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964B1 -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 Google Patents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964B1
KR102512964B1 KR1020200088900A KR20200088900A KR102512964B1 KR 102512964 B1 KR102512964 B1 KR 102512964B1 KR 1020200088900 A KR1020200088900 A KR 1020200088900A KR 20200088900 A KR20200088900 A KR 20200088900A KR 102512964 B1 KR102512964 B1 KR 10251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door
film
lay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252A (ko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김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원 filed Critical 김진원
Priority to KR102020008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9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blank frame)의 레일에 장착되는 방진창짝(110);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외기측필터층(120); 및,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는 실내측필름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은 외기 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은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상기 실내측필름층(1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에는, 일부 영역이 절개된 실내측필름개구부(140); 및,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거나 닫는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이 포함되어 상기 방진창짝(110)이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회전시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면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이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Rotary Opening Type Dust Protection Window}
본 발명은 필터와 필름의 이중창 구조를 가지면서 필요에 따라 필름의 일부 영역을 로터리 방식으로 개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여과된 공기만 실내로 유입되게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창짝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에 방충망이 설치된다.
방충망은 창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컨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방충망이 롤스크린 방식으로 설치되고, 미서기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마련된 별도의 레일에 방충망프레임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여닫이 창호에 설치된 롤스크린 방충망과 관련하여 종래 공개특허 제10-2014-0137137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여닫이 창호에 구비된 방충망은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위치된 하우징 내의 권취롤에 권취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황사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하, 미세먼지라 통칭함)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충망과 함께 이중구조로 미세먼지 필터망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 미세먼지 필터망을 프레임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너무 미세하여 오염 및 소재자체(Nano망)의 내구성, 통기율, 가시성 등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 미세먼지가 나쁜 날은 제한적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여름과 초가을에는 미세먼지 필터망 구조에 의해 불필요하게 환기율을 낮추고 시야를 차단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미세먼지 필터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롤스크린 방식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미세먼지 필터망을 롤스크린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필터망의 미사용시 이를 권취 보관할 수 있는 롤하우징의 구조가 필요하며, 창틀프레임에는 이러한 롤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서기 창호의 경우는 실외측 창짝과 방충망프레임 사이에 미세먼지 필터망이 감김 보관되는 롤하우징을 배치할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것처럼(공개특허 제10-2019-0082473호) 창틀프레임(10);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부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좌우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식 방충망(110); 및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부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좌우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120);을 포함하는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가 제안되었으나, 절첩식 방충망(110)과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120)이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구조가 되어 방충망 구조와 필터망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복잡한 절첩식 구조를 사용하고, 실외측 창짝의 개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 제10-2014-0137137호
공개특허 제10-2019-0082473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창짝의 개폐가 용이하고, 창호의 일부 영역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환기과정에서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방진 창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blank frame)의 레일에 장착되는 방진창짝(110);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외기측필터층(120); 및,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는 실내측필름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은 외기 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은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상기 실내측필름층(1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에는, 일부 영역이 절개된 실내측필름개구부(140); 및,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거나 닫는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이 포함되어 상기 방진창짝(110)이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열면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이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도 필름층에 형성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실내환기가 가능하며, 실내환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필터층을 통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다.
둘째, 필름층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설계할 경우 2개로 구분되 대칭 구조를 이루는 개구부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셋째, 외측창짝(210), 내측창짝(410) 및 중간창짝(310)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창짝(210), 내측창짝(410) 및 중간창짝(310)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외측창짝(210)과 내측창짝(410)은 같은 위치에 겹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중간창짝(310)은 겹쳐진 외측창짝(210)과 내측창짝(41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온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도록 설계할 경우 필요에 따라 외측창짝(210)만 개방할 경우 외측창짝(210)과 중간창짝(310)이 겹치면서 내측창짝(410)을 통한 외부조망도 가능하고, 이런 상태에서 중간창짝(310)에 구비된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을 회전시켜 중간창필름개구부(340)를 개방할 경우 외부조망과 함께 실내환기 및 미세먼지 유입 차단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외측창짝(210)의 외창필터층(220)과 중간창짝(310)의 중간창필터층(320)을 통하여 2단계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실내측필름개구부(14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2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외측창짝(210), 내측창짝(410) 및 중간창짝(31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는 방진창짝(110), 외기측필터층(120), 및 실내측필름층(130)을 포함하고, 실내측필름층(130)에는 실내측필름개구부(140)와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이 구비된다.
방진창짝(110)은 창틀(blank frame)의 레일에 장착되며, 일반적인 창짝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설계되는데, 첨부도면에는 세부 구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간략하게 외형만 도시하였다.
방진창짝(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자재 또는 목재,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자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첨부도면에 별도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창틀의 레일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위하여 롤러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진창짝(110)에는 유리(glass)가 설치되는 일반적인 창호와는 달리 외기측필터층(120)과 실내측필름층(13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기측필터층(120)과 실내측필름층(130) 사이의 빈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외기측필터층(120)은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외기 측에 위치하는데,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기측필터층(120)의 결합 구조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방충망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외기측필터층(120)을 형성하는 소재는 현재 필터용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MB필터(Melt Blown Filter)나 나노필터(Nano Filter)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내측필름층(130)은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실내 측에 위치하는데, 외기측필터층(1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중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외기측필터층(120)과 실내측필름층(13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면 공기층과 외기 사이의 압력차(양압 또는 음압)에 따라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외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외기측필터층(120)에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의 여과가 이루어지고,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외기측필터층(120)에 붙어 있는 미세먼지를 외기측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있다.
외기측필터층(120)을 통과한 미세먼지는 공기층 내부의 실내측필름층(130) 표면의 정전기에 의하여 실내측필름층(130)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내측필름층(130)은 어느 정도 두께와 강성을 지닌 폴리에틸렌(PE)이나 PVC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실내측필름층(130)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측필름개구부(140)와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이 구비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실내측필름층(130)에 1개씩만 구비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나의 실내측필름층(130)에 2개 이상씩 구비될 수도 있다.
실내측필름개구부(140)는 실내측필름층(13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부분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은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거나 닫는 개폐문 역할을 한다.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회전시켜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개방하면 방진창짝(110)이 닫힌 상태에서도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통한 환기가 가능하고,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기측필터층(120)을 통과하면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여과되어 차단된다.
실내측회전축지지대(160)의 양측 단부는 방진창짝(110)의 실내 측에 결합되어 방진창짝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이 장착된다.
즉,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은 실내측회전축지지대(16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개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는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2개로 나누어 형성되되,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실내측필름개구부(14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회전시키면 실내측필름개구부(140) 2개가 동시에 서서히 닫히거나 열리는 구조가 된다.
도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외측창짝(210), 내측창짝(410) 및 중간창짝(31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외측창짝(210)은 창틀(blank frame)의 외측 레일에 장착되고, 내측창짝(410)은 창틀의 내측 레일에 장착되고, 중간창짝은 창틀의 중간 레일에 장착되는데, 외측창짝(210), 내측창짝(410) 및 중간창짝(310)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외측창짝(210)과 내측창짝(410)은 같은 위치에 겹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중간창짝(310)은 겹쳐진 외측창짝(210)과 내측창짝(41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온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가 된다.
외창필터층(220)은 외측창짝(2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창필터층(220)은 외기측필터층(12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다.
내창필름층(430)은 내측창짝(410)에 테두리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내창필름층(430)은 실내측필름층(13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다.
중간창짝(310)에는 도3에 도시된 방진창짝(110)과 마찬가지로 필터층과 필름층의 이중 구조를 이루게 되면서 방진창짝(11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중간창필터층(320)은 중간창짝(310)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외기 측에 위치하며,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한다.
중간창필름층(330)은 중간창짝(310)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실내 측에 위치하며, 중간창필터층(3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면서 중간창필터층(320)과 중간창필름층(3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중 구조가 된다.
이러한 중간창필름층(330)에는 방진창짝(110)과 마찬가지로 일부 영역이 절개된 중간창필름개구부(340)와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중간창필름개구부(340)를 열거나 닫는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이 구비된다.
이러한 중간창필름개구부(340)와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의 형태도 도5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4에 도시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중간창회전축지지대(360)의 양측 단부는 중간창짝(310)의 실내 측에 결합되는데, 중간창회전축지지대(360)에는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의 회전축이 장착된다.
즉,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은 중간창회전축지지대(36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개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0:방진창짝
120:외기측필터층
130:실내측필름층
140:실내측필름개구부
150: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
160:실내측회전축지지대
210:외측창짝
220:외창필터층
310:중간창짝
320:중간창필터층
330:중간창필름층
340:중간창필름개구부
350: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
360:중간창회전축지지대
410:내측창짝
430:내창필름층

Claims (5)

  1.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blank frame)의 레일에 장착되는 방진창짝(110);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외기측필터층(120); 및,
    상기 방진창짝(1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는 실내측필름층(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은 외기 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은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기측필터층(120)과 상기 실내측필름층(1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측필름층(130)에는,
    일부 영역이 절개된 실내측필름개구부(140); 및,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거나 닫는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
    이 포함되어 상기 방진창짝(110)이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회전시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를 열면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측필터층(120)이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2. 제1항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방진창짝(110)의 실내 측에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이 장착되는 실내측회전축지지대(1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는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2개로 나누어 형성되되,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고,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실내측개폐식차단필름(150)을 회전시키면 상기 실내측필름개구부(140) 2개가 동시에 서서히 닫히거나 열리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4.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blank frame)의 외측 레일에 장착되는 외측창짝(210);
    상기 외측창짝(2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외창필터층(220);
    창틀(blank frame)의 내측 레일에 장착되는 내측창짝(410);
    상기 내측창짝(410)에 테두리가 결합되는 내창필름층(430);
    창틀(blank frame)의 중간 레일에 장착되는 중간창짝(310);
    상기 중간창짝(3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중간창필터층(320); 및,
    상기 중간창짝(310)에 테두리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창필터층(320)과 미리 설정된 간격(gap)을 유지하는 중간창필름층(3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창필터층(320)은 외기 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창필름층(330)은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창필터층(320)과 상기 중간창필름층(3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창필름층(330)에는,
    일부 영역이 절개된 중간창필름개구부(340); 및,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간창필름개구부(340)를 열거나 닫는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
    이 포함되고,
    상기 외측창짝(210), 상기 내측창짝(410) 및 상기 중간창짝(310)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측창짝(210)과 상기 내측창짝(410)은 같은 위치에 겹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중간창짝(310)은 겹쳐진 상기 외측창짝(210)과 상기 내측창짝(41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온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고,
    상기 중간창짝(310)이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을 열면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중간창필터층(320)이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5. 제4항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중간창짝(310)의 실내 측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창개폐식차단필름(350)의 회전축이 장착되는 중간창회전축지지대(3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KR1020200088900A 2020-07-17 2020-07-17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KR10251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00A KR102512964B1 (ko) 2020-07-17 2020-07-17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00A KR102512964B1 (ko) 2020-07-17 2020-07-17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52A KR20220010252A (ko) 2022-01-25
KR102512964B1 true KR102512964B1 (ko) 2023-03-21

Family

ID=8004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00A KR102512964B1 (ko) 2020-07-17 2020-07-17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9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41A (ja) 2003-04-25 2004-11-18 Takashi Yamagaito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KR100721715B1 (ko) 2006-06-15 2007-05-25 양현수 개폐식 소통창이 구비된 방범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58Y1 (ko) * 1994-08-09 1998-10-15 김경태 원형창문의 개폐장치
KR20110084600A (ko) * 2010-01-18 2011-07-26 (주)에어힉스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KR102359553B1 (ko) * 2017-04-05 2022-02-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41A (ja) 2003-04-25 2004-11-18 Takashi Yamagaito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KR100721715B1 (ko) 2006-06-15 2007-05-25 양현수 개폐식 소통창이 구비된 방범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52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2702A1 (en) Pivotally Mounted Window and Screen Assembly
KR102512964B1 (ko)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KR20140078843A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US2758344A (en) Window with stationary, pivoted and hinged frames
JP2007506882A (ja) 網部を有する窓
CN211313984U (zh) 一种防雨窗
CN202380956U (zh) 一种活动百叶门窗
US6612358B2 (en) Dual track storm door
US7730689B2 (en) Window arrangement to aid in the reduction of unwanted air movement in or out of windows
US2513278A (en) Combined storm window awning and screen
CN219412372U (zh) 一种具有排风功能的地下防空门
KR101776296B1 (ko) 창호 통풍구조
CN220645665U (zh) 一种密封型推拉门窗
KR100450253B1 (ko) 완전차광형 블라인드
JPH0211589Y2 (ko)
CN210118052U (zh) 一种防雨窗
RU2511830C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оконных и две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открытием
KR200373238Y1 (ko) 창문의 눈비막이 구조
CN212054403U (zh) 一种微通风窗
KR102182331B1 (ko) 기밀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자연환기 시스템
KR20190021781A (ko) 미세먼지 차단 스크린 창
KR20190002813A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CN208456400U (zh) 一种手摇外开窗
JPH0810148Y2 (ja) 離脱不可能な窓構造
KR20160120857A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