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055B1 -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055B1
KR102512055B1 KR1020220029672A KR20220029672A KR102512055B1 KR 102512055 B1 KR102512055 B1 KR 102512055B1 KR 1020220029672 A KR1020220029672 A KR 1020220029672A KR 20220029672 A KR20220029672 A KR 20220029672A KR 102512055 B1 KR102512055 B1 KR 10251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core
content
time
confi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연
Original Assignee
안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윤 filed Critical 안지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PATIENT CONDITION BASED ON SURVEY INFORMATION OF FIRST-TIME PATIENT}
아래 실시예들은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고령화되면서 우울 장애의 발병률이 급격이 증가하고 있어 국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우울 장애의 예방과 관리는 주요하게 해결되어야 할 경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우울 장애는 주로 주어진 상담실에서 면대면으로 행해지던 전통적인 상담 방식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를 지니고 있거나 사회 불안이 심한 환자들은 상담자와 직접 마주해야 하는 면대면 상담 및 치료가 부담되거나 꺼려져, 이에 대한 치료가 지속되지 못하고 중단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담 방식은 처음 방문하거나 아직 내담자의 현재 상태 또는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에, 원활한 상담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초기 진료 시 내담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직접 사람과 상담하는 면대면 상담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양방향 소통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549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0667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7320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68401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1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은, 상기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척도를 검사하기 위한 제2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설문 정보를 통해 부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2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2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1 우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경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중등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3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고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은, 상기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를 위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내역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효과를 검사하기 위한 제3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설문 정보를 통해 상기 2차 검사 문제와 동일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3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2 우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에서 상기 제2 우울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지 않아,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악화되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1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하고,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함으로써, 초기 진료 시 내담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우울 정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독 시간을 산출하여 환자의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독 시간을 예측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환자에게 제시할 검사 문제가 포함되어 있는 설문 정보,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 기준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0)와, 검사 문제의 표시를 위한 출력부(120)와,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환자의 입력을 평가하여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검사부(130)와, 검사부(1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140)와, 이들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환자에게 진단을 위한 검사 문제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환자의 답변을 검사부(130) 및 진단부(140)를 통해 처리하여 해당 환자의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에는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필요한 설문 정보, 설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검사 문제에 대한 평가 기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에는 각종 감정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단어들과, 문제 출력 순서 등 진단 기능의 수행을 위한 정보들과, 검사 문제 별로 답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환자로부터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변을 통해 답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환자로부터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이 음성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을 녹음하여 답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마이크 등의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외에도, 키보드, 마우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20)는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문제를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20)는 모니터 등의 정보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환자는 출력부(120)에 표시된 검사 문제를 확인하고 확인된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검사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문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 문제들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시하고, 각 검사 문제에 대해 입력되는 답변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검사부(130)는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을 음성 인식을 통해 복수의 단어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단어의 의미를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부(130)는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단어가 많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환자의 상태를 즐거운 상태로 분석할 수 있으며, 검사 문제에 대한 답변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단어가 많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환자의 상태를 우울한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진단부(140)는 검사부(130)를 통해 분석된 환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우울 장애 등의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140)는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의 분류 기준에 따라, 우울 장애 뿐만 아니라,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 등의 불안 장애 등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검사가 시작되면, 검사부(130)를 제어하여 출력부(120)에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문제들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답변을 검사부(130)를 통해 분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검사부(1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진단부(140)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대한 우울 장애의 유무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0)를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검사부(130)는 검사 문제를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검사가 시작되면, 출력부(120)인 모니터에는 소정 시간 동안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 대기 화면은 검사 시작을 알리는 화면으로 1초 정도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출력부(120)인 모니터에는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문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기분이 어때요?”라는 문장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 시간은 문장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력부(120)의 화면에 검사 문제가 표시되면, 화면에 표시된 검사 문제를 확인한 환자는 검사 문제로 표시된 문장에 대한 답변을 음성으로 입력부(110)에 입력시킬 수 있으며, 검사부(130)는 입력된 답변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검사부(130), 진단부(140) 및 저장부(150)와 연결되어, 이들이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는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1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는 정신건강의학과의 접수실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제1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이름, 생년월일, 성별, 연락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를 기초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이 아니라 방문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2 단계에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문 정보는 초진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1차 검사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초진 환자인 경우, 초진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를 기초로, 제1 환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확인하여, 확인된 성별 및 연령대에 대응하는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에는 성별 및 연령대로 구분된 제1 설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설문 정보가 획득되면,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1차 검사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검사 문제는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문제들이 어느 순서에 따라 표시될 것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검사 문제에는 “현재 기분이 좋은가요?”라는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된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100)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1차 검사 문제에 포함된 복수의 문제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100)는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획득되면,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는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상태가 즐거운 상태일수록 높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고,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한 상태일수록 낮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검사 문제에 제1 문제, 제2 문제 및 제3 문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문제, 제2 문제 및 제3 문제 각각에 평가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장치(100)는 제1 문제, 제2 문제 및 제3 문제 각각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획득되면,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과 제1 문제의 평가 기준을 고려하여,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제2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과 제2 문제의 평가 기준을 고려하여, 제2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제3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과 제3 문제의 평가 기준을 고려하여, 제3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 제2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 및 제3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장치(100)는 각각의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때, 답변이 긍정적인 답변인 경우, 더 높은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인 경우, 더 낮은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긍정적인 답변인 경우,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2점으로 산출할 수 있고,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인 경우,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1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점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9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우울 상태로 분석된 것에 대한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2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정상 상태로 분석된 것에 대한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우울 정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209 단계 이후, S3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분석되면, 제1 환자의 우울 척도를 검사하기 위한 제2 설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문 정보는 환자의 우울 척도를 검사하기 위한 2차 검사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분석된 경우, 환자의 우울 척도를 심층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제2 설문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를 기초로, 제1 환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확인하여, 확인된 성별 및 연령대에 대응하는 제2 설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에는 성별 및 연령대로 구분된 제2 설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설문 정보가 획득되면, 제2 설문 정보를 통해 2차 검사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검사 문제는 부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문제들이 어느 순서에 따라 표시될 것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검사 문제에는 “현재 기분이 우울한가요?”라는 부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된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100)는 2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2차 검사 문제에 포함된 복수의 문제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100)는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획득되면,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1 우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우울 점수는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심각한 상태일수록 높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고,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경미한 상태일수록 낮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우울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점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우울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를 경도 우울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경도 우울 상태로 분석된 것에 대한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우울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우울 점수가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점수는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우울 점수가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9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를 중등도 우울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중등도 우울 상태로 분석된 것에 대한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우울 점수가 제3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3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를 고도 우울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고도 우울 상태로 분석된 것에 대한 진단 결과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접수 정보를 기초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는 정신건강의학과의 진찰실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을 통해 입력되어 미리 등록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진찰 내역, 진단 내역, 검사 내역, 처방 내역, 치료 내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의료 정보가 획득되면,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초로, 제1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진단 내역을 통해, 제1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우울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우울 장애를 위해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제1 환자에게 우울 장애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면, 제1 환자에게 있는 우울 장애의 유형, 심각성 등에 따라 치료법이 제시될 수 있으며, 제시된 치료법이 언제부터 언제까지 행해졌는지에 대한 정보가 치료 과정에서 제1 환자의 의료 정보에 등록되면,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를 통해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내역을 통해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이 기준 기간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이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효과를 검사하기 위한 제3 설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설문 정보는 환자의 치료 효과를 검사하기 위한 3차 검사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3 설문 정보가 획득되면, 제3 설문 정보를 통해 3차 검사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3차 검사 문제는 2차 검사 문제와 동일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문제들이 어느 순서에 따라 표시될 것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3차 검사 문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과 2차 검사 문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은 동일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순서가 상이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장치(100)는 3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3차 검사 문제에 포함된 복수의 문제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장치(100)는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획득되면,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2 우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우울 점수는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심각한 상태일수록 높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고,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경미한 상태일수록 낮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305 단계를 통해 제1 우울 점수가 산출되고, S410 단계를 통해 제2 우울 점수가 산출되면, S5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우울 점수에서 제2 우울 점수를 차감하여,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치료 효과가 많을수록 제2 우울 점수가 낮은 점수로 산출되기 때문에,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는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치료 효과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고,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치료 효과가 적을수록 낮은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지 않아,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울 점수가 50점이고, 제2 우울 점수가 48점이고, 기준 범위가 +5점부터 -5점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2점으로 산출한 후,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지 않아, 기존에 행해진 치료 이외에 다른 치료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악화되어,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울 점수가 50점이고, 제2 우울 점수가 57점이고, 기준 범위가 +5점부터 -5점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7점으로 산출한 후,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기준 범위의 최소값인 -5점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 경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악화되어, 기존에 행해진 치료에 추가적인 치료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있으므로,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어,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울 점수가 50점이고, 제2 우울 점수가 43점이고, 기준 범위가 +5점부터 -5점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7점으로 산출한 후,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기준 범위의 최대값인 5점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경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어, 기존에 행해진 치료의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100)는 2차 검사 문제 중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질문하기 위한 제1 문제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은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및 각종 동물 공포증 등의 불안 장애 유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1 문제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문제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문제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환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환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는 제1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정보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00)와 웨어러블 기기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측정 정보를 통해 제1 환자의 심박수인 제1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문제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면, 제1 환자는 화면에 표시된 제1 문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는 제1 환자가 제1 문제를 확인하는 시점에 제1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 정보가 수신되면, 측정 정보를 통해 제1 환자가 제1 문제를 확인하는 시점에 제1 환자의 심박수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여, 확인된 제1 환자의 심박수를 제1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범위는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가 65로 확인되면, 정상 범위는 60부터 70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1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중치가 1.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으로 확인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2점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3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1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수치가 경고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범위는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가 65로 확인되면, 정상 범위는 60부터 70까지로 설정되고, 경고 범위는 50부터 60까지, 70부터 80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1 수치가 경고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중치가 1.5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가중치가 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문제에 대한 제1 환자의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으로 확인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2점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수치가 경고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를 4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1 수치가 경고 범위를 벗어나 위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문제에 대한 검사 중단을 알려주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범위는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의 평균 심박수가 65로 확인되면, 정상 범위는 60부터 70까지로 설정되고, 경고 범위는 50부터 60까지, 70부터 80까지로 설정되고, 위험 범위는 50 미만, 80 초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수치가 위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유형의 불안 장애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여, 2차 검사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제1 문제에 대한 검사 중단을 알려주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독 시간을 산출하여 환자의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00)와 제1 환자 단말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처리하여,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고, 홈 페이지가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1 환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 계정을 확인하여, 제1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제1 환자 계정을 확인하고, 제1 환자 계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조회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자 정보는 제1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로, 제1 환자의 프로필 정보, 콘텐츠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주제로 하여 제작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홈 페이지 상에서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콘텐츠가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설명하는 콘텐츠인 경우,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이모티콘으로 도식화한 대표 이미지이고,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은 제1 유형의 불안 장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하는 요청일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을 통해 제1 콘텐츠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 정보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로, 제1 콘텐츠의 속성 정보, 환자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 정보를 통해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 정보는 제1 콘텐츠를 정독한 환자의 조회 내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은 어느 환자가 제1 콘텐츠를 얼마나 오래 정독하였는지에 대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제1 콘텐츠가 표시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웹 페이지가 표시된 시점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한 시점까지, 제1 콘텐츠의 정독 시간으로 측정되어, 제1 환자 및 제1 콘텐츠의 정독 시간이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에 추가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을 기초로, 환자 별로 정독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에 제1 환자, 제2 환자 및 제3 환자가 조회한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정독 시간, 제2 환자의 정독 시간 및 제3 환자의 정독 시간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장치(100)는 환자 별로 확인된 정독 시간의 평균값을 통해,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가 제1 콘텐츠를 정독한 시간이 10초, 제2 환자가 제1 콘텐츠를 정독한 시간이 30초, 제3 환자가 제1 콘텐츠를 정독한 시간이 50초인 경우,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을 30초로 산출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의 길이에 따라,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이 1분인 경우, 기준 시간을 15초로 설정하고,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이 2분인 경우, 기준 시간을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에서 기준 시간을 차감한 값으로,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이 1분이고, 기준 시간이 15초인 경우,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을 45초로 산출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에 기준 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이 1분이고, 기준 시간이 15초인 경우,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75초로 산출할 수 있다.
S712 단계에서, 장치(100)는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및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기초로, 환자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이 1분인 경우, 환자 허용 범위를 45초 내지 75초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독 시간을 예측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 계정을 확인하여 제1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환자 정보 및 제1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은 제1 환자가 제1 콘텐츠를 정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허용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제1 콘텐츠에 대한 웹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제1 환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에 대한 웹 페이지는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에 대한 클릭으로 연결되는 웹 페이지로, 제1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이모티콘으로 도식화한 대표 이미지인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웹 페이지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페이지이다.
즉,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환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1 콘텐츠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 환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콘텐츠는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제1 콘텐츠 보다 적은 글자 수로 구성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설명하는 콘텐츠로 100개의 글자와 20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콘텐츠이고, 제2 콘텐츠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설명하는 콘텐츠로 80개의 글자와 30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콘텐츠인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콘텐츠 보다 적은 글자 수로 구성된 제2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로 판단하고,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 보다 적은 글자 수로 구성된 제2 콘텐츠가 제1 환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함께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어,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8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1 환자 단말의 화면에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 환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콘텐츠는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제1 콘텐츠 보다 많은 글자 수로 구성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설명하는 콘텐츠로 100개의 글자와 20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콘텐츠이고, 제3 콘텐츠는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설명하는 콘텐츠로 120개의 글자와 10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콘텐츠인 경우, 장치(100)는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콘텐츠 보다 많은 글자 수로 구성된 제3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로 판단하고,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 보다 많은 글자 수로 구성된 제3 콘텐츠가 제1 환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콘텐츠 및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함께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처음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기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설문 정보를 통해 긍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1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1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감정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척도를 검사하기 위한 제2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설문 정보를 통해 부정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2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2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2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1 우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경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3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중등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우울 점수가 상기 제3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고도 우울 상태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2차 검사 문제 중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질문하기 위한 제1 문제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제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환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를 통해 확인된 제1 수치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 미리 설정된 경고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제의 답변에 대한 평가 점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치가 상기 경고 범위를 벗어나 미리 설정된 위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유형의 불안 장애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문제에 대한 검사 중단을 알려주는 안내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유형의 불안 장애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되어, 2차 검사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중단된 경우, 제1 환자 단말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를 상기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1 환자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제1 환자 계정을 확인하여, 제1 환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 상에서 제1 콘텐츠-상기 제1 콘텐츠는 상기 제1 유형의 불안 장애를 주제로 하여 제작된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상기 제1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콘텐츠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의 환자 조회 내역을 기초로, 환자 별로 정독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의 길이에 따라,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에서 상기 기준 시간을 차감한 값으로,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의 평균 정독 시간에 상기 기준 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상기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및 상기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기초로, 상기 환자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 정보 및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상기 환자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상기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상기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상기 환자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콘텐츠-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상기 제1 콘텐츠 보다 적은 글자 수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상기 환자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제1 환자의 정독 시간이 상기 환자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콘텐츠-상기 제3 콘텐츠는 상기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상기 제1 콘텐츠 보다 많은 글자 수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환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상태가 우울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를 위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내역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효과를 검사하기 위한 제3 설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설문 정보를 통해 상기 2차 검사 문제와 동일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 검사 문제가 확인되면, 상기 3차 검사 문제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3차 검사 문제에 대한 상기 제1 환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점수인 제2 우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울 점수에서 상기 제2 우울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지 않아,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악화되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에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환자의 치료 점수가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 상기 기준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을 통해 상기 제1 환자의 우울 장애가 개선되어, 상기 제1 환자에게 행해진 치료법의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KR1020220029672A 2022-01-25 2022-03-08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772 2022-01-25
KR20220010772 2022-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055B1 true KR102512055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672A KR102512055B1 (ko) 2022-01-25 2022-03-08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7487A (zh) * 2023-09-08 2023-12-01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抑郁症辅助诊断装置
KR102616189B1 (ko) 2023-04-17 2023-12-27 안지윤 정신건강의학 관련 심리 상태 데이터 수집 및 환자 상태 분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01B1 (ko) 2018-02-10 2020-01-20 인체항노화표준연구원 주식회사 뇌파, 맥파 기반 우울 척도 평가 장치
KR102073204B1 (ko) 2018-02-07 2020-02-04 한국과학기술원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106671B1 (ko) 2017-12-12 2020-05-04 한국과학기술원 우울증 진단을 위한 다중 설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7501A (ko) * 2019-03-08 2020-09-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 상담을 위한 감정 스코어링 장치 및 방법
KR102175490B1 (ko) 2020-04-14 2020-11-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울증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324440B1 (ko) * 2021-06-30 2021-11-11 송태홍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한 환자 심리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71B1 (ko) 2017-12-12 2020-05-04 한국과학기술원 우울증 진단을 위한 다중 설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3204B1 (ko) 2018-02-07 2020-02-04 한국과학기술원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068401B1 (ko) 2018-02-10 2020-01-20 인체항노화표준연구원 주식회사 뇌파, 맥파 기반 우울 척도 평가 장치
KR20200107501A (ko) * 2019-03-08 2020-09-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 상담을 위한 감정 스코어링 장치 및 방법
KR102175490B1 (ko) 2020-04-14 2020-11-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울증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324440B1 (ko) * 2021-06-30 2021-11-11 송태홍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한 환자 심리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89B1 (ko) 2023-04-17 2023-12-27 안지윤 정신건강의학 관련 심리 상태 데이터 수집 및 환자 상태 분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7137487A (zh) * 2023-09-08 2023-12-01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抑郁症辅助诊断装置
CN117137487B (zh) * 2023-09-08 2024-03-29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抑郁症辅助诊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055B1 (ko)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61725B1 (ko) 정신 건강을 진단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ewis et al. Negative attitudes among short-term stroke survivors predict worse long-term survival
KR102324440B1 (ko)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한 환자 심리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8048B1 (ko) 데이터 기반의 예방 의료정보 제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Hussein et al. Trust mediating reliability–reliance relationship in supervisory control of human–swarm interactions
KR101261177B1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Golnik et al. Shared decision making: improving care for children with autism
Dennis et al. Can clinical features distinguish between immobile patients with stroke at high and low risk of deep vein thrombosis? Statistical modelling based on the CLOTS trials cohorts
KR102509538B1 (ko)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비대면 진단 장치
Chattopadhyay et al. A novel mathematical approach to diagnose premenstrual syndrome
Ávila et al.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fter breast cancer: A dyadic approach
Torisson et al. Importance and added value of functional impairment to predict mortality: a cohort study in Swedish medical inpatients
Teng et al.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regional consistency evaluation in multi-regional clinical trials with different endpoints
Cohen et al. Integration and validation of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suicide risk prediction model based on open-ended interview langu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uba Gyllensten et al. Simulated case management of home telemonitoring to assess the impact of different alert algorithms on work-load and clinical decisions
Lin et al. Disparities in emergency department prioritization and rooming of patients with similar triage acuity score
CN113643798A (zh) 为失能人员匹配照护人员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102493770B1 (ko) 환자 증상 평가 질문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iapis et al. Subjective assessment of stress in HCI: a study of the valence-arousal scale using skin conductance
Wannop et al. Fasciculation analysis reveals a novel parameter that correlates with predicted survival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inkin et al. COVID-19 diagnosis by 5-second facial video processing using vibraimag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50102880A (ko)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ahn et al. The role of distress disclosure tendencies i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laboratory-induced sadness
JP6556063B2 (ja) 保険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及び保険リスク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