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016B1 -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1016B1 KR102511016B1 KR1020220152893A KR20220152893A KR102511016B1 KR 102511016 B1 KR102511016 B1 KR 102511016B1 KR 1020220152893 A KR1020220152893 A KR 1020220152893A KR 20220152893 A KR20220152893 A KR 20220152893A KR 102511016 B1 KR102511016 B1 KR 102511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distance
- size
- pixe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57—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light fields, e.g. from plenoptic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대거리 인식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장치 및 방법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20: 촬영부 130: 거리 측정부
140: 표시부 150: 픽셀크기 설정부
160: 픽셀 배치부 170: 절대거리 인식부
171: 윤곽선 도출부 172: 픽셀 카운트부
173: 크기결정부 174: 중심점 도출부
175: 간격결정부 176: 제어부
Claims (14)
- 촬영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종류별로, 유효한 임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와의 기준거리, 및 피사체의 크기 또는 다른 피사체와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 피사체의 종류별로 상기 기준거리와 매칭된 소정크기의 기준픽셀 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 저장부;
임의의 제1 피사체에 대한 촬영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 렌즈와 상기 제1 피사체와의 실제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상기 제1 피사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상기 실제거리를 비교하고, 그 차이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를 가변시켜 가변픽셀의 크기를 결정하는 픽셀크기 설정부;
상기 제1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이미지 상에 상기 가변픽셀을 배치하는 픽셀배치부; 및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는 절대거리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크기 설정부는
상기 측정된 실제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가까우면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를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 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멀면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를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 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거리 인식부는
상기 제1 피사체의 크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피사체의 윤곽선을 도출하는 윤곽선 도출부;
상기 윤곽선 내부에 배치된 상기 가변픽셀의 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트부; 및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피사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배치부는
가장 적은 수에 의해 상기 윤곽선 내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변픽셀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거리 인식부는
상기 제1 피사체와 다른 임의의 제2 피사체 사이의 간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피사체 및 상기 제2 피사체 각각의 중심점을 도출하는 중심점 도출부; 및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피사체와 상기 제2 피사체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카운트부는
상기 제1 피사체의 중심점과 상기 제2 피사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가변픽셀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배치부는
가장 적은 수에 의해 상기 직선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변픽셀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거리와 상기 제1 피사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가 피사체의 종류별로, 유효한 임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와의 기준거리, 및 피사체의 크기 또는 다른 피사체와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 피사체의 종류별로 상기 기준거리와 매칭된 소정크기의 기준픽셀 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 저장단계;
임의의 제1 피사체에 대한 촬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장치가 카메라 렌즈와 상기 제1 피사체와의 실제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제1 피사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상기 실제거리를 비교하고, 그 차이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를 가변시켜 가변픽셀을 결정하는 픽셀크기 설정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제1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이미지 상에 상기 가변픽셀을 배치하는 픽셀배치단계; 및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배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는 절대거리 인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크기 설정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제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가까우면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를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 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멀면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를 상기 기준픽셀의 크기 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거리 인식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의 크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피사체의 윤곽선을 도출하는 윤곽선 도출단계;
상기 윤곽선 내부에 배치된 상기 가변픽셀의 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트단계; 및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피사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배치단계는
가장 적은 수에 의해 상기 윤곽선 내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변픽셀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거리 인식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와 다른 임의의 제2 피사체 사이의 간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피사체 및 상기 제2 피사체 각각의 중심점을 도출하는 중심점 도출단계; 및
상기 가변픽셀의 크기 및 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피사체와 상기 제2 피사체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카운트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의 중심점과 상기 제2 피사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가변픽셀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배치단계는
가장 적은 수에 의해 상기 직선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가변픽셀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거리와 상기 제1 피사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893A KR102511016B1 (ko) | 2022-11-15 | 2022-11-15 |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893A KR102511016B1 (ko) | 2022-11-15 | 2022-11-15 |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1016B1 true KR102511016B1 (ko) | 2023-03-16 |
Family
ID=8598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2893A KR102511016B1 (ko) | 2022-11-15 | 2022-11-15 |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101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5000A (ko) * | 2006-05-30 | 2007-12-05 | 주식회사 에스원 |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의 실제 크기 측정 방법 및 장치 |
KR101049050B1 (ko) | 2009-02-23 | 2011-07-15 | 렉스젠(주) |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142533A (ko) * | 2012-06-19 | 2013-12-30 | 주식회사 메이트텍 | 스마트폰 실측기 |
KR20190038966A (ko) * | 2017-10-02 | 2019-04-10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카메라를 이용한 수치 계측 방법 |
JP2021048560A (ja) * | 2019-09-20 | 2021-03-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 |
KR20210113509A (ko) * | 2020-03-06 | 2021-09-16 | (주)무한솔버 | 위치기반 빅데이터 연동 피사체 크기 ai일체형 측정장치 |
-
2022
- 2022-11-15 KR KR1020220152893A patent/KR1025110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5000A (ko) * | 2006-05-30 | 2007-12-05 | 주식회사 에스원 |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의 실제 크기 측정 방법 및 장치 |
KR101049050B1 (ko) | 2009-02-23 | 2011-07-15 | 렉스젠(주) |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142533A (ko) * | 2012-06-19 | 2013-12-30 | 주식회사 메이트텍 | 스마트폰 실측기 |
KR20190038966A (ko) * | 2017-10-02 | 2019-04-10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카메라를 이용한 수치 계측 방법 |
JP2021048560A (ja) * | 2019-09-20 | 2021-03-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 |
KR20210113509A (ko) * | 2020-03-06 | 2021-09-16 | (주)무한솔버 | 위치기반 빅데이터 연동 피사체 크기 ai일체형 측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429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96132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JP4420909B2 (ja) | 撮像装置 | |
TWI521255B (zh) | 自動對焦方法、其自動對焦裝置和其影像擷取裝置 | |
US10375292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having depth information | |
EP3296788B1 (en) | Method of performing autofocus, autofocus system, and camera comprising an autofocus module | |
KR101560866B1 (ko) | 피부색 영역 및 얼굴 영역에 기초한 뷰포인트 검출기 | |
WO2011125937A1 (ja) | キャリブレーションデータ選択装置、選択方法、及び選択プログラム、並びに三次元位置測定装置 | |
CN101095340A (zh) | 用于图像捕获设备的焦距检测 | |
US11828847B2 (en) |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eriving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deriving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 |
CN108289170B (zh) | 能够检测计量区域的拍照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 |
JP4193342B2 (ja) | 3次元データ生成装置 | |
JP2019090931A (ja) | 監視カメラシステム | |
JP6780389B2 (ja) |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 |
KR102511016B1 (ko) |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
US11004229B2 (en) | Image measurement device, image measurement method, imaging device | |
US11808561B2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jector to project an image onto a screen at an actual size length,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1635602B1 (ko) | 홍채 인식 방법 및 장치 | |
US10607096B2 (en) | Z-dimension user feedback biometric system | |
US9843715B2 (en) | Photographic apparatus, stroboscopic image prediction method,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troboscopic image prediction program | |
CN108431660A (zh) | 范围优化的全光变焦 | |
CN109565544B (zh) | 位置指定装置及位置指定方法 | |
CN106331496B (zh) | 一种多通道成像设备的同步定焦方法及多通道成像设备 | |
CN114947732A (zh) | 检测装置和用于控制检测装置的控制方法 | |
JP6223502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