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463B1 -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63B1
KR102513463B1 KR1020200160977A KR20200160977A KR102513463B1 KR 102513463 B1 KR102513463 B1 KR 102513463B1 KR 1020200160977 A KR1020200160977 A KR 1020200160977A KR 20200160977 A KR20200160977 A KR 20200160977A KR 102513463 B1 KR102513463 B1 KR 10251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mine
disease
mmo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155A (ko
Inventor
최상돈
서창희
정의석
최양선
백욱영
최케빈재석
임춘영
이두현
김남희
이승연
김효지
김상균
오유진
김소영
한예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20016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63B1/ko
Priority to EP21898634.7A priority patent/EP4253382A1/en
Priority to JP2023531626A priority patent/JP2024500648A/ja
Priority to PCT/KR2021/017501 priority patent/WO2022114808A1/ko
Priority to US18/035,190 priority patent/US20240018139A1/en
Priority to CN202180079593.3A priority patent/CN116507329A/zh
Publication of KR2022007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억제 기능이 있는 길항성 소분자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톨-유사 수용체 3/7/8/9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소분자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억제용 조성물 및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Poly I:C(TLR3 작용제), 이미퀴모드(Imiquimod; TLR7 작용제), TL8-506(TLR8 작용제) 또는 ODN2395(TLR9 작용제)에 의해 유도된 TNF-α의 분비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전신홍반루푸스 동물 모델에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이는 TLR3, TLR7, TLR8 또는 TLR9 관련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함을 시사한다.

Description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New Small Molecule Compounds that Control Endosomal Toll-like receptors and Autoimmune Disease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억제 기능이 있는 길항성 소분자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톨-유사 수용체 3/7/8/9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소분자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억제용 조성물 및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재(또는 선천)면역은 포유류의 면역 시스템에서 세균 감염에 대항하는 첫번째 방어 작용으로,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와 같은 패턴 인식 수용체가 병원균-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이나 손상-연관 분자 패턴(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DAMP)을 인식함으로써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TLR1/2에 의해 인식되는 트리아실 지방단백질(e.g. Pam3CSK4)(Takeuchi, O., et al. J Immunol 169: 10-14 (2002)), TLR2/6에 의한 디아실 지방단백질(e.g. Pam2CSK4)(Takeuchi, O., et al. Int Immunol 13: 933-940 (2001)), TLR4에 의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Poltorak, A., et al., Science 282: 2085-2088 (1998)), TLR5에 의한 세균성 플라젤린(flagellin)(Poltorak, A., et al. Science 282: 2085-2088 (1998), TLR3에 의한 바이러스 이중가닥 RNA(dsRNA)(Poltorak, A., et al., Science 282: 2085-2088 (1998)), TLR7 및 TLR8에 의한 바이러스 단일가닥 RNA(ssRNA)(Diebold, S. S. et al., Science 303: 1529-1531 (2004); Heil, F., et al., Science 303: 1526-1529 (2004)) 및 TLR9에 의한 비메틸화 CpG-함유 올리고데옥시 뉴클레오티드(ODN)(Hemmi, H., et al. Nature 408: 740-745 (2000)) 등이 있다.
TLR은 내재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TLR1, TLR2, TLR4, TLR5, TLR6 및 TLR11을 포함하는 원형질막에서 작용을 하는 세포외 TLR과 TLR3, TLR7, TLR8 및 TLR9를 포함하는 엔도솜과 같은 세포 내에서 작용을 하는 세포내 TLR로 나눌 수 있다. 구조적으로, TLR은 세포외 도메인의 N-말단에 리간드 또는 부속분자(accessory molecule)에 의해 인식되는 루신-고반복(leucine-rich repeat; LRR)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내 부분의 C-말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톨/인터루킨 1 수용체(Toll/interleukin 1 receptor; TIR)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특히, TLR3, TLR7, TLR8 및 TLR9는 세포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엔도솜에 노출되는 외인성 ssRNA(single stranded RNA), dsRNA(double stranded RNA), CpG DNA 등을 알아 보거나 비정상적 반응에 의한 조직내부의 세포괴사 또는 세포자멸사에 의해 손상된 조직으로부터 노출되는 내인성 ssRNA나 DNA 조각을 리간드로 인식하여,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폭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TLR7 및 TLR8은 influenza나 손상된 세포로부터의 ssRNA를 인식하는 한편, TLR9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게놈 또는 손상된 조직으로부터 생성되는 CpG DNA 조각을 감지하고, TLR3은 바이러스 증식의 중간산물인 dsRNA를 인식하여 내재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TLR의 역할로 인해 면역 관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타겟으로 TLR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LR7/8/9의 MyD88(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88) 의존적 신호전달은 해당 리간드에 의해 이량체(dimer)를 형성하고, TLR의 TIR 도메인과 MyD88의 TIR 도메인끼리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킨다(Hemmi, H. et al. Nat Immunol 3, 196-200, (2002)). 활성화된 TLR 신호는 NF-κB의 활성화 및 핵으로의 이동, MAPK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인터페론 α(interferon α; IFNα) 및 IFN-inducible 유전자들을 발현시킨다. 상기 NF-κB와 MAPK의 활성화는 TNF-α, IL-1β(interleukin 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시킨다. TLR3의 MyD88 비의존 신호전달 과정은 TLR3의 TIR 도메인과 TRIF(TIR domain-containing adapter-inducing interferon-β)의 TIR 도메인 간의 결합으로 개시되며, IRF(interferon-regulatory factor)의 활성화에 의해 타입 1 인터페론을 분비시킨다. 또한, TLR 활성은 대식세포에서 NO, ROS와 같은 산화 스트레스성 물질을 생성한다.
엔도솜막에 있는 TLR(TLR3, 7, 8 및 9)은 다양한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으로부터 호스트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 특히, TLR 7, 8 및 9의 발현은 손상된 또는 스트레스가 가해진 조직/세포로부터 방출된 병원성 성분 또는 자체 항원에 대한 지속적인 방어에 필수적이다(Demaria, O., et al., J Clin Invest 120: 3651-3662 (2010)). 이러한 핵산 감지 TLR의 오작동은 건선 및 전신홍반루푸스(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Vincent, F. B. et al., Nat Rev Rheumatol 10: 365-373 (2014))와 같은 몇 가지 자가면역 병리학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의 병인학은 여전히 불분명하다(Krieg, A. M. & Vollmer, J., Immunol Rev 220: 251-269 (2007); Terhorst, D., et al. J Immunol 195: 4953-4961 (2015)). 그러므로, 엔도솜 TLR-매개 질병 진행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길항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TLR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바이러스질환 및 암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타겟이 될 수 있으므로 TLR을 타겟으로 하는 물질과 TLR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적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LR을 타겟으로 하는 물질과 TLR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적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SK'로 정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규 화합물들이 TLR3, TLR7, TLR8 또는 TLR9 활성화에 의해 유도된 TL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상기 정보는 오직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있어 이미 알려진 선행기술을 형성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TLR 억제 기능이 있는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분자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소분자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소분자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소분자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의 사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 아미노, 알킬아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니트릴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히드록시, 사이클로알킬, 벤질, 할로알킬, 알릴,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카보닐, 사이클로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킬아릴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사이클로알콕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옥시, 알콕시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알킬, 알킬헤테로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헤테로아릴, 알킬에스터, 알킬에터, 알킬아미드 또는 아크릴이고,
또는 R2 및 R3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형성하며,
또는 R5 및 R6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형성하고,
여기서, 알킬, 알킬아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에스터, 알킬에터 또는 알킬아미드는 C1-30, 사이클로알킬은 C3-30, 알릴은 C2-30, 아릴은 C6-30이고,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불소, 산소, 황 및 질소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 또는 TLR 억제용 조성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Poly I:C(TLR3 작용제), 이미퀴모드(Imiquimod; TLR7 작용제), TL8-506(TLR8 작용제) 또는 ODN2395(TLR9 작용제)에 의해 유도된 TNF-α의 분비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특히, 전신홍반루푸스 및 건선을 비롯한 TLR3, TLR7, TLR8 또는 TLR9 관련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도 1은 전체적인 컴퓨터 스크리닝 워크플로우 및 결과물 SK01의 TLR7 및 TLR9에 대한 초기 활성 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의 정량적 구조-활성 관계 모델링 및 리간드 스크리닝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첫 번째 단계는 주황색 박스에 기재된 여러 하위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도 1B는 TLR7 작용제 imiquimod(IMQ)에 의해 유도된 TNF-α의 억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TLR9 작용제 ODN2395에 의해 유도된 TNF-α 분비의 억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세포를 1시간 동안 SK01로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IMQ(3.61μM) 또는 ODN2395(0.5μM)로 처리하였고, TNF-α의 분비는 ELISA에 의해 검출되었다. 도 1D는 마우스 대식세포 세포주 RAW 264.7에서 SK01의 세포 독성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로, 세포를 24시간 동안 20 또는 50μM의 SK01로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으로 시험하였다. 도 1E는 SK01의 작용적 활성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로, 세포를 24시간 동안 리간드로 처리하고 TNF-α의 분비를 ELISA를 통해 모니터링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ODN2395(0.5μM)에 의한 사이토카인 유도를 도시하였다. 실험은 3회 수행되었고 평균 ± SEM의 차이는 two-tailed Student’s t-test에 의해 평가되었다(*p < 0.05, **p < 0.01).
도 2는 SK01 및 이의 구조적 유도체(SK02-SK20)의 TLR9에 대한 일차적인 비교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차적인 활성을 보인 SK01의 유도체 중 6종에 대하여 TLR7 및 TLR9에 대한 활성 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TLR7 활성화에 대한 SK01-유도체들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RAW 264.7 세포를 1시간 동안 2 또는 5μM의 억제제로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TLR7 작용제 IMQ를 처리하였다. 도 3B는 TLR9 활성화에 대한 SK01-유도체들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RAW 264.7 세포를 1시간 동안 0.5 또는 2μM의 억제제로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TLR9 작용제 ODN2395를 처리하였다. 모든 실험의 TNF-α 분비는 ELISA로 모니터링하였다. 도 3C는 세포-기반 분석에서 TLR7/9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리간드의 2차원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SK01은 초기 선도물질로 확인되었고, 이의 유도체인 SK16은 TLR7 및 TLR9 모두에 대한 강력한 억제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도 3D는 활성 리간드의 SMILES strings, IUPAC 명칭 및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SK01, SK16 및 HCQ의 in vitro 효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SK01, SK16 및 HCQ에 의해 나타난 세포독성의 비교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로, RAW 264.7 세포를 24시간 동안 증가하는 농도(12.5, 25, 50, 100 및 200μM)의 리간드에 노출시키고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으로 관찰하였다. 이러한 지시된 농도에서 리간드에 의해 나타나는 % 독성으로부터 수득된 LC50를 나타낸 그래프로, GraphPad Prism 7(GraphPad Software, USA)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반응 곡선의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세포의 생존율이 50%가 되는 LC50 값(RAW 264.7 세포에서)을 결정하였다. 도 4B는 TLR3 작용제 poly I:C에 의해 유도된 TNF-α 분비 억제(pg/ml)를 확인하기 위한 TLR3-의존적 TNF-α 분비 % 억제율 그래프이다. 도 4C는 TLR7 작용제 IMQ에 의해 유도된 TNF-α 분비 억제(pg/ml)를 확인하기 위한 TLR7-의존적 TNF-α 분비 % 억제율 그래프이다. 도 4D는 TLR9 작용제 ODN2395에 의해 유도된 TNF-α 분비의 억제를 확인하기 위한 TLR9-의존적 TNF-α 분비 % 억제율 그래프이다. 도 4B, C 및 D의 경우, RAW 264.7 세포를 1시간 동안 지시된 농도의 억제제로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IMQ 또는 ODN2395로 자극하였고 poly I:C는 24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TNF-α의 분비는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음성 대조군(비처리된 경우 0%로 설정) 및 양성 대조군(작용제 단독; 100%(각각의 경우의 최고 값)로 설정)에 따라 값을 평균화하고 비례 배분하였다. TNF-α 분비가 50% 억제되는 지점인 IC50 값은 GraphPad Prism 7(GraphPad Software, USA)을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하였다. 도 4E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구한 LC50 값 및 IC50 값을 통하여 도출한 각각의 TLR에 대한 각 약물의 치료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동족 TLR의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SK01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세포 표면에 노출된 TLR(TLR1/2, TLR2/6 및 TLR4)에 대한 SK01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5D 내지 도 5G는 엔도솜 TLR(TLR3, TLR7, TLR8 및 TLR9)에 대한 SK01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RAW 264.7 세포를 지시된 농도에서 1시간 동안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리간드만 넣음) 혹은 추가적인 양성 대조군으로 리간드와 DMSO 0.25%를 넣거나 또는 SK01로 처리한 후, 4시간 또는 24시간(TLR3에 대해서만) 동안 TLR-특이적 작용제로 자극하였다. TLR8의 경우, 인간 단핵구 세포주(THP-1)를 이용하였으며, THP-1 세포를 48시간 동안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로 처리하여 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 1시간 동안 SK01을 처리하고, 4시간 동안 TLR8 작용제 TL8-506을 처리하였다. TNF-α 분비 수준은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6는 동족 TLR의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SK16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세포 표면 TLR(TLR1/2, TLR2/6 및 TLR4)에 대한 SK1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6D 내지 도 6G는 엔도솜 TLR(TLR3, TLR7, TLR8 및 TLR9)에 대한 SK1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RAW 264.7 세포를 지시된 농도에서 1시간 동안 대조군(-), DMSO 0.25% 또는 SK16으로 처리한 후, 4시간 또는 24시간(TLR3에 대해서만) 동안 특이적 TLR 작용제로 자극하였다. TLR8의 경우, 인간 단핵구 세포주(THP-1)를 이용하였으며, THP-1 세포를 48시간 동안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로 처리하여 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 1시간 동안 SK16을 처리하고, 4시간 동안 TLR8 작용제 TL8-506을 처리하였다. TNF-α 분비 수준은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6H는 TLR9의 아래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인자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하여,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을 두고, 각 시간 별로 SK16에 대한 양성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SK16은 1시간 동안 처리되었으며, 그 후 TLR9 작용제를 15분 또는 30분 처리하였다. 신호인자의 활성은 만들어진 샘플을 정량을 한 후에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7은 SK16을 포함하여 억제제 후보 SK21 내지 SK82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SK16을 포함하여 억제제 후보 SK21 내지 SK82에 의한 TLR7의 억제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SK16을 포함하여 억제제 후보 SK21 내지 SK82에 의한 TLR9의 억제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SK16을 포함하여 TLR7, 9에 대한 유효한 억제를 보인 13종의 SK물질들의 LC50, IC50 그리고 TI(therapeutic index; 치료 지수)를 측정한 후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HCQ)과 비교하여 정리한 표이다.
도 11은 표면 TLR인 TLR1/2, TLR2/6, TLR4, TLR5에 대한 SK41, SK50, SK58 및 SK64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엔도솜 TLR인 TLR3, TLR8에 대한 SK41, SK50, SK58 및 SK64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마우스 루푸스모델(MRL/Faslpr 또는 MRL/lpr) 동물실험 1일 1회 3주 경구 투여(발병후 2주 경구 투여; HCQ 60mg/Kg, SK 시리즈 30mg/Kg)후 외모에서의 변화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4는 루푸스 동물실험기간 동안의 마우스 실험군들의 평균 몸무게를 모니터링한 도표이다.
도 15은 루푸스 동물실험 종료 시점(경구 투여 40일째)에서 채취한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16은 루푸스 동물실험 종료 시점에서 채취한 혈장에서의 혈중 항핵항체 (Anti-nuclear Antibody, ANA) 농도와 C3 보체 (C3 Complement)농도를 효소결합면역흡착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분석한 도표이다.
도 17은 마우스 루푸스모델 (MRL/Faslpr) 동물실험 1일 1회 4주 경구 투여(발병후 3주 경구 투여; HCQ 15mg/Kg, SK 시리즈 15mg/Kg)후 외모에서의 변화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선천성 면역은 침입한 병원체 및 내인성/외인성 독성 분자에 대한 적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엔도솜 TLR을 통한 자가-핵산의 인식은 RA 또는 SLE와 같은 전신자가면역질환의 발병에 관련되어 있다(Marshak-Rothstein, A. Nat Rev Immunol 2006, 6, 823-35). TLR이 일반적인 다운스트림 어댑터 또는 키나아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중복 경로를 통해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과도한 면역의 악화를 X 생성을 강력하게 하향조절하는 예비 선도물질(lead) SK01을 동정하였다. 80% 이상의 유사 구조들의 추가 실험을 통해 공지된 엔도솜 TLR 억제제인 HCQ와 동등한 in vitro 효능을 나타내는 유도체(SK16)를 확인하였다. 최근에, 자가면역 및 염증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몇몇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제제가 개발되었으나, 초기 단계의 안전성 문제(NCT00547014) 또는 임상 시험 후기 단계에서의 비-유효성으로 인해 성공적으로 의약품으로 만들어진 것은 없다(Rice, T. W.; et al., Crit Care Med 2010, 38, 1685-94.). SLE 및 RA의 치료를 위해 승인된 유일한 TLR 길항제는 항말라리아제인 HCQ, chloroquine 및 quinacrine이다(Rynes, R. I. Br J Rheumatol 1997, 36, 799-805). 이들 약물은 TLR에 대한 핵산 결합에 필요한 엔도솜 산성화를 차단하거나, TLR 주위에 축적함으로써, 혈장 세포 수지상 세포(plasmacytoid dendritic cells) 및 말초 혈액 단핵 세포(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활성 관계 연구를 통해 공지된 분자간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그들의 효능이 크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수용체-결합 능력을 갖는 신규한 길항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동정된 2개의 소분자인 1차 선도물질 SK01 및 그 강력한 유도체 SK16가 RAW 264.7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엔도솜 TLR3/7/9의 기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SK16을 기반으로 SK23, 24, 29, 36, 39, 40, 41, 50, 52, 54, 55, 58, 59, 60, 61, 62, 63, 64, 65, 69, 70, 71, 72, 74, 75, 81, 82로 정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규 화합물들이 TLR3, TLR7, TLR8 및/또는 TLR9 활성화에 의해 유도된 TL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제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TLR3, TLR7, TLR8 또는 TLR9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에 대해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 아미노, 알킬아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니트릴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히드록시, 사이클로알킬, 벤질, 할로알킬, 알릴,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카보닐, 사이클로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킬아릴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사이클로알콕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옥시, 알콕시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알킬, 알킬헤테로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알킬헤테로아릴, 알킬에스터, 알킬에터, 알킬아미드 또는 아크릴이고,
또는 R2 및 R3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형성하며,
또는 R5 및 R6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형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형성하고,
여기서, 알킬, 알킬아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에스터, 알킬에터 또는 알킬아미드는 C1-30, 사이클로알킬은 C3-30, 알릴은 C2-30, 아릴은 C6-30이고,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불소, 산소, 황 및 질소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킬아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은 바람직하게는 C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C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C1-7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C1-30 알킬"은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와 수소 원자로만 이루어진 1가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2급-부틸, 3급-부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지형 알킬"의 예는 아이소프로필, 아이소부틸, 3급-부틸 등이 있다.
용어 "C1-30 알콕시"는 화학식 -O-C1-30 알킬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아이소프로폭시, 3급-부톡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할로겐(또는 할로(halo))"의 구체적인 예로는 플루오르(F), 클로린(Cl), 브롬(Br) 및 요오드(I)를 들 수 있다.
용어 "아미노"는 암모니아에서 수소원자가 한 개 떨어져 나간 형태의 작용기를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수소가 탄화수소 등의 잔기로 치환된 아민기를 포함하고, 아민기는 치환된 알킬 개수에 따라 1차, 2차, 3차 알킬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릭아민"은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일종으로, 질소가 고리의 일부로 되어 있는 아민을 지칭한다.
용어 "C6-30 아릴(aryl)"은 공유 파이 전자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환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모노사이클릭 또는 융합환 폴리사이클릭(즉, 탄소 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가지는 링들)그룹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아릴은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페닐, 나프틸 등과 바이아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릴은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고리를 지칭한다.
용어 "C3-30 사이클릭알킬(Cyclic alkyl)"은 5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와 수소 원자로만 이루어진 고리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이클릭알킬 기의 예로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원자수 5 또는 6의 방향족 고리이거나, 또는 상기 헤테로아릴 고리가 벤젠 고리 또는 다른 헤테로아릴 고리에 융합된 2환식 고리를 지칭한다.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티아졸릴, 옥사졸릴, 티오페닐, 퓨라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트리아지닐,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인돌릴, 아자인돌릴, 인돌리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퓨라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티아디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퓨리닐, 퓨로피리디닐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탄소 원자 이외에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고리원자수 5 내지 9의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카보사이클릭 고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헤테로사이클릴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피라졸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아이소옥사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다이옥소-티오모르폴린-4-일, 아제파닐, 다이아제파닐, 호모피페라지닐, 옥사제파닐, 디하이드로인돌릴, 디하이드로푸릴, 디하이드로이미다졸리닐, 디하이드로옥사졸릴,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디닐, 디하이드로피라닐, 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벤조디옥솔릴, 또는 벤조디옥사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6는 하기의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3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4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5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6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7
;
R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8
;
R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09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0
;
R2 및 R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1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2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3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4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5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6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7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8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19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0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1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2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3
;
R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4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5
;
R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6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7
;
R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8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29
R5 및 R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0
,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1
또는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2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3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3
;
[화학식 1-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4
;
[화학식 1-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5
;
[화학식 1-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6
;
[화학식 1-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7
;
[화학식 1-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8
;
[화학식 1-7]
Figure 112020127574574-pat00039
;
[화학식 1-8]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0
;
[화학식 1-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1
;
[화학식 1-10]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2
;
[화학식 1-1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3
;
[화학식 1-1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4
;
[화학식 1-1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5
;
[화학식 1-1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6
;
[화학식 1-1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7
;
[화학식 1-1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8
;
[화학식 1-17]
Figure 112020127574574-pat00049
;
[화학식 1-18]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0
;
[화학식 1-1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1
;
[화학식 1-20]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2
;
[화학식 1-2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3
;
[화학식 1-2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4
;
[화학식 1-2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5
;
[화학식 1-2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6
;
[화학식 1-2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7
;
[화학식 1-2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8
;
[화학식 1-27]
Figure 112020127574574-pat00059
;
[화학식 1-28]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0
;
[화학식 1-2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1
;
[화학식 1-30]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2
;
[화학식 1-3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3
;
[화학식 1-3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4
;
[화학식 1-3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5
;
[화학식 1-3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6
.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SK01로 명명되었으며,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SK09,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SK11, 화학식 1-4의 화합물은 SK13, 화학식 1-5의 화합물은 SK14, 화학식 1-6의 화합물은 SK16, 화학식 1-7의 화합물은 SK19로 명명되었다(표 1).
Name structure SMILES IUPAC Name MW
(g/ mol )
SK0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7
NC1=C2C(C)=C(C)N(CCN(C)C)C2=NC3=C1CCCCC3 1-(2-(디메틸아미노)에틸)-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SK0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8
CCc1nc2n(CCN(C)C)c(C)c(C)c2c(N)c1C 1-[2-(디메틸아미노)에틸]-6-에틸-2,3,5-트리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 274.41
SK1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69
Cc1c(C)c2c(N)c3CCCCCc3nc2n1CCCN1CCOCC1 2,3-디메틸-1-(3-모르폴리노프로필)-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356.51
SK1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0
CN(C)CCn1c(C)c(C)c2c(N)c3CCCCc3nc12 1-(2-(디메틸아미노)에틸)-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286.42
SK1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1
CN(C)CCn1c(C)c(C)c2c(N)c3CCCCCCc3nc12 1-(2-(디메틸아미노)에틸)-2,3-디메틸-5,6,7,8,9,10-헥사히드로-1H-시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314.48
SK1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2
CN(C)CCCn1c(C)c(C)c2c(N)c3CCCCCc3nc12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314.48
SK1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3
CCCc1nc2n(CCN(C)C)c(C)c(C)c2c(N)c1CC 1-[2-(디메틸아미노)에틸]-5-에틸-2,3-디메틸-6-프로필-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 302.47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학식 1-8의 화합물은 SK23로 명명되었으며, 화학식 1-9의 화합물은 SK24, 화학식 1-10의 화합물은 SK29, 화학식 1-11의 화합물은 SK36, 화학식 1-12의 화합물은 SK39, 화학식 1-13의 화합물은 SK40, 화학식 1-14의 화합물은 SK41, 화학식 1-15의 화합물은 SK50, 화학식 1-16의 화합물은 SK52, 화학식 1-17의 화합물은 SK54, 화학식 1-18의 화합물은 SK55, 화학식 1-19의 화합물은 SK58, 화학식 1-20의 화합물은 SK59, 화학식 1-21의 화합물은 SK60, 화학식 1-22의 화합물은 SK61, 화학식 1-23의 화합물은 SK62, 화학식 1-24의 화합물은 SK63, 화학식 1-25의 화합물은 SK64, 화학식 1-26의 화합물은 SK65, 화학식 1-27의 화합물은 SK69, 화학식 1-28의 화합물은 SK70, 화학식 1-29의 화합물은 SK71, 화학식 1-30의 화합물은 SK72, 화학식 1-31의 화합물은 SK74, 화학식 1-32의 화합물은 SK75, 화학식 1-33의 화합물은 SK33, 화학식 1-34의 화합물은 SK34로 명명되었다(표 2).
Name Structure IUPAC name 1 H NMR, MS Yield
(%)
HPLC r.t.
(min)
Purity
SK2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4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아세트아미드 1H NMR (400 MHz, MeOD) δ 4.24 (t, J = 7.3 Hz, 2H), 3.14-3.05 (m, 2H), 2.84-2.76 (m, 2H), 2.39 (dd, J = 9.7, 5.5 Hz, 2H), 2.36 (s, 3H), 2.25 (d, J = 4.1 Hz, 8H), 2.21 (s, 3H), 1.97-1.83 (m, 4H), 1.76-1.61 (m, 4H); 357[M+H]+ 30 4.105 (A)
99%
SK2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5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H NMR (400 MHz, MeOD) δ 4.26 (t, J = 7.1 Hz, 2H), 3.15-3.07 (m, 2H), 2.81-2.74 (m, 2H), 2.49 (t, J = 8.0 Hz, 2H), 2.36 (s, 3H), 2.35 (s, 5H), 2.23 (s, 3H), 1.96 (dt, J = 14.5, 7.2 Hz, 2H), 1.92- 1.82 (m, 2H), 1.77-1.69 (m, 2H), 1.69-1.61 (m, 2H); 411[M+H]+ 60 5.178 (A)
100%
SK2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6
1-(3-(벤질(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MeOD) δ 7.29-7.20 (m, 5H), 4.14 (t, J = 7.2 Hz, 2H), 3.47 (s, 2H), 2.97-2.90 (m, 2H), 2.75-2.68 (m, 2H), 2.39 (s, 3H), 2.38-2.33 (m, 2H), 2.26 (s, 3H), 2.17 (s, 3H), 1.94-1.82 (m, 4H), 1.70-1.59 (m, 4H); 391[M+H]+ 60 4.627 (A)
97%
SK2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7
2,3-디메틸-1-(3-(메틸아미노)프로필)-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MeOD) δ 4.18 (t, J = 6.8 Hz, 2H), 2.98-2.90 (m, 2H), 2.75-2.67 (m, 2H), 2.48-2.42 (m, 2H), 2.41 (s, 3H), 2.34-2.30 (m, 2H), 2.29 (s, 3H), 1.93-1.83 (m, 4H), 1.72-1.59 (m, 4H); 301[M+H]+ 53 4.267 (A)
98%
SK2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8
3-(4-아미노-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4.42 (t, J = 6.8 Hz, 2H), 4.37 (s, 2H), 3.02-2.94 (m, 2H), 2.92 (s, 3H), 2.90 (s, 3H), 2.83-2.76 (m, 2H), 2.68-2.60 (m, 2H), 2.42 (3H), 2.29 (s, 3H), 1.89-1.80 (m, 2H), 1.75-1.58 (m, 8H); 329[M+H]+ 11 5.114 (A)
99%
SK2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79
N-아세틸-N-(1-(3-(벤질(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아세트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35-7.26 (m, 5H), 4.23 (t, J = 7.4 Hz, 2H), 3.63 (s, 2H), 3.13- 3.07 (m, 2H), 2.70-2.59 (m, 2H), 2.56 (t, J = 7.2 Hz, 2H), 2.31 (s, 3H), 2.27 (s, 6H), 2.07 (s, 3H), 2.04 (s, 3H), 2.02-1.98 (m, 2H), 1.86-1.80 (m, 2H), 1.75-1.69 (m, 2H), 1.64-1.59 (m, 2H); 475[M+H]+ 12 5.641 (A)
98%
SK27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0
3-(4-아세트아미도-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32 (m, 1H), 4.29-4.22 (m, 2H), 3.15-3.05 (m, 2H), 2.69-2.61 (m, 2H), 2.46 (t, J = 6.8 Hz, 2H), 2.32 (s, 3H), 2.27 (s, 6H), 2.20 (s, 3H), 2.07 (s, 3H), 2.02-1.92 (m, 2H), 1.87-1.78 (m, 2H), 1.76-1.68 (m, 2H); 371[M+H]+ 24 4.643 (A)
97%
SK28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1
3-(4-(N-아세틸아세트아미도)-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4.54-4.44 (m, 2H), 3.16-3.06 (m, 2H), 2.94 (s, 3H), 2.91 (s, 3H), 2.83 (t, J = 8.0 Hz, 2H), 2.69-2.61 (m, 2H), 2.34 (s, 3H), 2.28 (s, 6H), 2.07 (s, 3H), 1.89-1.79 (m, 2H), 1.78-1.54 (m, 4H); 413[M+H]+ 43 5.746 (A)
97%
SK2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2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6 (s, 1H), 4.19 (t, J = 7.2 Hz, 2H), 4.11 (s, 2H), 3.02-2.99 (m, 2H), 2.70-2.66 (m, 2H), 2.40 (s, 3H), 2.30 (t, J = 7.2 Hz, 2H), 2.22 (s, 6H), 1.97-1.91 (m, 2H), 1.89-1.75 (m, 2H), 1.70-1.60 (m, 6H); 301[M+H]+ 75 (A)
4.144
99%
SK30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3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2,2-디플루오로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89 (br s, 1H), 4.22 (t, J = 8.1 Hz, 2H), 3.15-3.05 (m, 2H), 2.76-2.66 (m, 2H), 2.32 (s, 3H), 2.32-2.26 (m, 2H), 2.24 (s, 3H), 2.23 (s, 6H), 1.93-1.78 (m, 4H), 1.74-1.68 (m, 2H), 1.68-1.64 (s, 5H); 407[M+H]+ 73 4.854 (A)
99%
SK3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4
3-브로모-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86 (s, 2H), 4.20 (t, J = 7.3 Hz, 2H), 2.98-2.96 (m, 2H), 2.63-2.60 (m, 2H), 2.35 (s, 3H), 2.28 (t, J = 7.3 Hz, 2H), 2.21 (s, 6H), 1.92-1.81 (m, 4H), 1.70-1.59 (m, 4H); 380[M+H]+ 11 (A)
4.215
96%
SK3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5
3-클로로-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78 (s, 2H), 4.18 (t, J = 7.2 Hz, 2H), 2.98-2.96 (m, 2H), 2.63-2.61 (m, 2H), 2.34 (s, 3H), 2.29 (t, J = 7.2 Hz, 2H), 2.22 (s, 6H), 1.93-1.81 (m, 4H), 1.68-1.60 (m, 4H); 335[M+H]+ 9 (A)
4.318
98%
SK3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6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요오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90 (s, 2H), 4.24 (t, J = 7.3 Hz, 2H), 2.98-2.95 (m, 2H), 2.63-2.60 (m, 2H), 2.40 (s, 3H), 2.29 (t, J = 7.3 Hz, 2H), 2.22 (s, 6H), 1.93-1.81 (m, 4H), 1.69-1.60 (m, 4H); 427[M+H]+ 20 (A)
4.383
96%
SK3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7
1-(3-메톡시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26 (br s, 2H), 3.36 (t, J = 5.9 Hz, 2H), 3.33 (s, 3H), 3.04 (br s, 2H), 2.67-2.60 (m, 2H), 2.43 (s, 3H), 2.28 (s, 3H), 2.06-1.96 (m, 3H), 1.89-1.81 (m, 4H), 1.72-1.66 (m, 2H), 1.65-1.59 (m,2H); 302[M+H]+ 4 5.253 (A)
97%
SK3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8
1-(2-메톡시에틸)-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32 (t, J = 5.7 Hz, 2H), 3.66 (t, J = 5.8 Hz, 2H), 3.30 (s, 3H), 3.05-2.93 (m, 2H), 2.67 - 2.61 (m, 2H), 2.43 (s, 3H), 2.30 (s, 3H), 1.87-1.81 (m, 2H), 1.73-1.65 (m, 2H), 1.62 (dt, J = 11.2, 5.7 Hz, 2H); 288[M+H]+ 6 5.157 (A)
98%
SK3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89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32 (br s, 2H), 4.19-4.11 (m, 2H), 2.89 (t, J = 5.9 Hz, 2H), 2.50 (t, J = 6.0 Hz, 2H), 2.42 (s, 3H), 2.32-2.25 (m, 5H), 2.21 (s, 6H), 1.92-1.80 (m, 6H); 301[M+H]+ 25 4.147 (A)
100%
SK37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0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26 (br s, 2H), 4.17 (t, J = 8.1, 2H), 2.99 (t, J = 7.6 Hz, 2H), 2.74 (t, J = 7.9 Hz, 2H), 2.41 (s, 3H), 2.32-2.25 (m, 5H), 2.20 (s, 6H), 2.17-2.09 (m, 2H), 1.92-1.84 (m, 2H); 287[M+H]+ 5 3.950 (A)
92%
SK38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1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6-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03 (d, J = 7.4 Hz, 2H), 7.42 (t, J = 7.6 Hz, 2H), 7.32 (t, J = 7.3 Hz, 1H), 6.69 (s, 1H), 4.40 (br s, 2H), 4.32 - 4.22 (m, 2H), 2.44 (s, 3H), 2.38-2.34 (m, 2H), 2.33 (s, 3H), 2.24 (s, 6H), 1.97 (dt, J = 14.5, 7.3 Hz, 2H); 323[M+H]+ 21 4.211 (A)
98%
SK39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2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7 (s, 1H), 4.18 (t, J = 7.3 Hz, 2H), 4.10 (s, 2H), 2.93-2.90 (m, 2H), 2.56-2.53 (m, 2H), 2.40 (s, 3H), 2.29 (t, J = 7.3 Hz, 2H), 2.21 (s, 6H), 1.97-1.86 (m, 6H); 287[M+H]+ 40 (A)
4.022
97%
SK40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3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6-에틸-2,5-디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6 (s, 1H), 4.20 (t, J = 7.2 Hz, 2H), 4.09 (s, 2H), 2.83 (q, J = 7.5 Hz, 2H), 2.40 (s, 3H), 2.30 (t, J = 7.2 Hz, 2H), 2.21 (s, 6H), 2.16 (s, 3H), 1.96-1.89 (m, 2H), 1.25 (t, J = 7.2 Hz, 3H); 275[M+H]+ 60 (A)
3.936
99%
SK41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4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8 (s, 1H), 4.21 (t, J = 7.2 Hz, 2H), 4.13 (s, 2H), 2.98 -2.94 (m, 2H), 2.80-2.77 (m, 2H), 2.40 (s, 3H), 2.28 (t, J = 7.2 Hz, 2H), 2.20 (s, 6H), 1.96-1.88 (m, 2H), 1.79-1.40 (m, 4H), 1.35-1.30 (m, 4H); 315[M+H]+ 44 (A)
4.226
94%
SK42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5
1-(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7 (s, 1H), 4.25 (t, J = 7.2 Hz, 2H), 4.10 (s, 2H), 2.93-2.90 (m, 2H), 2.59 (t, J = 7.2 Hz, 2H), 2.55-2.52 (m, 2H), 2.40 (s, 3H), 2.30 (s, 6H), 1.90-1.85 (m, 4H); 273[M+H]+ 51 (A)
3.947
99%
SK43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6
1-(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5.96 (s, 1H), 4.26 (t, J = 7.4 Hz, 2H), 4.11 (s, 2H), 2.03-3. (m, 2H), 2.68-2.65 (m, 2H), 2.60 (t, J = 7.2 Hz, 2H), 2.41 (s, 3H), 2.31 (s, 6H), 1. 86-1.81 (m, 2H), 1.72-1.62 (m, 4H); 287[M+H]+ 12 (A)
4.094
97%
SK44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7
1-벤질-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26 - 7.14 (m, 3H), 7.02 (d, J = 7.1 Hz, 2H), 5.41 (s, 2H), 4.42 (br s, 2H), 3.01-2.96 (m, 2H), 2.70-2.63 (m, 2H), 2.43 (s, 3H), 2.11 (s, 3H), 1.88-1.82 (m, 2H), 1.73-1.64 (m, 4H); 320[M+H]+ 14 4.956 (A)
99%
SK45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8
2-(2-(4-아미노-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1-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19-7.10 (m, 3H), 6.83 (br s, 2H), 6.68 (d, J = 8.0 Hz, 1H), 5.98 (s, 2H), 4.88-4.74 (m, 2H), 4.65 (q, J = 7.0 Hz, 1H), 3.10 (s, 3H), 3.07-2.94 (m, 2H), 2.92-2.81 (m, 1H), 2.77-2.63 (m, 3H), 2.36 (s, 3H), 2.19 (s, 3H), 1.74-1.58 (m, 4H), 1.49-1.40 (m, 2H), 1.37-1.28 (m, 2H); 582[M+H]+ 23 5.808 (A)
99%
SK46
Figure 112020127574574-pat00099
2-(2-(4-아미노-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1-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23 (d, J = 8.0 Hz, 1H), 7.19-7.05 (m, 4H), 6.74 (d, J = 7.1 Hz, 2H), 6.68 (d, J = 8.3 Hz, 1H), 5.99 (s, 2H), 4.67 (d, J = 7.7 Hz, 1H), 4.39 (s, 2H), 3.09 (s, 3H), 2.95-2.87 (m, 2H), 2.54-2.48 (m, 2H), 2.42 (s, 3H), 2.17 (s, 3H), 2.06-1.96 (m, 2H), 1.95-1.82 (m, 4H); 554[M+H]+ 13 5.613 (A)
90%
SK47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0
2-(2-(4-아미노-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7.25-7.24(m, 2H), 7.20-7.10 (m, 2H), 6.80 (s, 1H), 6.69 (d, J = 8.3 Hz, 1H), 5.98 (s, 1H), 4.84-4.71 (m, 2H), 4.66 (q, J = 7.0 Hz, 1H), 3.10 (s, 3H), 3.09-2.96 (m, 2H), 2.90-2.78 (m, 1H), 2.70-2.56 (m, 2H), 2.38 (s, 3H), 2.19 (s, 2H), 1.75 1.92-1.50 (m, 7H); 568[M+H]+ 6 5.725 (A)
98%
SK48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1
N-(3-(11-아미노-1,2,3,4-테트라히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프로필)-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사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8.68 (t, J = 6.0 Hz, 1H), 7.81-7.73 (m, 3H), 7.46-7.37 (m, 4H), 7.33 (d, J = 8.0 Hz, 1H), 7.25-7.19 (m, 1H), 4.70 (br s, 2H), 4.12-4.03 (m, 2H), 3.14 (dd, J = 11.8, 6.1 Hz, 2H), 2.67 (s, 3H), 2.53 (t, J = 6.2 Hz, 2H), 2.42 (t, J = 6.2 Hz, 2H), 2.02 -1.94 (m, 2H), 1.89-1.82 (m, 2H), 1.79-1.72 (m, 2H); 480[M+H]+ 11 5.561 (A)
100%
SK49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2
2,3-디메틸-1-(2-나이트로벤질)-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64 (dd, J = 8.0, 1.4 Hz, 1H), 7.32-7.27 (m, 1H), 7.26-7.21 (m, 1H), 6.90-6.85 (m, 1H), 3.93 (s, 2H), 3.86 (d, J = 15.1 Hz, 1H), 3.39 (d, J = 15.1 Hz, 1H), 2.80 (t, J = 5.8 Hz, 2H), 2.37 (t, J = 5.9 Hz, 2H), 2.33 (s, 3H), 1.85- 1.70 (m, 2H), 1.44 (s, 3H), 1.30-1.15 (m, 2H); 351[M+H]+ 55 (A)
4.736
98%
SK50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3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36 (d, J = 8.8 Hz, 1H), 7.33 (s, 1H), 7.04 (dd, J = 8.8 Hz, 2.0 Hz, 1H), 4.66 (s, 2H), 4.41 (t, J = 7.0 Hz, 2H), 3.92 (s, 3H), 2.98-2.95 (m, 2H), 2.62-2.59 (m, 2H), 2.45-2.41 (m, 2H), 2.30 (s, 6H), 2.10-1.89 (m, 6H); 353[M+H]+ 84 (A)
4.276
98%
SK51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4
12-(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6,12-디히드로-5H-벤조[h]인돌로[2,3-b]퀴놀린-7-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49 (d, J = 7.4 Hz, 1H), 7.41-7.37 (m, 3H), 7.29-7.17 (m, 2H), 7.06 (dd, J = 8.7 Hz, 2.3 Hz, 1H), 4.70 (s, 2H), 4.52 (t, J = 7.0 Hz, 2H), 3.93 (s, 3H), 3.02 (t, J = 6.7 Hz, 2H), 2.87 (t, J = 6.7 Hz, 2H), 2.39 (t, J = 6.9 Hz, 2H), 2.24 (s, 6H), 2.10 (t, J = 6.9 Hz, 2H); 401[M+H]+ 43 (A)
4.660
97%
SK52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5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82 (d, J = 7.7 Hz, 1H), 7.45-7.38 (m, 2H), 7.21 (m, 1H), 4.71 (s, 2H), 4.46 (t, J= 7.0 Hz, 2H), 2.99-2.98 (m, 2H), 2.63-2.60 (m, 2H), 2.51-2.49 (m, 2H), 2.34 (s, 6H), 2.16-2.12 (m, 2H), 1.96-1.89 (m, 4H); 323[M+H]+ 22 (A)
4.166
99%
SK53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6
6-벤질-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 J = 7.6 Hz, 1H), 7.32-7.27 (m, 1H), 7.26-7.16 (m, 7H), 5.64 (s, 2H), 4.70 (s, 2H), 2.99 (t, J = 6.0 Hz, 2H), 2.64 (t, J = 6.1 Hz, 2H), 2.02-1.87 (m, 4H); 328[M+H]+ 54 5.484 (A)
98%
SK54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7
9-메톡시-6-(3-(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35 (d, J = 2.3 Hz, 1H), 7.30 (d, J = 8.8 Hz, 1H), 7.05 (dd, J = 8.8, 2.3 Hz, 1H), 4.68 (s, 2H), 4.43 (t, J = 6.4 Hz, 2H), 3.92 (s, 3H), 2.94 (t, J = 5.9 Hz, 2H), 2.60 (t, J = 5.9 Hz, 2H), 2.48 (t, J = 6.4 Hz, 2H), 2.41 (s, 3H), 2.14-2.04 (m, 2H), 1.97-1.84 (m, 4H); 339[M+H]+ 99 (A)
4.271
94%
SK55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8
6-(3-(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 J = 7.7 Hz, 1H), 7.45-7.35 (m, 2H), 7.30-7.24 (m, 1H), 4.79 (s, 2H), 4.47 (t, J = 5.9 Hz, 2H), 2.93 (t, J = 5.9 Hz, 2H), 2.61 (t, J = 5.9 Hz, 4H), 2.53 (s, 3H), 2.30-2.18 (m, 2H), 2.00-1.90 (m, 4H); 309[M+H]+ 99 (A)
4.184
99%
SK56
Figure 112020127574574-pat00109
9-메톡시-6-(4-메틸펜트-3-엔-1-일)-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35 (d, J = 2.3 Hz, 1H), 7.30 (d, J = 8.7 Hz, 1H), 7.03 (dd, J = 8.7, 2.3 Hz, 1H), 5.23 (t, J = 7.3 Hz, 1H), 4.61 (s, 2H), 4.37-4.27 (m, 2H), 3.92 (s, 3H), 2.99 (d, J = 5.8 Hz, 2H), 2.61 (t, J = 5.8 Hz, 2H), 2.63-2.45 (m, 2H), 1.95-1.90 (m, 4H), 1.64 (s, 3H), 1.53 (s, 3H); 350[M+H]+ 12 (B)
4.350
99%
SK57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0
에틸4-(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부타노에이트 1H NMR (400 MHz, CDCl3) δ 7.35 (s, 1H), 7.34 (d, J = 8.7 Hz, 2H), 7.04 (d, J = 8.7 Hz, 1H), 4.62 (s, 2H), 4.42 (t, J = 6.9 Hz, 2H), 4.10 (q, J = 6.9 Hz, 2H), 3.92 (s, 3H), 2.96 (t, J = 5.8 Hz, 2H), 2.61 (t, J = 5.8 Hz, 2H), 2.32 (q, J = 7.3 Hz, 2H), 2.35-2.15 (m, 2H), 2.00-1.90 (m, 4H), 1.23 (t, J = 7.3 Hz, 3H); 382[M+H]+ 74 (A)
5.430
95%
SK58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1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61 (s, 1H), 7.34 (d, J = 8.2 Hz, 1H), 7.22 (d, J = 8.2 Hz, 1H), 4.68 (s, 2H), 4.44 (t, J = 6.9 Hz, 2H), 2.98 (t, J = 5.8 Hz, 2H), 2.77 (s, 2H), 2.61 (t, J = 5.9 Hz, 2H), 2.53 (s, 3H), 2.46 (t, J = 7.0 Hz, 2H), 2.31 (s, 6H), 2.16-2.05 (m, 2H), 1.99-1.85 (m, 4H); 337[M+H]+ 63 4.354 (A)
98%
SK59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2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플루오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49 (dd, J = 9.2, 2.4 Hz, 1H), 7.36 (dd, J = 8.8, 4.4 Hz, 1H), 7.13 (td, J = 9.1, 2.4 Hz, 1H), 4.63 (s, 2H), 4.44 (t, J = 6.9 Hz, 2H), 2.97 (t, J = 5.9 Hz, 2H), 2.61 (t, J = 6.0 Hz, 2H), 2.41 (t, J = 6.9 Hz, 2H), 2.29 (s, 6H), 2.13-2.03 (m, 2H), 1.98-1.84 (m, 4H); 341[M+H]+ 46 4.254 (A)
100%
SK60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3
9-클로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77 (d, J = 1.3 Hz, 1H), 7.40-7.32 (m, 2H), 4.67 (s, 2H), 4.44 (t, J = 6.8 Hz, 2H), 2.97 (t, J = 5.9 Hz, 2H), 2.61 (t, J = 6.0 Hz, 2H), 2.53-2.42 (m, 2H), 2.34 (s, 6H), 2.20-2.06 (m, 2H), 1.99-1.86 (m, 4H); 357[M+H]+ 42 4.406 (A)
99%
SK61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4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트리플루오로메톡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64 (s, 1H), 7.42 (d, J = 8.8 Hz, 1H), 7.29 (s, 1H), 4.65 (s, 2H), 4.45 (t, J = 6.9 Hz, 2H), 2.98 (t, J = 5.9 Hz, 2H), 2.61 (t, J = 5.9 Hz, 2H), 2.41 (t, J = 6.8 Hz, 2H), 2.30 (s, 6H), 2.15-2.01 (m, 2H), 2.01-1.85 (m, 4H); 407[M+H]+ 50 4.621 (A)
100%
SK62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5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CDCl3) δ 8.10 (s, 1H), 7.64 (dd, J = 8.5, 1.1 Hz, 1H), 7.52 (d, J = 8.5 Hz, 1H), 4.72 (s, 2H), 4.46 (t, J = 6.9 Hz, 2H), 2.99 (t, J = 5.9 Hz, 2H), 2.62 (t, J = 6.0 Hz, 2H), 2.32 (t, J = 6.9 Hz, 2H), 2.25 (s, 6H), 2.11-2.02 (m, 2H), 2.01-1.87 (m, 4H); 348[M+H]+ 49 4.199 (A)
96%
SK63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6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트리플루오로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04 (s, 1H), 7.64 (d, J = 8.5 Hz, 1H), 7.53 (d, J = 8.5 Hz, 1H), 4.72 (s, 2H), 4.48 (t, J = 7.0 Hz, 2H), 2.99 (t, J = 5.9 Hz, 2H), 2.63 (t, J = 6.0 Hz, 2H), 2.42 - 2.33 (m, 2H), 2.27 (s, 6H), 2.12-2.07 (m, 2H), 1.98-1.87 (m, 4H); 391[M+H]+ 45 4.534 (A)
99%
SK64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7
메틸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카르복실레이트 1H NMR (400 MHz, CDCl3) δ 7.69 (d, J = 8.5 Hz, 1H), 6.98 (d, J = 2.2 Hz, 1H), 6.82 (dd, J = 8.5, 2.2 Hz, 1H), 4.56 (s, 2H), 4.40 (t, J = 7.0 Hz, 2H), 3.93 (s, 3H), 2.97 (t, J = 5.8 Hz, 2H), 2.61 (t, J = 5.9 Hz, 2H), 2.34 (t, J = 7.0 Hz, 2H), 2.24 (s, 6H), 2.10-1.99 (m, 2H), 1.98-1.86 (m, 4H); 381[M+H]+ 65 4.347 (A)
99%
SK65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8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8-메톡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54 (d, J = 1.1 Hz, 1H), 8.11 (dd, J = 8.6, 1.4 Hz, 1H), 7.46 (d, J = 8.6 Hz, 1H), 4.79 (s, 2H), 4.47 (t, J = 7.0 Hz, 2H), 3.96 (s, 3H), 2.98 (t, J = 5.9 Hz, 2H), 2.63 (t, J = 5.9 Hz, 2H), 2.35 (t, J = 6.9 Hz, 2H), 2.25 (s, 6H), 2.11-2.02 (m, 2H), 1.99-1.88 (m, 4H); 353[M+H]+ 65 4.277 (A)
97%
SK66
Figure 112020127574574-pat00119
1-((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일)아미노)프로판-2-올 1H NMR (400 MHz, DMSO) δ 7.88 (d, J = 2.2 Hz, 1H), 7.45 (d, J = 8.9 Hz, 1H), 6.96 (dd, J = 8.9, 2.2 Hz, 1H), 6.13 (s, 2H), 5.58 (s, 1H), 4.35-4.20 (m, 2H), 4.17 (s, 1H), 3.85 (s, 3H), 3.06 (d, J = 6.4 Hz, 6H), 2.85-2.75 (m, 2H), 1.90-1.75 (m, 4H), 1.06 (d, J = 6.3 Hz, 3H); 411[M+H]+ 60 (A)
4.255
99%
SK67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0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3,3-디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온 1H NMR (400 MHz, CDCl3) δ 10.74 (br s, 1H), 7.16 (d, J = 8.9 Hz, 1H), 7.12 (d, J = 2.4 Hz, 1H), 6.91 (dd, J = 8.9, 2.4 Hz, 1H), 5.53 (s, 1H) 4.15-4.07 (m, 2H), 3.87 (s, 3H), 2.42 (s, 2H), 2.35-2.25 (m, 8H), 2.17-2.10 (m, 2H), 2.10-2.01 (m, 2H), 1.13 (s, 6H); 395[M+H]+ 43 4.753 (A)
97%
SK68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1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3-페닐-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온 1H NMR (400 MHz, MeOD) δ 7.46 (d, J = 9.0 Hz, 1H), 7.42-7.33 (m, 4H), 7.31-7.24 (m, 1H), 7.09 (d, J = 2.4 Hz, 1H), 6.98 (dd, J = 9.0, 2.4 Hz, 1H), 4.24-4.16 (m, 2H), 3.86 (s, 3H), 3.57-3.45 (m, 1H), 3.05 (dd, J = 16.7, 11.1 Hz, 1H), 2.87-2.76 (m, 1H), 2.76-2.67 (m, 1H), 2.58 (dd, J = 16.2, 4.0 Hz, 1H), 2.30-2.19 (m, 8H), 2.02 (dd, J = 13.3, 6.7 Hz, 2H); 443[M+H]+ 47 5.071 (A)
92%
SK69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2
9-(벤질옥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50 (d, J = 7.3 Hz, 2H), 7.45-7.31 (m, 5H), 7.10 (dd, J = 8.8, 2.3 Hz, 1H), 5.15 (s, 2H), 4.60 (s, 2H), 4.40 (t, J = 7.1 Hz, 2H), 2.98 (t, J = 5.7 Hz, 2H), 2.59 (t, J = 5.7 Hz, 2H), 2.31 (t, J = 7.1 Hz, 2H), 2.22 (s, 6H), 2.06-1.95 (m, 2H), 1.20-1.90 (m, 4H); 429[M+H]+ 46 (A)
4.826
100%
SK70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3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이소프로폭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37 (d, J = 2.3 Hz, 1H), 7.33 (d, J = 8.7 Hz, 1H), 7.03 (dd, J = 8.7, 2.3 Hz, 1H), 4.60 (s, 2H), 4.60-4.40 (m, 1H), 4.40 (t, J = 7.1 Hz, 2H), 2.97 (t, J = 5.9 Hz, 2H), 2.60 (t, J = 5.9 Hz, 2H), 2.32 (t, J = 7.1 Hz, 2H), 2.22 (s, 6H), 2.05-2.00 (m, 2H), 1.97-1.83 (m, 4H), 1.38 (d, J = 6.1 Hz, 6H); 381[M+H]+ 74 (A)
4.507
98%
SK71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4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올 1H NMR (400 MHz, DMSO) δ 8.80 (s, 1H), 7.62 (d, J = 2.2 Hz, 1H), 7.24 (d, J = 8.6 Hz, 1H), 6.82 (dd, J = 8.6, 2.2 Hz, 1H), 5.87 (s, 2H), 4.23 (t, J = 7.0 Hz, 2H), 3.40-3.10 (m, 4H), 2.80-2.75 (m, 2H), 2.71-2.18 (t, J = 7.0 Hz, 2H), 2.11 (s, 6H), 1.87-1.71 (m, 4H); 339[M+H]+ 50 (A)
3.975
96%
SK72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5
N1-(7-(3-(디메틸아미노)프로필)-9,10,11,12-테트라하이드로-7H-벤조[4,5]인돌로[2,3-b]퀴놀린-13-일)-N3,N3-디메틸프로판-1,3-디아민 1H NMR (400 MHz, DMSO) δ 9.24 (d, J = 8.4 Hz, 1H), 7.98 (d, J = 8.4 Hz, 1H), 7.93 (d, J = 8.8 Hz, 1H), 7.86 (d, J = 8.8 Hz, 1H), 7.58 (dd, J = 7.0 Hz, 7.0 Hz, 1H), 7.39 (dd, J = 7.0 Hz, 7.0 Hz, 1H), 5.45 (t, J = 6.7 Hz, 1H), 4.51 (t, J = 7.1 Hz, 2H), 3.10-3.02 (m, 2H), 2.95-2.85 (m, 2H), 2.82-2.75 (m, 2H), 2.23 (t, J = 6.7 Hz, 2H), 2.13 (s, 6H), 2.05 (t, J = 6.7 Hz, 2H), 1.98 (s, 6H), 1.95-1.80 (m, 6H), 1.62-1.52 (m, 2H); 458[M+H]+ 60 (A)
4.175
99%
SK73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6
5-(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2-메틸펜탄-2-올 1H NMR (400 MHz, CDCl3) δ 7.36 (d, J = 2.3 Hz, 1H), 7.30 (d, J = 8.8 Hz, 1H), 7.05 (dd, J = 8.8, 2.3 Hz, 1H), 4.70 (s, 2H), 4.57 (t, J = 6.3 Hz, 2H), 3.92 (s, 3H), 2.98 (t, J = 6.0 Hz, 2H), 2.61 (t, J = 6.0 Hz, 2H), 2.05-1.85 (m, 6H), 1.40-1.34 (m, 2H), 1.19 (s, 6H); 368[M+H]+ 12 (A)
5.251
97%
SK74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7
7-(3-(디메틸아미노)프로필)-9,10,11,12-테트라히드로-7H-벤조[4,5]인돌로[2,3-b]퀴놀린-13-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89 (d, J = 8.3 Hz, 1H), 7.99 (d, J = 8.3 Hz, 1H), 7.86 (d, J = 8.7 Hz, 1H), 7.72 (d, J = 8.7 Hz, 1H), 7.63-7.57 (m, 1H), 7.44-7.40 (m, 1H), 4.87 (s, 2H), 4.59 (t, J = 7.1 Hz, 2H), 3.03 (t, J = 6.1 Hz, 2H), 2.69 (t, J = 6.1 Hz, 2H), 2.34 (t, J = 7.1 Hz, 2H), 2.24 (s, 6H), 2.16-1.86 (m, 6H); 373[M+H]+ 34 (A)
4.583
100%
SK75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8
2,3-디메틸-1-(3-(메틸아미노)프로필)-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60 (s, 2H), 4.26-4.15 (m, 2H), 2.88-2.79 (m, 2H), 2.81-2.65 (m, 4H), 2.61 (s, 3H), 2.42 (s, 3H), 2.26 (s, 3H), 2.24-2.15 (m, 2H), 1.80-1.64 (m, 4H), 1.50-1.45 (m, 2H), 1.37-1.28 (m, 2H); 315[M+H]+ 99 (A)
4.446
98%
SK76
Figure 112020127574574-pat00129
1-아이소부틸-2,3-디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4.31 (s, 2H), 3.91 (d, J = 7.6 Hz, 2H), 2.88 (t, J = 6.0 Hz, 2H), 2.50 (t, J = 6.0 Hz, 2H), 2.42 (s, 3H), 2.26 (s, 3H), 2.25-2.15 (m, 1H) 1.93-1.78 (m, 4H), 0.86 (d, J = 6.7 Hz, 6H); 272[M+H]+ 35 (A)
5.419
98%
SK77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0
2,3-디메틸-1-(피리딘-2-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53 (d, J = 4.2 Hz, 1H), 7.50-7.46 (td, J = 7.9, 1.7 Hz, 1H), 7.10 (dd, J = 6.9, 4.2 Hz, 1H), 6.69 (d, J = 7.9 Hz, 1H), 5.52 (s, 2H), 4.38 (s, 2H), 2.87 (t, J = 6.0 Hz, 2H), 2.52 (t, J = 6.0 Hz, 2H), 2.43 (s, 3H), 2.13 (s, 3H), 1.92-1.80 (m, 4H); 307[M+H]+ 15 (A)
4.622
98%
SK78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1
10-(3-(디메틸아미노)프로필)-8,9-디메틸-6,10-디히드로-5H-벤조[h]피롤로[2,3-b]퀴놀린-7-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 J = 7.5 Hz, 1H), 7.35-7.28 (m, 1H), 7.25-7.17 (m, 2H), 4.39 (s, 2H), 4.32-4.21 (m, 2H), 3.04-2.86 (m, 2H), 2.76 (dd, J = 8.3, 6.2 Hz, 2H), 2.46 (s, 3H), 2.42-2.35 (m, 2H), 2.33 (s, 3H), 2.25 (s, 6H), 2.08-1.92 (m, 2H); 349[M+H]+ 17 (A)
4.375
94%
SK79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2
2,3-디메틸-1-페닐-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47 (dd, J = 7.6, 7.6 Hz, 2H), 7.42-7.30 (m, 3H), 4.40 (s, 2H), 2.79 (t, J = 6.2 Hz, 2H), 2.57-2.43 (m, 2H), 2.49 (s, 3H), 2.13 (s, 3H), 1.90-1.77 (m, 6H); 292[M+H]+ 11 (A)
5.397
98%
SK80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3
2,3-디메틸-1-(피리딘-3-일)-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8.64 (d, J = 2.3 Hz, 1H), 8.58 (dd, J = 4.8, 1.3 Hz, 1H), 7.83-7.74 (m, 1H), 7.43 (dd, J = 8.1, 4.8 Hz, 1H), 4.42 (s, 2H), 2.79 (t, J = 6.1 Hz, 2H), 2.61-2.39 (m, 2H), 2.49 (s, 3H), 2.18 (s, 3H), 1.91-1.79 (m, 4H); 293[M+H]+ 27 (A)
4.607
99%
SK81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4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8-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69 (d, J = 7.9 Hz, 1H), 7.04 (d, J = 7.9 Hz, 1H), 4.61 (s, 2H), 4.41 (t, J = 7.2 Hz, 2H), 2.98 (t, J = 5.9 Hz, 2H), 2.61 (t, J = 5.9 Hz, 2H), 2.54 (s, 6H), 2.33 (t, J = 7.2 Hz, 2H), 2.23 (s, 6H), 2.07-1.87 (m, 6H); 337[M+H]+ 62 (A)
4.347
100%
SK82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5
8-클로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H NMR (400 MHz, CDCl3) δ 7.70 (d, J = 8.2 Hz, 1H), 7.43 (J = 1.3 Hz, 1H), 7.20 (dd, J = 8.2, 1.3 Hz, 1H), 4.69 (s, 2H), 4.45 (t, J = 6.7 Hz, 2H), 2.97 (t, J = 5.8 Hz, 2H), 2.70-2.58 (m, 4H), 2.46 (s, 6H), 2.26-2.15 (m, 2H), 2.01-1.91 (m, 4H); 367[M+H]+ 28 (A)
4.423
9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아세트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결정 형태 또는 비결정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결정 형태로 제조될 경우, 임의로 수화되거나 용매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TLR3, TLR7, TLR8 또는 TLR9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3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엔도솜 TLR인 TLR3, TLR7, TLR8 및 TLR9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TLR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억제”는 결핍, 부조화, 그 밖의 많은 원인에 의하여 생물 활동이나 신호활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하며, TLR의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블로킹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거나, 활성화를 지연시키거나, 불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하향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억제제”는 임의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수용체 또는 세포 내 매개체와 같은 다른 분자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저해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TLR 억제용 조성물은 TLR 억제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3, TLR7, TLR8 또는 TLR9 억제제"는 TLR3, TLR7, TLR8 또는 TLR9의 생물학적 활성을 직간접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방해, 감소 또는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TLR3, TLR7, TLR8 또는 TLR9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들의 활성을 중화시킴으로써 TLR3, TLR7, TLR8 또는 TLR9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여, NF-κB(nuclear factor k-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및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염증성 사이토카인, NO 및 ROS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K23, 24, 29, 36, 39, 40, 41, 50, 52, 54, 55, 58, 59, 60, 61, 62, 63, 64, 65, 69, 70, 71, 72, 74, 75, 81, 82는 TLR3, TLR7, TLR8 또는 TLR9 활성화에 의해 유도된 TL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과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염증반응 완화)에 미치는 효과가 우수한 바, TLR3, TLR7, TLR8 또는 TLR9 활성화에 의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3"은 병원체 감염에 대한 감시자로서 기능하는 막관통(tranmembrane) 단백질 패밀리인 TLRs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TLR3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말하며, CD283 또는 IIAE2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TLR3은 이중가닥 RNA(double-stranded RNA) 또는 Poly I:C를 인지하여 내재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7"은 병원체 감염에 대한 감시자로서 기능하는 막관통(tranmembrane) 단백질 패밀리인 TLRs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TLR7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말하며, UNQ248/PRO285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TLR7은 RNA 바이러스의 ssRNA(단일가닥 RNA), 또는 합성 소분자인 imidazoquinoline, loxoribine, bropirimine을 인지하여 내재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8”은 병원체 감염에 대한 감시자로서 기능하는 막관통 단백질 패밀리인 TLRs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TLR8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말하며, CD288(cluster of differentiation 288) 또는 UNQ249/PRO286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TLR8은 단일가닥 바이러스 RNA, 식균작용에 의해 세포내부로 들어온 세균 RNA(phagocytized bacterial RNA), 또는 합성 소분자인 TL8-506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9"는 병원체 감염에 대한 감시자로서 기능하는 막관통(tranmembrane) 단백질 패밀리인 TLR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TLR9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말하며, CD289 또는 UNQ5798/PRO19605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TLR9는 세균이나 DNA 바이러스의 메틸화되지 않은 CpG DNA 조각(unmethylated CpG oligodeoxynucleotide DNA)을 인지하여 내재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어, "TLR 신호전달 경로"는 TLR를 통한 신호전달 경로를 말하며, TLR 및 어댑터 단백질 MyD88(TLR7/8/9의 경우) 또는 TLR 및 어댑터 단백질 TRIF(TLR3의 경우)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에 의존하는 반응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호가 전달된다. 활성화된 TLR7/8/9는 Myd88-의존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NF-κB를 활성화시켜 핵으로 이동시키며, MAPK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상기 NF-κB와 MAPK의 활성화로 인해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되고,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NO)와 활성산소(ROS)와 같은 산화 스트레스성 물질을 생성한다. 또한, TLR3은 TRIF, 인터페론-조절자(IRF) 및 NF-κB의 활성화에 의해 MyD88-비의존 신호전달 과정이 유도되어 타입 1 인터페론이 분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TLR3, TLR7, TLR8 및 TLR9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TLR3, TLR7, TLR8 또는 TLR9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화합물(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화합물(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합물(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TLR(Toll-like receptor) 억제용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3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은 건선, 전신홍반루푸스(SLE), 피부발진, 광과민성 피부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원판상 홍반성 낭창, 말라리아, 구강궤양, 신장염, 혈구감소증, 혈관염, 장막염, 염증성 장질환(IBD), 당뇨, 다발성 경화증, 피부 경화증, 천포창(pemphigus), 아토피피부염, 요도염, 방광염,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비염,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비만,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췌장염, 파킨슨병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가면역질환"은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여 자기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 이로 인해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과정에 의해 발병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자기관용이란 자기(self)를 구성하고 있는 항원물질에 대해서는 해롭게 반응하지 않는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을 말한다. 자가면역질환은 획득(adaptive) 면역계가 자기 항원에 대해 반응하고 세포 및 조직 손상을 매개하도록 하는 자체 내성의 고장(breakdown)에서 기인된 질환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자가면역질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체액성 면역 반응의 결과로서 특징지어 진다.
본 발명의 자가면역질환은 전신홍반루푸스,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류마티스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원판상 홍반성 낭창, 광과민성 피부질환, 자가면역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갑상선염, 실험적 형태의 포도막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갑상샘 중독증, 악성 빈혈, 자가면역 위축 위염, 애디슨 질환, 조기 폐경, 남성 불임증, 소아 당뇨병, 굿파스처 증후군, 보통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성 안염, 수정체성 포도막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특발성 백혈구 감소, 원발성 담관 경화증, 만성 활동성 간염 Hbs-ve, 잠재성 간경변증, 궤양성 대장염, 쇼그렌 증후군, 경피증, 베게너 육아종증, 다발근육염/피부근육염 및 원판상 LE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의 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ADEM), 급성 괴사성 출혈성 백질뇌염, 애디슨병,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원형 탈모증, 아밀로이드증, 강직성 척추염, 항체 매개 이식 거부반응, 항-GBM/항-TBM 신염, 항인지질항체 증후군(APS), 자가면역 혈관부종, 자가면역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 자율신경이상증, 자가면역 간염, 자가면역 고지혈증, 자가면역 면역결핍증, 자가면역 내이질환(AIED), 자가면역 심근염, 자가면역 췌장염, 자가면역 당뇨망막병증,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자반병(ATP),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 두드러기, 액손 및 뉴런 신경장애, 발로병(Balo disease), 베체트병, 유천포창, 심근증, 캐슬맨병, 소아 지방변증, 샤가스병, 만성 피로 증후군,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만성 재발성 다초점 골수염(CRMO),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반흔성 유천포창/양성 점막 유천포창, 크론병, 코간 증후군, 한랭응집소병, 선천성 심장 차단, 콕사키(coxsackie) 심근염, 크레스트(CREST) 질환, 본태성 혼합 한냉글로불린혈증(essential mixed cryoglobulinemia), 탈수초성 신경장애(demyelinating neuropathies), 포진성 피부염, 피부근염, 데빅병(시속신경수염), 원판상 루프스, 드레슬러 증후군(Dressler's syndrome), 자궁내막증, 호산성 근막염, 결절성 홍반,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염, 에반스 증후군, 섬유근육통, 섬유성 폐포염, 거대 세포 동맥염(측두동맥염), 사구체신염, 굿패스쳐 증후군, 다발성맥관염 육아종증(GPA: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그레이브스병, 귈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 뇌염, 하시모노 갑상선염, 용혈성 빈혈,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임신포진, 저감마글로부민혈증, 고감마글로불린혈증, 특발성 혈소판감소성자반병(ITP), IgA 신장병, IgG4 관련 경화성 질환, 면역조절 지질단백질, 포함체 근육염, 염증성 장 질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간질성 방광염, 소아 관절염, 소아 당뇨병, 가와사키 증후군, 이튼 람베르트 증후군, 백혈구파쇄성맥관염, 편평태선, 경화성태선, 목질결막염, 선상 IgA 질환(LAD), 루프스(SLE), 라임병, 메니에르병, 현미경 다발성맥관염, 혼합 결합 조직병(MCTD), 의미불명 단클론성 감마병증(MGUS), 잠식성각막궤양, 뮈샤 하버만 병,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근염, 기면증, 시속신경수염(데빅병), 호중구감소증, 안구반흔성 유천포창, 시신경염, 재발성 류마티즘, PANDAS(연쇄구균 감염 관련 소아기 자가면역성 신경정신과적 질환), 방종양성 소뇌 변성, 발작성 야간혈색소 요증(PNH), 안면편측 위축증, 파소네지(Parsonnage)-터너 증후군, 중간부 포도막염(pars planitis)(주변부 포도막염), 천포창, 말초신경병증, 정맥주위 뇌척수염(perivenous encephalomyelitis), 악성 빈혈, POEMS 증후군, 결절성다발성동맥염, 제I형, 제II형, 및 제III형 자가면역 다산성(polyglandular) 증후군, 다발성근육통 류마티즘, 다발성근염, 심근경색후증후군, 심막절개술후증후군, 프로게스테론 피부염, 원발담즙성간경변, 일차성 경화성 담관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특발성 폐섬유증, 괴저성 농피증, 순수적혈구 무형성증, 레이노 현상, 반사성교감신경성이영양증, 라이터 증후군, 재발성 다발 연골염, 하지불안증후군, 후복막섬유증, 류마티스성 열, 류마티스 관절염, 유육종증, 시미트 증후군, 공막염, 강피증, 쇼그렌 증후군, 정자 및 고환 자가면역, 전신근강직 증후군(stiff person syndrome), 아급성세균성심내막염(SBE), 수작 증후군(Susac's syndrome), 교감성 안염, 타까야수동맥염, 측두동맥염/거대 세포 동맥염, 혈소판감소성자반병(TTP), 톨로사-헌트 증후군(Tolosa-Hunt syndrome), 횡단척수염, 궤양성 대장염, 미분화 결합 조직질환(UCTD), 포도막염, 맥관염, 수포성 피부염(vesiculobullous dermatosis), 백반, 발덴슈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WM), 및 베게너 육아종증(다발성맥관염 육아종증(GP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성질환"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IL-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또는 NO와 같은 염증 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염증성질환"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성 병태일 수 있고 감염 또는 비감염성 원인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질환은 건선, 천식, 습진,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아토피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만성 부비동염,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위염, 통풍, 통풍 관절염, 궤양, 만성 기관지염, 폐염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패혈증, 맥관염, 활액낭염, 루프스, 류마티스 다발성 근육통, 측두 동맥염, 다발성 경화증, 고형암, 알쯔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비만, 말라리아 및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증성질환의 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자가면역 장애,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다발성근육통 류마티즘(PMR), 통풍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건염, 활액낭염, 건선, 낭포성 섬유증, 관절골염,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거대 세포 동맥염, 진행성전신성경화증(강피증),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천포창, 유천포창, 당뇨병(예, 제I형), 중증 근무력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굿패스쳐 질환, 혼합 결합 조직병, 경화성담관염,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악성 빈혈, 염증성 피부병,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 석면병, 규폐증, 기관지 확장증, 베릴륨중독, 활석증, 진폐증, 유육종증, 박리성간질성폐렴, 임파구성 간질성 폐렴, 거대 세포 간질성 폐렴, 세포 간질성 폐렴,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 베게너 육아종증 및 맥관염 관련 형태(측두동맥염 및 결절성다발성동맥염), 염증성 피부병, 간염, 지연형 과민 반응(예, 옻중독), 폐렴, 기도 염증, 성인 호흡 장애 증후군(ARDS), 뇌염, 즉시성 과민 반응, 천식, 건초열, 알레르기, 급성 아나필락시스, 류마티스성 열,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봉와직염, 방광염, 만성 담낭염, 국소 빈혈(허혈성 손상), 동종이식 거부반응, 숙주대이식편 거부반응, 맹장염, 동맥염, 안검염, 세기관지염, 기관지염, 자궁경관염, 담관염, 융모양막염, 결막염, 누선염, 피부근염, 심장내막염, 자궁내막염, 장염, 전장염, 상과염, 부고환염, 근막염, 결합조직염, 위염, 위장염, 치은염, 회장염, 홍채염, 후두염, 척수염, 심근염, 신염, 제염, 난소염, 고환염, 골염, 이염, 췌장염, 이하선염, 심낭염, 인두염, 능막염, 정맥염, 간질성폐렴, 직장항문염, 전립선염, 비염, 난관염, 부비강염, 구내염, 활액막염, 고환염, 편도염, 요도염, 방광 감염(urocystitis), 포도막염, 질염, 맥관염, 음문염, 및 외음질염, 혈관염, 만성 기관지염, 골수염, 시신경염, 측두동맥염, 횡단척수염, 우울증, 뇌사성 근막염, 및 뇌사성 전장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성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자가면역 장애, 다발성 경화증, 전신홍반루프스,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및 심근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질환은 ssRNA, dsRNA, dsDNA 또는 ssDNA로 이루어진 바이러스 그룹을 모두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의미한다. ssRNA 바이러스로는 아스트로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인간 아스트로바이러스), 칼리시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노로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coxsackievirus, A형 간염, poliovirus, rhinovirus), 코로나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SARS-CoV-2), 플라비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Hepatitis C virus, yellow fever virus, dengue virus, West Nile virus TBE virus), 토가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풍진 바이러스), 헤페바이러스과(positive-sense ssRNA; Hepatitis E virus), 레트로바이러스과(ssRNA-RT;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오르토믹소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Lassa virus), 부니아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크림-콩고 출혈열, Hantaan virus), 필로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에볼라바이러스, Marburg virus), 파라믹소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Measles virus, Mumps virus, Parainfluenza virus,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과(negative-sense ssRNA; Rabies virus), Hepatitis D(negative-sense ssRNA)가 포함되고, dsRNA 바이러스로는 레오바이러스과(dsRNA; 로타바이러스, Orbivirus, Coltivirus, Banna virus)가 있으며, dsDNA 바이러스로는 아데노바이러스과(dsDNA; 아데노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과(dsDNA; 단순포진 제1형, 단순포진 제2형, Varicella-zoster virus, Epstein-Barr virus, Human cytomegalovirus, KSHV), 파필로마바이러스과(dsDNA;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과(dsDNA; BK 바이러스, JC 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과(dsDNA; 천연두), 헤파드나바이러스과(dsDNA-RT;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포함되고, ssDNA 바이러스로는 파르보바이러스과(ssDNA; 파르보바이러스 B19)가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 군에 의해 유발된 바이러스질환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질환의 예는, 비제한적 예로서, 감기, 독감(인플루엔자), 수두, 대상포진, 단순포진, 감염성 단핵구증,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 홍역, 볼거리, 풍진, 파보바이러스감염, 소아마비(폴리오), 바이러스성 출혈열, 황열, 뎅기열, 공수병, 에이즈 및 코비드-1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담체(carrier)"라 함은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용어 "희석제(diluent)"라 함은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서 희석되는 물질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함께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또는 바이러스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기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약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실시예 1-1: 엔도솜 TLR의 억제 분자에 대한 in silico (가상실험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스크리닝 및 신규 화합물 디자인
먼저, ChemBridge, Chemspace, Mcule, MOE Leadlike, MolPort, ZINC Drug-Like 및 ZINC Lead-Like chemical databases의 분자를 사용하여 스크리닝 화합물의 다중형태(multiconformational) 라이브러리를 준비하였다. MOE 세척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리간드 구조를 세척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염(salts) 및 부서진 단편(broken fragments)을 제거하고, 양성자화(protonation) 상태를 pH 6.5에서 계산하였으며, 에너지를 최소화 하였다. 중복 형태(duplicate conformations)를 제거한 후, 문헌에 보고된 일련의 알려진 TLR3/7/8/9 억제제에 대해 BIT:MACCS 지문(fingerprint) 유사성 검색(80% similarity cutoff)을 수행하였다. 선별된 고활성 길항제(antagonists)의 pharmacophore 모델을 기준으로, 생성된 리간드를 스크리닝하였다. 다음으로, pharmacophore 제약을 만족하는 리간드는 MOE 소프트웨어(Molecular Operating Environment (MOE), 2013.08; Chemical Computing Group ULC, 1010 Sherbooke St. West, Suite #910, Montreal, QC, Canada, H3A 2R7, 2017 (2013))를 사용하여 TLR7의 R848 결합 부위(PDB ID: 5GMH (Zhang, Z. et al. Immunity 45, 737-748 (2016)))에 도킹되었다. 도킹 포즈(docking pose)는 London DG scoring function에서 구현된 S 스코어(결합 친화도)에 따라 순위가 매겨졌다. 그 결과로 생긴 도킹 포즈는 유도-적합 방법과 'GBVI/WSA dG' 포스 필드 개선으로 다시 점수를 매겼다. 마지막으로, 세포-기반 검정에서 TLR3/7/8/9 억제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위 리간드 세트를 확보하였다(SK02~SK20). 이중 유효성이 확보된 화합물들을 기반으로 일련의 신규 화합물들을 디자인 및 합성하였다.
실시예 1-2: 세포 배양 및 분주(seeding)
RAW 264.7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여, 10% FBS(Gibco)와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용액(Hyclone)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 확인 및 TLR1/2, 2/6, 3, 4, 7, 8 및 9 리간드 스크리닝 작업을 위해, 세포를 웰당 2×104 cells의 밀도로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밤새(약 18-24시간) 배양하였다.
THP-1 세포주(급성 백혈병에서 유래된 인간 단핵구 세포주)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Suwon, Korea) 서창희 교수로부터 입수하였다. 세포는 10% FBS(Gibco)와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용액(Hyclone)을 포함하는 RPMI1640(HyClone Laboratories, Inc., San Angelo, Texas, USA)에서 배양되었으며, 80nM의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M0 대식세포로 분화시켰다.
TLR5 리간드 스크리닝 작업을 위해, 세포를 웰당 1×105 cells의 밀도로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밤새(약 18시간 내외) 배양하였다.
RAW 264.7 및 THP-1 세포주 모두 실험 동안 가습 인큐베이터(5% CO2, 37℃)에서 유지되었고 RAW 264.7의 배지는 매일 교체하였고, THP-1의 배지는 2일 주기로 교체하였다.
실시예 1-3: MTT (3-(4,5- dimethylthiazol -2- yl )-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
RAW 264.7 세포를 2×104 cells/well의 밀도로 96-well cell culture plate에 분주하고,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안정화시켰다. 각각의 웰을 시험 화합물 또는 음성 대조군(dimethyl sulfoxide; DMSO)으로 처리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으로, 96 well culture dish의 배지를 버리고 500μg/ml MTT 용액(InvivoGen Ltd.)을 처리한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DMSO(Biosesang Co. Ltd., Korea)와 함께 30분 동안 배양하여 formazan dye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였다. 595nm 파장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비색 판독기 기기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비처리 대조군에 기초하여 표준화되었다. 모든 배양은 상기 세포 배양에 대해 기술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실시예 1-4: 효소결합면역흡착분석(ELISA)
시험-리간드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AW 264.7 세포를 1시간 동안 각각의 후보군 화합물로 전처리 한 후, Pam3CSK4(합성 트리아실 지질펩타이드; TLR1/2, Invitrogen), FSL-1(합성 디아실 지질단백질, TLR2/6, 100ng/ml),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LPS), TLR4, Sigma Aldrich), 이미퀴모드(Imiquimod(IMQ), TLR7, Invitrogen), 및 ODN2395(제C형 CpG 반복 모티프 DNA올리고(5'-tcgtcgttttcggcgcgcgccg-3), TLR9, 바이오니어) 리간드로 4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지연반응성을 보이는 poly I:C(I:C 반복 모티프 이중가닥 RNA, TLR3, Invitrogen) 및 TL8-506(TLR8, Invitrogen) 경우는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TLR의 활성화 후, 상층액을 표준 정량 범위 안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적정 배율로 희석하여 미리 코팅한 96-웰 분석 플레이트로 옮기고, 마우스 TNF-알파 분비 수준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마우스-TNF-알파 ELISA-키트(Invitrogen)로 측정하였다.
TLR5에서의 시험-리간드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분화된 THP-1 세포를 1시간 동안 각각의 화합물로 전처리한 후, FLA-ST(E. coli 유래 편모단백질, TLR5, Invitrogen)로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TLR의 활성화 후, 상층액을 희석하여 미리 코팅한 96-웰 분석 플레이트로 옮기고, 인간 TNF-알파 분비 수준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인간 TNF-알파 ELISA-키트(Invitrogen)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5: 단백질 전기 영동
RAW 264.7 세포를 60mm cell culture dish에 2×106 cells/well의 밀도로 분주한 후 2일간 안정화시킨 후 실험을 하였다. 세포를 길항제로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안정화시키고, TLR9에 대한 작용제로 15분, 30분간 자극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kit(M-PER;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와 함께 처리한 protease and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Thermo Fisher Scientific, Inc.)을 통하여 획득하였다. 모든 샘플들은 SoftMax Pro 5.3 software(Molecular Devices, Inc.)를 사용한 bicinchoninic acid assay(Sigma-Aldrich, Co.)를 통하여 정량되었다. 실험 과정 중 membranes들은 특수한 1차 항체들을 처리하였고, 그 항체들은 phospho-JNK, phospho-p38-MAPK, JNK, ERK 1/2, p38-MAPK, IκBα(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Danvers, MA, USA), phospho-ERK 1/2, β-actin(Santa Cruz Biotechnology, Inc., Dallas, TX, USA)과 같다. 그 후 단백질들은 HRP-conjugated anti-rabbit 혹은 anti-mouse IgG(Thermo Fisher Scientific, Inc.) 항체로 처리되었으며, 단백질의 수준은 chemiluminescent substrate(SuperSignalTM West Pico PLUS,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와 luminescence detection system(Fusion Solo S, VILBER, France)에 의해서 검출되었다.
실시예 1-6: LC50(Lethal Concentration 50%; 반수치사농도 ), IC50(Inhibition Concentration 50%; 반수저해농도 ) 및 TI (Therapeutic Index; 치료유효지표수치 ) 분석
농도-의존적 LC50 곡선을 플롯하기 위해, SK 시리즈 리간드를 최대 200μM의 상이한 농도(DMSO 0.5% 수준 이내에서 처리 가능한 최고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리간드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 및 독성 반응을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MTT 분석하였다. 각 플롯의 세포 생존 수준을 음성 대조군(100%; 비-처리)에서 양성 대조군(가장 높은 농도의 시험-리간드)으로 표준화하고, LC50 값을 비선형 회귀법(Graph Pad Prism 7.0)으로 결정하였다. 농도-의존적 IC50 곡선을 플롯하기 위해, SK 시리즈 리간드를 최대 50μM의 상이한 농도(초기 농도의 2배)로 전처리 하였다. TLR7 및 TLR9에 의해 매개된 세포 반응(TNF-α 분비 수준)을 실시예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ELISA 분석하였다. 각 플롯의 사이토카인 수준을 음성 대조군(비-처리)에서 양성 대조군(리간드 처리)으로 표준화하고, IC50 값을 비선형 회귀법(Graph Pad Prism 7.0)으로 결정하였다.
이어서, LC50과 IC50의 수치를 다음 함수에 대입하여 TI수치를 산출하였다.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6
실시예 1-7: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Microsoft Excel software에서 two-tailed pair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LC50 및 IC50의 계산은 GraphPad Prism program으로 수행되었다.
실시예 2: 신규 화합물 합성
실시예 2-1: 분석 및 정제 조건
1) HPLC 분석조건(method A; 상기 표 2의 (A))
기기명: Shimadzu
컬럼: YMC-pack pro C18, 150x4.6mm I.D., 5μm, 40℃
이동상: 5% -> 100% 아세토니트릴/H2O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분석시간: 9분, 유속: 1mL/min
UV detector: 254nm
2) HPLC 분석조건(method B; 상기 표 2의 (B))
기기명: Thermo Scientific Ultimate 3000RSLC
컬럼: Kinetex® 2.6μM 비페닐 100Å, 100x2.1mm
이동상: 5% -> 100% 아세토니트릴/H2O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분석시간: 9분, 유속: 0.7mL/min
UV detector: 254nm
3) LC-MS 분석 조건
기기명: Shimadzu LCMS-2020
컬럼: ACE Excel2 C18, 75x2.1 mm
이동상: 아세토니트릴/H2O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유속: 0.5mL/min
UV detector: 254nm
4) MPLC 정제 조건
기기명: CombiFlash®Rf+
UV detector: 254nm
5) Prep-HPLC 정제 조건
기기명: Gilson GX-281, 321 pump, UV/VIS-155
컬럼: Luna® 10μM C18 (2) 100 Å, 250x21.2 mm
이동상: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
유속: 15mL/min
UV detector: 254nm
6) 1H NMR
기기명: Bruker Avance (400 MHz)
실시예 2-2: 합성 절차
[예시 1]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7
단계 1: 2-아미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틸-1H-피롤-3-카보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8
N1,N1-디메틸프로판-1,3-디아민(5.68 mL, 45.4 mmol)과 3-히드록시부탄-2-온(4 g, 45.4 mmol)을 톨루엔(60 mL)에 용해시킨 뒤, 상온에서 진한 염산(0.05 mL, 2.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상온으로 식힌 다음, 말로노니트릴(3.0 g, 45.4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혀주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아민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8.14 g, 81 %,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 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39
시클로헵탄온(1.07 mL, 9.08 mmol)을 디클로로에탄(25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1.21 g, 9.08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아미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틸-1H-피롤-3-카보니트릴(1.0 g, 4.5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소금물로 씻어주고 혼합용액(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아민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3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1 g, 77 %, 연한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0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하이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30 mg, 0.095 mmol)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염화아세틸(0.014 mL, 0.191 mmol)과 트리에틸아민(0.027 mL, 0.191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3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0.2 mg, 30 %, 연한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4.24 (t, J = 7.3 Hz, 2H), 3.14-3.05 (m, 2H), 2.84-2.76 (m, 2H), 2.39 (dd, J = 9.7, 5.5 Hz, 2H), 2.36 (s, 3H), 2.25 (d, J = 4.1 Hz, 8H), 2.21 (s, 3H), 1.97-1.83 (m, 4H), 1.76-1.61 (m, 4H); 357[M+H]+; LCMS, m/z 612 [M+H]+; HPLC tR 4.105min (method A).
[예시 2] 상기 예시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3, 4, 5] 상기 예시 1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벤질(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2,3-디메틸-1-(3-(메틸아미노)프로필)-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3-(4-아미노-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6] N-아세틸-N-(1-(3-(벤질(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1
상기 예시 1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1-(3-(벤질(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50 mg, 0.128 mmol)을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염화아세틸(0.037 mL, 0.512 mmol)과 트리에틸아민(0.036 mL, 0.256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아민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2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7.0 mg, 11.5 %,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7.26 (m, 5H), 4.23 (t, J = 7.4 Hz, 2H), 3.63 (s, 2H), 3.13-3.07 (m, 2H), 2.70-2.59 (m, 2H), 2.56 (t, J = 7.2 Hz, 2H), 2.31 (s, 3H), 2.27 (s, 6H), 2.07 (s, 3H), 2.04 (s, 3H), 2.02-1.98 (m, 2H), 1.86-1.80 (m, 2H), 1.75-1.69 (m, 2H), 1.64-1.59 (m, 2H); LCMS, m/z 475[M+H]+; HPLC tR 5.641min (method A).
[예시 7] 상기 예시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3-(4-아세트아미도-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8] 상기 예시 6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3-(4-(N-아세틸아세트아미도)-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N,N-디메틸프로판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9]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2
단계 1: 2-(2-옥소프로필)말로노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3
말로노니트릴(4.4 g, 66.6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mL)에 용해시킨 뒤, 1M 포타슘티부톡사이드 혼합용액(테트라하이드로퓨란)(66 mL, 66.60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30동안 교반한 뒤, 1-(클로로프로판)-2-온(4.7 ml, 59.03 mmol)를 첨가한 후, 30초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증류수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2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7 g, 33%,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아미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5-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4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2-옥소프로필)말로노니트릴(1.25 g, 10.23 mmol)을 에탄올(10 mL)에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진한 염산(3 방울)을 첨가한 후, N,N-디메틸프로판-1,3-디아민(0.7 mL, 10.2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증류수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00 mg, 31%,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5
시클로헵탄온(0.33 mL, 2.76 mmol)을 톨루엔(3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368 mg, 2.76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아미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5-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285 mg, 1.3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15 mg, 75%, 노란색 시럽)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96 (s, 1H), 4.19 (t, J = 7.2 Hz, 2H), 4.11 (s, 2H), 3.02-2.99 (m, 2H), 2.70-2.66 (m, 2H), 2.40 (s, 3H), 2.30 (t, J = 7.2 Hz, 2H), 2.22 (s, 6H), 1.97-1.91 (m, 2H), 1.89-1.75 (m, 2H), 1.70-1.60 (m, 6H); LCMS, m/z 301[M+H]+; HPLC tR 4.144min (method A).
[예시 10] 상기 예시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일)-2,2-디플루오로프로판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11] 3-브로모-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6
단계 1: 3-브로모-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7
상기 예시 9, 단계 3에서 제조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65 mg, 0.21 mmol)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킨 뒤, N-브로모숙신이미드(46 mg, 0.25 mmol)를 0℃에서 첨가한 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디클로로에탄으로 희석시키고, 고체을 여과시켰다. 여과된 액체를 농축한 후,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9 mg, 11%,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86 (s, 2H), 4.20 (t, J = 7.3 Hz, 2H), 2.98-2.96 (m, 2H), 2.63-2.60 (m, 2H), 2.35 (s, 3H), 2.28 (t, J = 7.3 Hz, 2H), 2.21 (s, 6H), 1.92-1.81 (m, 4H), 1.70-1.59 (m, 4H); LCMS, m/z 380[M+H]+ ; HPLC tR 4.215min (method A).
[예시 12, 13] 상기 예시 9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3-클로로-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요오도-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14, 15, 16, 17, 18] 상기 예시 1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메톡시프로필)-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2-메톡시에틸)-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1,5,6,7-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디메틸-6-페닐-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19]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8
단계 1: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49
시클로헥산온(50 μL, 0.48 mmol)을 톨루엔(1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64 mg, 0.48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아미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5-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285 mg, 1.3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뒤,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8 mg, 40%,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97 (s, 1H), 4.18 (t, J = 7.3 Hz, 2H), 4.10 (s, 2H), 2.93-2.90 (m, 2H), 2.56-2.53 (m, 2H), 2.40 (s, 3H), 2.29 (t, J = 7.3 Hz, 2H), 2.21 (s, 6H), 1.97-1.86 (m, 6H); LCMS, m/z 287[M+H]+ ; HPLC tR 4.022min (method A).
[예시 20, 21] 상기 예시 19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6-에틸-2,5-디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아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22] 1-(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0
단계 1: 2-아미노-1-(2-(디메틸아미노)에틸)-5-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1
상기 예시 9, 단계 2에서 제조한 2-(2-옥소프로필)말로노니트릴(1 g, 8.2 mmol)을 에탄올(5 mL)에 용해시킨 뒤, 상온에서 진한 염산(3 방울)을 첨가한 후, N,N-디메틸에탄-1,3-디아민(1.07 ml, 9.8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증류수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524 mg, 33%, 갈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1-(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2
사이클로헥산온(53 μL, 0.52 mmol)을 톨루엔(1 mL)에 용해시킨 뒤, 상기 예시 22, 단계 1에서 제조한 2-아미노-1-(2-(디메틸아미노)에틸)-5-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50 mg, 0.26 mmol), 염화알루미늄(69 mg, 0.5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6 mg, 51%,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97 (s, 1H), 4.25 (t, J = 7.2 Hz, 2H), 4.10 (s, 2H), 2.93-2.90 (m, 2H), 2.59 (t, J = 7.2 Hz, 2H), 2.55-2.52 (m, 2H), 2.40 (s, 3H), 2.30 (s, 6H), 1.90-1.85 (m, 4H); LCMS, m/z 273[M+H]+; HPLC tR 3.947min (method A).
[예시 23] 상기 예시 9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디메틸아미노)에틸)-2-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24] 1-벤질-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3
상기 예시 1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2,3-디메틸-1,5,6,7,8,9-헥사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30 mg, 0.13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소화나트륨(7.85 mg, 0.196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벤질브로마이드(0.023 mL, 0.196 mmo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2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6.0 mg, 14.7 %, 노란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26-7.14 (m, 3H), 7.02 (d, J = 7.1 Hz, 2H), 5.41 (s, 2H), 4.42 (br s, 2H), 3.01-2.96 (m, 2H), 2.70-2.63 (m, 2H), 2.43 (s, 3H), 2.11 (s, 3H), 1.88-1.82 (m, 2H), 1.73-1.64 (m, 4H); LCMS, m/z 320[M+H]+; HPLC tR 4.956min (method A).
[예시 25] 2-(2-(4-아미노-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1-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4
단계 1: t-부틸(1-(벤조[d][1,3]디옥솔-5-일(메틸)아미노)-1-옥소-3-페닐프로판-2-일)카바메이트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5
참고문헌[특허 WO 2012/65062 A(2012.05.18; page 49)]과 유사한 방법으로 t-부틸(1-(벤조[d][1,3]디옥솔-5-일(메틸)아미노)-1-옥소-3-페닐프로판-2-일)카바메이트(1.2 g, 80%, 노란색 오일)를 수득하였다.
단계 2: 2-아미노-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6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t-부틸(1-(벤조[d][1,3]디옥솔-5-일(메틸)아미노)-1-옥소-3-페닐프로판-2-일)카바메이트(1.2 g, 3.01 mmol)를 디클로로메탄(10 mL)에 용해시킨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 64.9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형태의 목적화합물(1.24 g, 100%,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N-(벤조[d][1,3]디옥솔-5-일)-2-(2-브로모아세트아미도)-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7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아미노-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0.5 g, 1.676 mmol)를 디클로로메탄(10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878 mL, 5.028 mmol)과 브로민화브로모아세틸(1.015 g, 5.03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6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27 g, 38%, 연한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4: 2-(2-(4-아미노-2,3-디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1-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8
상기 예시 1의 단계 1 내지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2,3-디메틸-5,6,7,8,9,10-헥사히드로-1H-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30 mg, 0.123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수소화나트륨(5.92 mg, 0.247 mmo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N-(벤조[d][1,3]디옥솔-5-일)-2-(2-브로모아세트아미도)-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51.7 mg, 0.12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에서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15.8 mg, 23%, 상아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19-7.10 (m, 3H), 6.83 (br s, 2H), 6.68 (d, J = 8.0 Hz, 1H), 5.98 (s, 2H), 4.88-4.74 (m, 2H), 4.65 (q, J = 7.0 Hz, 1H), 3.10 (s, 3H), 3.07-2.94 (m, 2H), 2.92-2.81 (m, 1H), 2.77-2.63 (m, 3H), 2.36 (s, 3H), 2.19 (s, 3H), 1.74-1.58 (m, 4H), 1.49-1.40 (m, 2H), 1.37-1.28 (m, 2H); LCMS, m/z 582[M+H]+; HPLC tR 5.808min (method A).
[예시 26, 27] 상기 예시 25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2-(2-(4-아미노-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1-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 2-(2-(4-아미노-2,3-디메틸-6,7,8,9-테트라히드로시클로헵타[b]피롤로[3,2-e]피리딘-1(5H)-일)아세트아미도)-N-(벤조[d][1,3]디옥솔-5-일)-N-메틸-3-페닐프로판아미드)을 수득하였다.
[예시 28] N-(3-(11-아미노-1,2,3,4-테트라히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프로필)-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사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59
단계 1: N-(3-클로로프로필)-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사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0
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실산(0.5 g, 2.46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7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3-클로로프로판-1-아민 염산염(0.416 g, 3.20 mmol), EDCI(0.708 g, 3.69 mmol) 및 DMAP(0.15 g, 1.2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준 다음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27 g, 39%, 백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1
참고문헌 [Yang, Xiaobo, et al., Advanced Synthesis and Catalysis, 2010, vol. 352, # 6, p. 1035-1038]과 유사한 방법으로 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0.25 g, 33%,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N-(3-(11-아미노-1,2,3,4-테트라히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프로필)-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사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30 mg, 0.126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수산화나트륨(10.1 mg, 0.253 mmol)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3-클로로프로필)-5-메틸-3-페닐이소옥사졸-4-카복사아미드(35.2 mg, 0.12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을을 종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6.6 mg, 11%, 백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8 (t, J = 6.0 Hz, 1H), 7.81-7.73 (m, 3H), 7.46-7.37 (m, 4H), 7.33 (d, J = 8.0 Hz, 1H), 7.25-7.19 (m, 1H), 4.70 (br s, 2H), 4.12-4.03 (m, 2H), 3.14 (dd, J = 11.8, 6.1 Hz, 2H), 2.67 (s, 3H), 2.53 (t, J = 6.2 Hz, 2H), 2.42 (t, J = 6.2 Hz, 2H), 2.02-1.94 (m, 2H), 1.89-1.82 (m, 2H), 1.79-1.72 (m, 2H); LCMS, m/z 480[M+H]+; HPLC tR 5.561min (method A).
[예시 29] 2,3-디메틸-1-(2-나이트로벤질)-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3
단계 1: 2,3-디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4
사이클로헥산온(1.53 mL, 14.79 mmol)을 톨루엔(6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알루미늄(1.97 g, 14.79 mmol), 2-아미노-4,5-디메틸-1H-피롤-3-카르보니트릴(1g, 7.39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를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71 mg, 17%, 갈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3-디메틸-1-(2-나이트로벤질)-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5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3-디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200 mg, 0.9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용해시킨 뒤, 수산화나트륨(80 mg, 1.11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후, 2-니트로벤질브로마이드(300 mg, 1.39 mmol)을 첨가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0℃에서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72 mg, 55%, 갈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4 (dd, J = 8.0, 1.4 Hz, 1H), 7.32-7.27 (m, 1H), 7.26-7.21 (m, 1H), 6.90-6.85 (m, 1H), 3.93 (s, 2H), 3.86 (d, J = 15.1 Hz, 1H), 3.39 (d, J = 15.1 Hz, 1H), 2.80 (t, J = 5.8 Hz, 2H), 2.37 (t, J = 5.9 Hz, 2H), 2.33 (s, 3H), 1.85-1.70 (m, 2H), 1.44 (s, 3H), 1.30-1.15 (m, 2H); LCMS, m/z 351[M+H]+; HPLC tR 4.736min (method A).
[예시 30]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6
단계 1: N-(2-브로모-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7
2-브로모-4-메톡시아닐린(10 g, 49.49 mmol)을 디클로로메탄(30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트리에틸아민(13.8 mL, 98.98 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7.6 mL, 54.44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목적화합물(15.6 g, 100%, 갈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아미노-5-메톡시-1H-인돌-3-카르보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8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브로모-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 g, 3.35 mmol)를 디메틸설폭사이드/증류수(1/1) 혼합용액(10 mL)에 용해시키고 N2 가스로 충진한 다음 말로노니트릴(266 mg, 4.02 mmol), 탄산칼륨(924 mg, 6.7 mmol), n-프롤린(77 mg, 0.67 mmol) 및 요오드화구리(63 mg, 0.03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셀라이트에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증류수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12 mg, 65%, 회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69
시클로헥산온(1.2 ml, 11.05 mmol)을 디클로로에탄(7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1.47 g, 11.05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아미노-5-메톡시-1H-인돌-3-카르보니트릴(1.38 g, 7.3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61 g, 81%,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4: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0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1 g, 3.7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7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500 mg, 18.7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3-브로모-N,N-다이메틸프로판-1-아민 하이드로진브로마이드(1.3 g, 7.48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으로 온도를 천천히 올린 후, 15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695 mg, 53%,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6 (d, J = 8.8 Hz, 1H), 7.33 (s, 1H), 7.04 (dd, J = 8.8 Hz, 2.0 Hz, 1H), 4.66 (s, 2H), 4.41 (t, J = 7.0 Hz, 2H), 3.92 (s, 3H), 2.98-2.95 (m, 2H), 2.62-2.59 (m, 2H), 2.45-2.41 (m, 2H), 2.30 (s, 6H), 2.10-1.89 (m, 6H); LCMS, m/z 353[M+H]+; HPLC tR 4.276min (method A).
[예시 31] 상기 예시 30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2-(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6,12-디히드로-5H-벤조[h]인돌로[2,3-b]퀴놀린-7-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32] 상기 예시 3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33] 상기 예시 28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벤질-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34] 9-메톡시-6-(3-(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1
단계 1: t-부틸(3-(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2
상기 예시 30,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50 mg, 0.18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1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수산화나트륨(15 mg, 0.37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동안 교반한 후, t-부틸(3-브로모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 하이드로진브로마이드(58 mg, 0.2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7 mg, 57%,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9-메톡시-6-(3-(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t-부틸(3-(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47 mg, 0.10 mmol)를 디클로로메탄(1 mL)에 용해시킨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틱에시드(200 μL)를 상온에서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농축하여, 목적화합물(39 mg, 99%,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 (d, J = 2.3 Hz, 1H), 7.30 (d, J = 8.8 Hz, 1H), 7.05 (dd, J = 8.8, 2.3 Hz, 1H), 4.68 (s, 2H), 4.43 (t, J = 6.4 Hz, 2H), 3.92 (s, 3H), 2.94 (t, J = 5.9 Hz, 2H), 2.60 (t, J = 5.9 Hz, 2H), 2.48 (t, J = 6.4 Hz, 2H), 2.41 (s, 3H), 2.14-2.04 (m, 2H), 1.97-1.84 (m, 4H); LCMS, m/z 339[M+H]+; HPLC tR 4.271min (method A).
[예시 35] 상기 예시 34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3-(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36] 9-메톡시-6-(4-메틸펜트-3-엔-1-일)-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4
단계 1: 9-메톡시-6-(4-메틸펜트-3-엔-1-일)-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5
상기 예시 30,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30 mg, 0.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20 mg, 0.44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동안 교반한 후, 5-브로모-2-메틸펜탄-2-올(22 mg, 0.1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 mg, 12%,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 (d, J = 2.3 Hz, 1H), 7.30 (d, J = 8.7 Hz, 1H), 7.03 (dd, J = 8.7, 2.3 Hz, 1H), 5.23 (t, J = 7.3 Hz, 1H), 4.61 (s, 2H), 4.37-4.27 (m, 2H), 3.92 (s, 3H), 2.99 (d, J = 5.8 Hz, 2H), 2.61 (t, J = 5.8 Hz, 2H), 2.63-2.45 (m, 2H), 1.95-1.90 (m, 4H), 1.64 (s, 3H), 1.53 (s, 3H); LCMS, m/z 350[M+H]+; HPLC tR 4.350min (method A).
[예시 37] 에틸4-(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6
단계 1: 에틸4-(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7
상기 예시 30,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100 mg, 0.39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30 mg, 0.74 mmol) 을 첨가하였다. 30분동안 교반한 후, 에틸4-브로모부타노에이트(102 mg, 0.5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8 mg, 12%,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 (s, 1H), 7.34 (d, J = 8.7 Hz, 2H), 7.04 (d, J = 8.7 Hz, 1H), 4.62 (s, 2H), 4.42 (t, J = 6.9 Hz, 2H), 4.10 (q, J = 6.9 Hz, 2H), 3.92 (s, 3H), 2.96 (t, J = 5.8 Hz, 2H), 2.61 (t, J = 5.8 Hz, 2H), 2.32 (q, J = 7.3 Hz, 2H), 2.35-2.15 (m, 2H), 2.00-1.90 (m, 4H), 1.23 (t, J = 7.3 Hz, 3H); LCMS, m/z 382[M+H]+; HPLC tR 5.430min (method A).
[예시 38]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8
단계 1: N-(2-브로모-4-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20127574574-pat00179
2-브로모-4-메틸아닐린(1 g, 5.37 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0℃에서 트리에틸아민(1.5 mL, 10.75 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0.91 mL, 6.45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한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다음,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25 g, 82%, 상아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아미노-5-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0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브로모-4-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1.25 g, 4.43 mmol)를 디메틸설폭사이드/증류수(1/1) 혼합용액에 용해시키고 N2 가스로 충진한 다음 말로노니트릴(0.35 g, 5.32 mmol), 탄산칼륨(1.225 g, 8.86 mmol), n-프롤린(0.102 g, 0.886 mmol) 및 요오드화구리(0.084 g, 0.4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셀라이트에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증류수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75 g, 95%, 진한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3: 9-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1
시클로헥산온(0.665 mL, 6.43 mmol)을 디클로로에탄(10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1.07 g, 8.03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2-아미노-5-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0.55 g, 3.2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65 g, 89%,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4: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2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40 mg, 0.159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9.5 mg, 0.179 mmol)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클로로-N,N-디메틸프로필-1-아민 염산염(0.03 g, 0.19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추가로 수산화나트륨(6.4 mg, 0.159 mmol)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8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0% 암모니아수)/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3.6 mg, 63%,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1 (s, 1H), 7.34 (d, J = 8.2 Hz, 1H), 7.22 (d, J = 8.2 Hz, 1H), 4.68 (s, 2H), 4.44 (t, J = 6.9 Hz, 2H), 2.98 (t, J = 5.8 Hz, 2H), 2.77 (s, 2H), 2.61 (t, J = 5.9 Hz, 2H), 2.53 (s, 3H), 2.46 (t, J = 7.0 Hz, 2H), 2.31 (s, 6H), 2.16-2.05 (m, 2H), 1.99-1.85 (m, 4H); LCMS, m/z 337[M+H]+; HPLC tR 4.354min (method A).
[예시 39, 40, 41, 42, 43, 44, 45] 상기 예시 38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플루오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9-클로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트리플루오로메톡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카르보니트릴;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트리플루오로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메틸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카르복실레이트;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8-메톡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46] 1-((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일)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3
단계 1: 1-((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일)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4
상기 예시 30에서 제조한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50 mg, 0.15 mmol)을 2-메틸옥실레인(2 ml, excess)에 용해시킨 뒤, 과염소산리튬(160 mg, 1.61 mmol)를 첨가한 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35 mg, 60%,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88 (d, J = 2.2 Hz, 1H), 7.45 (d, J = 8.9 Hz, 1H), 6.96 (dd, J = 8.9, 2.2 Hz, 1H), 6.13 (s, 2H), 5.58 (s, 1H), 4.35-4.20 (m, 2H), 4.17 (s, 1H), 3.85 (s, 3H), 3.06 (d, J = 6.4 Hz, 6H), 2.85-2.75 (m, 2H), 1.90-1.75 (m, 4H), 1.06 (d, J = 6.3 Hz, 3H); LCMS, m/z 411[M+H]+; ]+; HPLC tR 4.255min (method A).
[예시 47, 48] 상기 예시 38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3,3-디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온;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메톡시-3-페닐-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온)을 수득하였다.
[예시 49, 50] 상기 예시 3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9-(벤질옥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이소프로폭시-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51]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5
단계 1: 11-아미노-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9-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6
상기 예시 50에서 제조한 (6-(3-(디메틸아미노)프로필)-9-아이소프로폭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50 mg, 0.13 mmol)을 디클로메탄(1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87 mg, 0.65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2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2 mg, 50%,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8.80 (s, 1H), 7.62 (d, J = 2.2 Hz, 1H), 7.24 (d, J = 8.6 Hz, 1H), 6.82 (dd, J = 8.6, 2.2 Hz, 1H), 5.87 (s, 2H), 4.23 (t, J = 7.0 Hz, 2H), 3.40-3.10 (m, 4H), 2.80-2.75 (m, 2H), 2.71-2.18 (t, J = 7.0 Hz, 2H), 2.11 (s, 6H), 1.87-1.71 (m, 4H); LCMS, m/z 339[M+H]+; HPLC tR 3.975min (method A).
[예시 52] N1-(7-(3-(디메틸아미노)프로필)-9,10,11,12-테트라하이드로-7H-벤조[4,5]인돌로[2,3-b]퀴놀린-13-일)-N3,N3-디메틸프로판-1,3-디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7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8
상기 예시 34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9,10,11,12-테트라하이드로-7H-벤조[4,5]인돌로[2,3-b]퀴놀린-13-아민(50 mg, 0.17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56 mg, 1.38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동안 교반한 후, 3-클로로-N,N-디메틸프로판-1-아민 염화수소(220 mg, 1.3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1% 트리에틸아민)/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8 mg, 60%, 노란색 시럽)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9.24 (d, J = 8.4 Hz, 1H), 7.98 (d, J = 8.4 Hz, 1H), 7.93 (d, J = 8.8 Hz, 1H), 7.86 (d, J = 8.8 Hz, 1H), 7.58 (dd, J = 7.0 Hz, 7.0 Hz, 1H), 7.39 (dd, J = 7.0 Hz, 7.0 Hz, 1H), 5.45 (t, J = 6.7 Hz, 1H), 4.51 (t, J = 7.1 Hz, 2H), 3.10-3.02 (m, 2H), 2.95-2.85 (m, 2H), 2.82-2.75 (m, 2H), 2.23 (t, J = 6.7 Hz, 2H), 2.13 (s, 6H), 2.05 (t, J = 6.7 Hz, 2H), 1.98 (s, 6H), 1.95-1.80 (m, 6H), 1.62-1.52 (m, 2H); LCMS, m/z 458[M+H]+; HPLC tR 4.175min (method A).
[예시 53] 5-(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2-메틸펜탄-2-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89
단계 1: 5-(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 퀴놀린-6-일)펜탄-2-온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0
상기 예시 30, 단계 3에서 제조한 9-메톡시-2,3,4,6-테트라하이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80 mg, 0.29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1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20 mg, 1.45 mmol) 을 첨가하였다. 30분동안 교반한 후, 5-브로모팬탄-2-온(239 mg, 1.4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천천히 상온으로 올려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혼합물에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2 mg, 노란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5-(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퀴놀린-6-일)-2-메틸펜탄-2-올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5-(11-아미노-9-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6H-인돌로[2,3-b] 퀴놀린-6-일)펜탄-2-온(9 mg, 0.02 mmol)을 다이에틸에테르(1 ml)에 용해시킨 뒤, 3M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혼합용액(다이에틸에테르)(100 μL, 과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으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1 mg, 12%,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6 (d, J = 2.3 Hz, 1H), 7.30 (d, J = 8.8 Hz, 1H), 7.05 (dd, J = 8.8, 2.3 Hz, 1H), 4.70 (s, 2H), 4.57 (t, J = 6.3 Hz, 2H), 3.92 (s, 3H), 2.98 (t, J = 6.0 Hz, 2H), 2.61 (t, J = 6.0 Hz, 2H), 2.05-1.85 (m, 6H), 1.40-1.34 (m, 2H), 1.19 (s, 6H); LCMS, m/z 368[M+H]+; HPLC tR 5.251min (method A).
[예시 54] 상기 예시 30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7-(3-(디메틸아미노)프로필)-9,10,11,12-테트라히드로-7H-벤조[4,5]인돌로[2,3-b]퀴놀린-13-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55] 2,3-디메틸-1-(3-(메틸아미노)프로필)-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2
단계 1: 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3
2-아미노-4,5-디메틸-1H-피롤-3-카보니트릴(1 g, 7.39 mmol)을 디클로로에탄(5 mL)에 용해시킨 뒤, 시클로옥탄온(1.46 mL, 11.09 mmol)과 염화알루미늄(1.48 g, 11.0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718 mg, 39%, 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단계 2: t-부틸(3-(4-아미노-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1-일)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4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100 mg, 0.41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2 mL)에 용해시킨 뒤, 0℃에서 수산화나트륨(24 mg, 0.61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부틸(3-클로로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127 mg, 0.61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0℃로 냉각한 다음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다음,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52 mg, 30%,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2,3-디메틸-1-(3-(메틸아미노)프로필)-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5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t-부틸(3-(4-아미노-2,3-디메틸-5,6,7,8,9,10-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옥타[b]피롤로[3,2-e]피리딘-1-일)프로필)(메틸)카바메이트(52 mg, 0.125 mmol)를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이고 트리플루오로아세틱에시드(200 μL)를 상온에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목적화합물(39 mg, 99%, 갈색 시럽)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0 (s, 2H), 4.26-4.15 (m, 2H), 2.88-2.79 (m, 2H), 2.81-2.65 (m, 4H), 2.61 (s, 3H), 2.42 (s, 3H), 2.26 (s, 3H), 2.24-2.15 (m, 2H), 1.80-1.64 (m, 4H), 1.50-1.45 (m, 2H), 1.37-1.28 (m, 2H); LCMS, m/z 315[M+H]+; HPLC tR 4.446min (method A).
[예시 56] 1-아이소부틸-2,3-디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6
상기 예시 29, 단계 1에서 제조한 2,3-디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50 mg, 0.23 mmol)를 디클로로에탄(1 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수산화나트륨(14 mg, 0.34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브로모-2-메틸프로판(37 μL, 0.34 mmol)을 첨가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한 다음 얼음물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다음,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5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2 mg, 35%, 흰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31 (s, 2H), 3.91 (d, J = 7.6 Hz, 2H), 2.88 (t, J = 6.0 Hz, 2H), 2.50 (t, J = 6.0 Hz, 2H), 2.42 (s, 3H), 2.26 (s, 3H), 2.25-2.15 (m, 1H) 1.93-1.78 (m, 4H), 0.86 (d, J = 6.7 Hz, 6H); LCMS, m/z 272[M+H]+; HPLC tR 5.419min (method A).
[예시 57] 상기 예시 56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2,3-디메틸-1-(피리딘-2-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58] 상기 예시 29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10-(3-(디메틸아미노)프로필)-8,9-디메틸-6,10-디히드로-5H-벤조[h]피롤로[2,3-b]퀴놀린-7-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59] 2,3-디메틸-1-페닐-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7
단계 1: 2-아미노-4,5-디메틸-1-페닐-1H-피롤-3-카보나이트릴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8
3-하이드록시부탄-2-온(2 g, 22.69 mmol)과 아닐린(2.03 mL, 22.69 mmol) 을 톨루엔(30 mL)에 용해시킨 뒤, 파라-톨루엔설포닉에시드(100 mg, 1.5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상온으로 식힌 다음, 말로노니트릴(1.5 g, 22.69 mmo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혀주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법(0~100% 디클로로메탄/헥산)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50 mg, 9%, 갈색 고체)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3-디메틸-1-페닐-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
Figure 112020127574574-pat00199
시클로헥산온(48 μL, 0.47 mmol)을 디클로로에탄(1 mL)에 용해시킨 뒤, 염화 알루미늄(63 mg, 0.47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아미노-4,5-디메틸-1-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50 mg, 0.2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preparative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O/아세토니트릴)으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얻어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화합물을 과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목적화합물(7 mg, 11%, 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7 (dd, J = 7.6, 7.6 Hz, 2H), 7.42-7.30 (m, 3H), 4.40 (s, 2H), 2.79 (t, J = 6.2 Hz, 2H), 2.57-2.43 (m, 2H), 2.49 (s, 3H), 2.13 (s, 3H), 1.90-1.77 (m, 6H); LCMS, m/z 292[M+H]+; HPLC tR 5.397min (method A).
[예시 60] 상기 예시 59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2,3-디메틸-1-(피리딘-3-일)-5,6,7,8-테트라히드로-1H-피롤로[2,3-b]퀴놀린-4-아민)을 수득하였다.
[예시 61, 62] 상기 예시 38 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3-(디메틸아미노)프로필)-8-메틸-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 8-클로로-6-(3-(디메틸아미노)프로필)-2,3,4,6-테트라히드로-1H-인돌로[2,3-b]퀴놀린-11-아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전신홍반루푸스 마우스 모델 실험
실시예 3-1: 동물 사육 및 약물 투여
루푸스 치료효과 실험을 위해 14주령, 36~40g의 체중 기준을 가진 암컷 MRL/lpr(또는 MRL/Faslpr)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통해 The Jackson Laboratory, USA에서 구매)가 사용되었으며, 사육 방침은 아주대학교 의료원 실험동물연구센터의 사육 및 윤리 규정을 따라 진행되었다. 실험에 앞서 맹검법을 위해 무작위로 음성 대조군(Vehicle), 양성 대조군(HCQ), 실험 화합물군(SK41, SK50, SK58 및 SK64)으로 그룹당 4-5마리씩 동물을 배정하였으며 에탄올(Ethyl Alcohol) 1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40%, 그리고 살균증류수 50%으로 구성된 부형제에 각각 하이드록시클로로퀸, SK41, SK50, SK58 및 SK64 화합물을 완전 용해 후 경구투여 경로를 통해 실험동물에 투여하였다.
투여 방법으로는, 음성 대조군의 경우 동일양의 부형제만을 투여, 양성 대조군의 경우 일일 15-60MPK(15-60mg/Kg)의 HCQ를 투여, 실험 화합물군(SK41, SK50, SK58 및 SK64)의 경우 일일 15-30MPK(15-30mg/Kg)를 투여하였으며 이는 실험마우스가 14주령이 된 시점부터 40일간 진행되었다.
표본 채취 방법으로는, 3일 간격으로 실험 마우스의 몸무게를 측정하였으며, 40일 만기가 되는 날 아이프란액(하나제약, Korea; 성분명 Isoflurane)을 이용한 흡입 마취 및 안락사 처리 후 혈액, 신장, 비장 및 겨드랑 림프절 그리고 샅고랑 림프절을 채취였다.
실시예 3-2: 전신홍반루푸스 마우스 모델 표본 분석
혈액 표본의 경우 마취상태인 마우스의 심장으로부터 채취한 후 혈청분리튜브와 원심분리기(4,000rpm, 10분, 4℃)를 이용해 혈청을 추출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분석(ELISA)을 통해 루푸스 중증도 지시분자인 항핵항체 ANA (Anti-nuclear Antibody, MyBioSourse, USA)와 종합적 염증 지시분자인 C3 보체(C3 Complement, MyBioSourse, USA)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장기 표본의 경우 상태 보존 및 표본 제작을 위해 적출 직후 RNA 안정화 약제(RNA Stabilization Reagent, Germany, QUIAGEN)로 처리하였고, 이후 장기 손상 여부 및 면역기관 비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진 촬영 및 장기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림프절 무게의 경우 겨드랑 림프절 한 쌍과 샅고랑 림프절 한 쌍의 무게를 합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4: TLR7 /9 억제능을 기반으로 한 선도 물질의 동정
TLR7에 대한 SK01의 잠정적 결합 모드 및 상호작용 패턴은 분자 도킹을 통해 예측되었다. 억제제가 TLR8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TLR3 및 TLR9상의 소분자 결합 공동이 X-선 결정학을 통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TLR7의 R848-결합 결정 구조(PDB ID: 5GMH)를 사용하여 도킹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합된 작용제 R848을 제외하고, 물 분자 및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비필수적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체를 세척하였다. 양성자화는 Amber12:EHT force field의 존재 하에 달성되었다. 0.1kcal/mol/
Figure 112020127574574-pat00200
2의 평균 제곱근(RMS) 기울기에 도달할 때까지 에너지 최소화를 수행하였다. R848 주위의 잔기를 리간드-결합 부위로 정의하고, mplate similarity placement 방법 및 Affinity dG scoring function을 이용하여 도킹을 수행하였다. 도킹 히트는 Amber12:EHT force field와 GBVI/WSA dG scoring function을 사용하여 다시 스코어링했다. R848으로부터의 RMS 편차가 더 낮은 최고 스코어링 포즈를 선택하여 리간드의 결합 모드 및 분자간 상호작용을 시각화하였다. TLR7/TLR9 활성화에 대한 잠재적 억제 능력을 ELISA 실험으로 검증하여 SK01으로 명명한 소분자 화합물을 찾을 수 있었다(도 1).
구조 유사성이 80% 이상인 리간드(즉, Tanimoto metrics, cutoff = 0.8)를 동정하기 위해, SK01 구조를 이용하여 MolPort 데이터베이스(https://www.molport.com/shop/index)를 검색했다. 총 100개의 유도체들이 SDF 파일로 다운로드되어 MOE에서 처리되었다. MOE의 sdwa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리간드를 세척하고 에너지를 최소화하였다. SK01이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해야 한다는 가정하에, SK01와 함께 모든 리간드를 TLR7 구조의 소분자 결합 공동(R848)에 도킹하였다. 도킹 포즈는 S 스코어로 표시되는 계산된 결합 친화도에 따라 순위가 매겨졌다. TLR7에 대해 SK01보다 더 큰 친화도를 나타내는 리간드를 활성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SK02 내지 SK20 후보물질에 대해서 TLR9에서 5μM에서의 억제능에 대해서 확인해보았으며(도 2), 이를 기반으로 6가지 화합물을 선택하여 기존 SK01과 억제능을 더 낮은 농도(2, 5μM)에서 확인해보았다(도 3). 이 과정을 통하여 SK01의 구조 유사체 중 SK16가 가장 좋은 저해 능력을 보임을 확인하여(도 4 내지 도 6),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변형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5: 엔도솜 TLR의 잠재적 억제제의 동정
TLR3/TLR7/TLR8/TLR9 활성화에 대한 잠재적 억제 분자를 선택하기 위해 먼저, SK21부터 SK82리간드 세트에 대해 20μM 의 농도로 단독처리 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세포 생존력 분석(도 7)을 하였고, 이어서 RAW 264.7 세포에서 TNF-α 분비 수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ELISA 분석을 통해, 그들의 억제 활성에 대해 평가되었다. SK21 내지 SK82까지의 실험-리간드를 0.5μM 혹은 2μM로 RAW 264.7 세포에 투여하고, Imiquimod(TLR7, 1μg/ml) 그리고 OND2395(TLR9, 0.5μM)로 자극하였다. 테스트한 리간드들 중에서, SK23, 24, 29, 36, 39, 40, 41, 50, 52, 54, 55, 58, 59, 60, 61, 62, 63, 64, 65, 69, 70, 71, 72, 74, 75, 81, 82이 TLR7 및 TLR9에 대해 용량-의존적으로 유의미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및 도 9).
초기 스크리닝 단계에서 확인된 유의미한 후보군 중 13종 화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신약으로서의 가능성 검증을 위하여 각각의 화합물 및 양성 대조군인 HCQ에 대한 LC50 값과 TLR7 및 TLR9에 대한 IC50, 그리고 이 두 수치들을 이용해 산출한 치료지수 계산값을 측정하여 표로 나타내었다(도 10). 일차적으로 선별된 13종 화합물 모두 TLR7 및 TLR9에서 HCQ를 능가하는 억제농도를 보였으며 이중 낮은 독성(LC50)과 우수한 TI를 보인 4종 후보물질(SK41, SK50, SK58 및 SK64)을 선별하였다.
다양한 TLR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SK41, SK50, SK58 및 SK64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AW 264.7 세포를 각각의 화합물과 함께 배양한 후 상이한 TLR 작용제로 자극하였다. 사용한 TLR 작용제는 세포표면 TLR로는 Pam3CSK4(TLR1/2), FSL-1(TLR2/6), LPS(TLR4) 및 FLA-ST(TLR5)를, 엔도솜 TLR로는 poly I:C(TLR3) 및 TL8-506(TLR8)이다. ELISA로 TNF-α 분비 수준을 측정한 결과, SK41, SK50, SK58 및 SK64는 세포표면 TLR인 TLR1/2, TLR2/6, TLR4 및 TLR5에 대해서 특이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도 11), 엔도솜 TLR인 TLR3 및 TLR8 대해서는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12).
실시예 6: MRL / lpr 루푸스 질병 마우스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SK 유도체 확인
SK41, SK50, SK58 및 SK64를 in vivo 동물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할 실험물질로 선택 후 자연발생 루푸스 동물 모델인 MRL/lpr 마우스 모델에서 진행하였다. 실험대조군을 위하여 부형제만을 투여하는 집단(Vehicle) 및 엔도솜-TLR 억제제로 알려진 HCQ를 투여하는 집단을 추가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의 체중변화는 전체 기간 동안 3일 간격으로 모니터링 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실험물질의 투여로 인한 장기 투여 독성평가의 지표로 이용되었다. 결과, 모든 투여군에서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SK41, SK50, SK58 및 SK64의 투여 시 외관상의 치유 효과(SK41, 58, 64가 HCQ 보다 우수)나 변화가 독성과 연관이 없음이 확인되었다(도 13 및 도 14).
40일 간 투여 후 마우스들을 안락사시켜 비장, 림프절, 신장 샘플을 채취하였다. 비장에서 외관상 특별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림프액 내 항원들이 모여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장소인 림프절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 SK58 실험군에서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SK41 실험군의 샅고랑 림프절은 모두 작은 림프절 크기를 보였다. 각 개체의 비장 및 림프절의 무게를 집계한 결과 SK58 실험군에서 비장 및 림프절이 상대적으로 덜 부풀어 올라 있었다(도 15).
마우스들의 안락사 직후 심장에서 채취된 혈액 내 혈장에서 루푸스 질병의 분자 마커들인 항핵항체(적을수록 정상) 및 C3 보체(많을수록 정상)를 추적한 결과 SK41 및 SK58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16). 부형제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 및 HCQ를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특히 SK58 실험군에서 항핵항체는 적고 C3 보체는 많아 유력한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의 결과는, HCQ(60mg/Kg)을 SK 시리즈(30mg/Kg)보다 2배 용량으로 처리한 결과이며, 경쟁물질인 HCQ과의 치료효과 직접 비교치를 구하기 위해 1일 1회 동일 용량인 15mg/Kg 투여의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SK41과 SK58을 대상으로 했을 때 외관상의 치유 효과는 HCQ 보다 탁월하였다(도 17).
TLR7 및 TLR9의 억제효과를 낮은 농도에서 확인한 결과 SK23, 24, 29, 36, 39, 40, 41, 50, 52, 54, 55, 58, 59, 60, 61, 62, 63, 64, 65, 69, 70, 71, 72, 74, 75, 81, 82라는 유효성 있는 신규 화합물들을 발굴할 수 있었으며, 이들 모두 TLR7/TLR9-매개 TNF-α 분비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므로 효율적인 TLR7/9 신호전달 억제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세포표면 TLR 신호전달 경로 확인에서 SK41, SK50, SK58 및 SK64 모두 TLR1/2, TLR2/6, TLR4, TLR5에 대해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TLR3 및 TLR8에서는 특별한 억제효과를 보임에 따라 이들 SK23, 24, 29, 36, 39, 40, 41, 50, 52, 54, 55, 58, 59, 60, 61, 62, 63, 64, 65, 69, 70, 71, 72, 74, 75, 81, 82 모두 엔도솜 TLR들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4 내지 화학식 1-3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4]
    Figure 112022120364374-pat00235
    ;
    [화학식 1-5]
    Figure 112022120364374-pat00236
    ;
    [화학식 1-6]
    Figure 112022120364374-pat00237
    ;
    [화학식 1-7]
    Figure 112022120364374-pat00238
    ;
    [화학식 1-8]
    Figure 112022120364374-pat00239
    ;
    [화학식 1-9]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0
    ;
    [화학식 1-10]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1
    ;
    [화학식 1-11]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2
    ;
    [화학식 1-12]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3
    ;
    [화학식 1-13]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4
    ;
    [화학식 1-14]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5
    ;
    [화학식 1-15]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6
    ;
    [화학식 1-16]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7
    ;
    [화학식 1-17]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8
    ;
    [화학식 1-18]
    Figure 112022120364374-pat00249
    ;
    [화학식 1-19]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0
    ;
    [화학식 1-20]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1
    ;
    [화학식 1-21]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2
    ;
    [화학식 1-22]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3
    ;
    [화학식 1-23]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4
    ;
    [화학식 1-24]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5
    ;
    [화학식 1-25]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6
    ;
    [화학식 1-26]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7
    ;
    [화학식 1-27]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8
    ;
    [화학식 1-28]
    Figure 112022120364374-pat00259
    ;
    [화학식 1-29]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0
    ;
    [화학식 1-30]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1
    ;
    [화학식 1-31]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2
    ;
    [화학식 1-32]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3
    ;
    [화학식 1-33]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4
    ;
    [화학식 1-34]
    Figure 112022120364374-pat00265
    .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TLR(Toll-like receptor) 길항제(antagonist).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TLR3, TLR7, TLR8 및 TLR9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TLR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R 길항제.
  8. 제1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은 건선, 전신홍반루푸스(SLE), 피부발진, 광과민성 피부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원판상 홍반성 낭창, 말라리아, 구강궤양, 신장염, 혈구감소증, 혈관염, 장막염, 염증성 장질환(IBD), 당뇨, 다발성 경화증, 피부 경화증, 천포창(pemphigus), 아토피피부염, 요도염, 방광염,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비염,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비만,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췌장염, 파킨슨병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이러스질환은 감기, 독감(인플루엔자), 수두, 대상포진, 단순포진, 감염성 단핵구증,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 홍역, 볼거리, 풍진, 파보바이러스감염, 소아마비(폴리오), 바이러스성 출혈열, 황열, 뎅기열, 공수병, 에이즈 및 코비드-19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또는 바이러스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60977A 2020-11-26 2020-11-26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KR10251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977A KR102513463B1 (ko) 2020-11-26 2020-11-26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EP21898634.7A EP4253382A1 (en) 2020-11-26 2021-11-25 New small-molecule compound for controlling endosomal toll-like receptor and therapeutic agent for autoimmune diseases using same
JP2023531626A JP2024500648A (ja) 2020-11-26 2021-11-25 エンドソームトル様受容体を制御する新規小分子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自己免疫疾患治療剤
PCT/KR2021/017501 WO2022114808A1 (ko) 2020-11-26 2021-11-25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US18/035,190 US20240018139A1 (en) 2020-11-26 2021-11-25 New small-molecule compounds for controlling endosomal toll-like receptors and therapeutic agent for autoimmune diseases using same
CN202180079593.3A CN116507329A (zh) 2020-11-26 2021-11-25 用于控制内体Toll样受体的新型小分子化合物和使用其的自身免疫性疾病治疗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977A KR102513463B1 (ko) 2020-11-26 2020-11-26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155A KR20220073155A (ko) 2022-06-03
KR102513463B1 true KR102513463B1 (ko) 2023-03-29

Family

ID=8175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977A KR102513463B1 (ko) 2020-11-26 2020-11-26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8139A1 (ko)
EP (1) EP4253382A1 (ko)
JP (1) JP2024500648A (ko)
KR (1) KR102513463B1 (ko)
CN (1) CN116507329A (ko)
WO (1) WO20221148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4654B (zh) 2010-11-12 2016-01-13 上海泓博智源医药技术有限公司 抗病毒化合物
CA3086172A1 (en) * 2017-12-19 2019-06-27 Merck Patent Gmbh Tlr7/8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CN112105357A (zh) * 2018-02-16 2020-12-18 Ucb生物制药有限责任公司 药用6,5杂双环衍生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Med. Chem., Vol. 11, No. 12, pp. 1264-1269(2015.10.02.) 1부.*
Chemical Abstract Compound, STNext. RN 1010920-57-6(2008.03.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808A1 (ko) 2022-06-02
CN116507329A (zh) 2023-07-28
US20240018139A1 (en) 2024-01-18
JP2024500648A (ja) 2024-01-10
KR20220073155A (ko) 2022-06-03
EP4253382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5423B2 (ja) 新規な縮合ピリミジン化合物又はその塩
TWI744225B (zh) 酪胺酸蛋白質激酶2(tyk2)抑制劑及其用途
CA2779105C (en) Kinase inhibitors
JP5006987B2 (ja) 4環性化合物を含む医薬
CA2965517A1 (en) Indole carboxamides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CN104039783A (zh) 作为pdgfr激酶抑制剂的化合物和组合物
TW201710255A (zh) 雜環化合物
JP2023522016A (ja) Nlrp3インフラマソーム経路の阻害剤としてのピラゾロ[1,5-d][1,2,4]トリアジン-5(4h)-アセトアミド
JP2023523756A (ja) 新規なトリアジノインドール化合物
JP6619796B2 (ja) Mif阻害剤
JP2023523418A (ja) Nlrp3の阻害剤としての三環式化合物
TW200835495A (en) Substituted 8-piperidinyl-2-pyridinyl-pyrimido[1,2-a] pyrimidin-6-one and 8-piperidinyl-2-pyrimidinyl-pyrimido[1,2-a] pyrimidin-6-one derivatives
JP6779867B2 (ja) ピリミジン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9510148A (ja) Hivインテグラーゼ阻害剤
JP6093485B2 (ja) 免疫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KR102513463B1 (ko) 엔도솜 톨-유사 수용체를 제어하는 신규 소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N117279899A (zh) 作为nlrp3炎性小体抑制剂的酞嗪酮衍生物
JP7317032B2 (ja) Tcr-nck相互作用の阻害剤としてのクロメン誘導体
KR20230074199A (ko) 신규 화합물
EP4166554A1 (en) Antagonistic small molecule compound having toll-like receptor 7/9 inhibitory function
KR20220014036A (ko) 신규한 톨-유사 수용체 3/7/9 억제 소분자 화합물
CN116964052A (zh) 调节nlrp3的4-氨基-6-氧代-哒嗪衍生物
CN117545757A (zh) 5-氧代-吡啶并[2,3-d]哒嗪-6(5H)-基乙酰胺
WO2024078448A1 (zh) 一种hpk1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A045073B1 (ru) Производные хромен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tcr-n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