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060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060B1
KR102512060B1 KR1020150161903A KR20150161903A KR102512060B1 KR 102512060 B1 KR102512060 B1 KR 102512060B1 KR 1020150161903 A KR1020150161903 A KR 1020150161903A KR 20150161903 A KR20150161903 A KR 20150161903A KR 102512060 B1 KR102512060 B1 KR 10251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de
paragraph
width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105A (ko
Inventor
이준용
변상원
안병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060B1/ko
Priority to US15/213,932 priority patent/US10205138B2/en
Priority to CN201610701222.5A priority patent/CN106711499B/zh
Priority to EP16186975.5A priority patent/EP31714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5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 그리고 케이스 및 캡 조립체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보호 부재는 케이스의 바닥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 케이스를 이루는 한 쌍의 제1 측벽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접합부, 제2 접합부의 양단과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마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과 함께 전해액이 케이스에 수용된 형태를 가진다. 케이스는 각형, 파우치형,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중,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후, 캡 플레이트 등으로 막아서 내부를 밀봉시킨다.
이때, 캡 플레이트와 케이스와의 조립 공차 등으로 인해서, 완벽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캡 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의 밀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 그리고 케이스 및 캡 조립체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보호 부재는 케이스의 바닥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 케이스를 이루는 한 쌍의 제1 측벽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접합부, 제2 접합부의 양단과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마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제1 측벽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벽 사이를 연결하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는 케이스의 제2 측벽으로터 각각 바닥판으로 접어지는 제1 소 부재 및 제2 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 부재의 폭 및 제2 소 부재의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바닥판 폭에 대해서 1/2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폭은 제1 소 부재 또는 제2 소 부재가 바닥판의 일면으로 접어져 형성되는 제1 접는선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소 부재의 가장자리와 제2 소 부재의 가장자리는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제2 접는선을 따라서 캡 플레이트로부터 제1 측벽을 향해서 접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제2 접합부와 융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제2 접는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제1 부분,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폭을 가지는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보호 필름이 복수로 적층되어 있고, 제2 부분은 제1 부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는 제2 접합부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각각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호 부재를 형성하면 캡 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를 감싸므로, 이차 전지의 밀봉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외부 습기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장의 시트로 이차 전지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호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조립체와 보호 부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보호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호 부재를 감싸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전지 조립체, 전지 조립체를 감싸며 이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800)를 포함한다. 전지 조립체의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는 보호 부재(800)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800)는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접합부(A1, A2) 및 마감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8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I(polyimide)을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조립체(101)는 전극 조립체(10), 전해질과 함께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26), 케이스(26)의 개구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조립체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양극(또는 제1 전극)(11)과 음극(또는 제2 전극)(12) 사이에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여 권취된 젤리 롤 타입일 수 있다.
양극(11)과 음극(12)은 박판의 금속 호일로 형성된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인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영역인 전극 무지부(11a, 12a)를 포함한다. 양극(11)의 코팅부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이루어진 기재와 기재 위에 전이 금속 산화물등의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음극의 코팅부는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기재 위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무지부(11a)는 양극(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극(11)의 한 쪽 측단에 형성되고, 음극 무지부(12a)는 음극(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극(12)의 한 쪽 측단에 형성된다.
양극 무지부(11a)와 음극 무지부(12a)는 코팅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양극(11) 및 음극(12)은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개재한 후 권취된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복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교대로 배치한 후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전극 조립체(10)는 복수의 시트(sheet)로 이루어진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이 반복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는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26)에 수용될 수 있다. 전해액은 EC, PC, DEC, EMC, EMC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케이스(26)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6)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26)는 대략 직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단부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측벽(6a과 한 쌍의 제2 측벽(6b)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측벽(6a)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2 측벽은 서로 마주하며 제1 측벽(6a) 사이를 연결한다. 바닥판과 제1 측벽이 연결된 모서리의 길이는 바닥판과 제2 측벽(6b)이 연결된 모서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캡 조립체(30)는 케이스(26)에 결합되어 케이스(26)의 개구를 막는 캡 플레이트(31), 캡 플레이트(3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각각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21)와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22)를 포함한다.
캡 플레이트(31)는 일방향으로 이어진 길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26)의 개구에 결합된다. 캡 플레이트(31)는 내부와 관통되는 주입구(32)와 벤트 홀(34)을 가진다. 주입구(32)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밀봉 마개(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벤트 홀(34)은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노치(39a)를 가지는 벤트 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31)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양극 단자(21)는 집전탭(41)을 매개로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단자(22)는 집전탭(42)을 매개로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극 단자(21)와 집전탭(41) 사이에는 양극 단자(21)와 집전탭(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25)가 설치된다. 단자 연결 부재(25)는 양극 단자(2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단이 양극 단자(21)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하단은 집전탭(41)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단자 연결 부재(25)와 캡 플레이트(31)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가스켓(59)이 단자 연결 부재(25)가 관통되는 홀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캡 플레이트(31)의 아래에는 단자 연결 부재(25)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 절연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양극 단자(21)와 캡 플레이트(31) 사이에는 양극 단자(21)와 캡 플레이트(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판(58)이 설치된다. 연결판(58)에는 단자 연결 부재(25)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캡 플레이트(31)와 케이스(26)는 양극(11)으로 대전된다.
음극 단자(22)와 집전탭(42) 사이에는 음극 단자(22)와 집전탭(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25)가 설치된다. 단자 연결 부재(25)는 음극 단자(2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단이 음극 단자(22)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하단은 집전탭(42)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음극 단자(22)와 캡 플레이트(31)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가스켓(59)이 단자 연결 부재(25)가 관통되는 홀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 플레이트(31)의 아래에는 음극 단자(22) 및 집전탭(42)을 캡 플레이트(31)에서 절연하는 하부 절연부재(45)가 설치된다.
음극 단자(22)와 캡 플레이트(31) 사이에는 음극 단자(22)와 캡 플레이트(31)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상부 절연 부재(54)가 설치된다. 단자 연결 부재(25)는 상부 절연 부재(54)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된다.
캡 조립체(30)는 단락 홀(37)을 가지고, 단락 홀(37)에는 양극(11)과 음극(12)을 단락 시키는 단락 부재(56)가 설치되어 있다. 단락 부재(56)는 상부 절연 부재(54)와 캡 플레이트(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 부재(54)는 단락 부재(56)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진다. 단락 부재(56)는 절개부를 통해서 노출된 음극 단자(22)와 중첩하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락 부재(56)는 음극 단자(22)와 벤트홀(34) 사이에 위치하며, 벤트홀(34)보다 음극 단자(22)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단락 부재(56)는 전극 조립체(10)를 향해서 볼록하게 굴곡된 만곡부와 만곡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31)에 고정된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단락 부재(56)는 전지 조립체(10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변형되어 단락을 유발한다. 즉, 전지 조립체(101)의 내부에서 이상반응으로 가스가 발생하면 전지 조립체(10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다. 전지 조립체(101)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만곡부가 반대 반향으로 볼록하도록 변형되며, 이때, 음극 단자(22)와 단락 부재(56)가 맞닿아 단락을 유발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보호 부재가 단락 부재 및 벤트 부재를 감싸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처럼 개구부를 통해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전지 조립체에 보호 부재를 감싸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조립체와 보호 부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보호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호 부재를 감싸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조립체(101)와 보호 부재(800)를 준비하고, 전지 조립체(101) 위에 보호 부재(800)를 정렬한다. 전지 조립체(101)는 도 3 및 도 4의 전지 조립체일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된 케이스(26)의 개구에 캡 조립체(30)를 결합시켜 형성한다.
보호 부재(800)는 말리거나 접어지지 않게 펼쳐진 상태로, 제1 개구부(81)와 제2 개구부(82)는 각각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호 부재(800)는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전지 조립체(101)의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각각 노출하는 복수의 개구부(81, 82), 복수의 절개선(Q1, Q2, Q3) 및 복수의 접는선(P1, P2, P3, P4)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부재(800)의 일면 전체에는 접착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서 전지 조립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81, 82)는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노출하기 위한 것으로,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의 평면 모양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개구부(81, 82)를 통해서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노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의 연결판(58) 및 상부 절연 부재(54)(도 4 참조)를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는선(P1, P2, P3, P4)은 보호 부재(800)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가 얇은 접는선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도 보호 부재가 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는선은 별도로 형성한 접는선 이외에 보호 부재(800)가 접어져 형성되는 선일 수 있다.
복수의 접는선(P1, P2, P3, P4)은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접는선(P1), 한 쌍의 제2 접는선(P2), 제1 접는선 및 제2 접는선과 교차하는 한 쌍의 제3 접는선(P3) 및 4개의 제4 접는선(P4)을 포함한다. 일방향은 양극 단자(21)로부터 음극 단자(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하에서는 X축 방향이라 한다.
한 쌍의 제1 접는선(P1)은 개구부(81, 8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위치하며, 각각 캡 플레이트(31)와 케이스(26)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접는선(P2)은 제1 접는선(P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 부재(800)의 양 변으로부터 각각 제1 거리(D1)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제1 거리(D1)는 케이스의 단변의 길이(D2), 즉 Y축 방향 길이의 1/2이상일 수 있다. 제2 접는선(P2)은 케이스(26)의 측벽(6a, 6b)과 바닥면이 연결된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3 접는선(P3)은 제1 접는선(P1) 및 제2 접는선(P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81, 8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보호 부재(800)의 양단으로부터 제3 접는선(P3)까지의 거리(D3)는 제1 거리(D1)와 동일할 수 있다.
제4 접는선(P4)은 제2 접는선(P2)과 제3 접는선(P3)이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제2 접는선(P2)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800)는 복수의 접는선(P1, P2, P3, P4)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S1, S2, S3, S4, S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제1 접는선(P1)과 제3 접는선(P3)으로 둘러싸인 제1 영역(S1), 제1 접는선(P1), 제2 접는선(P2) 및 제3 접는선(P3)으로 둘러싸인 복수의 제2 영역(S2), 보호 부재(800)의 단변(X축 방향)과 제2 접는선(P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S3), 보호 부재(800)의 장변(Y축 방향)과 제3 접는선(P3)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영역(S4), 제2 접는선(P2) 및 제3 접는선(P3)으로 둘러싸인 모퉁이에 위치하는 제5 영역(S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S1), 제2 영역(S2), 제3 영역(S3), 제4 영역(S4), 제5 영역(S5)에 위치하는 보호 부재(800)를 각각 제1 소 부재(SS1), 제2 소 부재(SS2), 제3 소 부재(SS3), 제4 소부재(SS4), 제5 소 부재(SS5)라 한다.
복수의 절개선(Q1, Q2, Q3)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방향은 양극 단자(21)로부터 음극 단자(22)를 향하는 방향으로, X축 방향이다.
절개선(Q1, Q2, Q3)은 제1 개구부(81)와 인접한 제4 소 부재(SS4)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절개선(Q1), 제2 개구부(82)와 인접한 제4 소 부재(SS4)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절개선(Q2), 보호 부재(800)의 모퉁이, 즉 제5 소 부재(SS5)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절개선(Q3)을 포함한다. 제1 절개선(Q1), 제2 절개선(Q2) 및 제3 절개선(Q3)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절개선(Q1)은 보호 부재(800)의 제1 장변으로부터 제1 개구부(81)와 인접한 제3 접는선(P3)을 향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개선(Q1)의 끝단과 제3 접는선(P3)이 연결될 경우, 전지 조립체(101)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3 접는선(P3)과 제1 절개선(Q1)이 연결되므로, 제1 절개선(Q1)의 끝단도 전지 조립체(101)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지 조립체(101)의 모서리가 보호 부재(800)로 덮어지지 않고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1 절개선(Q1)의 끝단과 제3 접는선(P3)은 연결되지 않고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절개선(Q1) 사이의 간격(D4)은 케이스(26)의 단변의 길이(D2)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단변의 길이(D2)와 제1 절개선(Q1) 사이의 간격(D4)이 같을 경우, 제1 절개선(Q1)이 전지 조립체(101)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전지 조립체(101)의 모서리를 노출할 수 있으므로, 제1 절개선(Q1) 사이의 간격(D4)은 케이스(26)의 단변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2 절개선(Q2)은 보호 부재(800)의 제2 장변으로부터 제2 개구부(82)와 인접한 제3 접는선(P3)을 향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개선(Q2)의 끝단은 제3 접는선(P3)과 연결되지 않고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절개선(Q2)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제1 절개선(Q1) 사이의 간격(D4)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절개선(Q1)과 제2 절개선(Q2)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절개선(Q3)은 보호 부재(800)의 모퉁이인 제5 소 부재(SS5)에 각각 위치하며, 제3 절개선(Q3)의 일단은 제4 접는선(P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개선(Q3)과 제2 접는선(P2) 사이의 거리는 제1 절개선(Q1)과 제1 접는선(P1)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를 제1 개구부(81)와 제2 개구부(82)에 삽입하여,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가 제1 개구부(81)와 제2 개구부(82) 밖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한 쌍의 제1 접는선(P1)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는다(화살표 참조). 이처럼, 한 쌍의 제1 접는선(P1)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으면, 보호 부재(800)의 제2 소 부재(SS2)들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6a)의 상면과 각각 접촉한다. 이때, 보호 부재(8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서 보호 부재(800)는 제1 측벽(6a)의 상면에 부착된다.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접는선(P2)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각각 접는다. 한 쌍의 제2 접는선(P2)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으면, 보호 부재(800)의 제3 소 부재(SS3)들은 케이스(26)의 바닥면(6c)과 접촉하고, 접착제에 의해서 바닥면(6c)에 부착된다.
한편, 제2 접는선(P2)은 보호 부재(800)의 끝단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거리(D1)는 케이스 단변 길이(D2)의 1/2이상일 수 있다.
제3 소 부재(SS3)의 폭은 제1 거리(D1)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접는선(P2)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을 때, 제1 거리(D1)가 케이스의 단변 길이(D2)의 1/2과 같은 경우, 제3 소 부재(SS3)의 폭은 케이스 단변 길이(D2)의 1/2이므로 양쪽에서 접어지는 제3 소 부재(SS3)의 끝단(E)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접는선(P2)이 보호 부재(800)의 끝단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정 오차로 인해서 제1 거리(D1)가 케이스 단변 길이(D2)의 1/2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거리(D1)가 케이스 단변 길이(D2)의 1/2이 되지 않을 경우, 양쪽에서 접어지는 제3 소 부재(SS3)의 단부가 서로 맞닿지 못하고 이격되어 케이스의 바닥면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거리(D1)는 공정 오차를 고려해서, 케이스의 단부 폭 길이(D2)의 1/2보다 크게 형성하여 케이스의 바닥면이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거리(D1)가 단부 폭 길이(D2)의 1/2보다 크면 제3 소 부재의 폭이 증가하므로, 제3 소 부재(SS3)의 가장자리는 중첩되어 제1 접합부(A1)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접는선(P3) 및 제4 접는선(P4)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는다. 이처럼, 제3 접는선(P3) 및 제4 접는선(P4)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으면, 보호 부재(800)의 제4 소 부재(SS4)는 케이스(26)의 한 쌍의 제2 측벽(6b)의 일면과 각각 접촉하면서 제2 접합부(A2) 및 복수의 마감부(88)가 형성된다.
이때, 보호 부재(800)의 제4 소 부재(SS4)는 제2 측벽(6b)의 단변 및 장변에 모두 위치하며, 제5 소 부재(SS5)와 함께 케이스의 제2 측벽(6b)을 둘러싼다. 따라서 제2 측벽(6b)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4 소 부재(SS4) 및 제5 소 부재(SS5)를 한 번에 접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제1 절개선(Q1), 제2 절개선(Q2) 및 제3 절개선(Q3)을 형성함으로써 이들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즉, 제4 소 부재(SS4)는 제1 절개선(Q1) 및 제2 절개선(Q2)에 의해서 일부분이 분리되어 있고, 제5 소 부재(SS5)는 제3 절개선(Q3)에 의해서 일부분이 분리되어 있어, 제3 접는선(P3) 및 제4 접는선(P4)을 따라서 보호 부재(800)를 접으면, 제1 절개선(Q1), 제2 절개선(Q2) 및 제3 절개선(Q3)에 의해서 제4 소 부재(SS4) 및 제5 소 부재(SS5)의 일부가 분리되면서, 용이하게 제4 소 부재(SS4)는 케이스의 제2 측벽(6b)을 향해서 접어진다.
한편, 제3 접는선(P3)도 보호 부재(800)의 끝단으로부터 제2 거리(D3)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4 소 부재(SS4)의 폭은 제2 거리(D3)에 의해서 달라지므로, 제4 소 부재(SS4)가 케이스의 제2 측벽(6b)을 덮어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단변 폭 길이(D2)의 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3 접는선(P3)를 따라서 보호 부재를 접으면 제4 소 부재(SS4)의 가장자리가 중첩하여 제2 접합부(A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4 접는선(P4)과 제1 접는선(P1)을 따라서 제4 소 부재(SS4)를 접으면, 제1 접는선(P1)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4 소부재(SS4)가 중첩되어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마감부(88)를 형성한다.
또한, 제4 접는선(P4)과 제2 접는선(P2)을 따라 제4 소 부재(SS4)를 접으면, 제2 접는선(P2)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4 소 부재(SS4)와 제5 소 부재(SS5)가 중첩되어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마감부(88)를 형성한다.
마감부(88)는 보호 부재(800)와 연결된 제1 부분(8a),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8b)을 포함한다. 제1 부분(8a)은 제4 소 부재(SS4)가 중첩되거나, 제4 소 부재(SS4)와 제5 소 부재(SS5)가 중첩되어 있다.
제1 부분(8a)은 보호 부재(800)로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8b)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며, 제2 부분(8b)의 폭은 제1 절개선 사이의 간격(D4)과 같다.
다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부(88)를 접어(화살표 참조) 케이스의 제2 접합부(A2)와 중첩한 후 열융착하여 고정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시트 형태인 보호 부재를 한 장만 사용하면서도, 전지 조립체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지 조립체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보호 부재를 감싸므로, 전지 조립체의 결합부에서의 밀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또는 캡 플레이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이들이 외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오차 등으로 인해서 케이스와 캡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보호 부재가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차 전지의 밀봉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6a: 제1 측벽 6b: 제2 측벽
6c: 바닥면 10: 전극 조립체
11: 양극 11a: 양극 무지부
12: 음극 12a: 음극 무지부
13: 세퍼레이터 21: 양극 단자
22: 음극 단자 25: 단자 연결 부재
26: 케이스 30: 캡조립체
31: 캡플레이트 32: 주입구
34: 벤트홀 39a: 노치
41, 42: 집전탭 43, 45: 하부 절연부재
54: 상부 절연 부재 56: 단락 부재
58: 연결판 59: 가스켓
81, 82: 개구부 88: 마감부
101: 전지 조립체 800: 보호 부재

Claims (12)

  1. 제1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 그리고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캡 조립체를 감싸는 보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케이스를 이루는 한 쌍의 제1 측벽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접합부, 상기 제2 접합부의 양단과 각각 중첩하여 상기 제2 접합부에 융착되어 있는 복수의 마감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제1 측벽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벽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제2 측벽으로터 각각 상기 바닥판으로 접어지는 제1 소 부재 및 제2 소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소 부재의 폭 및 상기 제2 소 부재의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상기 바닥판 폭에 대해서 1/2이상인 이차 전지.
  5. 제4항에서,
    상기 바닥판의 폭은 상기 제1 소 부재 또는 상기 제2 소 부재가 상기 바닥판의 일면으로 접어져 형성되는 제1 접는선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의 길이인 이차 전지.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소 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소 부재의 가장자리는 중첩하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서,
    상기 마감부는 제2 접는선을 따라서 상기 캡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접어지는 제1 마감부, 제3 접는선을 따라서 상기 바닥판으부터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접어지는 제2 마감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8. 삭제
  9. 제7항에서,
    상기 제1 마감부와 상기 제2 마감부는 각각 상기 제2 접는선 및 제3 접는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폭을 가지는 제2 부분을 가지는 이차 전지.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보호 부재가 복수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12. 제1항에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각각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이차 전지.
KR1020150161903A 2015-11-18 2015-11-18 이차 전지 KR10251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03A KR102512060B1 (ko) 2015-11-18 2015-11-18 이차 전지
US15/213,932 US10205138B2 (en) 2015-11-18 2016-07-19 Rechargeable battery
CN201610701222.5A CN106711499B (zh) 2015-11-18 2016-08-22 可再充电电池
EP16186975.5A EP3171426B1 (en) 2015-11-18 2016-09-02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03A KR102512060B1 (ko) 2015-11-18 2015-11-18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05A KR20170058105A (ko) 2017-05-26
KR102512060B1 true KR102512060B1 (ko) 2023-03-17

Family

ID=5685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03A KR102512060B1 (ko) 2015-11-18 2015-11-18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5138B2 (ko)
EP (1) EP3171426B1 (ko)
KR (1) KR102512060B1 (ko)
CN (1) CN1067114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4512A (zh) * 2019-11-27 2021-05-28 江苏海四达电源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
KR102326561B1 (ko) * 2020-02-20 2021-11-15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개선된 모서리를 갖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케이스
KR20230057440A (ko) * 2021-08-27 2023-04-28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셀, 배터리 및 전기 장치
DE102022212551A1 (de) 2022-11-24 2024-05-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batterie, Fahrzeugbatterie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429A (en) * 1992-08-21 1996-12-17 Savage; Tommy R. Pre-wrapped gift box
JP2006120419A (ja) 2004-10-20 2006-05-11 Toyota Motor Corp フィルム外装型蓄電装置と該蓄電装置用ケース
JP5011677B2 (ja) 2005-08-12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DE102010041143A1 (de) * 2010-09-21 2012-03-22 Sb Limotive Company Ltd. Gehäuse für galvanisches Element
JP5743791B2 (ja) * 2011-08-02 2015-07-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US9209435B2 (en) * 2012-03-29 2015-12-0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30129729A (ko) 2012-05-21 2013-11-29 유하정판 주식회사 식별 표시부가 구비된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식별방법
KR20140094205A (ko) 2013-01-21 2014-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40120189A (ko) 2013-04-02 2014-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1724A (ko) 2013-09-16 2015-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316440B2 (ja) 2014-09-03 2018-04-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1426A1 (en) 2017-05-24
CN106711499A (zh) 2017-05-24
KR20170058105A (ko) 2017-05-26
CN106711499B (zh) 2021-07-09
US10205138B2 (en) 2019-02-12
EP3171426B1 (en) 2018-05-16
US20170141358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095B1 (ko) 이차 전지
US11437683B2 (en) Battery cell of venting structure using taping
EP3709392B1 (en) Secondary battery
KR102245620B1 (ko) 이차 전지
US8778530B2 (en)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8709649B2 (en) Electrode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979987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04041A (ko) 이차전지
KR102571182B1 (ko) 이차 전지
KR102512060B1 (ko) 이차 전지
KR20170020996A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KR102249893B1 (ko) 이차 전지
KR102348680B1 (ko) 이차 전지
KR102540149B1 (ko) 이차 전지
US20160141560A1 (en) Rechargeable battery
US11276876B2 (en) Secondary battery
US10424817B2 (en) Pouch type rechargeable battery
US1166452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EP421327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14359B1 (ko) 이차 전지
JP7405687B2 (ja) 蓄電素子
KR20220130426A (ko) 이차 전지
KR20240065025A (ko) 이차 전지
CN118104056A (zh) 二次电池和包括该二次电池的电池模块
KR20200064737A (ko) 개선된 전극 탭을 갖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