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959B1 -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959B1
KR102512959B1 KR1020210114746A KR20210114746A KR102512959B1 KR 102512959 B1 KR102512959 B1 KR 102512959B1 KR 1020210114746 A KR1020210114746 A KR 1020210114746A KR 20210114746 A KR20210114746 A KR 20210114746A KR 102512959 B1 KR102512959 B1 KR 10251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b body
sub
unit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197A (ko
Inventor
박강일
김용성
김재용
손경태
권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이티
Priority to KR102021011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9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8Mechanical details, e.g. fixation holes, reinforcement or guiding means; Perforation lines; Ink holding means; Visually or otherwise detectable marking means; Stenci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25Screens or stencils;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일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상에 마스크가 탈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서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바디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 장치{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태양전지용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또는 반도체 공정 등의 표면접합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공정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의 납땜에 사용되는 솔더페이스트(Solder Paste) 등은,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기법에 의하여 PCB(인쇄 배선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인쇄 배선 회로 기판)에 장착되고, 이어진 적외선 오븐 (Infrared Reflow Oven)에 의하여 솔더페이스트의 PCB 접합 공정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스크린 인쇄 과정에 있어서, 메탈마스크(Metal Mask)는 표면접합 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 등에 칩 등을 장착하기 위해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경우에 사용되거나, 또는 광원에 노출시키는 노광(露光) 작업 시 사용되는 금속 박막을 일컫는다.
메탈마스크는 일명 스텐실 마스크(Stencil Mask)라고도 하며, 마스크에는 미세한 구멍이 타공되어 있어, 마스크에 정해져 있는 패턴대로 프린팅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스크린 프린터, 노광장치 또는 세척장치 등의 장비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다른 패턴의 마스크가 요구될 때에는 수시로 교체되기도 한다.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프린팅 장비 등에 상기 마스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통상 마스크를 장착하는 별도의 프레임이 사용되며, 메탈마스크는 프레임에 사전 장착된 다음 장비에 투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장착 프레임은 공정 과정에서 마스크가 기판 등에서 들뜨지 않도록 마스크를 사방으로 인장시키는 인장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상당하고, 따라서 그 부피와 무게가 작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전체 공정에 있어서 공정의 오차를 줄이고 높은 품질의 반도체 칩 등을 생산해내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장착 프레임을 프린팅 장비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메탈 마스크는 잦은 교체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므로, 탈부착이 쉽게 가능하며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고정부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14398(공개일 2015년 11월 25일) 에는 메탈마스크 고정장치(apparatus for setting metal mask)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고정부와 프레임부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제공하여, 메인 바디에 대한 서브 바디의 상대적 이동을 통하여, 고정부와 프레임부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기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프레임부와 고정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일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상에 마스크가 탈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서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바디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결속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부는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한 상기 서브 바디의 상대적 이동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의 하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요소와 상기 홈은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요소는 수축되고,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프레임부의 홈과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바디의 경사면과 맞닿아 하강하며 상기 서브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롤러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탄성요소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요소와 상기 홈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는, 연결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 및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 또는 네 개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고정부와 프레임부가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제공하여, 메인 바디에 대한 서브 바디의 상대적 이동을 통하여, 고정부와 프레임부가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프레임부와 고정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서브 바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서브 바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부가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결합시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결합 해제시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서브 바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서브 바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부가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결합시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결합 해제시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마스크(M)가 탈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부(100), 프레임부 상측에 위치하고 프레임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200),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고정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장치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주로 사각의 형상일 수 있으며, 다만 프레임부의 형상이 반드시 사각의 형상으로 제한되거나 다른 형태를 형성될 수 없다는 뜻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프레임부는 일면에 마스크(예를 들면, 메탈 마스크(Metal Mask))(M1)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된 마스크는 미세한 구멍이 타공되어 있거나 또는 패터닝(Patterning) 되어 있어, 상측의 프린팅 유닛 등에 의하여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와 같은 인쇄 대상 물질을 원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의 상면은 고정부의 하면과 대응되어, 후술할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부에, 프레임부가 결속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하여, 프레임부의 상면은, 후술할 서브 바디와 결합되기 위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고정부를 프레임부와 결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정부의 상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주로 유압을 사용하는 실린더(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310) 일 수 있으며, 후술할 고정부의 서브 바디의 이동을 제어하여 고정부와 프레임부의 결속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0)는 메인 바디(210)와 서브 바디(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부는 프레임부의 일 단부의 형상과 대응하여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210)는 고정부의 주축이 되어 서브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타 장치(예를 들면, 프린팅 유닛(Printing Unit))와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 장치의 틀을 형성하는 외골격에 해당한다.
서브 바디(220)는, 메인 바디(210)에 결합되어, 메인 바디와 함께 고정부(200)를 구성한다. 서브 바디는 구동부(300)에 의하여 구동되어, 메인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되거나, 메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브 바디가 메인 바디와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경우, 프레임부와 고정부의 결속이 고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 내지 도5을 참조하여, 고정부(200)를 이루는 메인 바디(210)와 서브 바디(220)의 자세한 구조적 형상을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각각 메인 바디(210)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및 도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는 서브 바디를 지지하는 외골격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메인 바디는 직사각 기둥(210a)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 바디에는, 서브 바디를 안착시키기 위한 리브(Rib)(211)가 직사각 기둥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상기 직사각 기둥 상면에는, 타 장비(예를 들면, 프린팅 유닛(Printing Unit))등을 고정부 상측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바디는 서브 바디를 결합 및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가이드라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리브(211)에는, 후술할 서브 바디의 체결요소가 하측으로 관통되어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214)가 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바디 직사각 기둥의 일 측면에는, 후술할 탄성요소가 장착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No-Through Hole)(2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각각 서브 바디(220)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서브 바디는 메인 바디와 같이 직사각 기둥(220a)의 형태로 형성되며, 서브 바디는 메인 바디의 상기 리브(211) 위에 안착된다.
서브 바디는 메인 바디의 리브 위에서 슬라이딩 되며, 메인 바디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을 할 수 있다.
서브 바디의 이동은, 구동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서브 바디는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경사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은 서브 바디 상면에 형성되며, 서브 바디 양단의 일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서브 바디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면의 수에 대응하여 구동부가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경사면과 그에 대응하는 구동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안정적으로 서브 바디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서브 바디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의 수, 경사면의 형상, 및 경사면이 기울어진 각도는 도 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입장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브 바디는, 서브 바디의 하면에 형성되어, 프레임부와의 결속될 수 있는 체결요소(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요소는, 서브 바디가 메인 바디의 상기 리브(211)에 안착될 경우, 리브에 형성된 상기 개구(214)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하측에 배치된 프레임부와 접촉될 수 있다.
서브 바디의 체결요소(222)는, 프레임부의 홈(110)과 결속되기 위하여 주로 갈고리(Hook) 모양의 형상을 띌 수 있다. 그러나 체결요소는 갈고리 모양 이외에도 결속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드시 갈고리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서브 바디 하면의 체결요소(2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요소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요소는 프레임부와의 결합시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프린팅 유닛에 의한 프린팅 과정에서 정밀도를 높이고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서브 바디의 양단에는 전술한 메인 바디의 가이드라인(213)과 결합되어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결합요소(223)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가이드라인(213)과 서브 바디의 가이드라인 결합요소(223)의 상호 구속으로 인하여, 서브 바디의 메인 바디로부터의 상대적 이동이 이루어질 때 원하는 단방향(One-Dimension)의 이동만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체결 및 해제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의 양 측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의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의 네 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가 프레임부의 네 측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가 프레임부의 양 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프레임부를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장치의 유격(裕隔)을 줄일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210)과 서브 바디(220)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예를 들면, 스프링(Spring))(23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요소는 복원력을 가진 부재를 의미하며, 반드시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바디(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같이, 메인 바디(210)와 상대적으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수평 이동을 수행하는데, 이를 통하여 프레임부(100)와 고정부를 결속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요소(230)는,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서브 바디의 이동에 관여한다.
도8은, 구동부가 구동되어, 서브 바디가 메인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8을 참조하면, 구동부는, 실린더(310)에 장착되어 상하로 운동하는 롤러(Roller)(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311)는 실린더에 의해 서브 바디의 경사면(221)과 맞닿아 하강한다. 롤러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서브 바디(220) 본체를 메인 바디(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서브 바디가 메인 바디와 밀착되는 경우, 서브 바디 하면의 체결요소(222)는 프레임부 상면의 홈(110)과 결속된다. 체결요소와 프레임부 홈의 결속으로, 프레임부는 고정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도9는, 서브 바디(220)가 메인바디(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9를 참조하면, 이 경우, 구동부의 롤러(311)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서브 바디(220)를 메인 바디 방향으로 가압시키던 압력이 제거되고,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성요소(230)의 복원력이 작용한다. 탄성요소의 복원력으로 인해, 서브 바디가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브 바디의 하면의 체결요소와 프레임부 상면의 홈의 결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와 프레임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 하측의 프레임부는 장치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다. 더불어, 프레임부에 장착된 마스크(예를들어, 메탈 마스크(Metal Mask))의 타공을 다르게 하거나 다른 패턴이 새겨진 마스크로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프레임부
110: 프레임부 홈
200: 고정부
210: 메인 바디
210a: 메인 바디 직사각 기둥
211: 리브
212: 체결홀
213: 가이드라인
214: 리브 홀
215: 탄성요소 장착 홀
220: 서브 바디
220a: 서브 바디 직사각 기둥
221: 경사면
222: 체결요소
223: 가이드라인 결합요소
230: 탄성요소
300: 구동부
310: 실린더
311: 롤러
M: 마스크

Claims (9)

  1. 일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상에 마스크가 탈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서브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바디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결속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부는 결속이 해제되고,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의 하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형성된 홈;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요소와 상기 홈은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체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요소;
    를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요소는 수축되고,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프레임부의 홈과 맞물릴 수 있는,
    체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경사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바디의 경사면과 맞닿아 하강하며 상기 서브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체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탄성요소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요소와 상기 홈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체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연결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 및
    상기 서브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라인;
    을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 장치.
KR1020210114746A 2021-08-30 2021-08-30 체결 장치 KR10251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46A KR102512959B1 (ko) 2021-08-30 2021-08-30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46A KR102512959B1 (ko) 2021-08-30 2021-08-30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97A KR20230032197A (ko) 2023-03-07
KR102512959B1 true KR102512959B1 (ko) 2023-03-23

Family

ID=8551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746A KR102512959B1 (ko) 2021-08-30 2021-08-30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9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989A (ko) * 2015-07-01 2018-03-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들을 위한 셀프-로킹 홀더
KR102483954B1 (ko) * 2016-01-12 2023-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9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194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WO2005072034A1 (en) Screen printer
KR102512959B1 (ko) 체결 장치
US20150336377A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6320066B2 (ja) ボール搭載用マスクおよびボール搭載装置
JP2014117949A (ja) スクリーンマスク
KR101164593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방법
JP4647686B2 (ja) 仮止め装置
KR101714398B1 (ko) 메탈마스크 고정장치
KR101401293B1 (ko) 연성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장치
JP2008155557A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80073666A (ko) 전기 부품의 접속 장치
KR20120094776A (ko) 스크린프린터의 마스크 폭 조절장치
JP4378896B2 (ja) 基板の下受け方法
CN220776390U (zh) 搭扣结构及载具机构
JP2006019482A (ja) 基板支持機構、基板支持方法、並びに該機構及び方法を利用する部品実装装置、部品実装方法
KR100724524B1 (ko) 인쇄 회로 기판 고정용 지그 조립체
JP2004082441A5 (ko)
JP510682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7168283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用のスキージホルダ
JP388844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1796124B1 (ko) 메탈마스크 지지장치
JP4483690B2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基板下受装置
KR200159188Y1 (ko) 박판인쇄회로 기판 고정장치
CN215529438U (zh) 一种fpc折弯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