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206B1 -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206B1
KR102515206B1 KR1020220156856A KR20220156856A KR102515206B1 KR 102515206 B1 KR102515206 B1 KR 102515206B1 KR 1020220156856 A KR1020220156856 A KR 1020220156856A KR 20220156856 A KR20220156856 A KR 20220156856A KR 102515206 B1 KR102515206 B1 KR 10251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information
cradle
fram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윤
Original Assignee
(주)샘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샘터 filed Critical (주)샘터
Priority to KR102022015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형의 적치를 위한 공간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상측에 다수의 목형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후측에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수직 상태의 목형 후측이 안착되도록 하는 뒷걸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뒷걸이판은, 전면에 상기 목형의 후측이 거치되기 위한 안착홈이 제 1 칼날보호이격부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각각의 내측 양쪽에 두께를 달리하는 목형 각각이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형의 저면 및 배면의 투 포인트 지지로 인한 안전한 수용 구조로 인해, 칼날의 손상없이 목형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두께의 목형 거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규격에 따른 다수의 적치대 구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하는 목형의 적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많은 수의 목형을 변형이나 손상없이 손쉽게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포장용 박스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Smart wooden two point stacker}
본 발명은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형의 저면 및 배면의 투 포인트 지지로 인한 안전한 수용 구조로 인해, 칼날의 손상없이 목형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두께의 목형 거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규격에 따른 다수의 적치대 구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하는 목형의 적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형은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면에 해당하는 모양의 일정 두께를 갖는 합판(시트)에 절단 칼과 누름 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성형 칼날을 삽입한 것이다.
이러한 목형은 주로 합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관리 잘못으로 인해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휨 변형이 발생한 목형을 재사용시, 정밀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작업의 어려움과 함께 포장용 박스의 불량을 야기하여 금전적 손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목형의 보관은 중요하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118529호의 "목형 적치대"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다수의 목형을 프레임 상에 직립 적치할 수 있는 목형 적치대로서, 상기 목형의 삽입 및 인출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경유한 상기 목형을 유지시키며 제1 내지 제5 바닥부를 구비한 유지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경유한 상기 목형을 상기 유지 부재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유지 부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사출 성형을 위한 ABS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안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안내판의 각각의 삽입 부분 및 인출 부분의 선단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안내판의 상부도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닥부 내지 제5 바닥부에서, 상기 제1 바닥부는 중앙 부분에 마련되고, 제2 바닥부는 상기 제1 바닥부의 좌측에 마련되고, 제3 바닥부는 상기 제1 바닥부의 우측에 마련되고, 제4 바닥부는 상기 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5 바닥부는 상기 제1 바닥부와 제3 바닥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닥부 내지 제5 바닥부의 각각은 상기 제1 바닥부에 적치되는 목형이 수직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바닥부에 적치되는 목형이 상기 제4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유지되고, 상기 제3 바닥부에 적치되는 목형이 상기 제5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유지되고, 상기 제4 바닥부에 적치되는 목형이 상기 제2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유지되고, 상기 제5 바닥부에 적치되는 목형이 상기 제3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적치하고자 하는 목형의 수가 많은 경우, 어떠한 목형이 적치대에서 어느 위치에 적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이러한 목형의 재고 관리에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소요됨으로써, 포장용 박스의 제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형의 저면 및 배면의 투 포인트 지지로 인한 안전한 수용 구조로 인해, 칼날의 손상없이 목형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두께의 목형 거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규격에 따른 다수의 적치대 구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하는 목형의 적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많은 수의 목형을 변형이나 손상없이 손쉽게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포장박스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목형의 적치를 위한 공간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상측에 다수의 목형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후측에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수직 상태의 목형 후측이 안착되도록 하는 뒷걸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뒷걸이판은, 전면에 상기 목형의 후측이 거치되기 위한 안착홈이 제 1 칼날보호이격부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각각의 내측 양쪽에 두께를 달리하는 목형 각각이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상기 목형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기 위한 슬롯이 제 2 칼날보호이격부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목형의 하단이 상기 슬롯의 내측에 체결되는 볼트로부터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슬롯의 내측에 간섭회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회피홈의 내측면에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1 센터가이드홈이 상기 간섭회피홈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 2 칼날보호이격부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화를 위한 제 1 경량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뒷걸이판은,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2 센터가이드홈이 상기 안착홈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제 1 칼날보호이격부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을 위한 제 2 및 제 3 경량화홈이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형에 설치되고, 단말기의 리딩시 목형 정보를 제공하는 목형식별코드; 및 상기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거치대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리딩시 거치대 정보를 제공하는 거치대식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형식별코드 및 상기 거치대식별코드 각각을 리딩하고, 상기 거치대의 슬롯 중에서 목형이 거치되는 슬롯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슬롯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목형의 검색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검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에 검색 결과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슬롯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목형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기록하도록 하는 데이터기록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검색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형의 위치 정보를 검색 결과 정보로서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상기 데이터추출부가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추출에 필요한 정보로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기록부는, 상기 목형식별코드가 상기 목형 정보로서 제공되는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를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키키워드를 상기 검색 정보로서 제공받으면,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모든 목형에 대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 의하면, 목형의 저면 및 배면의 투 포인트 지지로 인한 안전한 수용 구조로 인해, 칼날의 손상없이 목형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두께의 목형 거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규격에 따른 다수의 적치대 구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하는 목형의 적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많은 수의 목형을 변형이나 손상없이 손쉽게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포장용 박스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서 거치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의 거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의 뒷걸이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의 뒷걸이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100)는 프레임(110), 거치대(120) 및 뒷걸이판(130)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목형식별코드(140) 및 거치대식별코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목형(1)의 적치를 위한 공간에 설치된다. 여기서 목형(1)은 일측면에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면에 해당하는 모양의 일정 두께를 갖는 합판(시트)에 칼날이 삽입되는데, 여기서 칼날은 절단을 위한 절단용 칼날과 접힘 가이드를 위한 누름용 칼날의 조합으로 성형된다.
프레임(110)은 예컨대, 선반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는 다수의 거치대(120) 배치를 위한 바닥지지프레임(111)이 사각형으로 수평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수직프레임(11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바닥지지프레임(111)이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수직프레임(112)에 연결프레임(113)이 수평되게 연결됨으로써, 수직프레임(112)을 서로 연결시켜서 구조적으로 보강되도록 하고, 배면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12)을 배면프레임(114)이 수평되게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배면프레임(114)의 전면에 뒷걸이판(130)이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서 거치대(120)와 뒷걸이판(130)은 볼팅 또는 억지 끼움 또는 슬라이딩 결합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되거나, 볼트나 끼움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120)는 프레임(110)에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다수의 목형(1)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뒷걸이판(130)은 프레임(110)에서 후측에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수직 상태의 목형(1) 후측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뒷걸이판(130)과 거치대(120)는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목형식별코드(140)는 목형(1)에 설치되고, 단말기(210)의 리딩시 목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목형식별코드(140)는 목형(1)의 사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고,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식별코드(150)는 거치대(120) 각각에 대응하도록 거치대(120) 또는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고, 단말기(210)의 리딩시 거치대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거치대(120) 각각에 대응이란 거치대식별코드(150)가 거치대(120)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되, 어느 것이 어느 거치대(120)에 해당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을 의미한다. 또한 거치대식별코드(150)는 본 실시례에서는 프레임(110)에 설치됨을 나타내나,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거치대(12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100)는 단말기(210), 데이터송수신부(160), 데이터기록부(170), 데이터추출부(180) 및 데이터베이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10)는 해당 식별코드의 리딩이 가능한 리더기의 기능과 리딩된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통신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이러한 기능을 전담하도록 별도로 제작된 단말장치가 사용되거나, 필요한 동작의 실행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210)는 본 발명에서, 목형식별코드(140) 및 거치대식별코드(150) 각각을 리딩하고, 거치대(120)의 슬롯(121; 도 4 및 도 5에 도시) 중에서 목형(1)이 거치되는 슬롯(121)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목형 정보, 거치대 정보 및 슬롯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목형(1)의 검색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도록 한다.
목형 정보는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를 비롯하여, 목형을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목형식별코드(140)는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 등을 목형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 정보는 해당하는 프레임(110)에서의 설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프레임(110)이 다수인 경우, 어느 프레임(110)에 설치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롯 위치 정보는 거치대(120)에 다수, 예컨대 5개의 슬롯(122; 도 4 및 도 5 참조) 중 몇 번째 슬롯(122)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기(210)가 거치대식별코드(150)를 리딩시 작업자에게 몇 번째 슬롯(122)인지를 입력해달라고 요청함으로써 슬롯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목형식별코드(140) 및 거치대식별코드(150)는 예컨대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식별코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QR코드, 바코드 및 전자태그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태그는 예컨대 RFID일 수 있다.
거치대식별코드(15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상부에 배열되는 목형(1)과 하부에 배열되는 목형(1)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지지프레임(111)에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상부의 목형(1)과 하부의 목형(1)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도 2 참조).
데이터송수신부(160)는 단말기(210)로부터 목형 정보, 거치대 정보 및 검색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210)에 검색 결과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특정 장소 내에서의 목형(1) 관리시, 해당 장소 내에서,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UWB, WiHD, 3G, LTE, 5G,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21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송수신부(160)는 이와 달리, 여러 장소에서의 목형(1)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플랫폼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기(210)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웹페이지 등을 제공하는 웹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송수신부(160)는 단말기(210)를 통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본인 인증에 의해 허용되는 단말기(210)와의 접속만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기록부(170)는 데이터송수신부(160)에 의해 수신되는 목형 정보, 거치대 정보 및 슬롯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목형(1)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기록하도록 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기록은 후술하게 될 데이터베이스부(190)에 대한 기록일 수 있다. 데이터기록부(170)는 목형 정보, 거치대 정보 및 슬롯 위치 정보를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어떠한 목형(1)이 어떠한 위치에 거치되었는지를 기록하게 된다.
데이터기록부(170)는 목형식별코드가 목형 정보로서 제공되는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를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추출부(180)는 데이터송수신부(160)에 의해 수신되는 검색 정보에 해당하는 목형(1)의 위치 정보를 검색 결과 정보로서 추출하여, 데이터송수신부(160)를 통해 단말기(210)에 제공한다.
데이터추출부(180)는 단말기(210)로부터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키키워드를 검색 정보로서 제공받으면, 키워드에 해당하는 모든 목형(1)에 대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부(190)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송수신부(160)를 통해 단말기(21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이터추출부(180)는 단말기(210)에 의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원하는 목형(1)의 위치를 단말기(21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90)는 데이터기록부(170)에 의해 기록되는 목형(1)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저장하고, 저장된 목형(1)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데이터추출부(180)가 검색 결과 정보의 추출에 필요한 정보로서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90)는 본 발명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고, 메모리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대(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면에 목형(1)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기 위한 슬롯(121)이 제 2 칼날보호이격부(125)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목형(1)의 하단이 슬롯(121)의 내측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로부터 간섭을 회피하도록 슬롯(121)의 내측에 간섭회피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간섭회피홈(122)의 내측면에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4)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1 센터가이드홈(123)이 간섭회피홈(122)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저면에 제 2 칼날보호이격부(125)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화를 위한 제 1 경량화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120)는 체결홀(124)의 형성시, 제 1 센터가이드홈(123)에 의해 센터 정렬 뿐만 아니라 드릴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천공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제 1 경량화홈(126)에 의해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목형(1)은 피타발체(포장재) 작업시, 포장재가 딸려오지 않도록 칼날(2)의 주변에 완충 역할을 해주는 쿠션부재, 예컨대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다. 대개, 목형(1)은 칼날(2)이 박힌 외곽에 15mm 정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목형(1)을 거치대(120)에 집어넣어 보관시, 목형(1)이 직립할 수 있도록, 슬롯(121) 내에서 칼날보호이격부(125) 상단까지의 높이가 13mm 이내일 수 있고, 칼날(2)의 수용을 가능하도록 칼날보호이격부(125)의 폭이 적어도 칼날(2)의 돌출된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뒷걸이판(130)은 전면에 목형(1)의 후측이 거치되기 위한 안착홈(131)이 제 1 칼날보호이격부(134)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안착홈(131) 각각의 내측 양쪽에 두께를 달리하는 목형(1) 각각이 안착되도록 안착턱(132,133)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칼날보호이격부(134)는 서로 이웃하는 안착홈(131) 각각에 위치하는 목형(1)의 칼날(2)이 이웃하는 다른 목형(1)에 의해 간섭 내지 손상되지 않도록 목형(1) 간의 간격이 칼날(2)에 접하지 않을 정도의 여유를 가지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안착턱(132,133)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안착홈(131)의 내측에서 양쪽에 각각 대향하도록 마련되되, 2개의 단을 이루도록 한 쌍의 제 1 안착턱(132)과 한 쌍의 제 2 안착턱(13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목판(1)은 두께가 12mm인 경우 안착홈(131)에 안착될 수 있고, 두께가 15mm인 경우 제 1 안착턱(132)에 안착될 수 있으며, 두께가 18mm인 경우 제 2 안착턱(133)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목형(1)은 칼날(2)이 박힌 외곽에 15mm 정도의 여유간격(D)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목형(1)을 뒷걸이판(130)에 거치시, 칼날(2)이 걸리지 않도록 안착홈(131)과 제 1 칼날보호이격부(134) 끝단까지의 거리(d)가 13mm 이내이고, 일례로 11mm일 수 있다.
뒷걸이판(130)은 안착홈(131)의 내측면에 거치대(120)에서와 같이, 볼트(미도시)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미도시)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2 센터가이드홈(137)이 안착홈(131)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면에 제 1 칼날보호이격부(134)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을 위한 제 2 및 제 3 경량화홈(135,136)이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뒷걸이판(130)은 체결홀의 형성시 제 2 센터가이드홈(137)에 의해 센터 정렬 뿐만 아니라 드릴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고정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제 2 및 제 3 경량화홈(135,136)이 단일이 아닌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면서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나아가서 효과적인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에 따르면, 목형의 저면 및 배면의 투 포인트 지지로 인한 안전한 수용 구조로 인해, 칼날의 손상없이 목형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혼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의 목형 거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규격에 따른 다수의 적치대 구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목형의 적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많은 수의 목형을 변형이나 손상없이 손쉽게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목형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포장용 박스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목형 2 : 칼날
110 : 프레임 111 : 바닥지지프레임
112 : 수직프레임 113 : 연결프레임
114 : 배면프레임 120 : 거치대
121 : 슬롯 122 : 비간섭홈
123 : 제 1 센터가이드 124 : 체결홀
125 : 제 1 칼날보호이격부 126 : 제 1 경량화홈
140 : 뒷걸이판 131 : 안착홈
132 : 제 1 안착턱 133 : 제 2 안착턱
134 : 제 2 칼날보호이격부 135 : 제 2 경량화홈
136 : 제 3 경량화홈 137 : 제 2 센터가이드
150 : 목형식별코드 150 : 거치대식별코드
160 : 데이터송수신부 170 : 데이터기록부
180 : 데이터추출부 190 : 데이터베이스부
210 : 단말기

Claims (5)

  1. 목형의 적치를 위한 공간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상측에 다수의 목형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거치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후측에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평되게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수직 상태의 목형 후측이 안착되도록 하는 뒷걸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뒷걸이판은,
    전면에 상기 목형의 후측이 거치되기 위한 안착홈이 제 1 칼날보호이격부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각각의 내측 양쪽에 두께를 달리하는 목형 각각이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면에 상기 목형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기 위한 슬롯이 제 2 칼날보호이격부에 의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목형의 하단이 상기 슬롯의 내측에 체결되는 볼트로부터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슬롯의 내측에 간섭회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회피홈의 내측면에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1 센터가이드홈이 상기 간섭회피홈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 2 칼날보호이격부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화를 위한 제 1 경량화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걸이판은,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중심에 천공하기 위한 제 2 센터가이드홈이 상기 안착홈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제 1 칼날보호이격부 각각에 대응하여 경량을 위한 제 2 및 제 3 경량화홈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형에 설치되고, 단말기의 리딩시 목형 정보를 제공하는 목형식별코드; 및
    상기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거치대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리딩시 거치대 정보를 제공하는 거치대식별코드;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목형식별코드 및 상기 거치대식별코드 각각을 리딩하고, 상기 거치대의 슬롯 중에서 목형이 거치되는 슬롯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슬롯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목형의 검색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검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에 검색 결과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목형 정보, 상기 거치대 정보 및 상기 슬롯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목형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기록하도록 하는 데이터기록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검색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목형의 위치 정보를 검색 결과 정보로서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와 위치를 상기 데이터추출부가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추출에 필요한 정보로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기록부는,
    상기 목형식별코드가 상기 목형 정보로서 제공되는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를 상기 목형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거래처, 제품명 및 사이즈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키워드를 상기 검색 정보로서 제공받으면,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모든 목형에 대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는,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KR1020220156856A 2022-11-22 2022-11-22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KR10251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856A KR102515206B1 (ko) 2022-11-22 2022-11-22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856A KR102515206B1 (ko) 2022-11-22 2022-11-22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206B1 true KR102515206B1 (ko) 2023-03-29

Family

ID=8579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856A KR102515206B1 (ko) 2022-11-22 2022-11-22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810A (ja) * 1999-04-05 2000-10-17 Hokuto Bank Ltd 物品管理システム
KR200431052Y1 (ko) * 2006-08-28 2006-11-14 이철윤 목형 적치대
JP2018150126A (ja) * 2017-03-13 2018-09-27 Kyb株式会社 出庫部品特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810A (ja) * 1999-04-05 2000-10-17 Hokuto Bank Ltd 物品管理システム
KR200431052Y1 (ko) * 2006-08-28 2006-11-14 이철윤 목형 적치대
JP2018150126A (ja) * 2017-03-13 2018-09-27 Kyb株式会社 出庫部品特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0181B (zh) 警用装备及资产物联网管理系统及其方法
KR101132116B1 (ko)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CN109685425B (zh) 一种基于cps的可视化实物自动盘库系统
CN101131784A (zh) 基于数据库管理的档案、仓储物品存取方法
CN105631637B (zh) 一种瓦楞原纸仓库管理系统及方法
WO2007114856A3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upplies and performance in a collision center
KR102515206B1 (ko) 스마트 목형 투 포인트 적치대
US7290701B2 (en) Gathering data relating to electrical components picked from stacked trays
US20060085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or-based inventory data collection and validation
CN209536121U (zh) 一种智能仓储周转货架
KR20230016777A (ko) 스마트 목형 적치대
JP2010238007A (ja) 配置管理装置および配置管理プログラム
US6997333B2 (en) Key rack
CN111027899A (zh) 利用扫描设备对档案盒摆放顺序盘点的装置及方法
DE102013202328A1 (de) Waferstart-Prozesse und Systeme für die Herstellung integrierter Schaltungen
KR200431052Y1 (ko) 목형 적치대
JPH11283123A (ja) 非接触型icタグ方式による管理システム装置
JP2008285250A (ja) Idタグを用いた荷物管理システム
CN113962628A (zh) 适用于进口家具的仓储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14855366U (zh) 一种区块链招投标用档案柜
CN211015610U (zh) 利用扫描设备对档案盒摆放顺序盘点的装置
CN210446408U (zh) 一种基于rfid的商品信息自动获取智能货架
CN110119924B (zh) 一种仓储物品存放库位识别的方法和系统
CN114493159A (zh) 一种基于mes系统的节点位置校验方法和装置
CN113104467A (zh) 一种基于rfid的立体库盘点系统及盘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