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310B1 -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 Google Patents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310B1
KR102512310B1 KR1020210064566A KR20210064566A KR102512310B1 KR 102512310 B1 KR102512310 B1 KR 102512310B1 KR 1020210064566 A KR1020210064566 A KR 1020210064566A KR 20210064566 A KR20210064566 A KR 20210064566A KR 102512310 B1 KR102512310 B1 KR 102512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drill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035A (ko
Inventor
주경호
Original Assignee
(주)보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원산업 filed Critical (주)보원산업
Priority to KR102021006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54Drill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4Means for gu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는, 드릴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천공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동일 깊이의 정교한 천공을 반복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함과 편의성은 물론 균일하고 높은 수준의 대량 작업 품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는,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판상의 하부지지대; 하부지지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승강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며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하부지지대와 수평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되, 상부지지대는, 다수의 상판공이 승강프레임에 대향 형성되는 고정상판; 고정상판과 결합되고 상판공에 대향되는 다수의 하판공이 구비되는 고정하판;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외측 테두리가 소정 폭으로 겹치며 밀착되고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밀착되고 중공부가 일치되는 상하연결판; 및 회전판과 상하연결판 사이에 배치되는 원형의 너트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상판공 내주면에 끼워지는 상판결합단이 돌출되고,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나선공이 통공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에 나선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판 내주면에 톱니 결합되는 회전톱니;를 더 포함하여, 회전판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돌리면 회전톱니가 제자리 회전하되 고정상판, 고정하판 및 상하연결판은 고정되고 상부지지대가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Precision Depth Adjustable Drill Holder}
본 발명은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천공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동일 깊이의 정교한 천공을 반복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함과 편의성은 물론 균일하고 높은 수준의 대량 작업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드릴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지지대가 지면 또는 대상물체에 지지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회전판, 고정하판이 상하로 밀착 형성되면서 하부지지대의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되어 중공부로 드릴이 통과되고 중공부 테두리에 드릴이 거치되도록 하며, 하부지지대에서 직립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승강프레임은 상부지지대를 관통하며 결합되고, 상부지지대의 내측에는 승강프레임이 관통되는 다수의 회전톱니가 구비되되, 회전톱니의 내주면은 나선이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에 나선 결합되고, 회전톱니의 외주면에서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 톱니결합 됨에 따라, 상부지지대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되 회전톱니가 제자리 회전하면서 승강프레임을 따라 나선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부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미세하게 승강이동할 수 있어 천공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일단 설정된 천공 깊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천공 깊이에 맞춰 다수의 천공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드릴은 금속, 목재 등에 구멍을 뚫는 공구로써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드릴은 일반적으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핸드전동드릴을 의미한다.
드릴로 천공을 하고자 하는 가공물에 구멍을 뚫는 데 있어 가공물이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의도하는 천공 깊이에 정확하게 천공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하고 다수의 위치에 동일한 깊이의 천공이 반복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경우를 수반한다.
그런데 드릴을 이용한 천공 작업 시 가공물을 한 손으로 붙잡고 다른 손으로 드릴을 잡은 상태에서 직접 천공을 하게 되면 가공물이 기울어지거나 드릴이 미세하게 기울어지면서 가공물에 수직인 천공이 만들어지기 어렵고 더불어 동일한 깊이의 다수 천공 작업이 필요한 경우 각 구멍마다 천공의 깊이와 경사가 다르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기울어진 상태로 제각기 다른 힘으로 천공 작업이 이뤄지게 되면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도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드릴을 안정적으로 거치한 상태에서 천공 작업이 이뤄질 수 있게 하는 드릴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드릴 거치대는 드릴의 외측면이나 드릴의 전면부를 수용하면서 지지되는 형태로써 높이 조절 기능이 없이 단순히 드릴을 거치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차원에서 설계되거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나사와 볼트의 체결 및 해제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절차가 번거롭고 미세하고 정밀한 높이 조절 자체가 불가하며, 가령 상판과 하판이 연결된 거치대에 있어서는 상판과 하판을 일측의 기둥에서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동일 높이의 대량 천공 작업 시에는 항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정밀하게 맞춰진 천공 깊이에 따라 대량 반복 작업을 하는 게 불가하였다.
결국 종래의 드릴 거치대는 수평 유지, 정밀한 깊이 조절, 대량 천공 작업에 있어 어느 것 하나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정밀하고 섬세한 천공 작업이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653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지지대가 지면 또는 대상물체에 지지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회전판, 고정하판이 상하로 밀착 형성되면서 하부지지대의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되어 중공부로 드릴이 통과되고 중공부 테두리에 드릴이 거치되도록 하며, 하부지지대에서 직립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승강프레임은 상부지지대를 관통하며 결합되고, 상부지지대의 내측에는 승강프레임이 관통되는 다수의 회전톱니가 구비되되, 회전톱니의 내주면은 나선이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에 나선 결합되고, 회전톱니의 외주면에서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 톱니결합 됨에 따라, 상부지지대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되 회전톱니가 제자리 회전하면서 승강프레임을 따라 나선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부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미세하게 승강이동할 수 있어 천공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일단 설정된 천공 깊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천공 깊이에 맞춰 다수의 천공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드릴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천공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동일 깊이의 정교한 천공을 반복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는,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판상의 하부지지대; 하부지지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승강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며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하부지지대와 수평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되, 상부지지대는, 다수의 상판공이 승강프레임에 대향 형성되는 고정상판; 고정상판과 결합되고 상판공에 대향되는 다수의 하판공이 구비되는 고정하판;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외측 테두리가 소정 폭으로 겹치며 밀착되고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밀착되고 중공부가 일치되는 상하연결판; 및 회전판과 상하연결판 사이에 배치되는 원형의 너트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상판공 내주면에 끼워지는 상판결합단이 돌출되고,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나선공이 통공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에 나선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판 내주면에 톱니 결합되는 회전톱니;를 더 포함하여, 회전판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돌리면 고정상판, 고정하판 및 상하연결판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톱니가 제자리 회전하여 회전톱니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공과 결합한 승강프레임을 따라 상부지지대가 승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은,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엠보싱 형태로 연속되어 오목볼록하게 형성되는 회전작동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에 내주면 테두리를 따라서 중공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드릴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을 수용하며 중공부에 끼움 장착되는 드릴장착대;를 포함하되, 드릴장착대는, 내측면으로 드릴의 몸체가 끼움 결합되고 드릴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며 고정하는 몸체장착부; 및 몸체장착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외측면은 중공부 테두리 내측에 끼워지며 지지되고 선단은 개방되어 중공부에 대향되며 드릴의 전면이 배치되는 드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드릴은 드릴장착대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 각각에 통공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공; 및 상하로 대향되는 체결공을 관통하며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부지지대의 회전판을 돌리면 승강프레임을 따라 나선 회전하면서 상부지지대가 승강이동 되므로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로써 가공물에 대한 천공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드릴이 거치되는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은 고정상태를 유지한 채 상부지지대가 승강 이동되므로 드릴을 거치한 상태에서 천공 깊이를 빠르고 간편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상부지지대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 이동되므로 별도의 수평 설정 과정이 필요 없고 높이를 조절하더라도 수평상태가 변형되지 않아 정밀한 천공 작업이 가능하다.
넷째, 회전판을 돌리지 않으면 거치대의 높이는 고정되고 수평상태 또한 변화되지 않으므로 동일한 깊이로 가공물에 수직하게 대량의 천공작업을 수행할 때 동일한 천공 구멍을 작업할 수 있어 전반적인 작업 수준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섯째, 하부지지대가 가공물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승강프레임으로 상하 연결된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중공부에 드릴이 끼움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대량 작업을 하더라도 드릴이 이탈되지 않고 드릴이 장착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을 하므로 사고의 위험이 제거되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부지지대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사용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사용예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하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상부지지대를 분해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사용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의 사용예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이라 함은 목재 혹은 금속에 구멍을 뚫는 공구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 드릴이라 함은 일반적인 포괄적 개념의 드릴을 포함하되 드릴링머신으로써 핸드드릴을 주 개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는 상부지지대(100), 하부지지대(200) 및 승강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하부지지대(200)는 가공물 또는 지면에 밀착되며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부지지대(100)는 드릴을 거치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200)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소정 간격 상하로 이격된 상태이고, 상부와 하부의 각 지지대를 복수의 승강프레임(300)이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연결을 하여 상호 이격된 상태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대(100)는 승강프레임(30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어서 하부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상부지지대(100)의 높이 조절이 이뤄지므로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200) 각각의 중공부(170,210)를 통해 거치되는 드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릴의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높이 조절은 미세하고 정교하게 이뤄지며 드릴이 거치된 상태에서 조절될 수 있고, 한 번 조절되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지 않는 한 조절된 높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서 동일한 깊이의 다수 천공 작업 시 매우 정교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성 및 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 및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200)는 중심부에 각각 중공부(170, 210)가 구비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200)는 원형이며 금속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하부지지대(200)는 단층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지면이나 가공물에 밀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드릴 가공 시 드릴에 의해 눌려지는 압박과 진동에 의한 충격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대(200)에는 중공부(210) 주위의 둘레를 따라서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하부지지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공(220)에 결합되는 승강프레임(300)이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직립 설치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300)은 원형의 단면을 지닌 봉 형상으로써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300)의 하단은 나사 머리와 같은 형태로써 하부지지대(20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하부지지공(220)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대(200)에 수직하게 직립 설치되며 나사 머리 부분이 하부지지대(200) 하면에 걸린 상태가 되면, 하부지지대(200)의 상면과 승강프레임(300)의 접점인 하부지지공(220)의 상면에서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조여지는 체결부재(161)가 장착되어 일차로 고정시키고, 체결부재(161) 위에 너트와 같은 승강고정부재(310)가 장착됨으로써 승강프레임(300)과 하부지지대(200)를 단단히 결속하고 상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체결부재(161)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팝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161)는 상부지지대(100)에도 동일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300)은 하부지지대(200)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총 4개의 승강프레임(300)이 십자 방향을 형성하며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직립 설치될 수 있다.
상부지지대(100)는 테두리 내측 상면에 다수의 승강프레임(300)이 관통하는데, 하부지지대(200)가 승강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위치 변화 없이 강한 결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반해, 상부지지대(100)는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을 타고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부지지대(100)의 중심부에는 중공부(170)가 형성되어 드릴의 거치 및 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상부지지대(100)는 고정상판(110), 회전판(120) 및 상하연결판(123), 고정하판(130)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밀착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회전판(120) 및 상하연결판(123)은 동일 수평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회전판(120)은 외측에, 상하연결판(123)은 내측에 배치된 형상을 가지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고정상판(110)부터 고정하판(130)까지 3층 구조를 가지게 된다.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은 상하로 결속되면서 회전판(120) 및 상하연결판(123)을 상하로 압박하도록 결합되어 상부지지대(100) 전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고, 회전판(120)은 후술하게 될 다수의 회전톱니(140)와 톱니 결합되어 회전판(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톱니(1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지지대(100)가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상판(110), 상하연결판(123), 고정하판(130)은 모두 중심부에 중공부(17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70)는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210)와 흡사한 형상으로 대응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부지지대(100)의 중공부(170)은 드릴이 거치되고 내측면에 회전톱니(140)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210)는 드릴날이 가공물에 접하는 구역을 설정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120) 또한 중앙이 통공 형성된 형상이되 회전판(120)의 중앙 통공은 상하연결판(123)을 수용하는 크기이고 회전판(120)의 테두리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의 테두리 부분과 소정 간격 겹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고정상판(110)은 중공부(170) 둘레 면을 따라서 승강프레임(300)이 관통하는 위치에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다수의 상판공(111)이 형성되는데, 상판공(111)의 직경은 승강프레임(300)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회전톱니(140)의 상판결합단(142) 외주면에 맞춤 끼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고정하판(130)은 고정상판(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서 고정하판(130)의 둘레 면에도 승강프레임(300)이 관통하는 위치에 상기 상판공(111)과 유사한 다수의 하판공(131)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하판공(131)에는 회전톱니(140)에 끼워지는 부분이 없고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 대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승강프레임(300)에 접촉되지 않으며, 하판공(13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어 승강프레임(3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판(120)은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 사이 중간에 끼인 상태로 외측 테두리가 소정 간격 겹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도넛 형태의 테두리 형성된 모습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120) 내측으로는 회전판(120) 보다 직경이 작고 유사한 형태로 테두리 형성된 상하연결판(123)이 구비되는데 상하연결판(123)의 중심에는 중공부(170)가 형성되고, 회전판(120)과 상하연결판(123)은 동일한 수평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외측과 내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이격된 거리는 회전톱니(140)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 이격된 영역에는 다수의 회전톱니(140)가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하연결판(123)의 중공부(170)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 각각의 중공부(170)와 동일하여 상기 3개의 판이 상하로 밀착 구성되면 각각의 중공부(170)가 일치하여 상부지지대(100)는 마치 단일의 중공부(170)가 형성된 듯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다만 중공부(170) 정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판(120)의 직경은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회전판(120)은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과는 중공부(170)로부터 외측 방향 소정 지점까지는 겹치면서 밀착되되, 회전판(120)의 테두리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의 테두리보다 수평 방향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따라서 회전판(120)의 테두리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 외측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120)의 내측 테두리는 고정상판(110)의 상판공(111)과 고정하판(130)의 하판공(131) 보다 중공부(170) 정중앙 기준 외측으로 멀리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을 승강프레임(300)이 관통했을 때 승강프레임(300)은 회전판(120)과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하연결판(123)의 외측 테두리는 상판공(111)과 하판공(131) 보다 중공부(170) 기준 내측으로 가깝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연결판(123) 또한 승강프레임(300)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써 회전판(120)과 상하연결판(123)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공간에는 다수의 회전톱니(14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톱니(140)는 원형의 너트 형상이되 측단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결합단(141), 상판결합단(142) 및 나선공(14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결합단(141)은 직경이 넓은 하단으로써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판(120)의 내주면에 톱니 결합되도록 배치되며, 상판결합단(142)은 직경이 좁고 상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상판(110)의 상판공(111)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공(143)은 상판결합단(142) 및 회전결합단(14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며 통공 형성되는데, 나선공(143)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나선공(143)의 직경은 승강프레임(30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나선공(143)의 내주면은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에 나선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톱니(140)가 장착되면 회전톱니(140)의 수평 위치는 회전판(120) 및 고정상판(110)과 겹치는 위치로 배치되는데, 회전톱니(140)의 하단인 회전결합단(141)은 회전판(120)에 톱니 결합되고, 회전톱니(140)의 상단인 상판결합단(142)은 외주면으로는 상판공(111)에 끼움 결합되며 내주면으로는 승강프레임(300)에 나선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회전판(120)은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에 결합되지 않고 상하로 밀착 배치된 상태일 뿐이며 다만 내주면이 회전톱니(140)에 톱니 결합된 상태이다.
회전톱니(140)는 나선공(143)이 상판공(111) 및 하판공(13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회전결합단(141)의 나선공(143)은 하판공(131)에 상하로 나란히 맞춰지고 상판결합단(142)의 나선공(143)은 상판공(111)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회전결합단(141)의 외주면은 회전판(120)의 내주면에 톱니 결합되며 접하고, 상판결합단(142)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형태로 상판공(111) 내에서 원활한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회전톱니(140)는 다수의 승강프레임(300)이 관통하는 각각의 상판공(111) 및 하판공(131)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판(120)을 일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회전판(120)은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과 관계없이 원활히 회전이 이뤄지게 되고, 회전판(120) 회전에 따라 톱니결합된 다수의 회전톱니(140) 또한 회전이 이뤄지는데, 회전톱니(140)는 나선공(143)에는 승강프레임(300)이 관통되고 상판결합단(142)은 상판공(1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판공(111) 및 하판공(131)에 대향 배치된 위치로부터 위치의 변화 없이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총 4개의 회전톱니(140)가 회전판(120)에 맞물린 상태이므로 회전판(120)의 회전 시 4개의 회전톱니(140)는 각각 동일한 속도로 일 방향 회전이 이뤄지게 되고, 회전톱니(140)는 나선공(143)을 통해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과 나선 결합된 상태이므로 승강프레임(300)에 결합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나선 회전이 이뤄지게 되므로, 상부지지대(100) 전체가 승강프레임(300)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회전판(12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수의 회전톱니(140) 또한 타 방향으로 회전이 이뤄지고 승강프레임(300)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 이동하게 된다.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 각각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공(160)이 통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60)을 통해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61)가 장착될 수 있어서, 회전판(120)을 돌릴 때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지지대(100)가 승강 이동될 수 있다.
체결공(160)은 상판공(111) 및 하판공(131)과 유사한 원주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판(120) 및 상하연결판(123)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 각각의 체결공(160)이 상하로 대향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1)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과 같은 것으로써 가령 고정하판(130)의 하면으로부터 고정하판(130) 체결공(160)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상판(110)의 체결공(160)을 관통하여 고정상판(110) 상면으로 노출되면, 너트가 상기 볼트에 나선 결합되면서 조임이 이뤄지고 고정상판(110)과 고정하판(130)을 단단히 결속하는 구조로써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회전판(120)의 외주면에는 회전작동부(1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회전작동부(121)는 회전판(120)의 테두리에 오목볼록하게 엠보싱 형태로 연속되며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고 힘을 주어 회전력을 가하기에 수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12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눈금선(1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상기 눈금선(122)은 회전작동부(121)의 볼록한 부분의 정중앙마다 표시될 수 있어서, 상면에서 목측 시 고정상판(110) 주위로 회전작동부(121)의 오목볼록한 부분과 일정 간격으로 원주를 두르며 표시되는 눈금선(122)만 보이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고정상판(110)에는 테두리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선(112)이 구비되어서 상기 눈금선(122)에 매칭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기준선(112)은 고정상판(110) 테두리에서 작고 예리한 형태의 삼각형 음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작동부(121)를 잡고 회전판(120)을 회전시키면 눈금선(122)도 함께 회전이 이뤄지는데, 고정상판(110)은 고정된 상태여서 기준선(112) 또한 위치가 불변하므로, 사용자는 기준선(112)의 고정된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눈금선(122)을 얼마나 이동시켰는지 확인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300) 상에서 정밀한 높이 조절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기준선(112)은 고정상판(110)에 다수 구비될 수 있고 기준선(112) 사이의 간격은 고정상판(110)의 크기 및 사용용도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눈금선(122)의 간격 또한 회전판(120)의 크기 및 정밀도 수준에 따라 단위를 세분화하거나 또는 큰 단위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선(112) 및 눈금선(122)의 간격은 승강프레임(300)의 나선 폭 및 회전톱니(140) 나선공(143)의 나선 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정교하고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나선 폭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승강프레임(300) 및 회전톱니(140)를 선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회전판(120)의 1회전 시 승강프레임(300) 상의 승강 이동 거리를 정교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눈금선(122) 및 기준선(112)은 상부지지대(100)가 승강 이동할 때 승강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고정된 위치를 표시하고 향후 반복되는 작업 시 해당 위치로 쉽게 맞추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지지대(100)는 중공부(170)를 향하여 수평 돌출되는 다수의 드릴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릴지지부(150)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하연결판(123)에도 형성될 수 있다.
드릴지지부(150)는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의 내주면에서 중공부(170)를 향하여 수평으로 다수 돌출되며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호 연결이 되지는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십자 방향을 형성하는 4개의 드릴지지부(150)가 중공부(170) 정 중앙을 향하면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 드릴지지부(150)가 돌출되면 중공부(170) 정 중앙은 중공부(170)의 직경이 좁아지는 효과가 발생하고, 동시에 4개의 드릴지지부(150)가 물체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거치대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릴거치대에 장착하고자 하는 전동드릴의 헤드 부분이 좁아서 상부지지대(100)의 중공부(170)에 거치되지 못하고 통과가 되면 드릴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뤄질 수 없어 드릴거치대를 이용한 천공 작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데, 드릴지지부(150)가 형성된 상부지지대(100)를 설치하게 되면 중공부(170)가 좁아지고 거치 및 지지가 원활하게 이뤄지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드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드릴은 본 발명의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의 상부지지대(100)에 끼워지며 중공부(170) 내주면 테두리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한편 드릴장착대(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드릴거치대에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드릴장착대(400)는 드릴의 손잡이를 제외한 몸체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데, 몸체장착부(410)와 드릴고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장착부(410)는 내측면으로 드릴의 몸체가 끼움 결합되고 드릴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며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드릴고정부(420)는 몸체장착부(410)의 일단에서부터 이어지면서 드릴날이 구비된 전면 선단까지 장착되는데 드릴고정부(420)의 외측면은 중공부(170) 테두리 내측에 대향되며 끼워지고, 드릴고정부(420) 선단은 개방되어서 드릴날이 통과되어 가공물에 접할 수 있도록 프레임이 형성된다.
드릴장착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상부지지대(100) 각각 모두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부지지대(100)에 장착되는 경우 드릴날의 깊이는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210)를 통과하는 길이까지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지지대(100)에 장착되는 경우의 드릴날 깊이는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가공물의 크기와 천공 위치에 따라 드릴장착부의 사용 여부와 드릴지지부(150)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00)의 사용 여부를 구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써 드릴은 드릴장착대(400)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지지대(100)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욱 안정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면서 천공 작업이 이뤄질 수 있으며, 드릴장착대(400) 없이 드릴을 직접 상부지지대(100)에 끼워 사용할 경우 드릴에 발생하는 흠집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드릴의 진동을 드릴장착대(400)로 분산시키며, 드릴의 전면부를 좀 더 좁은 위치에서 붙잡고 있게 되므로 드릴날이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드릴거치대의 고정 및 작업의 정교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공물에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를 배치하고 천공 위치에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210) 정중앙을 맞춰 위치시킨다.
이제 한 손으로는 하부지지대(200) 혹은 승강프레임(300)을 잡고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작동부(121)를 파지하고 회전을 시켜 대략적인 높이에 맞춰 상부지지대(100)를 승강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170,210)에 맞춰 드릴을 삽입시켜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깊이를 가늠 하고, 이후 가공하고자 하는 천공 깊이에 맞게 회전판(120)을 돌려 상부지지대(100)를 승강 이동시키되 기준선(112)에 맞춰 눈금선(122)을 변화시켜 가면서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정밀하게 높이 조절을 한다.
이렇게 높이가 고정되면 드릴을 상부지지대(100)의 중공부(170)에 삽입하고 하부지지대(200) 중공부(210) 중앙을 통해 가공물에 천공 작업을 할 수 있는데, 만약 동일한 깊이로 대량의 천공 작업이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를 계속 이동해 가면서 드릴을 삽입하여 천공 작업을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절차로 설정된 상부지지대(100)의 높이는 다수의 승강프레임(300)과 다수의 회전톱니(140), 그리고 단일의 회전판(120)이 맞물리면서 결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임의의 힘을 가하여 회전판(120)을 돌리지 않는 한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한 번 정교하게 설정한 높이에 맞춰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를 다수의 지점으로 옮겨 다니면서 대량 천공 작업을 동일한 깊이로 반복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드릴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와 정밀한 천공 작업, 그리고 드릴의 흠집이나 고장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드릴에 드릴장착대(400)를 끼운 상태에서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10)에 장착하여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물의 크기가 하부지지대(200)의 중공부(210) 보다 작아서 하부지지대(200)가 지지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작은 크기의 가공물 주위로 하부지지대(200)를 배치시킨 후 상부지지대(100)에 드릴지지부(150)가 형성된 고정상판(110) 및 고정하판(130)을 설치하고 드릴장착대(400)를 드릴에 끼워 상부지지대(100) 중공부(170)에 장착을 하면 드릴지지부(150)로 인해 상부지지대(100)의 중공부(170)가 좁아지고 드릴장착대(400)가 드릴지지부(150)에 거치되므로 드릴날의 깊이는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작은 가공물의 정밀한 천공 작업 또한 원활하게 수행 가능하고 또한 반복적인 대량 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100 : 상부지지대
110 : 고정상판
111 : 상판공
112 : 기준선
120 : 회전판
121 : 회전작동부
122 : 눈금선
123 : 상하연결판
130 : 고정하판
131 : 하판공
140 : 회전톱니
141 : 회전결합단
142 : 상판결합단
143 : 나선공
150 : 드릴지지부
160 : 체결공
161 : 체결부재
170,210 : 중공부
200 : 하부지지대
220 : 하부지지공
300 : 승강프레임
310 : 승강고정부재
400 : 드릴장착대
410 : 몸체장착부
420 : 드릴고정부

Claims (5)

  1.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판상의 하부지지대;
    하부지지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승강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며 중앙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하부지지대와 수평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되,
    상부지지대는,
    다수의 상판공이 승강프레임에 대향 형성되는 고정상판;
    고정상판과 결합되고 상판공에 대향되는 다수의 하판공이 구비되는 고정하판;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외측 테두리가 소정 폭으로 겹치며 밀착되고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고정상판과 고정하판 사이에 밀착되고 중공부가 일치되는 상하연결판; 및
    회전판과 상하연결판 사이에 배치되는 원형의 너트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상판공 내주면에 끼워지는 상판결합단이 돌출되고,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나선공이 통공 형성되어 승강프레임에 나선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판 내주면에 톱니 결합되는 회전톱니;를 더 포함하여,
    회전판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돌리면 고정상판, 고정하판 및 상하연결판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톱니가 제자리 회전하여 회전톱니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공과 결합한 승강프레임을 따라 상부지지대가 승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은,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엠보싱 형태로 연속되어 오목볼록하게 형성되는 회전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에 내주면 테두리를 따라서 중공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드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드릴을 수용하며 중공부에 끼움 장착되는 드릴장착대;를 포함하되,
    드릴장착대는,
    내측면으로 드릴의 몸체가 끼움 결합되고 드릴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며 고정하는 몸체장착부; 및
    몸체장착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외측면은 중공부 테두리 내측에 끼워지며 지지되고 선단은 개방되어 중공부에 대향되며 드릴의 전면이 배치되는 드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드릴은 드릴장착대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지지대는,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 각각에 통공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공; 및
    상하로 대향되는 체결공을 관통하며 고정상판 및 고정하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KR1020210064566A 2021-05-20 2021-05-20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KR102512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66A KR102512310B1 (ko) 2021-05-20 2021-05-20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66A KR102512310B1 (ko) 2021-05-20 2021-05-20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35A KR20220157035A (ko) 2022-11-29
KR102512310B1 true KR102512310B1 (ko) 2023-03-22

Family

ID=8423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566A KR102512310B1 (ko) 2021-05-20 2021-05-20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3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84B1 (ko) 2018-02-23 2018-09-06 홍종철 드릴링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드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532B1 (ko) * 2007-05-11 2009-07-07 백문현 드릴스탠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84B1 (ko) 2018-02-23 2018-09-06 홍종철 드릴링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35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056A (en) Centerless gag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concentricity and straightness of shank-type tools and the like
US3746460A (en) Attachment for hand drills
KR101883211B1 (ko) 공작기계용 가공물 셋팅 장치
US4199283A (en) Drill jig
KR102512310B1 (ko) 정밀 깊이 조절형 드릴거치대
US5156382A (en) Workpiece support having locking mechanism
JP4979093B2 (ja) 中心ドリルビット
DE3146664C1 (de) Haltevorrichtung fuer Bohrer zum Schleifen der Schneiden
JP2000198037A (ja) ワ―ク固定治具
US4901418A (en) Golf head removal tool
US5409329A (en) Drill guiding device
DE202023100129U1 (de) Werkzeughalter-Anordnungsvorrichtung und Werkzeughalter-Modul mit dieser Vorrichtung
EP0174306B1 (fr) Outillage de fixation et de guidage pour pieces rondes
US4799409A (en) Portable end preparation apparatus
US5456434A (en) Engine head stand assembly
US6637738B1 (en) Vise mountable tool holder bracket
JPS6267311A (ja) シヤシクランプ
JP3146995U (ja) クランプ装置
DE3444795A1 (de) Gestell zum aufnehmen einer hand-winkeltrennmaschine
CN212265178U (zh) 一种固定板调节机构及包括其的切割机
CN218964744U (zh) 一种模具零件加工用夹具
KR101832628B1 (ko) 스토퍼 지그
KR20180051322A (ko) 용접지그
KR102559939B1 (ko) 클러치 샤프트용 지그 시스템
CN217452993U (zh) 一种六角螺母用锁丝孔钻孔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