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21B1 -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21B1
KR102513221B1 KR1020220095492A KR20220095492A KR102513221B1 KR 102513221 B1 KR102513221 B1 KR 102513221B1 KR 1020220095492 A KR1020220095492 A KR 1020220095492A KR 20220095492 A KR20220095492 A KR 20220095492A KR 102513221 B1 KR102513221 B1 KR 10251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dentification
ocr
chambe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현
방한성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티 filed Critical (주)지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09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Clustering techniques;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30/19113Selection of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e.g. of classifiers in a multi-classifi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5Pattern authentication; Markers therefor; Forgery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31Illumina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가 제공된다.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는, 신분증이 안착되는 신분증 챔버와,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조명부와,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을 정렬하는 정렬부 및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신분증을 OCR 처리하는 OCR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ofnition of basket ID card using OCR}
본 발명은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 등을 방문하는 방문자는 안내 데스크에서 출입기관, 출입목적 등을 방문대장에 직접 기입한 다음 신분증을 제시하거나 또는 신분증 제시 후, 안내원이 컴퓨터에 개인정보를 입력한 다음 방문증을 수령하는 과정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상기 안내 데스크에 제출된 신분증은 이후 특별한 조치없이 개방된 신분증 보관함 등에 단순히 진열되는 형태로 보관됨으로써 개인의 신분이 노출되어 프라이버시의 침해가 우려되고, 또한 신분증의 도난 또는 도용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0106호로 등록된 스마트 안면 인식과 생체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을 발명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출입카드 발급기에 있어서, 방문자의 개인정보와 보안서약을 받아 터치 패널 방식으로 처리하는 개인정보 처리부; 방문자의 신분증을 받아 판독하고 고객사의 방문예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방문예약정보와 판독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신분증을 인증하는 신분증 처리부; 상기 방문예약정보에 상응하는 보안등급을 기록하여 출입카드를 발급 및 사용한 출입카드를 회수하는 출입카드 처리부; 상기 출입카드 발급기에 보관된 신분증과 출입카드를 보관하는 복수의 트레이들이 적층 상태로 배치된 ID카드 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트레이들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상기 ID카드 보관부와 출입카드 처리부 사이에서 위치 변경하게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증 처리부는 투입구로 투입되는 방문자의 신분증을 판독하는 신분증 판독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증 판독기는 내부를 통해 신분증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전후방이 개방된 신분증 이송 챔버, 상기 신분증 이송 챔버의 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신분증 이송 롤러, 상기 신분증 이송 챔버 상에서 인입되는 신분증의 이미지 식별을 수행하는 신분증 감별 모듈, 신분증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증 인식 센서는 상기 신분증 이송 챔버의 내부 상에 배치되는 페이퍼 센서 및 상기 페이퍼 센서와 이격 배치되는 IR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신분증 처리부를 이루는 신분증 챔버 및 출입카드 처리부 상에 각각 배치된 빈 트레이들 중 어느 하나의 빈 트레이 상에 신분증과 상기 신분증에 대응하는 출입카드 중 어느 하나의 ID카드가 획득된 경우에, 사용자의 신원이 판단된 상기 획득된 ID카드가 담긴 트레이를 ID카드 보관부의 빈 트레이 보관 챔버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획득된 ID카드에 대응하는 개인정보를 수록한 ID카드가 담긴 트레이를 상기 출입카드 처리부 상에 배치하게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신분증 이송 챔버 상에서 인입되는 신분증의 정확한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010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은, 트레이에 안착된 신분증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신분증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의 조명을 사용하여 문자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는, 신분증이 안착되는 신분증 챔버와, 상기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을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신분증을 OCR 처리하는 OCR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분증 챔버는, 상기 신분증보다 더 크고,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되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신분증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로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신분증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는, 상기 OCR 처리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신분증 표면으로 반사되는 라이트 포인트로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 표면의 거칠기를 통해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은, 신분증 챔버에 신분증을 안착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을 정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정렬된 신분증을 OCR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신분증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은, 상기 OCR 처리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함으로써 신분증의 문자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신분증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의 조명을 사용하여 신분증의 무늬를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문자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가 적용된 출입카드 발급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의 신분증 챔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의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가 적용된 출입카드 발급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의 신분증 챔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의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100)는,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는 본 건 발명자가 발명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0106호의 스마트 안면 인식과 생체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는 방문자가 출입카드 발급기(2) 및 고객사 시스템을 통하여 고객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는 출입카드 발급기(2)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고객사 시스템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입카드 발급기(2)는 개인정보에 따라 신분증을 보관하고 출입카드를 발급할 수 있고, 출입카드 사용 후, 출입카드 반납시, 신분증을 수령하도록 개인정보 처리부(21), 신분증 처리부(22) 및 출입카드 처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처리부(21)는 방문자의 개인정보와 보안서약을 받아 처리할 수 있다. 방문자는 출입카드 발급기(2)에 구비된 터치 패널을 통하여 개인정보의 수집에 동의하고 보안서약을 실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처리부(22)는 방문자가 출입카드 발급기(2)에 투입하는 신분증(10)을 받아 판독하고 고객사 시스템의 방문예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방문예약정보와 판독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신분증을 인증 및 보관한 후, 출입카드 반납시 신분증을 반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처리부(22)는 신분증이 투입되는 신분증 투입구(22a)와 신분증 투입구(22a)로 투입되는 신분증이 신분증 챔버(110)에 보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입카드 처리부(23)는 방문예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방문예약정보와 신분증 처리부(22)에서 판독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보안등급을 기록하여 출입카드를 발급하고, 사용 후 반납하는 출입카드를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입카드 발급기(2)는 생체 인증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생체 인증부(24)는 방문자의 생체 정보를 인증하여, 고객사 시스템의 생체정보 관리부에 저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생체 인증부(24)는 방문예약 정보에 생체 정보를 더하여 방문예약정보에 상응하는 보안등급 출입카드의 사용을 더 신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생체 인증부(24)는 해당 생체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생체정보를 고객사 시스템의 생체정보 관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생체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생체정보는 신분증을 투입하고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 저장될 수 있고, 이 후에 방문자의 생체정보와 비교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생체 인증부(24)는 방문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은 상대적으로 돌출된 융선과 상대적으로 오목한 골을 포함하는데, 융선 또는 골에 대한 반사여부에 따라 광원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지문감지센서에 수신되기까지의 소요 시간 또는 광량이 달라지므로, 이를 측정하여 지문의 고유패턴을 분석하는 적외선 지문인식센서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인식센서는 포트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또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하는 광자형 적외선 센서(photoelectric infrared sensor)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적외선을 감지하는 열형 적외선 센서(thermal infrared senso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문인식센서에서 사람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에는 살균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살균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방문자가 지문인식센서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입카드 발급기(2)는 ID카드 보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ID카드 보관부(25)는 출입카드 처리부(23)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출입카드 발급기(2)에 보관된 신분증과 출입증을 보관하는 복수의 트레이들이 적층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레이들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ID카드 보관부(25)와 출입카드 처리부(23) 사이에서 위치 변경되게 하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100)는, 출입카드 발급기(2)에 적용되어 신분증(10)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신분증 챔버(110), 조명부(120), 정렬부(130), OCR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신분증 투입구(22a)로 투입되는 신분증(10)을 보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신분증(1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안내면(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내면(111)은 신분증 챔버(110)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신분증 투입구(22a)로 투입되는 신분증(10)이 신분증 챔버(110)의 일측 내부에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111)을 따라 신분증 챔버(110)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신분증 챔버(11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착홈은 신분증 챔버(110)의 바닥면에 요입되어 신분증(1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은 평면에서 봤을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분증(10)이 신분증 챔버(11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10)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장애인 복지카드, 국가 유공자증, 독립 유공자증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10)은 여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신분증 챔버(110)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는 감지센서,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센서는 신분증 투입구(22a)로 배출되는 신분증(10)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는 신분증 투입구(22a)로 배출되어 신분증 챔버(110)에 안착된 신분증(10)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에 의해 신분증(10)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하는 조명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신분증 챔버(110에 안착된 신분증(10)을 조명(照明)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신분증 투입구(22a) 하부의 출입카드 발급기(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재로 조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재는 신분증 챔버(11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거나 신분증 챔버(110)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재는 신분증 챔버(110)의 대응하는 변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조명부재의 편광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조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도로 조명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신분증(10) 주변의 하이라이트 현상이 억제되도록 신분증(10)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의 조명부재로 조명할 수 있다. 즉, 신분증(10)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의 조명부재로 조명하여 신분증(10)의 무늬를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문자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부(130)는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10)을 정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부(130)는 신분증(10)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신분증(10) 모서리의 엣지 라운드로 발생하는 비정상 축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부(130)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신분증(10)의 변의 기울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신분증(10)의 변이 수평선상이 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증(10) 변의 기울기가 35도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하기에 설명하는 OCR 처리부(140)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35도로 회전시켜 신분증(10)의 변이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분증(10) 변의 기울기가 35도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신분증 챔버(110)를 -35로 회전시켜 신분증(10)의 변이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부(130)는 신분증(10)의 4변(邊)을 연결한 직선의 교차점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OCR 처리부(140)를 회전시키거나 신분증 챔버(110)를 회전시켜 신분증(10)의 변이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부(130)는 신분증(10)에 기재된 텍스트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OCR 처리부(140)는 정렬부(130)에 의해 정렬된 신분증(10)을 OCR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OCR은 광학식 문자 판독 장치(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식 문자 해독 장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OCR 처리부(140)는 신분증(10)에 기재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CR 처리부(140)는 신분증(10)이 주민등록증일 경우,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발행일, 발행처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별부(150)는 OCR 처리된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별부(150)는 OCR 처리된 신분증(10)의 종별을 식별하고, 신분증의 종별에 따라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텍스트를 기준으로 신분증 종별 키워드 필터링을 하여 신분증의 종별을 식별하며, 신분증 종별에 따른 실제 얼굴 증명사진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대적인 위치 영역을 구함으로써 상대적인 위치 영역에 얼굴 증명사진이 존재하는지를 인식하는 페이스 인식을 수행하고, 신분증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패턴 인식을 수행하고 신분증 종별에 따른 실제 특정 문자열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대적인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을 인식하는 정형 서식 인식을 수행하며, 페이스 인식, 이미지 패턴 인식 및 정형 서식 인식 모두를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통해서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판별부(150)는 신분증(10) 표면의 반사면 추적을 통해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별부(150)는 신분증(10) 표면으로 반사되는 라이트 포인트 또는 신분증(10) 표면의 거칠기를 통해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칠기는 신분증(10)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신분증(10)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는 신분증(10) 표면의 가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요철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요철은 신분증(10) 표면의 제작온도, 압출 정도 등에 따라 신분증(10) 표면에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분증(10)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라이트 포인트 또는 신분증(10)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분증(10)의 반사값 또는 거치기 값을 비교하여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판별부(150)는 신분증(10) 표면의 두께에 의해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증(10) 표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신분증(10) 표면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분증(10) 표면의 표준 두께값을 비교하여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을 조사하여 측정한 신분증(10) 표면의 두께가 표준 두께값의 범위보다 얇거나 두꺼울 경우 위조된 신분증(10)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은, 신분증 챔버(110)에 안착되는 신분증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신분증 챔버(110)에 신분증(10)을 안착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신분증 챔버(110)에 안착된 신분증(10)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10)을 정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정렬된 신분증(10)을 OCR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은, 상기 OCR 처리된 신분증(10)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110: 신분증 챔버
120: 조명부
130: 정렬부
140: OCR 처리부
150: 판별부
10: 신분증

Claims (12)

  1. 신분증이 안착되는 신분증 챔버;
    상기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신분증을 OCR 처리하는 OCR 처리부; 및
    상기 OCR 처리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증 챔버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신분증 챔버의 바닥면으로 신분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바닥면에 요입되어 신분증을 수용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재는 신분증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로 조명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신분증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챔버는,
    상기 신분증보다 더 크고,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신분증 표면으로 반사되는 라이트 포인트로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신분증 표면의 거칠기를 통해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9. 신분증 챔버에 신분증을 안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신분증 챔버에 안착된 신분증을 조명부재로 조명하는 제2 단계;
    상기 조명부재로 조명되는 신분증을 정렬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정렬된 신분증을 OCR 처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OCR 처리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신분증 챔버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신분증 챔버의 바닥면으로 신분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바닥면에 요입되어 신분증을 수용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재는 신분증의 백그라운드 무늬와 동일한 칼라로 조명하고,
    상기 신분증을 정렬하는 제3 단계는,
    상기 신분증의 4변(邊)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장되는 직선의 교차점을 찾는 연장선형 4포인트 방식을 도입하여 정렬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되는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95492A 2022-08-01 2022-08-01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KR10251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492A KR102513221B1 (ko) 2022-08-01 2022-08-01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492A KR102513221B1 (ko) 2022-08-01 2022-08-01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221B1 true KR102513221B1 (ko) 2023-03-23

Family

ID=8579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492A KR102513221B1 (ko) 2022-08-01 2022-08-01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96B1 (ko) * 2008-08-18 2009-04-24 이종명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및 시스템
KR102210106B1 (ko) 2020-08-28 2021-02-03 (주)리감 스마트 안면 인식과 생체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96B1 (ko) * 2008-08-18 2009-04-24 이종명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및 시스템
KR102210106B1 (ko) 2020-08-28 2021-02-03 (주)리감 스마트 안면 인식과 생체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신분증 자동 보관과 반납 및 출입카드 자동 발급과 회수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2328C (zh) 生物特征认证方法、认证装置以及血管影像读取装置
US5151582A (en)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system for checking card data and embossed characters
RU2417448C2 (ru) Верификация аутентичности
JP4855727B2 (ja) 生体認証装置の委任事項変更方法、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CN100522058C (zh) 生物特征认证系统和生物特征认证方法
US53217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identity
CN100454332C (zh) 用于具有生物测量认证功能的ic卡的更新方法和更新设备
RU2471242C2 (ru) Система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м бумаги,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листа бумаги, устройство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м бумаги, способ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м бумаги и программа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м бумаги
JPH09114986A (ja) Idカードに指紋をエンコードするプロセス
JP200633123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US20020050713A1 (en) Check for fingerprints
KR102513221B1 (ko) Ocr을 이용한 바구니형 신분증 인식장치 및 방법
RU219502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CN103324275B (zh) 使用者辨识系统及辨识使用者的方法
EP0266388A1 (en) Identity verification
JP4762572B2 (ja) 生体認証装置の委任者情報登録方法、生体認証装置の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KR102178074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EP1295242B2 (en) Check of fingerprints
van Renesse Optical inspection techniques for security instrumentation
CN100440101C (zh) 身份确认系统
JPH10255118A (ja) カード真偽判定装置
JPH07504524A (ja) 不正防止識別システム
JP2599135B2 (ja) 貨幣処理機
JPH06274759A (ja) 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5174870B2 (ja) 偽造紙幣の追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