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718B1 -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718B1
KR102515718B1 KR1020200144553A KR20200144553A KR102515718B1 KR 102515718 B1 KR102515718 B1 KR 102515718B1 KR 1020200144553 A KR1020200144553 A KR 1020200144553A KR 20200144553 A KR20200144553 A KR 20200144553A KR 102515718 B1 KR102515718 B1 KR 10251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ub
voltage range
volt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218A (ko
Inventor
이준영
이일운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가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기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는 상호 병렬로 배열된 제 1 변압기 및 제 2 변압기, 상기 변압기들의 1차측에 위치하는 제 1 서브 컨버터 및 상기 변압기들의 2차측에 위치하는 제 2 서브 컨버터 및 제 3 서브 컨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 및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달라진다.

Description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 WITH VERY SIDE CHARGE VOLTAGE RANGE}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는 250V 내지 500V의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를 향후 출시될 500V 내지 1000V의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KR 2019-0134374 A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는 상호 병렬로 배열된 제 1 변압기 및 제 2 변압기; 상기 변압기들의 1차측에 위치하는 제 1 서브 컨버터; 및 상기 변압기들의 2차측에 위치하는 제 2 서브 컨버터 및 제 3 서브 컨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 및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달라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위치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위치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입력전압을 스위칭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정류기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2차측 회로가 가변되어 다른 출력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는 DC-DC 컨버터의 서브 컨버터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실현하면서도 높은 전력변환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컨버터들의 병렬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컨버터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250V 내지 500V 배터리 충전시 주요 동작 파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500V 내지 1000V 배터리 충전시 주요 동작 파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매우 넓은 배터리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면서 고효율 동작이 가능한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기는 정류기들을 직렬/병렬로 연결시키는 스위칭을 통하여 250V 내지 500V의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와 500V 내지 1000V의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 모두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250V 내지 500V 또는 500V 내지 1000V의 충전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특히, 250V 내지 500V의 전압 범위로 충전할 때의 DC-DC 충전기의 스위칭 주파수와 500V 내지 1000V의 전압 범위로 충전할 때의 DC-DC 충전기의 스위칭 주파수가 동일하므로, 높은 전력변환효율의 구현이 가능하다.
500V 내지 1000V의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전기 자동차가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에, 기존 전기 자동차와 신규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250V 내지 1000V의 전압 범위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컨버터의 전력변환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기는 250V 내지 500V의 전압 범위 또는 500V 내지 1000V의 전압 범위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동작하며, 따라서 컨버터가 높은 전력변환효율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충전을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충전될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압 레벨을 미리 감지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위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압 범위를 250V 내지 500V 또는 500V 내지 1000V로 언급하였으나, 이러한 범위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컨버터들의 병렬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컨버터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250V 내지 500V 배터리 충전시 주요 동작 파형을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500V 내지 1000V 배터리 충전시 주요 동작 파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기(100)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급속 충전기일 수 있으며, 역률 보정부(110), 캐피시터 및 DC-DC 컨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역률 보정부(110)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여 출력하며, 그 결과 DC 링크에 소정의 직류 전압이 걸릴 수 있다.
DC-DC 컨버터(112)는 DC 링크에 걸리는 직류 전압(이하, "DC 링크 전압"이라 함)을 다른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되,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DC 컨버터(112)는 상기 DC 링크 전압을 제 1 전압 범위(예를 들어 250V ~ 500V)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 1 전압 범위보다 높은 제 2 전압 범위(예를 들어 500V ~ 1000V)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C-DC 컨버터(112)는 충전될 배터리의 전압 범위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전압 범위에 맞도록 상기 제 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 2 전압 범위로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DC-DC 컨버터(112)의 상세 구조를 살펴보면, DC-DC 컨버터(112)는 제 1 서브 컨버터(200), 변압기들(210 및 212), 제 2 서브 컨버터(202), 제 3 서브 컨버터(204), 공진부(206) 및 스위칭부들(230 및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컨버터(200)는 변압기들(210 및 212)의 1차측에 배열되며, 상기 DC 링크 전압을 주기적으로 정극성 전압과 부극성 전압으로 하여 변압기들(210 및 212)의 입력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서브 컨버터(200)는 4개의 반도체 스위치들(Q1, Q2, Q3 및 Q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도체 스위치(Q1) 및 제 3 반도체 스위치(Q3)는 상기 DC 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상호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반도체 스위치(Q1) 및 제 3 반도체 스위치(Q3)는 상보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반도체 스위치(Q2)는 제 1 반도체 스위치(Q1)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 4 반도체 스위치(Q4)는 제 2 반도체 스위치(Q2)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반도체 스위치(Q2)와 제 4 반도체 스위치(Q4)는 상호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반도체 스위치(Q2)와 제 4 반도체 스위치(Q4)는 상보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 컨버터(200)는 상기 DC 링크에 병렬로 연결된 입력 캐패시터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터들은 상기 DC 링크 전압이 순간적으로 변압기들(210 및 212)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전압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변압기(210)의 1차측의 일단은 인턱터와 캐패시터를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들(Q1 및 Q2) 사이의 노드(n1)에 연결되며, 타단은 캐패시터를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들(Q3 및 Q4) 사이의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변압기(210)의 2차측은 제 2 서브 컨버터(2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서브 컨버터(202)는 정류기로서 4개의 다이오드들(D1, D2, D3 및 D4)로 형성된 풀 브릿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변압기(210)의 2차측의 일단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들(D1 및 D2) 사이의 노드(n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들(D3 및 D4) 사이의 노드(n4)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변압기(212)는 제 1 변압기(210)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 1 변압기(210)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권선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변압기(212)의 1차측의 일단은 인턱터와 캐패시터를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들(Q1 및 Q2) 사이의 노드(n1)에 연결되며, 타단은 캐패시터를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들(Q3 및 Q4) 사이의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변압기(212)의 2차측은 제 3 서브 컨버터(20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서브 컨버터(204)는 정류기로 4개의 다이오드들(D5, D6, D7 및 D8)로 형성된 풀 브릿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변압기(212)의 2차측의 일단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들(D5 및 D6) 사이의 노드(n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들(D7 및 D8) 사이의 노드(n6)에 연결될 수 있다.
공진부(206)는 인덕터와 캐패시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덕터의 일단이 제 2 서브 컨덕터(202)의 출력 및 제 3 서브 컨덕터(204)의 출력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공진부(206)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공진부(206)는 제 1 스위칭부(2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3 서브 컨덕터(204)와 공진부(206)는 제 1 스위칭부(2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서브 컨버터(202)와 제 3 서브 컨버터(204)는 제 2 스위칭부(23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위칭부들(230 및 23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 2 서브 컨덕터(202), 제 3 서브 컨덕터(204)와 공진부(206) 사이의 연결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칭부(230)가 턴-온되고 제 2 스위칭부(232)가 오프되면,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면서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각기 공진부(206)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진부(206)의 출력은 제 1 전압 범위, 예를 들어 250V 내지 500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압 범위에서 구동되는, 즉 제 1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장점은 대전력으로 저전압배터리 충전시 큰 충전전류가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로 나뉘어져 흐르므로 전류스트레스 및 발열을 분산시켜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로 흐르는 충전전류는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칭부(230)가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칭부(232)가 턴-온되면,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서브 컨덕터(202)의 출력이 공진부(206)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진부(206)의 출력은 제 2 전압 범위, 예를 들어 500V 내지 1000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압 범위에서 구동되는, 즉 제 2 충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장점은 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낮은 정격전압의 다이오드로 구현하여 도통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기(100)는 충전될 배터리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DC-DC 컨버터(112)의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켜, 즉 2개의 정류기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켜 원하는 충전 전압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충전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DC-DC 컨버터(112)를 동일한 스위칭 전압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압 범위로 충전시든 상기 제 2 전압 범위로 충전시든 두 영역에서 DC-DC 컨버터(112)의 스위칭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전압 범위 충전시 전력변환효율과 상기 제 2 전압 범위 충전시 전력변환효율을 동일하도록 하는 동시에 높은 전력변환효율(예를 들어, 95% 이상)을 가지고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112)의 스위칭 주파수 가변폭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대전력 변압기 사이즈를 작게 제작할 수 있어서 배터리 충전기(100)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배터리 200V, 50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300V, 50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400V, 50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500V, 50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600V, 25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800V, 25A 충전시 동작파형, 배터리 400V, 25A 충전시 동작파형이 도 5 내지 도 11에서 보여진다.
이러한 동작파형들로부터 배터리 충전기(100)가 250-500V 전압레벨과 500-1000V 전압레벨 크기에 관계없이 두 전압 영역에서 동일한 스위칭주파수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250-1000V의 매우 넓은 전압범위를 쉽게 만드는 동시에 높은 전력변환효율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제 2 서브 컨덕터(202)와 제 3 서브 컨덕터(204)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면서 공진부(206)의 출력전압이 달라지는 한, 서브 컨덕터들(200, 202 및 204)의 회로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살펴볼 때,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부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위치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위치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입력전압(예를 들어, DC 링크 전압)을 스위칭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2차측 회로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에 연결된 공진부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2차측 회로가 가변되어 상기 DC-DC 컨버터는 다른 출력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출력전압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 충전기 110 : 역률 보정부
112 : DC-DC 컨버터 200 : 제 1 서브 컨덕터
202 : 제 2 서브 컨덕터 204 : 제 3 서브 컨덕터
210, 212 : 변압기 230 : 제 1 스위칭부
232 : 제 2 스위칭부

Claims (8)

  1.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호 병렬로 배열된 제 1 변압기 및 제 2 변압기;
    상기 변압기들의 1차측에 위치하는 제 1 서브 컨버터;
    상기 변압기들의 2차측에 위치하는 제 2 서브 컨버터 및 제 3 서브 컨버터; 및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에 의해 공유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 및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달라지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에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에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공진부를 스위칭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의 제 1 스위치가 존재하고,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와 상기 공진부를 스위칭 연결하는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제 2 스위치가 존재하며,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스위치들이 턴-온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오프되면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DC-DC 컨버터가 제 1 전압 범위의 출력 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스위치들이 턴-오프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온되면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제 1 전압 범위 이상의 제 2 전압 범위의 출력 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는 각기 상기 공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는 동일한 회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전압 범위의 충전 전압을 출력할 때의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와 상기 제 2 전압 범위의 충전 전압을 출력할 때의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동일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충전될 배터리의 전압 범위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전압 범위에 맞도록 상기 제 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 2 전압 범위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병렬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로 흐르는 충전전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의 DC-DC 컨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 및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는 각기 정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압 범위는 250V 내지 500V이며, 상기 제 2 전압 범위는 500V 내지 100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의 DC-DC 컨버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컨버터는 스위칭되는 4개의 반도체 스위치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의 일단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반도체 스위치들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며 타단은 직렬로 연결된 다른 2개의 반도체 스위치들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의 일단은 상기 2개의 반도체 스위치들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다른 2개의 반도체 스위치들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은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의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들 사이의 노드로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들 사이의 노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의 일단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의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들 사이의 노드로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들 사이의 노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의 DC-DC 컨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버터가 상호 병렬로 연결되면 상기 DC-DC 컨버터는 제 1 전압 범위의 충전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서브 컨버터와 상기 제 3 서브 컨버터가 직렬로 연결되면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 1 전압 범위 이상의 제 2 전압 범위의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의 DC-DC 컨버터.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4553A 2020-11-02 2020-11-02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KR10251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53A KR102515718B1 (ko) 2020-11-02 2020-11-02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53A KR102515718B1 (ko) 2020-11-02 2020-11-02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18A KR20220059218A (ko) 2022-05-10
KR102515718B1 true KR102515718B1 (ko) 2023-03-29

Family

ID=8159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553A KR102515718B1 (ko) 2020-11-02 2020-11-02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1964A (ja) * 2015-06-26 2017-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および風力発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072B2 (ja) * 1993-07-14 2000-07-31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KR101907119B1 (ko) * 2016-07-04 2018-10-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풀브릿지 ll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20190134374A (ko) 2018-05-25 2019-12-04 (주)클린일렉스 휴대 가능한 IoT 형 전기차 충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1964A (ja) * 2015-06-26 2017-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および風力発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18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709B2 (en)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energy sources
KR101199490B1 (ko) 고승압비 다상 인터리브 양방향 dc-dc 컨버터
JP5687498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
Leu et al. A novel current-fed boost converter with ripple reduction for high-voltage conversion applications
US11689115B2 (en) Bidirectional AC-DC converter with multilevel power factor correction
US9209698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US10886858B1 (en)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pre-chargers
US20120113694A1 (en) Step-down converter and inverter circuit
US20090034305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System
US20230249564A1 (en) Charging device and vehicle
US11689112B2 (en) DC-DC converter and vehicle
Rehlaender et al. Dual interleaved 3.6 kW LLC converter operating in half-bridge, full-bridge and phase-shift mode as a single-stage architecture of an automotive on-board DC-DC converter
KR20210004589A (ko) 멀티 레벨 컨버터
US8605470B2 (en) Power converter performing soft switching
JP2008529466A (ja) Dc電圧を3相ac出力に変換する方法及びインバータ
US20230253877A1 (en) Power factor correction and dc-dc multiplexing converter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cluding the same
Barbi A high step-up gain DC-DC converter based on the stacking of three conventional buck boost DC-DC converters
WO2013031934A1 (ja) 電力連系システム
KR102515718B1 (ko)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JP5540872B2 (ja) 電源装置
WO2022151126A1 (zh) 一种直流变换器、控制方法、直流汇流箱及光伏发电系统
KR20180046807A (ko) 하이브리드 멀티레벨 고전압 대용량 정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US1116535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20180091543A (ko) 역률 개선 컨버터
JP5749853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