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193B1 -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193B1
KR102513193B1 KR1020210001211A KR20210001211A KR102513193B1 KR 102513193 B1 KR102513193 B1 KR 102513193B1 KR 1020210001211 A KR1020210001211 A KR 1020210001211A KR 20210001211 A KR20210001211 A KR 20210001211A KR 102513193 B1 KR102513193 B1 KR 102513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rd
location
ch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9231A (en
Inventor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주식회사 동도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주식회사 동도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1000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93B1/en
Publication of KR2022009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100)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121),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와; 상기 홈부(130)에 내장된 IC 칩 모듈(140)과; 상기 IC칩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단말기의 내부에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 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terminal 100 for location tracking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wearable terminal 100 for location tr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body 110 required to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a ward, and an operating member 120 mounted inside the external body to function.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that acquires information, a processing unit 123 that internally processes and manages the acquire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124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external devices or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each of the terminals In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125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required to the constituent parts, a groove 130 formed into the outer body 110; an IC chip module 140 embedded in the groove 130; a memory unit 126 for reading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and copying and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side th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Description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용카드 인증을 통하여 치매환자의 인적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치매환자의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dementia patient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mentia patient capable of accurately grasp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a dementia patient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easily gras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It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최근 ICT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응용기술이 등장하게 되었고, 그 중 새로운 응용 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위치기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application technologies have appeared, and among them,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developing as a new application area.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순한 활용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거나 위치정보에 따른 간접 정보를 제공하는 등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These location-based services are expanding their use range from simple use of notifying a user's location to providing advertisements based on a user's location or providing indirect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한편,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활방식이 급속하게 서구화되어가면서, 노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환자들이 사회적으로 문제화되고 있으며, 정신지체아의 보호 및 아동들의 보호에 대해서도, 그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modern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lifestyles are rapidly westerniz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ementia patients are becoming a social problem, and interest in the protec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children is gradually increasing. .

치매환자들이나 정신지체아 또는 아동들(이하, '치매환자들'이라고 약칭하기로 한다)은 자신이 현재 활동하고 있는 공간이나, 그 공간으로부터 이동하여 옮겨 간 장소를 잘 인지하지 못하거나, 이것을 잘 기억하지 못하고 있어서, 자신이 스스로 그 장소로부터 가정이나 보호시설 등으로 다시 복귀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될 경우, 가족이나 다른 보호자가 치매환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면, 그 치매환자는 큰 위험에 노출되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상황에서 그 치매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Dementia patients, mentally retarded children, or childr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mentia patients') do not recognize the space in which they are currently active or the place they have moved from, or do not remember it well. Since they are unable to do so, they show the characteristic of not being able to return to their homes or shelters on their own from that place. In this situation, if the family or other caregivers cannot accurately locate the dementia patien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dementia patients will be exposed to great danger. It is very necessary to do

이러한 치매환자들에 대한 보호는 이들이 현재 위치하는 장소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혹시나 그들이 통상적인 생활공간을 벗어나게 되었을 경우, 그들의 행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위치추적 장치 내지 위치추적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In order to protect these patients with dementia,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identify the place where they are currently located, and in case they get out of their usual living space, as a means to accurately determine their whereabouts, a location tracking device or location tracking system came to appear

통상적으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위치추적 장치는, 치매환자들이 소지하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그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그 치매환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다. The most basic of location tracking devices used today is to track the location of a patient with dementia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owned by the patient with dementia.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는 그 단말기에 사용자(치매환자들)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별도의 정보입력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치매환자들이 직접 그 정보입력장치가 존재하는 곳으로 현장 출석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그의 보호자가 그 현장으로 출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requires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device in order to input user information (dementia patients) into the terminal. This is inconvenient that the dementia patients have to attend the site wher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exists, and even if not, at least their guardians have to attend the site.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치매환자들의 정보를 별도의 정보입력 장치에 입력할 경우, 반드시 1 대 1 방식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발급 효율성이 매우 낮은 단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information of dementia patients is input into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device, it must be performed in a one-to-one manner, so the issuance efficiency of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is very low.

이러한 단점은, 설혹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입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단말기를 즉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사용자인 치매환자들 또는 그의 보호자 내지 그의 대리인이 별도의 정보입력장치가 소재한 장소로 출석하여 그곳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것이었다. This disadvantage is that, even if a wearable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is purchased, the terminal cannot be used immediately, and the user, dementia patients or their guardians or their representatives, attends the place where the separate information input device is located and finds the individual from there. It was necessary to enter information.

종래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e following cases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특허등록 제10-1032549호 (2011. 5. 6.)Patent Registration No. 10-1032549 (2011. 5. 6.) 특허등록 제10-1021573호 (2011. 3. 22.)Patent Registration No. 10-1021573 (2011. 3. 22.) 공개특허 제10-2017-104865호 (2017. 9. 18.)Patent Publication No. 10-2017-104865 (2017. 9. 18.) 공개특허 제10-2019-115237호 (2019. 10. 11.)Patent Publication No. 10-2019-115237 (2019. 10. 11.)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용카드 인증을 통하여 치매환자의 인적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치매환자의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dementia patients, which can accurately grasp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easily gras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use.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는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내장된 IC 칩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body required to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a ward, and an operating member mounted inside the external body to function, which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that internally processes and manages acquire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electric energy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roove formed inside the outer body and an IC chip module embedded in the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C칩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는 1차적으로 IC칩 정보수집부에 의해 읽혀지고, 상기 IC칩 정보수집부는 1차로 획득된 개인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is primarily read by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retransmits the primarily obtain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ternal operating member of the terminal.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rocess in .

상기 IC칩 정보수집부는 수집된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메모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획득된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처리부의 신호에 따라 수시로 그 개인정보를 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pies the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fers it to the memory unit, and the memory unit stores the acquired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at any tim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processing unit.

또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and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roximal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또한,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에서 활용되는 IC칩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IC칩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nto an IC chip used in a plastic card and manufacturing an IC chip module (S 210);

상기 IC칩 모듈을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에 형성된 홈부의 내부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IC칩 장착단계(S 220)와; an IC chip mounting step (S220) of inserting and mounting the IC chip module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outer body of the posi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상기 IC칩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단말기 내부의 작동부재로 전송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와; a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tep (S230) of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from the IC chip to an operating member inside the terminal, and recognizing and proces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by the operating member;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It includes a; using the terminal by having the user wear it (S240).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별도의 정보입력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신용카드 발급단계에서 입력된 IC칩의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tiliz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C chip input in the credit card issuance step without relying on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입한 후, 그 개인정보를 신용카드의 IC칩에 입력된 정보로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개인정보 입력을 위하여 정보입력장치에 소재한 장소로 출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personal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C chip of the credit card after purchasing the wearable terminal,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ttend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to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solve

또한, 본 발명은 신용카드의 개인정보를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추적의 대상자인 치매환자, 정신지체자, 또는 어린아이들의 신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a credit card can be used in a wearable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identity of a patient with dementia, a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or children who are subject to location tracking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ied.

도 1은 종래의 웨어러블 위치추적 단말기의 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회로 작동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단말기에 있어서 접촉식 IC칩의 내부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단말기에 있어서 비접촉식 IC칩의 내부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wearable location tracking terminal;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C chi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IC chi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IC chi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working relationship of the contact IC chip in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working relationship of the contactless IC chip in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Specific numerical values or specific exampl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ntended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that are known in the art and can be easily cre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for patients with dementia.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를 가지고 있다. 외부 몸체(11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피보호자의 팔목에 차는 단말기의 경우 그 외형을 손목 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리 발목에 차는 단말기의 경우 밴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의복에 착용하는 경우에는 브로우치와 같은 액세서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체(110)는 내부에 단말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작동부재(120)를 내장하고 있다.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body 110 required to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a ward. The outer body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part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the war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rminal worn on the wrist of a ward, its appearan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wrist watch, in the case of a terminal worn on the ankle of a leg,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band, and in the case of a terminal worn on a ward's clothing, such as a brooch. It can be made in accessory form. The outer body 110 has a built-in operating member 120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therein.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부재(120)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통신함으로써,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부재(120)는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osi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member 120 that is mounted inside the outer body 110 to function. The operating member 12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and communicates it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ward from the outside. The operating member 120 may be mounted on a common printed circuit board and used by being mounted inside the outer body 110 .

상기 작동부재(120)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121)와,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작동부재들은 종래의 위치추적용 단말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peration member 1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a processing unit 123 that internally processes and manages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an external device or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unit 124 and a power supply unit 125 supplying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These operating members may be made of parts used in conventional terminals for position tracking.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가 단말기를 신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존재하고 있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1 transmits to the processing unit 123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ward moves while attaching the terminal to the body.

상기 처리부(123)는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처리하여 통신부(124)로 전송한다. 상기 알고리즘 프로그램은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이외에 피보호자의 인적사항에 관련된 개인정보를 통합하여 가공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긴급을 요하는 급박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자의 인적사항을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The processing unit 123 process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program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24 . The algorithm program is based on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to the processing unit 123, and it is preferable to integrate and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nd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an urgent situation requiring an emergency, and to respond quickly accordingly.

상기 통신부(124)는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처리부(123)에서 가공처리된 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단말기로 하여금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단말기에서 외부로 발송하되는 정보를 단순히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함께 통합하여 발송하게 됨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은 와이파이를 포함한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4 transmi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23 to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receiv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This means that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quickly transmitting or receiv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is means tha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does not simply consis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bu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integrated together and sent. The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wired/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i-Fi.

상기 전원부(125)는 단말기의 각 작동부재들에 대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25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each operating member of the terminal. The battery may be used after being charg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획득하여 처리하는 정보를 평상시와 긴급시로 구분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만을 가동시키고, 긴급시에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추가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광역 위치정보라 함은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수백 미터의 범위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반면에, 상기 근접 위치정보라 함은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수십미터의 범위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is installed by divid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and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proximal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do. This divides the information acquired and process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into normal and emergency, operates onl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 normal times, and additionally operat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 emergency. It is for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where the ward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several hundred meters, whereas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refers to displaying the location where the ward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several tens of meters.

본 발명은, 이처럼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광역 위치정보와 근접 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유는 전기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피보호자를 긴급한 상황에서 좀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 파악하여 피보호자를 신속하게 대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로 나누어 작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125)에서 사용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전기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에서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만을 획득하여 처리부(123)로 보내고,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만을 통신부(124)로 보내는 반면에, 긴급시에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가동시켜서 피보호자의 근접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보내고,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근접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상기 통신부(124)로 보내고, 통신부(124)는 피보호자의 근접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외부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긴급한 경우라 함은, 피보호자가 실종되거나, 피보호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서, 그를 관리하는 보호자가 그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와 같이, 평상시와는 달리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이 요구되는 상황 등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can be processed by dividing it into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and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The reason for managing them separately is to promote efficient management of electric energy and at the same time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ward in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the ward can be quickly replaced.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re operated separate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lectric energy used in the power supply unit 125 can be saved and efficiently utilized. For example, in order to use electrical energy at a minimum in normal tim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es only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and sends it to the processing unit 123, and the processing unit 123 only obtains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While send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124, in case of emergency,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operated to send the ward's proximity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123, and the processing unit 123 transmits the ward's proximity information and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is sent to the communication unit 124,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4 transmits the ward's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n emergency case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location of a ward is required unlike usual, such as when a ward goes missing or cannot be contacted, and the guardian who manages the ward wants to check the ward's location.

이러한 경우에는, 보호자가 위치 확인요청 신호를 발신하게 되면, 그 확인요청 신호가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단말기(100)의 통신부(124)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통신부(124)는 상기 위치확인요청 신호를 상기 처리부(123)로 입력시키고, 상기 처리부(123)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는 활성화되어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를 근접 위치정보로 생성하고, 그 근접 위치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송신한다.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피보호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처리하여, 상기 통신부(124)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124)는 전송받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보호자에게 전송한다. In this case, when the guardian transmits a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4 of the terminal 100 worn by the war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4 The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to the processing unit 123, and the processing unit 123 operat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is activated to generat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ard as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123 . The processing unit 123 processes the ward's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24,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4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ward's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ove 130 formed inside the outer body 110 .

상기 홈부(130)는 외부에서 IC칩 모듈(140)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단말기의 상부 표면 또는 저부 표면에서 단말기의 내부로 파내려가 형성하거나 또는 그 측면에서 그 내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표면 또는 저부 표면에서 뚫어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IC칩 모듈(140)을 내장시킨 다음, 그 위에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야 하지만, 그 측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그러한 뚜껑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그 측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e groove part 130 forms a space in which the IC chip module 140 can be embedded from the outside. The groove 130 may be formed by digging down from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or may be formed from the side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In the case of drilling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the IC chip module 140 should be embedded and then a lid (not shown) should be formed thereon. There are no advantages.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ed on the side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홈부(130)는 측면에서 형성할 경우, 가늘고 길게 바깥 부분에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향하여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IC칩 모듈(140)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130)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질 상기 IC칩 모듈(140)과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상기 작동부재(120)를 공간적으로 이격되어지도록 한다. When the groove part 130 is formed on the side, a predetermined hole is formed from the thin and long outer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110, and the IC chip module 140 is provided. it is desirable The groove part 130 allows the IC chip module 140 to be mounted therei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on member 120 already mounted inside the outer body 110 .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홈부(130)에 내장된 IC 칩 모듈(140)을 포함하고 있다.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for patients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C chip module 140 embedded in the groove 130 .

상기 IC칩 모듈(140)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IC칩(144)과, 그 IC칩(144)에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코일(14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플라스틱 카드(10)에서 사용되고 있는 IC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 카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IC칩(144)을 사용함으로써,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입력해야 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기(100)의 작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IC 칩 모듈(140)은 카드 발급단계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IC chip module 140 includes an IC chip 144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ard and an antenna coil 142 connected to the IC chip 144 . The IC chip module 140 may use the IC chip used in the plastic card 10 . By using the IC chip 144 used in the plastic card, the terminal 100 can be oper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not shown) that needs to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nto the wearable terminal 100. in order to do The IC chip module 140 can be used b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ard issuing step.

상기 IC 칩 모듈(140)은 상기 홈부(130)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C 칩 모듈(140)이 상기 홈부(13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장착되어지면, 상기 IC 칩 모듈(14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작동부재(120)에 공간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The IC chip module 140 may be used by being mounted in the groove part 130 . When the IC chip module 140 is mounted into the outer body 110 of the terminal through the groove 130, the IC chip module 140 is attached to the operating member 120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spatially contiguous.

상기 IC칩 모듈(140)은 외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 IC chip module 140 may be operated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with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도 5는 상기 IC칩 모듈(140)이 접촉식으로 작동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6은 상기 IC칩 모듈(140)이 비접촉식으로 작동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IC chip module 140 is operated in a contact manner, while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IC chip module 140 is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IC 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읽어들이는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for patients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that read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140.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는 상기 IC 칩 모듈(140)이 외부에서 단말기(10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면, 상기 IC 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1차적으로 읽어들인 다음, 그 개인정보를 작동부재(120)의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2차적으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처리부(123)로 입력되어진다.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되어지도록 해준다.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primarily read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140 when the IC chip module 140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100 from the outside. Next, it performs a function of secondarily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inside the operating member 120.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inally input to the processing unit 123 through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50 . The processing unit 123 allow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to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는 상기 IC칩(144)과의 관계에서 접촉식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비접촉식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IC칩 모듈(140)이 접촉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ISO 17816 방식으로 작동되어지고, 상기 IC칩 모듈(140)이 비접촉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ISO 14443 방식으로 작동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may be operated in a contact method or a non-contact method in relation to the IC chip 144 . When the IC chip module 140 is used in a contact type,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SO 17816 method, and when the IC chip module 140 is used in a non-contact type, it is prefera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ISO 14443 method.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에 있는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for patients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126 for copying and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상기 메모리부(126)는 상기 IC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던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전송받아 자신이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처리부(123)에서 요청할 경우, 언제든지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는 피보호자가 어느 곳에 있든지 상관없이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주변에서 전자기적인 변화를 일으킬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이므로, 피보호자가 처해 있는 위치에서 상기 IC칩 모듈(140)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이미 저장하고 있는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그리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memory unit 126 receiv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140 and stores it, and if requested by the processing unit 123,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sent to the processing unit ( 123).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123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processing unit 123 regardless of where the ward is located. Since the IC chip module 140 operates only when electromagnetic changes occur in the surroundings, even if the IC chip module 140 is not activated at the location where the ward is located, it is already stored in the memory unit 126. This is to ensure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safely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123 under any circumstances.

상기 메모리부(126)를 형성할 경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는 접촉식이건 비접촉식이건 상관없이,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안전하게 상기 처리부(123)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memory unit 126 is form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can be safely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123 whenever there is a request from the processing unit 123,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contact type or a non-contact type.

본 발명은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한 IC칩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210) of manufacturing an IC chip module into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input.

상기 IC칩 모듈의 제조단계(S 210)는 통상의 플라스틱 카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수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합지하고, 이들을 가열가압하여 하나의 통합된 플라스틱 시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시트의 내부에 코일안테나(142)를 포함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가열가압하여 단일의 합지된 플라스틱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합지된 플라스틱 시트가 완성되어지면, 외부에서 정밀 가공작업에 의해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IC칩(144)을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IC칩(144)과 상기 코일안테나(142)의 전기적인 연결은 당연한 것이다.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IC chip module (S210) may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plastic card manufacturing method. This method may proceed in a manner in which a plurality of plastic sheets are laminated and heated and pressed to form one integrated plastic shee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ingle laminated plastic sheet by heating and pressing a plurality of plastic sheets in a state where the coil antenna 142 is included inside the plastic sheet. When the single laminated plastic sheet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hole is formed by precision processing from the outside, and the IC chip 144 is mounted in the hole. At this tim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C chip 144 and the coil antenna 142 is natural.

상기 IC칩(144)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은 플라스틱 카드(10)의 발급과정에서 카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e method of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nto the IC chip 144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ard user in the process of issuing the plastic card 10 .

상기 IC칩(144)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어지면, 상기 IC칩(142)의 주변을 따라, 절취선(146)을 형성한다. 상기 절취선(146)은 힘을 가할 경우, 플라스틱 카드에서 상기 IC칩(144)을 포함한 IC칩 모듈(140)을 분리시키게 된다.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input to the IC chip 144, a perforated line 146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C chip 142.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perforated line 146, the IC chip module 140 including the IC chip 144 is separated from the plastic card.

본 발명은 상기 IC칩 모듈(140)을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에 형성된 홈부(130)의 내부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IC칩 장착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장착단계(S 220)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10)에서 분리된 IC칩 모듈(140)을 취하고, 그 IC칩 모듈(140)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또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는 측면에서 밀어 넣어서 홈부(130)의 내부에 장착하는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홈부(130)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홈부(130)의 내부로 밀려들어온 상기 IC칩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와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 chip mounting step (S220) of mounting the IC chip module 140 by pushing it into the groove 130 formed in the outer body 110 of the posi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The IC chip mounting step (S220) takes the IC chip module 140 separated from the plastic card 10 and pushes the IC chip module 140 from top to bottom or from bottom to top or from the side, It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inside of (130). The groove 130 is formed inside the outer body 110 of the wearable terminal and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The groove part 130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nal operating member 120 of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bu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IC chip module 140 pushed into the groove 130 is moun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nal operating member 120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 IC칩(144)에서 단말기 내부의 작동부재로 전송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tep (S230) of transmitting from the IC chip 144 to an operating member inside the terminal, and recognizing and proces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by the operating member.

상기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IC칩 모듈(140)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사이에서 상호간에 인터페이스 작용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IC칩 모듈(140)에 속하는 IC칩(144)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가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120)가 메모리부(126)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26)와 상기 IC칩(144)의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126)는 상기 IC 칩(144)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읽어들이고 그 개인정보를 저장한 다음, 그 개인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하여 그곳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tep (S230) includes a process of interfacing between the IC chip module 140 located inside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and the internal operation member 120 of the terminal do. In this case, information is exchanged between the IC chip 144 belonging to the IC chip module 140 and the internal operation member 120 of the terminal. When the operation member 120 includes the memory unit 126, information is exchanged between the memory unit 126 and the IC chip 144. In this case, the memory unit 126 read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IC chip 144, store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123 so that it can be processed there. desirable.

상기 IC칩(144)과 상기 작동부재(120) 사이의 개인정보의 교환방식은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진행되어지고,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비접촉식의 경우, 상기 IC칩(144)이 상기 코일안테나(142)에 의해 활성화되어지면, 이들은 ISO 14443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접촉식의 경우, ISO 7816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IC칩(144)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가 읽어들이고, 그 개인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및 메모리부(126)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처리부(123)는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서 작동할 수 있다. The exchange of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the IC chip 144 and the operating member 120 is performed through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and may be performed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In the case of a non-contact type, when the IC chip 144 is activated by the coil antenna 142, they may proceed in an ISO 14443 manner. (In the case of the contact type, it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ISO 7816 method.) In this process,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read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from the IC chip 144,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read by the internal operation member 120 and the memory unit 126 of the terminal. will be stored on its own. The processing unit 123 may operate by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from the memory unit 126 if necessary.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처리부(123) 및 메모리부(126)가 그 신호를 교환하게 되고, 상기 처리부(123)의 명령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상기 IC칩(144)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자신의 메모리부(126)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process, the processing unit 123 and the memory unit 126 of the internal operating member 120 of the terminal exchange signals, and the IC is transferred from the memory unit 126 by the command of the processing unit 123. It is preferable to read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hip 144, copy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126 of the ward.

일단, 상기 메모리부(126)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자신의 내부 영역에 저장하게 되면, 상기 처리부(123)는 상기 IC칩 모듈(140) 내지 상기 IC칩(144)에 저장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직접 읽어들이지 않고,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그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이 필요한 이유는, 상기 IC칩 모듈(140)은 그 주변의 전기장이 변화될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는데, 피보호자가 처해 있는 위치가 전자기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났거나, 전자기의 변화가 발생될 수 없는 지역에 처했을 경우에는 활성화될 수 없고,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Once the memory unit 126 stores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in its internal area, the processing unit 123 stores the ward'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140 to the IC chip 144.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memory unit 126 without directly reading it. The reason why this method is necessary is that the IC chip module 140 can be activated only when the electric field around it changes, and the location where the ward is out of the area that can cause electromagnetic change or the electromagnetic This is because if you are in an area where change cannot occur, it cannot be activat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cannot be utilized.

본 발명은 피보호자에게 단말기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240) of using the terminal by having the ward wear it.

이와 같은 단계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se steps are normally perform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피보호자의 위치를 광역 위치정보로 관리하지만, 피보호자가 스스로 근접 위치정보 시스템으로 전환하거나,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요청할 경우, 상기 처리부(123)에서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그로 인하여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normally manages the location of the ward as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but when the ward voluntarily switches to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system or the guardian requests the location of the ward, the processing unit 123 provides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is issued, and thus, together with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can be simultaneously sent from the memory unit 126.

한편, 본 발명은 이처럼 유용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에 입력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할 필요도 없이, 플라스틱 카드의 발급과정에서 카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과정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wants to input such useful personal information of a ward into a wearable terminal,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ard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ssuing a plastic card is almost intact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input device. There are advantages to using it.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wearable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pecifically presented, but this is only embodi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only to the items mentioned abo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it will be clear tha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 (본 발명)
110 : 몸체부, 120 : 작동 부재,
121 : 위치정보 획득부, 123 : 처리부,
124 : 통신부, 125 : 전원부,
126 : 메모리부, 130 : 홈부,
140 : IC칩 모듈, 142 : 코일 안테나,
144 : IC칩, 150 : IC칩 정보수집부,
10 : 플라스틱 카드.
100: wearable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this invention)
110: body part, 120: operating member,
121: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3: processing unit,
124: communication unit, 125: power unit,
126: memory unit, 130: groove unit,
140: IC chip module, 142: coil antenna,
144: IC chip, 150: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 plastic card.

Claims (7)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121),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고 있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상부 표면에서 내부로 또는 하부 표면에서 내부로 또는 측면에서 내부로 향하여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홈부(130)와;
상기 홈부(130)에 내장되어 있고, 코일 안테나(142)와 IC칩(144)으로 형성된 IC칩 모듈(140)과;
상기 작동부재(120)와 상기 IC칩 모듈(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IC칩 정보수집부(150);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는 상기 IC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1차적으로 읽어들이고, 상기 개인정보를 2차적으로 상기 작동부재(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An outer body 110 required to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a ward, and an operating member 120 that is mounted inside the outer body to func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A processing unit 123 that internally processes and manages the acquire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124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supply unit 125 that supplies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In the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that includes,
a groove 130 forming an empty sp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0 to the inside,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inside, or from the side to the inside;
an IC chip module 140 embedded in the groove 130 and formed of a coil antenna 142 and an IC chip 144;
an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on member 120 and the IC chip module 140; contains,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primarily read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module 140 and secondarily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member 120. Thing
Characterized by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C칩 모듈(140)과 상기 작동부재(120)는 상호간에 인터페이스 작용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정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정보교환은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진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According to claim 1,
The IC chip module 140 and the operation member 120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a process of interfacing with each other,
The information exchange is performed through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Characterized by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20)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에 있는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를 더욱 포함하고 있고,
상기 메모리부(126)는 처리부(123)의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시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According to claim 3,
The operation member 120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126 for copying and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The memory unit 126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time to time to the processing unit 123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processing unit 123.
Characterized by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정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접촉식 정보교환은 ISO 7816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상기 비접촉식 정보교환은 ISO 14443 방식으로 진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According to claim 3,
Through the IC chi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information is exchanged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The contact information exchange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ISO 7816 method, or
The non-contact information exchange is carried out in the ISO 14443 method
Characterized by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126)가 상기 IC칩(144)으로부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한 이후,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되어지고,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According to claim 4,
After the memory unit 126 copies and stor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ard from the IC chip 144,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by the request signal of the processing unit 123,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 is separately installed with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and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proximal location information of a ward.
Characterized by a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100).
삭제delete
KR1020210001211A 2021-01-06 2021-01-06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513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en) 2021-01-06 2021-01-06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en) 2021-01-06 2021-01-06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31A KR20220099231A (en) 2022-07-13
KR102513193B1 true KR102513193B1 (en) 2023-03-23

Family

ID=8240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en) 2021-01-06 2021-01-06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93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71B1 (en) * 2003-08-19 2005-12-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ayment transaction terminal for contact and contactless card
KR101021573B1 (en) 2008-10-29 2011-03-22 이상훈 Position tracking system
KR101032549B1 (en) 2009-02-25 2011-05-06 서용선 Install method of chip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KR20170043267A (en) * 2015-10-13 2017-04-21 문지연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person and devices for same
KR20170104865A (en)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Real-time Identifying User Location System based on wrist type band
KR102437617B1 (en) 2018-04-02 2022-08-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osition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31A (en)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137B2 (en) Proximity locator system
CN107005282A (en) Th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activated for electronic installation
CN103795430A (en) Multifunction single antenna for contactless systems
US11173073B2 (en) Monitoring incontinence events
CN101655916A (en)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and transformation system
JP4701333B2 (en) Mobile body monitoring system in hospital
CN106779023A (en) A kind of intelligent Checking on Work Attendance bracelet and Work attendance method
JP2006004015A (en) Battery-less type program controllable rfid transponder with logic circuit
JP6191163B2 (en) Watch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3473578A (en) Tumble alarming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and tumble alarming method
KR102513193B1 (en)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452966B2 (en) Sensor device for wearable device generating power-on trigger signal
JP2005142855A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1817919B1 (en) Electronic Anklet using RFID Tag Identification for Feeble Minded People
JP2016123571A (en) Nursing support terminal device, nursing support system, and nurs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Yang et al. A flexible surface wetness sensor using a RFID technique
WO2002041237A1 (en) A system for non-contact identification and retrieval of an individuals personal information
TW200929913A (e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its electronic device
EP2575085B1 (en)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managing interactions of a person with objects
CN207304140U (en) Bracelet
KR200422565Y1 (en) setting system of intellectual life environment using RFID
TWM346996U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209139U (en) Fiber or plastic package,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y fiber or plastic package
CN203535658U (en) Tumble alarming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EP3118399A1 (en) Intelligent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