) 상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스파크 어닐(spike anneal) 또는 전자기 유도 어닐(electromagnetic induction anneal)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더미 발광 소자들(EDd) 및 격벽 구조체(PAR) 상의 플레이크들(FLK)은, 그의 연결 패턴(CP)이 제1 전극(E1)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열처리에 의해 제1 전극(E1)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격벽 구조체(PAR) 상에 배치된 플레이크들(FLK)이 제거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을 제거하는 것은, 후술할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의 회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발광 소자들(ED) 사이를 채우는 제5 절연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절연층(150) 상에 제2 전극(E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제2 면들(SU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E2) 상에 제6 절연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6 절연층(160) 상에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다. 컬러 필터(CF)는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BM) 및 컬러 필터(CF) 상에 커버층(CV)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은,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무작위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높이에 대한 최대 폭의 비가 큰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 중 약 50%는 활성 발광 소자로 기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것 대신 발광 소자들을 화소 상에 무작위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대면적의 표시 패널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6, 도 21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7, 도 22 및 도 24는 각각 도 16, 도 21 및 도 2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1 및 도 12의 결과물 상에서 접착되지 않은 플레이크들(FLK)이 회수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E1) 상에는 열처리에 의해 제1 전극(E1) 상에 접착된 활성 발광 소자들(EDa)만 잔류할 수 있다. 회수되는 플레이크들(FLK)은, 제1 전극(E1) 상의 더미 발광 소자들(EDd) 및 격벽 구조체(PAR) 상의 플레이크들(FLK)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플레이크들(FLK)은 전자석(ELM)을 이용하여 회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크(FLK)의 연결 패턴(CP)은 자성 금속층(예를 들어, Ni)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ELM)이 플레이크(FLK)에 인접할 경우, 전자석(ELM)과 플레이크(FLK)의 연결 패턴(CP)간의 자기력(MGF)에 의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ELM)이 베이스층(100)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석(ELM)은, 그와 플레이크들(FLK)간의 자기력(MGF)이 작용할 만큼 플레이크들(FLK)과 충분히 인접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 상에 전자석(ELM)이 인접하면서, 전자석(ELM) 아래에 있는 플레이크들(FLK)이 전자석(ELM)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전극(E1) 상에 접착된 활성 발광 소자들(EDa)은 전자석(ELM)에 부착되지 않고 전극(E1) 상에 그대로 잔류할 수 있다. 이로써, 활성 발광 소자들(EDa)을 제외한 나머지 플레이크들(FLK)이 전자석(ELM)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플레이크들(FLK)은 흡입기(SUT)를 이용하여 회수될 수 있다. 흡입기(SUT)는 음압을 이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기(SUT)는 필터(FI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FIL)는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플레이크들(FLK)은 통과할 수 없는 마이크로 필터일 수 있다. 흡입기(SUT)가 플레이크(FLK)에 인접할 경우, 플레이크(FLK)가 공기와 함께 흡입기(SUT)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다만, 필터(FIL)에 의해 플레이크(FLK)는 흡입기(SUT) 내부 공간에 잔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기(SUT)가 베이스층(100) 상에 배열된 플레이크들(FLK) 상에 인접하여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기(SUT)가 이동하면서, 그 아래에 있는 플레이크들(FLK)이 흡입기(SUT) 내로 빨려들 수 있다. 한편, 전극(E1) 상에 접착된 활성 발광 소자들(EDa)은 흡입기(SUT)에 의해 빨려 들지 않고 전극(E1) 상에 그대로 잔류할 수 있다. 이로써, 활성 발광 소자들(EDa)을 제외한 나머지 플레이크들(FLK)이 흡입기(SUT)와 필터(FIL)를 통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플레이크들(FLK)은 유체(즉, 용매)를 이용한 침지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FLD)가 담겨있는 배스(BAT)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FLD)는 DI Water 또는 아세톤과 같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이 제공된 베이스층(100)을 배스(BAT) 내에 제공하여, 베이스층(100)이 유체(FLD) 내에 완전히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이 유체(FLD)에 침지되면서, 전극(E1)에 접착되지 않은 플레이크들(FLK)이 유체(FLD) 내부로 분산될 수 있다. 베이스층(100) 상에는 전극(E1) 상에 접착된 활성 발광 소자들(EDa)만이 잔류할 수 있다. 이후 활성 발광 소자들(EDa)이 잔류하는 베이스층(100)을 배스(BAT)에서 꺼내고, 유체(FLD) 내에 분산된 플레이크들(FLK)을 회수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앞서 설명한 회수 방법을 통해 활성 발광 소자들(EDa)을 제외한 나머지 플레이크들(FLK)이 완벽하게 회수(또는 제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회수 방법을 통해서도 일부 플레이크(FLK)가 회수되지 못하고 제1 전극(E1) 상에 잔류하여 더미 발광 소자(EDd)로 남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 참조).
도 21, 도 22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플레이크들(FLK)이 회수된 베이스층(100) 상에 발광 소자 파우더(pED)를 다시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 파우더(pED)는, 앞서 예시한 방법에 의해 회수된 플레이크들(FLK)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수된 플레이크들(FLK)은 발광 소자 파우더(pED)로 다시 재활용될 수 있다. 발광 소자 파우더(pED)를 도포하는 것은, 앞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소자 배치 장비(LPA)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된 플레이크들(FLK) 중 일부는 리세스 영역(RS) 내의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들(ED)로 정의될 수 있다. 도포된 플레이크들(FLK) 중 상기 일부는, 제1 전극(E1) 상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활성 발광 소자들(EDa)을 제외한 제1 전극(E1)의 나머지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포된 플레이크들(FLK) 중 상기 일부는, 제1 면(SU1)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활성 발광 소자(EDa) 및 제2 면(SU2)이 베이스층(100)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더미 발광 소자(EDd)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된 플레이크들(FLK) 중 나머지는 격벽 구조체(PA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활성 발광 소자들(EDa)이 잔류하는 제1 전극(E1) 상에 플레이크들(FLK)을 다시 도포함으로써, 제1 전극(E1) 상의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는 앞서 도 11에 도시된 제1 전극(E1) 상의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보다 커질 수 있다.
후속으로, 발광소자 배치 장비(LPA)의 열처리부(ANP)를 통해 베이스층(100) 상에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새로 배치된 활성 발광 소자들(EDa)이 제1 전극(E1)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도 21 및 도 22의 결과물 상에서 접착되지 않은 플레이크들(FLK)이 회수될 수 있다. 플레이크들(FLK)을 회수하는 것은, 앞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회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되지 않은 플레이크들(FLK)이 회수됨으로써, 제1 전극(E1) 상에 활성 발광 소자들(EDa)만 잔류할 수 있다. 후속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들(ED) 상에 제2 전극(E2) 및 컬러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픽셀에 따라 서로 다른 발광 소자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3) 상의 발광 소자들(ED)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1) 내의 발광 소자들(ED)의 개수는 6개일 수 있고, 제2 화소(PX2) 내의 발광 소자들(ED)의 개수는 7개일 수 있으며, 제3 화소(PX3) 내의 발광 소자들(ED)의 개수는 5개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각 픽셀 상의 발광 소자의 밀도(즉, 발광 소자들(ED)의 개수)는 앞서 도 23의 각 픽셀 상의 발광 소자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레이크들의 도포 단계 및 접착되지 않은 플레이크들의 회수 단계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플레이크들의 도포 및 회수의 사이클을 반복 수행할수록, 각 화소(PX1-PX3) 내의 활성 발광 소자들(EDa)의 개수는 점점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소(PX1-PX3) 내의 발광 소자의 밀도는 극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적 관점에서, 제1 화소(PX1)에서 제1 전극(E1)의 전체 면적에 대한 발광 소자들(ED)의 총 면적의 비는 0.5 내지 0.9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화소(PX1) 내에서 발광 소자들(ED)의 총 면적은, 발광 소자들(ED)이 배치되지 않은 제1 전극(E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각 픽셀 상에 발광 소자를 pick-and-place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픽셀들 상에 발광 소자들(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한번에 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를 위한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우더 형태의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픽셀들 상에 도포하고, 전사되지 못한 플레이크들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플레이크들을 다시 픽셀들 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효율적이고 생산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석, 흡입기 또는 유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전사되지 못한 플레이크들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픽셀과 픽셀 사이의 격벽 구조체 상에 잔류하는 플레이크들을 모두 회수할 수 있어, 후속 공정에서의 공정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베이스층 상의 복수개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 중 제1 화소 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발광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 상의 금속 산화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고,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면적은 상기 제2 면의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제1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과 상기 베이스층 사이의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들 상의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전극을 마주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전극을 마주보며,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전극을 마주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전극을 마주보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면적에 대한 상기 발광 소자들의 총 면적의 비는 0.5 내지 0.9인 큰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면 상의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개수는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개수보다 큰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패턴은 상기 제2 면의 일부를 덮고 나머지 부분을 노출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 중 제2 화소 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화소의 발광 소자의 밀도는 상기 제2 화소의 발광 소자의 밀도와 다른 표시 장치.
  10. 베이스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격벽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베이스층 상에 도포하는 것;
    열처리를 수행하여, 도포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 중 활성 발광 소자를 상기 제1 전극에 접착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전극에 접착된 상기 활성 발광 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 중 회수되지 못한 적어도 하나의 더미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전극 상에 잔류하며,
    상기 활성 발광 소자 및 상기 더미 발광 소자 각각은,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 상의 금속 산화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발광 소자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고,
    상기 더미 발광 소자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베이스층을 마주보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전자석을 제공하여 상기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전자석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 각각은 그의 일 면 상에 자성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층 상에 흡입기를 제공하여 상기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흡입기 내로 흡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이 통과할 수 없는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층을 유체 내에 침지하여 상기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유체 내에 분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상기 베이스층 상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에 접착되지 않은 나머지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회수하는 단계는 반복 수행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회수된 상기 마이크로-LED 플레이크들을 다시 상기 베이스층 상에 도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0023127A 2020-04-23 2021-02-22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1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38,184 US20210335766A1 (en) 2020-04-23 2021-04-2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9144 2020-04-23
KR1020200049144 2020-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24A KR20210131224A (ko) 2021-11-02
KR102515800B1 true KR102515800B1 (ko) 2023-03-31

Family

ID=7847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127A KR102515800B1 (ko) 2020-04-23 2021-02-22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654A1 (en) 2021-10-01 2023-12-13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007B1 (ko) * 2018-02-13 202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90126260A (ko) * 2019-10-22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24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991B1 (ko)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3654375B1 (en) Display device
CN110783362B (zh) 显示装置
KR102526778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EP382606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515800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198835A (zh) 一种led显示单元、显示器及其制造方法
EP4033545A1 (en) Light-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14237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210131223A (ko) 표시 장치
US2021033576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181381A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TWI835920B (zh) 顯示裝置
EP4287259A1 (en) Display device
KR102668034B1 (ko) 표시 장치
US20210336084A1 (en) Display device
KR102491857B1 (ko) 표시 장치
EP429706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element
TWI824880B (zh) 顯示裝置
US117055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20230085100A (ko) 디스플레이 화소용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본딩 방법과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2986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