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07B1 -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07B1
KR102511407B1 KR1020207011036A KR20207011036A KR102511407B1 KR 102511407 B1 KR102511407 B1 KR 102511407B1 KR 1020207011036 A KR1020207011036 A KR 1020207011036A KR 20207011036 A KR20207011036 A KR 20207011036A KR 102511407 B1 KR102511407 B1 KR 10251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unit
still image
design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802A (ko
Inventor
신야 시모조
미츠히데 마쓰다
이즈루 세노쿠치
Original Assignee
아마텔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텔러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마텔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1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정보 처리 단말에 대한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보고 싶은 피사체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원활하게 표시한다.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사용자가 보고 싶은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부와, 지정값 접수부가 접수한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부를 구비하고, 선택부는, 지정값 접수부가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상기 위치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지정값 접수부가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위치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Description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본 발명은,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이용하는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이용하는 영상 배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하여 시점(視点)이 다른 복수 대의 카메라 중 미리 사용자가 지정한 일부의 카메라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피사체에 대한 시점을 바꾸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련의 결합 동화상의 생성에 사용하는 화상을 촬영하는 1 또는 2 이상의 다른 카메라를 사용자 지정 카메라와 함께 그룹 지정하고, 이 지정한 그룹 내의 각 카메라의 각 촬영 동화상을 소정의 전환 타이밍에 전환 결합하여 일련의 결합 동화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그 결합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촬상 장치를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하여 대상물의 복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각 카메라로부터 기록 장치로 보내지고, 시점을 변경한 피사체의 각 동화상 신호를 배포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5-1773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53616호 공보
여기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각각 지정된 카메라의 동화상을 그 때마다 결합 처리하면,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 사용자가 피사체의 보고 싶은 방향을 지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처리 단말에 대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보고 싶은 피사체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원활하게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배포 장치는,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가 취득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추출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상된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사용자가 보고 싶은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위치 데이터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부와, 지정값 접수부가 접수한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시간 데이터를 따라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부를 구비하고, 선택부는, 지정값 접수부가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위치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지정값 접수부가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당해 위치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위치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는,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 그 순간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최초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취득부는 피사체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위치 데이터는 피사체를 촬상한 방향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방향 데이터이며, 지정값 접수부는 사용자가 보고 싶은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방향 데이터를 지정하는 방향 지정값을 위치 지정값으로서 접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배포 시스템은, 상술한 영상 배포 장치와, 피사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피사체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하는 카메라를 가짐과 함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 녹화 기능을 갖고, 녹화된 동화상을 통신 네트워크로 송출하고, 또한 복수의 촬상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비하고, 취득부는, 휴대 단말이 피사체를 각각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동화상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배포 시스템은, 영상 배포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와, 표시 모니터의 전방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향 지정값을 선택하는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량을 방향 지정값으로서 인식하는 조작 인식부를 갖고,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단말을 더 구비하고, 정보 처리 단말은, 선택부에서 수신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해, 방향 지정 조작 중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방향 지정값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방향 지정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의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 지정값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부터의 의사적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식부는, 표시 모니터의 표면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는, 지정값 접수부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단위 시간당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방향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연결되도록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은, 방향 지정값에 기초하여 표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부에 대하여 요구하는 요구부와, 표시 모니터에 HTML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구부가 취득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묘화하는 묘화부를 구비하고, 묘화부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 모니터에 묘화하는 시간(TF)은, 요구부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부로부터 취득하여 묘화부에 전송하는 시간(TD)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배포 방법은, 컴퓨터가,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추출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상된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보기 위한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 단계와,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접수한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데이터를 따라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 단계를 실행하며, 선택 단계에서는,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위치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당해 위치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위치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배포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기능과, 취득 기능이 취득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추출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기능과,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상된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기능과, 사용자가 피사체를 보기 위한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 기능과, 지정값 접수 기능이 접수한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데이터를 따라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 기능을 실현시키며, 선택 기능에서는, 지정값 접수 기능에 있어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위치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지정값 접수 기능에 있어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당해 위치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위치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피사체를 보기 위한 방향의 지정을 접수하고, 방향의 지정을 접수할 때마다 당해 방향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을 취득하며, 당해 방향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을 기억되어 있는 시계열순으로 정보 처리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에 대한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보고 싶은 피사체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원활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배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영상 배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복수의 촬상부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기억부에 저장된 정지 화상 데이터의 모식도로서, (a)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로 배열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순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 내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영상 배포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단말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영상 배포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는 모의적 동화상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복수의 촬상 장치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동화상 데이터 및 분할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분할 데이터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동화상 배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배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배포 시스템(1)은, 피사체(O)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휴대 단말(10)(촬상부)과, 휴대 단말(10)에 의해 촬상한 촬상 데이터를 배포하는 영상 배포 장치(20)와, 영상 배포 장치(20)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36)를 갖는 정보 처리 단말(30)(표시 장치)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휴대 단말(10), 영상 배포 장치(20) 및 정보 처리 단말(3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로서, 무선 LAN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 방식(일례로서, WiFi, 3G, LTE, Bluetooth(등록 상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이어도 좋다.
복수의 휴대 단말(10)은, 피사체(O)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하는 카메라를 가짐과 함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 녹화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단말(10)은, 녹화한 동화상을 통신 네트워크에 송출할 수 있다. 카메라는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화상 데이터로서 MPEG 데이터를 취급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JPEG 데이터를 취급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포맷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휴대 단말(10)이 피사체(O)를 둘러싸는, 소위 "불릿 타임 촬영"을 행하고 있다. 불릿 타임 촬영은, 피사체(O)의 주위에 카메라를 많이 배열하여, 앵글을 움직이고 싶은 방향으로 각각의 카메라를 순서대로 연속하여 촬영해 나가는 것이다.
이 불릿 타임 촬영에서는, 화상 처리에 의해, 피사체(O)의 움직임을 슬로 모션으로 하거나, 카메라 워크(camerawork)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할 수 있다. 영상 배포 장치(20)는 변속 재생하기 위한 화상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해도 좋다. 화상 처리부는 예를 들어 슬로우 재생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처리부를 영상 배포 장치(20)가 아니라 정보 처리 단말(30)이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어서, 영상 배포 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영상 배포 장치(2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필요한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영상 배포 장치(20)는 정보 처리 단말(30)에 대하여 영상 배포 시스템(1)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영상 배포 장치(20)는 예를 들어 소위 서버 장치나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등)이다. 도 2는 영상 배포 장치(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배포 장치(20)는, 취득부(21)와, 데이터 생성부(22)와, 지정값 접수부(23)와, 선택부(24)와, 기억부(25)와, ROM(26)과, RAM(27)과, I/O 포트(28)와, 라우터와, HUB와, MPEG 디코드 모듈(29)을 구비하고 있다.
취득부(21), 데이터 생성부(22), 지정값 접수부(23), 선택부(24)는 영상 배포 장치(2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이며, 도시한 예에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또한, 취득부(21), 데이터 생성부(22), 지정값 접수부(23), 선택부(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이어도 좋다.
취득부(21)는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I/O 포트(28)를 통하여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취득부(21)는 피사체(O)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취득부(21)는 복수의 휴대 단말(10)이 피사체(O)를 각각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동화상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10) 각각으로부터 취득한다. 취득부(21)가 취득한 동화상은 기억부(25)에 기억된다.
취득부(21)는, 동화상 데이터 취득 시에, ROM(26)에 기억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데이터 생성부(22)는, 취득부(21)가 취득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추출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생성부(22)는,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 시에, ROM(26)에 기억된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은, MPEG 디코드 모듈(29)을 사용하여, 기억부(25)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풀고, 정지 화상 데이터의 집합으로 한 후에 기억부(25)에 다시 저장한다. 이때, 각 정지 화상 데이터는, 각각이 촬상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저장된다. 정지 화상 데이터의 생성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생성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RAM(27)에 저장해도 좋다.
지정값 접수부(23)는 사용자(40)가 보고 싶은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위치 데이터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지정값 접수부(23)는 사용자(40)가 보고 싶은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사체(O)를 촬상한 방향을 특정 가능한 방향 데이터를 지정하는 방향 지정값을 위치 지정값으로서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정값 접수부(23)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30)에 있어서의 표시 모니터(36)의 화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조작, 소위 스와이프 조작 등의 화면 조작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O)의 우측을 보고 싶은 것인지, 좌측을 보고 싶은 것인지를 지시 함으로써, 휴대 단말(10) 중의 A 내지 L(도 4 참조)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 피사체(O)를 볼 것인가 등의 방향의 지정을 접수한다. 여기서, 도 10은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는 모의적 동화상의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화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화면에 터치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우측이 표시되도록 피사체를 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화면에 터치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좌측이 표시되도록 피사체를 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손가락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피사체를 보는 사용자의 위치가 피사체에 대하여 변화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화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화면에 터치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좌측이 표시되도록 피사체를 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화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화면에 터치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우측이 표시되도록 피사체를 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손가락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피사체를 사용자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스와이프 조작을 행하지 않고, 화면의 터치에 의해 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중, 가로 방향의 중심부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터치하거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터치하는 부분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 화면의 회전각을 작게 하고, 터치하는 부분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 화면의 회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선택부(24)는, 지정값 접수부(23)가 접수한 방향 지정값에 기초하여 시간 데이터를 따라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인 정보 처리 단말(30)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30)이 이러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HTML 데이터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의 데이터이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HTML 형식으로 배포 가능한 데이터를 가리킨다.
기억부(25)는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25)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O)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상된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시간 데이터로서는, 시각 정보를 기억해도 좋고, 각각의 정지 화상이 촬상된 타이밍을 상대적으로 기재한 타임 스탬프를 기억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위치 데이터란 피사체(O)를 촬상한 촬상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데이터이다.
또한, 기억부(25)는 영상 배포 장치(20)가 동작하는 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기억부(25)는 예를 들어 HDD(Hard Disc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기록 매체이다.
이어서, 정보 처리 단말(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정보 처리 단말(3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필요한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단말(30)은 예를 들어 사용자(40)가 소유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단말 장치이며, 선택부(24)로부터 송신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HTML 데이터로서 표시한다. 도 3은 정보 처리 단말(3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30)은, 무선 통신부(31)와, I/O 포트(32)와, CPU(33)와, RAM과, ROM과, 플래시 메모리(34)와, 그래픽 메모리와, 묘화 LSI(35)와, 표시 모니터(36)와, 터치 패널(37)과, 조작 인식부(38)와, JPEG 디코드 모듈(39)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31)는 영상 배포 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I/O 포트(32)를 통하여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30)은 무선 통신부(31) 대신에 유선 통신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플래시 메모리(34)는 영상 배포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HTML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석, 실행하는 웹 브라우저와, 터치 패널 제어 펌웨어를 구비하고 있다.
CPU(33)는, 방향 지정값에 기초하여 표시 모니터(36)에 표시시키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영상 배포 장치(20)에 대하여 요구하는 요구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33)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액세스된 웹 페이지(HTML 데이터)에 대하여 순서대로 정지 화상의 내용을 시계열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40)에게 의사적 동화상을 제공한다. 이 웹 페이지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30)의 표시 모니터 상에 있어서, 사용자(40)가 피사체(O)를 보고 싶은 방향으로부터 보이도록 되어 있다.
요구부는, 영상 배포 장치(20)에 대한 정지 화상의 요구 시에,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언어로서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채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내의 함수를 사용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언어로서는 자바스크립트 이외의 언어이어도 좋다.
요구부는, 예를 들어 ROM의 요구 메모리에 기억된 요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배포 장치(20)에 대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때, 요구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조작 인식부(38)가 인식하고, RAM에 저장된 방향 지정값을 사용하여, 사용자(40)가 보고 싶은 방향과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고, 특정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영상 배포 장치(20)에 송신한다.
요구부는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의 영상 배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JPEG 디코드 모듈(39)을 사용하여 디코딩하고, 묘화 LSI(35)에 전송한다.
묘화 LSI(35)는, HTML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구부가 I/O 포트(32)를 통하여 취득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 모니터(36)에 표시하는 묘화부로서 기능한다. 묘화 LSI(35)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에 묘화함으로써 정지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정보 처리 단말(30)은 2개의 그래픽 메모리(A, B)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설명에 있어서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KB,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KB이다.
터치 패널(37)은 표시 모니터(36)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37)은 정전 용량식 투영형이며, 사용자(40)의 손가락이 다수의 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패널(37)은 사용자(40)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좌표의 변화와 손가락이 움직인 시간을 사용하여 손가락의 속도나 가속도를 산출하고, 손가락의 변위량을 방향 지정값 변화량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인식부(38)는 사용자(40)로부터의 조작을 인식한다.
조작 인식부(38)는 표시 모니터(36)의 전방에 있어서의 사용자(40)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하여 방향 지정값으로서 인식하고, RAM에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조작 인식부(38)는 표시 모니터(36)의 표면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40)가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영상 배포 장치(20)의 선택부(24)는,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방향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24)는,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는 경우에는, 당해 방향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방향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여기서, 당해 방향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은, 당해 정지 화상 데이터와 같은 시간 데이터 및 이미 선택된 시간 데이터의 다음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해당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복수의 휴대 단말(10)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모식도로서, (a)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로 배열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정보 처리 단말(30)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순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피사체(O)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의 평면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 단말(10)을 원주 형상으로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배치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휴대 단말(10)의 수량이나 배치 간격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휴대 단말(10)에는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A 내지 L)가 부여되어 있다. 식별 번호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는 피사체(O)를 촬상하는 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식별 번호를 정보 처리 단말(30)이 영상 배포 장치(20)에 대하여 지정하는 방향 데이터로서 취급한다.
또한, 방향 데이터로서는, 피사체(O)를 촬상하는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휴대 단말(10)의 식별 번호 외에, 휴대 단말(10)이 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나, 상면에서 볼 때 피사체(O)를 지나는 소정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각도 등으로 표현되는 정보이어도 좋다.
이어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의 데이터 생성부(22)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각 식별 번호의 폴더 내에 시간 데이터의 시계열을 따라 저장된다. 이 설명에서는, 각 정지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 중, 식별 번호에 이어지는 3자리의 숫자가 시간 데이터가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30FPS로 하면, 전후의 정지 화상 데이터 사이의 프레임 피치가 약 0.033초가 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간 데이터를 따라 재생함으로써 의사적 동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는 약 24 내지 30F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표는, 종축이 방향 데이터로서의 식별 번호이며, 횡축이 시간 데이터로 되어 있다. 표에는 종축 및 횡축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이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에서는, 표 아래에 도시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단말(30)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추이를 표현하고 있다. 즉 표 중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가 통과하는 셀에 해당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정보 처리 단말(30)에 표시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먼저, C001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계열을 따라 순차적으로 동화상이 재생되어 간다.
그리고, 정지 화상을 선택부(24)가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40)의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지정값 접수부(23)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면, 도 6의 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부(24)는, 당해 방향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t=5p)를 기준으로 하여, 스와이프 조작에 있어서의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C005 내지 K005)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부(24)는, 방향 지정값을 접수한 시각(t=5p)을 기준으로 할 때에, 그 순간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방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C005)를 최초로 선택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지정값이 변화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선택부(24)는 동일한 시간 데이터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1 프레임씩 식별 번호순으로 선택해 간다. 그리고, 방향 지정값이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지정된 정지 화상 데이터(K005)를 표시했을 때에, 한차례 정지 상태로 된다. 사용자가 다시 재생 개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때의 방향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계속하여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스와이프 조작을 행하면(t=100p),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방향 지정값의 변화에 수반하여 선택부(24)가 동일한 시간 데이터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1 프레임씩 식별 번호순으로 선택해 간다(K100 내지 F100). 그리고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지정된 정지 화상 데이터(F100)를 표시한 후에는, 동일한 방향 지정값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계속하여 재생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선택부(24)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t=5p)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정지 화상 데이터와 같은 시간 데이터를 선택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영상 배포 장치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와 같이, 선택부(24)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t=5p)를 기준으로 하여, 이미 선택되어 있는 시간 데이터의 다음 시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스와이프 중에도 동화상이 정지하는 일 없이 재생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24)는, 지정값 접수부(23)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한편, 선택부(24)는, 단위 시간당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방향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연결되도록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여기서, "간헐적으로"라 함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방향 데이터에 대하여 일부의 데이터만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40)가 손가락을 크게 또는 빠르게 움직임으로써, 스와이프 조작에 의한 조작량이 크다고 조작 인식부(38)가 판단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방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원래의 방향 데이터로부터 떨어진 방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40)는 촬상 방향이 정반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10)로부터 취득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순시에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30)은, 선택부(24)로부터 수신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해, 방향 지정 조작 중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방향 지정값에 있어서의 피사체(O)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한편, 정보 처리 단말(30)은, 방향 지정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의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 지정값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부터의 의사적 동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정보 처리 단말(30)에 있어서, 묘화부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 모니터(36)에 묘화하는 시간(TF)은, 요구부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부(24)로부터 취득하여 묘화부에 전송하는 시간(TD)보다 짧다. 이 점에 대하여,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정보 처리 단말(30) 내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부는 선택부(24)에 요구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JPEG 디코드 모듈(39)에 전송한다. 그리고, JPEG 디코드 모듈(39)에서 정지 화상 데이터의 디코드가 완료되면, 디코딩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묘화부인 묘화 LSI(35)에 전송된다. 여기서, 요구부에 의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요구로부터 묘화부에 전송할 때까지의 시간을 TD로 한다.
이어서, 묘화부는 전송되어 온 정지 화상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에 묘화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그래픽 메모리를 교대로 사용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의 묘화가 행해진다. 그래픽 메모리에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묘화가 완료되면, 그 정지 화상 데이터가 표시 모니터(36)에 표시되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묘화부가 그래픽 메모리에 묘화하는 시간을 TF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TD가 TF보다 짧으므로, 묘화부에 의한 묘화가 끝났을 때에, 항상 묘화부가 다음에 묘화해야 할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대기하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활하게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배포 장치(20)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영상 배포 장치(20)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휴대 단말(10) 각각이 동화상 데이터를 촬영한다(S1). 이어서,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의 취득부(21)가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S2)를 실행한다.
이어서, 취득부(21)가 취득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생성부(22)가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으로서 추출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S3)를 실행한다.
이어서,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상된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CPU가 기억하는 기억 단계(S4)를 실행한다. 기억부(25)에 기록하는 시간 데이터는, 휴대 단말(10)에 내장되어 있는 시계 기능을 사용해도 좋고, 영상 배포 장치(20)에 내장된 시계 기능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촬영 타이밍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기록해도 좋다.
이어서, 사용자(40)가 상기 피사체(O)를 보기 위한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 단계(S5)를 실행한다.
이어서,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접수한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선택부(24)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처리 단말(30)에 송신하는 선택 단계(S6)를 실행한다.
그리고, 선택 단계에서는,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위치 지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했을 때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위치 지정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어서, 정보 처리 단말(30)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정보 처리 단말(30)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 처리 단말(30)의 조작 인식부(38)가, 조작 인식 단계(S110)로서 사용자의 스와이프 조작을 인식한다. 조작 인식부(38)는 스와이프 조작으로부터 방향 지정값을 특정한다.
이어서, 요구부가 영상 배포 장치(20)에 정지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 단계(S120)를 실행한다. 이 요구 단계에서는, 조작 인식부(38)가 특정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영상 배포 장치(20)에 송신한다.
요구 단계는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의 상술한 지정값 접수 단계(도 8의 S5)에 대응된다.
여기서, 요구부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수신(다운로드)이 완료될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한다(S121의 No). 정지 화상의 수신이 완료되면(S121의 Yes), 요구부는 JPEG 디코드 모듈에서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푼 후 묘화부에 전송한다. 요구부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묘화부에 전송되는 것이 완료될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한다(S122의 No).
마지막으로, 정지 화상 데이터의 묘화부에의 전송이 완료되면(S122의 Yes), 묘화 단계(S130)로서 묘화부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묘화한다. 묘화부는 2개의 그래픽 메모리를 교대로 사용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묘화한다. 묘화부는 묘화가 완료될 때까지 묘화 동작을 반복한다(S131의 No).
묘화부에 의한 묘화 동작이 완료되면(S131의 Yes), 사용자(40)는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피사체(O)를 촬상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연속적인 의사적 동화상으로서 정보 처리 단말(30)의 표시 모니터(36)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영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30)로부터 피사체(O)를 보기 위한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고, 방향 지정값을 접수할 때마다 당해 방향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한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단말(30)에 대한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40)가 보고 싶은 피사체(O)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 각도로부터 원활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24)가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정지 화상을 선택할 때에, 그 순간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최초로 선택한다. 이로 인해, 피사체를 보는 방향이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모의적 동화상을 연속적인 관계가 있는 자연스러운 동화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30)의 화면 상에서, 스와이프 조작에 따라 촬상부 1대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만을 연속하여 송신함으로써, 영상 배포 장치(20)와 정보 처리 단말(30) 사이의 데이터 통신료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배포 장치(20)와 정보 처리 단말(30) 사이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통신 용량에 한계가 있는 가운데, 예를 들어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 1개당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정보 처리 단말(30)에서 재생하는 의사적 동화상을 고해상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촬상부는 동화상 녹화 기능을 갖고, 녹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에 송출 가능한 휴대 단말(10)이므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상부와 영상 배포 장치(20)의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니터(36)의 화면을 스와이프 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방향 지정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40)는 직감적이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의사적 동화상에 있어서 피사체(O)를 보고 싶은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가 크게 스와이프 조작한 경우 등에 선택부(24)가 간헐적으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가령 선택부(24)가 연속적으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 나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보 처리 단말(30)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40)의 방향 지정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량이 커지고, 조작량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방향 데이터의 수량이 많아진 경우라도, 영상 배포 장치(20)와 정보 처리 단말(30) 사이에 통신하는 데이터의 양이 커지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부로서 휴대 단말(10)이 갖는 카메라인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부는 일안 리플렉스나 디지털 카메라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배포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 단말(30)이 HTML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배포 장치(20)에 있어서, 정지 화상 데이터를 HTML 데이터화한 다음 정보 처리 단말(30)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촬상부에 의한 불릿 타임 촬영인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점에서 촬영한 경치 등의 동화상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불릿 타임 촬영에서는, 복수의 휴대 단말(10)이 피사체(O)에 대하여 동일 높이의 평면에 있어서 원주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높이에 평면을 설정하고, 각각의 높이의 평면에 있어서 카메라 그룹을 구성하고, 이 카메라 그룹에 걸치도록 선택부(24)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이에 의해, 피사체(O)에 대하여 3차원적으로 보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에 의한 촬영 대상은 도 1과 같은 스포츠를 하고 있는 인간이 아니라 예를 들어 작업을 하고 있는 인간이나 사람 이외의 동물이어도 좋고, 경기장 전체, 연예인, 가수의 공연 등이어도 좋다. 또한, 영상 배포 시스템(1)은 풍경에도 이용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인간, 동물 등이 움직이는 것이 유효하다. 그것은, 이 영상 배포 시스템(1)이 360도 동화상과 같은 의사적 동화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동적인 피사체(O)에 대하여 유효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30)은 스와이프 조작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궤적에 의해 다른 방향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40)는 손가락을 정보 처리 단말(30)의 표시 모니터(36)에 접촉시키지 않고 화면의 전방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조작 인식부(38)로서 표시 모니터(36)의 전방을 촬상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좌표화하는 펌웨어를 정보 처리 단말(30)에 별도로 인스톨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정값 접수부(23)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 즉 방향 지정값이 변화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선택부(24)는 해당하는 시간 데이터에 상당하는 1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식별 번호순으로 선택해 가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향 지정값이 변화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선택부(24)는 해당하는 시간 데이터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 및 그 정지 화상 데이터에 후속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복수 프레임만큼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임의의 복수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서 취급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정값 접수부(23)가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 방향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연결되도록 선택부(24)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영상 배포 장치(20)측에서 행하지 않고 정보 처리 단말(30)측에서 행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30) 중 조작 인식부(38)가 인식한 방향 지정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량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 요구부가 표시 모니터(36)에 표시시키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부(24)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영상 배포 시스템(1)의 각 기능부는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좋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또한, 각 기능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동화상 배포 시스템(영상 배포 시스템)(100)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동화상 배포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화상 배포 시스템(100)은 복수의 촬상 장치(110)와, 동화상 배포 장치의 일례로서의 서버(130)와, 정보 단말(120)을 구비한다.
복수의 촬상 장치(110)와, 서버(130)와, 정보 단말(120)은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접속된다.
촬상 장치(11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례로서, 촬상 장치(110)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이다.
구체적인 구성예로서, 촬상 장치(110)는 촬상부(111)와, 제1 통신부(112)와, 제1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촬상부(11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렌즈 및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한다.
제1 통신부(112)는 촬상부(111)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를 서버(130)에 송신한다.
제1 제어부(113)는 촬상부(111) 및 제1 통신부(112)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13)는 촬상부(111)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적절히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 화상 처리에는 일례로서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촬상 시각 데이터를 부가하는 처리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화상 처리에는 일례로서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촬상 장치(1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부가하는 처리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촬상 장치(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있고, 피사체를 각각 별도의 각도로부터 촬상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촬상 장치(110)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복수의 촬상 장치(110)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의 (A)는 제1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의 (B)는 제2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촬상 장치(110)는 피사체(ob)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촬상 장치(110)는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110)의 배치는 도 12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한 정보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송신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한다. 일례로서, 정보 단말(120)은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구체적인 구성예로서, 정보 단말(120)은 제2 통신부(121)와, 표시부(122)와, 제2 제어부(123)를 구비한다.
제2 통신부(121)는 서버(130)로부터 송신된 분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통신부(121)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 전환 요구 정보 및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서버(130)에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전환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되고 있는,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를, 하나의 촬상 장치(110)를 제외한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여, 다른 분할 데이터를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송신 정지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되고 있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정지를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표시부(122)는 일례로서 동화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2)는 터치 패널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표시부(122)가 입력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정보 단말(120)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배치된다.
제2 제어부(123)는 제2 통신부(121) 및 표시부(122)를 제어한다. 일례로서, 제2 제어부(123)는, 제2 통신부(121)에 있어서 분할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을 표시부(122)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2 제어부(123)는, 예를 들어 표시부(122)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된 경우, 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 전환 요구 정보, 또는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 전환 요구 정보, 또는 정지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121)를 제어한다.
서버(130)는 제3 통신부(131), 기억부(132), 제3 제어부(133)를 구비한다.
제3 통신부(131)는 복수의 촬상 장치(110) 및 정보 단말(120)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제3 통신부(131)는 복수의 촬상 장치(110)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동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통신부(131)는 정보 단말(1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 전환 요구 정보 및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수신한다. 제3 통신부(131)는 기억부(132)에 기억되는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한다.
기억부(132)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기억부(132)에는, 피사체를 각각 별도의 각도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가,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 단위로, 일례로서 시계열순으로 기억된다. 즉, 각 동화상 데이터는 임의의 초수 단위로 통합되어 분할 데이터로 되어 있다. 분할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타임 스탬프 등의 재생 순서 정보가 부여되어도 좋다. 또한, 분할 데이터(프레임)는 일례로서 화상 파일을 통합한 것이나 fragmented mp4 혹은 MPEG2-ts 형식과 같은 동화상 형식으로 기록되어도 좋다. 기억부(132)는 서버(130)에서 이용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132)는 하드 디스크 및 메모리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이다.
제3 제어부(133)는,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한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부(132)에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 제3 제어부(133)는 제3 통신부(131)에서 수신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프레임 수마다 분할하는 처리를 행한다. 일례로서, 소정의 프레임 수라 함은 1 또는 복수의 프레임 수이다. 소정의 프레임 수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는 이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된다.
도 13은 동화상 데이터 및 분할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3의 (A)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분할 데이터의 제1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의 (C)는 분할 데이터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의 (D)는 분할 데이터의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D1)는 복수의 프레임(F1, F2, F3, …)으로 구성된다.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임마다 분할하고, 분할 데이터 단위로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32)에 기억해도 좋다. 도 13의 (B)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프레임마다 분할됨으로써, 프레임(F1 내지 F3)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 프레임(F4 내지 F6)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임과 하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해도 좋다. 이 경우, 분할 데이터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와,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수 분할 데이터로 구성된다. 즉, 분할 데이터는 복수 분할 데이터와 단수 분할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단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직전의 복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시계열적으로 최후의 프레임, 또는 직후의 복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시계열적으로 최초의 프레임과 동일해도 좋다.
도 13의 (C)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F1 내지 F3)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복수 분할 데이터(D2M)), 프레임(F4)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단수 분할 데이터(D2S)), 프레임(F5 내지 F7)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복수 분할 데이터(D2M)), 프레임(F8)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단수 분할 데이터(D2S))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의 복수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프레임(F4)은 프레임(F3) 및 프레임(F5)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프레임(F8)은 프레임(F7) 및 프레임(F9)(미도시)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해도 좋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단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삭제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3 제어부(13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정지 요구가 있었을 경우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3 제어부(133)는 송신한 단수 분할 데이터(프레임)에 관한 로그 정보를 기억하고, 소정 기간마다 로그 정보를 해석하여 단수 분할 데이터의 사용 빈도가 역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사용 빈도가 낮은 단수 분할 데이터(프레임)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단수 분할 데이터는 시계열적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 있어도 좋다. 분할 데이터는, 하나의 복수 분할 데이터와 복수의 단수 분할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연속하는 복수의 단수 분할 데이터 중 시계열적으로 최초의 단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직전의 복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시계열적으로 최후의 프레임과 동일해도 좋다. 또한, 연속하는 복수의 단수 분할 데이터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의 단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직후의 복수 분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시계열적으로 가장 앞의 프레임과 동일해도 좋다.
도 13의 (D)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F1 내지 F3)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복수 분할 데이터(D2M)), 프레임(F4)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단수 분할 데이터(D2S)), 프레임(F5)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단수 분할 데이터(D2S)), 프레임(F6)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단수 분할 데이터(D2S)), 프레임(F7 내지 F9)(프레임(F9)은 미도시)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D2)(복수 분할 데이터(D2M))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의 복수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프레임(F4 내지 F6)은 프레임(F1 내지 F3)과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프레임(F7 내지 F9)(프레임(F9)는 도 13의 (D)에 미도시)과 각각 동일해도 좋다.
여기서, 도 13의 (C)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3 제어부(133)는 사용 빈도가 낮은 단수 분할 데이터(프레임)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촬상 장치(110)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에 식별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식별 데이터(촬상 장치(110))에 대응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32)에 기억한다. 서버(130)의 기억부(132)에 복수의 촬상 장치(110)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기억부(132)에 기억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제3 제어부(133)는 어느 촬상 장치(110)(어느 위치)에서 촬영된 동화상 데이터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제3 제어부(133)는 제3 통신부(131)가 수신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3 제어부(133)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의해 복수의 분할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도록 요구된 경우, 요구된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외부의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제3 제어부(133)는, 제3 통신부(131)에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촬상 장치(110) 중 어느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한다. 판독되는 분할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이다. 또는, 판독되는 분할 데이터는, 정보 단말(120)에 있어서 촬상 장치(110)가 선택되어, 그 선택된 정보가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부가된 경우, 선택된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이다. 또한, 판독되는 분할 데이터는, 정보 단말(120)에 있어서 촬영 시각 또는 재생 시간 등의 시간이 지정되고, 시간 지정 정보가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부가된 경우, 동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지정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가 부가된 분할 데이터이다.
제3 제어부(133)는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서 요구된 분할 데이터에 후속하는 분할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정보 단말(120)로부터의 다음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가 없더라도 후속하는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여 송신한다.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전환을 요구하는 전환 요구 정보가 정보 단말(120)로부터 있었을 경우, 송신하고 있는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시계열순으로 판독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3 제어부(133)는 전환 요구 정보가 있었던 타이밍에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연속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하도록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전환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되고 있는,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를, 하나의 촬상 장치(110)를 제외한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고, 다른 분할 데이터를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제3 제어부(133)는, 일례로서 전환 요구 정보가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촬영된 동화상으로부터 하나의 촬상 장치(110)의 우측 옆에 배치된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촬영된 동화상으로의 전환 요구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여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대응에 기초하여, 요구가 있었던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는 타이밍에,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의 촬상 시각이 시각적으로 연속하도록 또는 대략 연속하도록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도 14는 분할 데이터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4의 (A)는 분할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의 (B)는 분할 데이터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며, 도 14의 (C)는 분할 데이터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4의 (A)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A)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데이터(D2-A1, D2-A2, D2-A3, D2-A4, …)와, 동화상 데이터(B)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데이터(D2-B1, D2-B2, D2-B3, D2-B4, …) 각각은 동일한 또는 대략 동일한 촬상 시각에 촬상하여 얻어지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A)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B)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데이터는 다른 촬영 시각에 촬영된 것이어도 좋다.
도 14의 (B)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A)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D2-A1, D2-A2)를 순차적으로 송신한 후, 전환 요구 신호(S)를 접수한 경우, 시간적으로 분할 데이터(D2-A2)의 직후가 되는 분할 데이터(D2-B3)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D2-B3)로부터 시간적으로 후행하는 분할 데이터(D2-D4, …)를 기억부(132)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한다.
또는, 도 14의 (C)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A)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D2-A1, D2-A2)를 순차적으로 송신한 후, 전환 요구 신호(S)를 접수한 경우, 시간적으로 분할 데이터(D2-A2)와 같은 타이밍이 되는 분할 데이터(D2-B2)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D2-B2)로부터 시간적으로 후행하는 분할 데이터(D2-B3, D2-B4, …)를 기억부(132)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한다.
제3 제어부(133)는, 촬상 장치(110)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에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그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의 시각적으로 연속한 또는 대략 연속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또는,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에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정보 단말(120)에 있어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최초로부터의 재생 시간을 취득하고, 그 분할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함으로써,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의 시각적으로 연속한 또는 대략 연속한 판독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정보 단말(120)은,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 대응되는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부(122)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스와이프 조작이 행해지면, 제2 제어부(123)는, 하나의 분할 데이터의 근본이 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는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촬상한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하여, 전환 요구 정보를 서버(1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서버(130)의 제3 제어부(133)는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동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른 촬상 장치(110)를 특정하고, 특정된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촬상된 다른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며, 다른 분할 데이터로서 정보 단말(120)에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전환 요구 정보에는 정보 단말(120)이 수신하고 있는 분할 데이터에 식별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정보 단말(120)이 다른 촬상 장치(110)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서버(130)가 기억하는 동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촬상 장치(110)를 특정해도 좋다.
정보 단말(120)은 다른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른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을 표시부(122)에 표시한다.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중에, 분할 데이터의 송신 정지를 요구하는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정보 단말(120)로부터 있었을 경우,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송신 정지 요구 정보는 서버(130)로부터 정보 단말(120)에 송신되고 있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정지를 요구하는 정보 신호이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송신하고 있었던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로서, 분할 데이터를 정지시킨 타이밍과 시계열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의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있었을 경우, 제3 통신부(131)에서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기억부(132)로부터 분할 데이터의 판독을 정지하고, 정보 단말(120)에의 그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촬상 장치(110)에서 촬상된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마지막에 송신한 분할 데이터에 부가된 시각 정보와 같은 또는 대략 동일한 시각 정보가 부가된 다른 분할 데이터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A)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제3 제어부(133)는 동화상 데이터(A)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D2-A2)를 송신한 후에,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동화상 데이터(B)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D2-B2) 또는 분할 데이터(D2-B3)를 송신한 후,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촬상 장치(110)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에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의 정보 단말(120)에서 재생했을 때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그 재생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이 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중에 정보 단말(120)로부터 분할 데이터의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었을 때부터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133)는 제3 통신부(131)에서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할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순차 판독을 정지한다.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순차 판독을 정지한 타이밍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직후 또는 직전의 단수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단수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D)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제3 제어부(133)는, 프레임(F1 내지 F3)을 갖는 분할 데이터(D2)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정지 요구가 있으면, 그 분할 데이터(D2)로부터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프레임(F4)을 구비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D2S)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정보 단말(120)로부터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어서,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한 후, 정보 단말(120)로부터 전환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송신을 정지한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다른 분할 데이터는 분할 데이터를 정지시킨 타이밍과 시계열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의 다른 단수 분할 데이터이다.
제3 제어부(133)는 송신 정지 요구 정보를 제3 통신부(131)에서 수신하면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3 제어부(133)는, 정보 단말(120)로부터의 전환 요구 정보를 제3 통신부(131)에서 수신하면, 요구가 있었던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마지막에 송신한 분할 데이터에 부가된 시각 정보와 같은 또는 대략 동일한 시각 정보가 부가된 다른 분할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촬상 장치(110)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에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의 정보 단말(120)에서 재생했을 때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그 재생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이 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특정하고, 그 특정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제3 제어부(133)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분할 데이터의 전환을 요구하는 전환 요구 정보가 정보 단말(120)로부터 있으면, 단수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이 경우, 단수 분할 데이터는 송신하는 복수 분할 데이터로부터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수 분할 데이터는 복수 분할 데이터의 근본이 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단수 분할 데이터이다.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시계열순으로 판독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경우에, 분할 데이터로서의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 또는 송신하는 타이밍에 제3 통신부(131)에서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단수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그 단수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한다.
이 경우,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는 송신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의 근본이 되는 동화상 데이터와는 상이한 다른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단수 분할 데이터이다. 또한, 그 단수 분할 데이터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또는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이다. 또한, 단수 분할 데이터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또는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시간적으로 가장 가깝고 복수 분할 데이터의 직전 또는 직후의 시간에 대응되는 단수 분할 데이터라도 좋고, 복수 분할 데이터로부터 수 프레임만큼 빠르거나 또는 느린 시간에 대응되는 단수 분할 데이터라도 좋다. 제3 제어부(133)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시각 정보 또는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단말(120)에서는 표시부(122)에 대하여 스와이프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기초하여 전환 요구 정보가 생성된다. 제3 제어부(133)는, 정보 단말(120)에 있어서의 스와이프 조작에 있어서, 표시부(122)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가 종료된 경우(표시부(122)로부터 손가락이 이격된 경우) 및 표시부(122)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가 정지하고 있을 경우(표시부(122)로부터 손가락이 이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환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만을 정보 단말(120)에 송신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의 송신과 동시에,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한다. 제3 제어부(133)는,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의 촬영 시각이 송신을 계속하고 있는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의 촬영 시각과 동일(또는, 가까운)한 시각으로 경우,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여,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한다.
또한,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전환 요구 정보가 정보 단말(120)로부터 있으면, 송신을 계속하고 있는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만 정보 단말(120)에 송신을 계속하고, 이전 시각으로 되는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복수 분할 데이터(다른 복수 분할 데이터)도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에 병렬하여 정보 단말(120)에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송신하고 있는 다른 복수 분할 데이터의 촬영 시각이 병렬하여 송신을 계속하고 있는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의 촬영 시각과 동일(또는, 가까운)한 시각으로 되었을 경우,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다른 복수 분할 데이터를 계속하여 송신해도 좋다. 또한, 정보 단말(120)은 원래의 단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단수 분할 데이터의 수신이 정지하면 다른 복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을 표시한다.
이어서, 동화상 배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동화상 배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T1로서, 복수의 촬상 장치(110) 각각은 일례로서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각도로부터 촬상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 촬상 장치(110)는 생성한 동화상 데이터를 서버(130)에 송신한다.
단계 ST2로서, 서버(130)는 단계 ST1에서 송신된 동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T3로서, 서버(130)는 단계 ST2에서 수신한 동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한다.
단계 ST4로서, 서버(130)는 외부의 정보 단말(120)로부터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T5로서, 서버(130)는 단계 ST4에서 수신한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3에서 기억한 분할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계 ST6로서, 서버(130)는 단계 ST5에서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시계열순으로 송신한다.
단계 ST7로서, 정보 단말(120)은 단계 ST6에서 송신된 분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단계 ST8로서, 정보 단말(120)은 단계 ST7에서 수신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이러한 동화상 배포 방법에 있어서, 서버(130)는 단계 ST2 내지 단계 ST6의 처리를 해당 서버(130)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시켜도 좋다.
이어서, 서버(1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로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제3 통신부(131)에서 수신한 요구 정보가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인지, 전환 요구 정보인지, 송신 정지 요구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의 경우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전환 요구 정보의 경우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송신 정지 요구 정보의 경우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2로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단계 S13로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여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한다.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후속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다른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14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제1 내지 제3의 경우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일례로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송신 정지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조건이 제1인 경우에는 제1 경우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1의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5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고, 분할 데이터 및 다른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2의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6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을 정지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3의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7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한다.
단계 S18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처리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전환 요구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18의 판단을 다시 행한다.
단계 S19에 있어서, 서버(130)(제3 제어부(133))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어서,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는, 동화상 데이터가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되는 기억부(132)와, 외부의 정보 단말(120)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는 제3 통신부(131)와, 제3 통신부(131)가 수신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13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는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하고, 그 분할 데이터 단위로 송신한다. 분할 데이터의 단위로 함으로써, 일례로서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분할 데이터와,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화상이 3개 있는 데이터에서는, 분할 데이터 쪽이 압축되어 파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화상 배포 장치는 데이터 송신에 걸리는 시간을 종래에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정보 단말(120)에 분할 데이터의 형식으로 저장 또는 분할 데이터의 형식으로 액세스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분할 데이터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즉, 서버(130)는 하나의 촬상 장치(110)에서 촬상된 동화상으로부터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화상으로 연속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통상의 동화상을 정보 단말에 송신하는 경우, 파일 용량이 어느 정도 크고 및 촬상 장치의 수가 많을수록 미리 정보 단말의 기억부에 데이터를 읽어 들여 놓을 필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이것이 어렵다. 또한, 로컬 디스크로부터 동화상을 읽어 들일 경우, 정보 단말은 읽어 들이는데 시간이 걸리고, 동화상을 읽어 들인 후에도 전환하는 시간까지 시크(seek)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속적인 전환이 곤란해진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의해, 복수의 분할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도록 요구된 경우, 요구된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서 요구된 분할 데이터에 후속하는 분할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는,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N)에 가해지는 부하를 종래(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화상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이 표시되는 정보 단말(120)에서는 데이터 수신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전환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송신하고 있는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이며, 전환 요구 정보가 있었던 타이밍에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연속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는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분할 데이터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로 바로 전환하여 다른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120)은 전환 요구 정보를 서버(130)에 송신한 후, 지금까지 수신하고 있었던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모두 종료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즉, 정보 단말(120)은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으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중에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33)는, 송신하고 있었던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로서, 분할 데이터를 정지시킨 타이밍과 시계열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의 다른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다른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120)은, 분할 데이터와 다른 분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므로, 정보 단말(120)에 있어서의 조작만으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과 다른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전환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에서, 분할 프레임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와,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수 분할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복수 분할 데이터와 단수 분할 데이터는 시계열적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분할 데이터가 송신되는 정보 단말(120)에서는, 단수 분할 데이터가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하나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화상으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화상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동화상 배포 장치로서의 서버(130)에서, 단수 분할 데이터는 시계열적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복수 분할 데이터와 복수의 단수 분할 데이터는 시계열적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분할 데이터가 송신되는 정보 단말(120)에서는, 단수 분할 데이터가 복수 개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하나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화상으로부터 다른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화상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의 송신 중에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었을 때부터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120)은 단수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단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의 확인이 동화상에 비하여 용이해진다. 또한 정보 단말(120)은, 그 후에 전환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분할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도, 정보 단말(120) 상의 화상의 전환이 용이해진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송신 정지 요구 정보가 있어서 분할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한 후 전환 요구 정보가 있었을 경우, 송신을 정지한 분할 데이터를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다른 분할 데이터로서, 분할 데이터를 정지시킨 타이밍과 시계열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의 다른 단수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120)은 단수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지고, 화상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장치는 하나의 다른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송신하는 데이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장치의 제3 제어부(133)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전환 요구 정보가 정보 단말(120)로부터 있으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단수 분할 데이터는 송신하는 복수 분할 데이터로부터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이며, 복수 분할 데이터의 근본이 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단수 분할 데이터이다.
동화상 배포 장치는, 송신하고 있는 분할 데이터를 다른 분할 데이터로 전환하는 경우, 복수 분할 데이터로부터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정보 단말(120)에서 표시되는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이 시간적으로 떨어져 전환되는 일이 없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시스템은, 피사체를 각각 별도의 각도로부터 촬상하고, 각각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110)와, 복수의 촬상 장치(110)에서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기초하는 분할 데이터를 기억하고,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130)와, 서버(130)로부터 송신된 분할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는 정보 단말(1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서버(130)는,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하는 기억부(132)와, 정보 단말(120)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는 제3 통신부(131)와, 제3 통신부(131)가 수신한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를 기억부(13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도록 제3 통신부(131)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133)를 구비한다.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서버(130)는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하고, 그 분할 데이터 단위로 송신한다. 분할 데이터의 단위로 함으로써 데이터가 압축되어 파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서버(130)는 분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에 가해지는 부하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정보 단말(120)에서는 데이터 수신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방법은, 피사체를 각각 별도의 각도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하는 단계와, 외부의 정보 단말(120)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외부의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는 단계를 행한다.
동화상 배포 방법은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하고, 그 분할 데이터 단위로 송신한다. 분할 데이터의 단위로 함으로써 데이터가 압축되어 파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은, 피사체를 각각 별도의 각도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분할 데이터 단위로 시계열순으로 기억하는 단계와, 외부의 정보 단말(120)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데이터 송신 요구 정보(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분할 데이터를 외부의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은,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기억부(132)에 기억하고, 그 분할 데이터 단위로 송신한다. 분할 데이터의 단위로 함으로써 데이터가 압축되어, 파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제어부(133)는, 분할 데이터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정보 단말(120)로부터 전환 요구가 있으면, 전환 요구가 있었던 타이밍에 하나의 분할 데이터를 다시 복수의 분할 데이터로 분할해도 좋다. 일례로서, 제3 제어부(133)는, 6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할 데이터(C)를 정보 단말(120)에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 전환 요구가 있으면, 기억부(132)에 기억되는 분할 데이터(C)를, 시계열순으로 전반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할 데이터(C1)와, 시계열순으로 후반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할 데이터(C2)로 분할해도 좋다. 또한, 프레임 수는 상기 일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한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 데이터 단위로 복수 회 송신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타이밍에 복수회의 전환 요구가 있으면, 전환 요구가 있었던 타이밍에 대응되는 하나의 분할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데이터로 분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1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분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시계열순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프레임으로부터 분할 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110)로부터 서버(130)에 동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10)에서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생성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 등에 기억해 두고, 촬상이 종료된 후에 메모리와 서버(130)를 접속하여 메모리로부터 서버(130)에 동화상 데이터를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다양한 변경도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1: 영상 배포 시스템
10: 휴대 단말
20: 영상 배포 장치
21: 취득부
22: 데이터 생성부
23: 지정값 접수부
24: 선택부
25: 기억부
30: 정보 처리 단말
33: CPU(요구부)
35: 묘화 LSI(묘화부)
38: 조작 인식부
40: 사용자
O: 피사체
100: 동화상 배포 시스템
110: 촬상 장치
120: 정보 단말
130: 서버

Claims (10)

  1.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분할 데이터로서,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의 단수 분할 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분할 데이터가 촬상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사용자가 보고 싶은 상기 분할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위치 데이터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부와,
    상기 지정값 접수부가 접수한 상기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데이터를 따라 상기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지정값 접수부가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상기 위치 지정값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와 관련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 또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있을 때, 상기 지정값 접수부가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이미 선택한 복수 분할 데이터와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영상 배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에, 그 순간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최초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피사체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피사체를 촬상한 방향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방향 데이터이며,
    상기 지정값 접수부는, 사용자가 보고 싶은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데이터를 지정하는 방향 지정값을 상기 위치 지정값으로서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장치.
  4. 제3항에 기재된 영상 배포 장치와,
    피사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사체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촬상하는 카메라를 가짐과 함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 녹화 기능을 갖고, 녹화된 상기 동화상을 통신 네트워크로 송출하며, 또한 복수의 촬상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피사체를 각각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동화상을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배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와,
    상기 표시 모니터의 전방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기 방향 지정값을 선택하는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량을 상기 방향 지정값으로서 인식하는 조작 인식부를 갖고,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단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선택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향 지정 조작 중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상기 방향 지정값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방향 지정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향 지정 조작의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 지정값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완료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부터의 의사적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식부는, 상기 표시 모니터의 표면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스와이프 조작을 상기 방향 지정 조작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지정값 접수부가 상기 방향 지정값을 접수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의 상기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방향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단위 시간당의 상기 방향 지정값의 변화량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방향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방향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부에 대하여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표시 모니터에,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요구부가 취득한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묘화하는 묘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묘화부가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모니터에 묘화하는 시간(TF)은, 상기 요구부가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부에서 취득하여 상기 묘화부에 전송하는 시간(TD)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포 시스템.
  9. 컴퓨터가,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분할 데이터로서,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의 단수 분할 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분할 데이터가 촬상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사용자가 보고 싶은 상기 분할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위치 데이터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 단계와,
    상기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접수한 상기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데이터를 따라 상기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선택 단계에서는, 상기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상기 위치 지정값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와 관련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 또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있을 때, 상기 지정값 접수 단계에서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이미 선택한 복수 분할 데이터와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영상 배포 방법.
  10. 컴퓨터에,
    다른 지점에서 촬상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기능과,
    상기 취득 기능이 취득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소정 시간마다의 프레임을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분할 데이터로서,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의 단수 분할 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기능과,
    상기 분할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있어서의 피사체를 촬상한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분할 데이터가 촬상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기능과,
    사용자가 보고 싶은 상기 분할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위치 데이터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는 지정값 접수 기능과,
    상기 지정값 접수 기능이 접수한 상기 위치 지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데이터를 따라 상기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송신하는 선택 기능을 실현시키며,
    상기 선택 기능에서는, 상기 지정값 접수 기능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지정되어 있는 상기 위치 지정값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와 관련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수 분할 데이터 또는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있을 때, 상기 지정값 접수 기능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값을 접수한 경우에는, 이미 선택한 복수 분할 데이터와 시간적으로 가까운 단수 분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영상 배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7011036A 2017-09-20 2018-09-20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KR102511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0411 2017-09-20
JP2017180411 2017-09-20
PCT/JP2018/034937 WO2019059325A1 (ja) 2017-09-20 2018-09-20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方法並びに映像配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802A KR20200112802A (ko) 2020-10-05
KR102511407B1 true KR102511407B1 (ko) 2023-03-16

Family

ID=657205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44A KR102461037B1 (ko) 2017-09-20 2018-06-29 영상 배신 장치, 영상 배신 시스템, 영상 배신 방법 및 영상 배신 프로그램
KR1020207011036A KR102511407B1 (ko) 2017-09-20 2018-09-20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44A KR102461037B1 (ko) 2017-09-20 2018-06-29 영상 배신 장치, 영상 배신 시스템, 영상 배신 방법 및 영상 배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0417744B2 (ko)
EP (1) EP3687181A4 (ko)
JP (4) JP6568670B1 (ko)
KR (2) KR102461037B1 (ko)
CN (3) CN109525771B (ko)
AU (1) AU2018338407B2 (ko)
BR (1) BR112020005589A2 (ko)
CA (1) CA3076320A1 (ko)
GB (1) GB2587043B (ko)
IL (1) IL273453B2 (ko)
WO (1) WO2019059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0245B1 (en) * 2014-05-28 2020-03-24 Lucasfilm Entertainment Company Ltd. Navigating a virtual environment of a media content item
US10417744B2 (en) 2017-09-20 2019-09-17 Amatelus Inc. Video distribution device,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WO2020129696A1 (ja) * 2018-12-21 2020-06-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571859B1 (ja) * 2018-12-26 2019-09-04 Amatelus株式会社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KR102281128B1 (ko) * 2020-10-26 2021-07-26 한창엽 영상의 재생 방법
WO2022092760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영상의 재생 방법
CN113507582A (zh) * 2021-07-14 2021-10-15 北京洞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轨道表观影像数据分析的新方法
KR102595431B1 (ko) * 2021-07-16 2023-10-27 서울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감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823A (ja) * 2013-06-19 2015-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ミラーシステム
JP2016517672A (ja) * 2013-03-15 2016-06-16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ビューポイントによるビデオの生成
WO2016208102A1 (ja) * 2015-06-25 2016-12-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同期装置及び映像同期方法
WO2017038541A1 (ja) * 2015-09-03 2017-03-0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971B1 (en) * 1996-08-05 2006-09-26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erver and client on network, and program codes realizing communication thereof
US6233428B1 (en) * 1997-09-17 2001-05-15 Bruce Fry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child care training materials and remote monitoring of child care centers
JP2004053616A (ja) 2002-05-28 2004-02-19 Sony Corp 撮影システム、複数の撮像装置の支持装置、並びに複数の撮像装置の配置調整方法
AU2005201321B2 (en) * 2004-03-26 2007-08-09 Sri Sports Limited Golf swing-diagnosing system
JP4587166B2 (ja) * 2004-09-14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移動体追跡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2039441A1 (ja) * 2010-09-24 2012-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96628B1 (ja) * 2011-09-29 2012-12-12 徹平 江里口 動画像表示装置、動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動画像処理表示システム
CN104036536B (zh) * 2013-03-07 2018-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定格动画的生成方法和装置
CN104219440A (zh) * 2013-05-29 2014-12-17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影像动态录像装置和影像动态录像方法
CN104394303A (zh) * 2013-05-29 2015-03-04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影像动态记录装置及影像动态记录方法
CN103823877A (zh) * 2014-02-28 2014-05-28 胡勇建 实物展示方法、实物展示系统及对应的图片获取装置
JP6238134B2 (ja) 2014-03-17 2017-11-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601978A (zh) * 2015-01-06 2015-05-06 北京中科广视科技有限公司 自由视点图像的获取系统与方法
US10206645B2 (en) * 2015-09-18 2019-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perspective interventional imaging using a single imaging system
JP7021842B2 (ja) 2015-11-13 2022-02-17 パナソニック ネッ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映像配信方法
CN106909263A (zh) * 2015-12-22 2017-06-30 王骁勇 三维图像的交互展示方法及系统
JP6778912B2 (ja) 2016-02-03 2020-1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
WO2017134706A1 (ja) 2016-02-03 2017-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
JP6957215B2 (ja) * 2017-06-06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17744B2 (en) 2017-09-20 2019-09-17 Amatelus Inc. Video distribution device,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7672A (ja) * 2013-03-15 2016-06-16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ビューポイントによるビデオの生成
JP2015005823A (ja) * 2013-06-19 2015-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ミラーシステム
WO2016208102A1 (ja) * 2015-06-25 2016-12-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同期装置及び映像同期方法
WO2017038541A1 (ja) * 2015-09-03 2017-03-0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n Wang et al., ‘CamSwarm: Instantaneous Smartphone Camera Arrays for Collaborative Photography, arXive.org, 2015.07.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7181A4 (en) 2021-06-02
JP2019205197A (ja) 2019-11-28
JP2023063607A (ja) 2023-05-09
GB2587043A9 (en) 2022-09-14
WO2019059325A1 (ja) 2019-03-28
CN111357296B (zh) 2022-12-02
IL273453A (en) 2020-05-31
JP7565104B2 (ja) 2024-10-10
US20200228754A1 (en) 2020-07-16
AU2018338407A1 (en) 2020-04-09
JP6568670B1 (ja) 2019-08-28
CA3076320A1 (en) 2019-03-28
IL273453B2 (en) 2023-08-01
CN109525771B (zh) 2022-07-01
CN109525771A (zh) 2019-03-26
CN111357296A (zh) 2020-06-30
US20190087936A1 (en) 2019-03-21
IL273453B1 (en) 2023-04-01
US11113787B2 (en) 2021-09-07
GB2587043A (en) 2021-03-17
GB202004134D0 (en) 2020-05-06
KR20200112802A (ko) 2020-10-05
JPWO2019059325A1 (ja) 2019-11-14
CN115942044A (zh) 2023-04-07
EP3687181A1 (en) 2020-07-29
JP7123405B2 (ja) 2022-08-23
KR102461037B1 (ko) 2022-10-31
BR112020005589A2 (pt) 2020-10-27
KR20190032994A (ko) 2019-03-28
US10417744B2 (en) 2019-09-17
JP2021114782A (ja) 2021-08-05
AU2018338407B2 (en) 2023-06-22
GB2587043B (en) 2023-02-15
US11562466B2 (en) 2023-01-24
JP7253279B2 (ja) 2023-04-06
US20210398249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407B1 (ko) 영상 배포 장치, 영상 배포 시스템, 영상 배포 방법 및 영상 배포 프로그램
US10447874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of an image
US12061641B2 (en) Video delivery device, video delivery system, video delivery method and video delivery program
JP594293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64126B1 (ko) 고화질 동영상의 스트리밍 전송 장치 및 방법
US11622099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JP7249637B2 (ja)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WO20180049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segmented content
CN115134633B (zh) 一种远程视频方法及相关装置
JP5942932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3103875A1 (zh) 自由视角视频的视角切换方法、装置及系统
JP201716898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