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33B1 -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 Google Patents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33B1
KR102510833B1 KR1020197034313A KR20197034313A KR102510833B1 KR 102510833 B1 KR102510833 B1 KR 102510833B1 KR 1020197034313 A KR1020197034313 A KR 1020197034313A KR 20197034313 A KR20197034313 A KR 20197034313A KR 102510833 B1 KR102510833 B1 KR 10251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ocyte foot
subject
disease associated
loss
diagn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997A (ko
Inventor
칼한스 엔들리히
니콜레 엔들리히
플로리안 지거리슈트
Original Assignee
니포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7014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108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포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니포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the pathological state of an org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4Genitourinary disorders
    • G01N2800/347Renal failures; Glomerular diseases; Tubulointerstitial diseases, e.g. nephritic syndrome, glomerulonephritis; Renovascular diseases, e.g. renal artery occlusion, nephropat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b) 단계 (a)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Description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본 발명은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b) 단계 (a)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수십 년 동안, 신장 질환의 병리학적 평가에 대한 우수한 표준은 염색된 신장 생검의 광학 및 전자 현미경 평가였다. 이들 절편 생검의 신속한 조직병리학적 조사 및 진단은 특히 최소 변화 질환 (MCD), 당뇨병성 신장병증 및 국소 분절 사구체경화증 (FSGS) 과 같은 신장병의 다음 치료에 중요한 단계이다. MCD 의 경우, 고전적인 일상적인 병리조직학적 평가 (H&E, PAS, Silverstain, Trichrome) 및 면역조직학 (IgG, IgM, IgA, C3) 은 발견될 수 있는 유일한 주요 병리학적 특징이 족세포 족돌기의 소실이기 때문에 진단으로 이어지지 않는다1. 따라서, 시간-소모적인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준비 및 평가가 필요하다. 족세포 족돌기 소실은 사구체병증, 예를 들어 단백뇨 신장 질환의 특징이다. 사구체병증은 신장의 기본 구조 및 기능 단위인, 네프론의 사구체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세트이다.
Ernst Abbe 에 의해 설명된 대로, 광학 현미경의 물리적으로 결정된 해상도 한계는 xy-방향에서 약 200 nm 이며 z-방향에서 훨씬 더 크다. 최근 확률적 광학 재구성 현미경 (STORM), 자극 방출 고갈 현미경 (STED) 및 구조적 조명 현미경 (SIM) 과 같은 점점 더 다양한 초고해상도 (SR) 현미경 기술이 이 해상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2.
2013 년, SR 현미경은 뮤린 및 인간 사구체 기저막 내 단백질 분포에 관한 STORM 연구를 통해 Suleiman 과 동료들에 의해 신장 연구 커뮤니티에 처음으로 발표되었다3. 2016 년, Unnersjo-Jess 와 동료들은 광학적으로 깨끗한 신장 조직에서 세극막 (SD) 을 시각화하는 STED 접근법을 보여주었다4.
의심할 여지 없이, STORM 및 STED 는 흥미로운 기회와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불행히도 이러한 기술의 함정은 까다로운 샘플 준비 (조직 정화, 특수 형광단 및 특수 이미지화 완충제) 및 이미지 수집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이 일상적인 진단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다.
SIM 을 이용한 현재 시판되는 현미경은 Abbe 의 광학 해상도 제한을 3 가지 방향 모두에서 적어도 2 배 극복하여, 복셀 해상도의 약 10 배 증가를 산출한다5,6. SIM 은 정의된 쇠격자를 통한 샘플의 순차적인 조명에 의해 작동한다. 상이한 조명 단계에서, 쇠격자는 이동 및 회전되어, 쇠격자의 조명 패턴은 샘플의 원래 패턴과 간섭하여, 소위 Moire (무아레) 패턴을 생성한다. 제 2 단계에서, 이 주파수 혼합 패턴은 데이터세트의 디지털 재구성에 의해 복조되어 공간 해상도가 개선된다. STED 및 STORM 과 같은 다른 SR 기술과 달리, SIM 은 표준 형광단 및 라벨링 절차와 함께 작동하여, 시간-소모적인 새로운 프로토콜을 만들 필요없이 흥미로운 신규한 도구가 되므로 즉시-사용 시스템이다.
사구체 생물학에 초점을 둔 과학자들에게, SIM 은 족세포 족돌기 (FP) 가 약 30 nm 의 세극막 (SD) 에 의해 세분화되는 대략 200 nm 의 폭을 갖기 때문에 매우 유혹적인 도구이다. 따라서, 이들 구조는 종래의 광학 현미경에 의해 이미지화 될 수 없고 전자 현미경에 의한 초구조 평가만이 족돌기의 레벨에서의 변화를 정량화하는데 사용된다.7,8
족세포는 네프론의 보우먼의 캡슐 내의 세포이다. 족세포 족돌기 (일명 족세포 발 돌기, 또는 족세포 페디셀) 은 사구체의 모세관을 둘러싸고, 그들 사이에 슬릿을 남긴다. 혈액은 세극막에 의해 브리징된 여과 슬릿으로 알려진 이들 슬릿을 통해 여과된다. 세극막을 형성하는 하나의 지퍼-유사 단백질은 네프린이고, 여기서 지퍼의 치아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데, 당과 물을 통과시키기에는 충분히 크지만 단백질을 통과시키기에는 너무 작다. 족세포는 그 형상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스트레스와 손상에 반응한다. 족돌기 소실은 가장 눈에 띄지만, 어떤 면에서는 이러한 변화 중 가장 불가사의하다. 소실된 족세포 족돌기 (dFP) 의 폭은 사구체병증, 예를 들어 단백뇨 신장 질환에서 신장 기능과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오랫동안 알려져왔다.
세극막을 구성하는 상이한 단백질 (예, 네프린, NEPH1, 포도신) 의 발견 및 특정 항체의 후속 개발로 인해, 이들을 사구체 질환의 진단 마커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9-12 오늘날까지 신증 질환을 진단하거나 세분화하는 신뢰할만한 마커는 발견되지 않았다. 최근, SIM 이 포도신의 특정 라벨링을 사용하여 SD 를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 그러나, 족세포 FP 소실의 통상적인 진단은 여전히 시간소모적인 방법인 TEM 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빠른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즉 종래의 TEM 방법보다 시간이 덜 소요되는, 사구체병증, 즉,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세극막의 길이 (lSD) 가 족세포 족돌기 소실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b) 단계 (a)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 (건강한 대상) 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놀랍게도, 세극막의 길이 (lSD) 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갖는 대상에서 변화, 특히 감소된다. 족세포 족돌기 소실에서, 족세포 족돌기의 맞물림이 감소하는데, 족세포 족돌기는 -족세포 족돌기의 폭의 변화 이외에- 수축되기 때문에 족세포 족돌기가 감소하며, 또한 SD 형태의 변화를 초래하고, 덜 구불구불하고 짧게 움츠러든다. 그러므로, 세극막의 길이 (lSD) 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에 대한 지표이다.
"세극막" 이라는 표현은 족세포 족돌기가 세극막의 정상적인 세포-대-세포 접촉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특히 족세포 족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경우, 상기 표현은 또한 족세포 족돌기가 세포-대-세포 접촉이 변경되고 다른 연결, 예를 들어, 치밀 이음, 부착 이음 또는 갭 이음을 통해 연결되는 영역을 포괄한다.
(b) 에 따르면, (a)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 세극막의 길이 (lSD) 는 건강한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와 비교될 수 있다. (b) 에서 사용된 건강한 대상의 세극막의 길이 (lSD) 는 또한 문헌 (알려진 경우) 의 참조 값일 수 있다.
신장 조직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조직병리학적 섹션의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섹션, 냉동 섹션, 중합체 포매 섹션, 예를 들어 LR 화이트 및 세미틴 섹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직병리학적 섹션의 형태로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직병리학적 파라핀 섹션이 사용된다. 생검 직후 또는 신장 제거 직전 또는 직후에, 신장 조직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신장 조직 샘플을 수득하고 조직을 가능한 한 영향받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고정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제를 포함하는 고정 용액을 포함하는 적합한 고정 배지에 또는 그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은 관류 고정 또는 침지 고정에 의해 수행된다. 고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아세톤, 포름알데히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제는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한다. 고정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제 및 적합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한다.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신장 조직 샘플을 예를 들어 파라핀에 포매하고 적합한 섹션으로 절단한다.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신장 조직 샘플은 조직 정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계 하이드로겔 (CLARITY)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디벤질 에테르 (3DISCO, iDISCO) 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만든다. 조직 정화는 면역염색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영역 A" 는 바람직하게는 사구체가 FP 상에서 평면으로 보여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특정 영역 내에서, 사구체의 모세관은 족세포 족돌기의 평면 내에서 절단되어 여과 슬릿의 경로가 보일 수 있어야 한다 (가로 섹션). "비교가능한 영역 A'" 는 특정 영역 A 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배향을 갖는 영역, 즉 비교가능한 영역 A' 내에서, 사구체의 모세관은 족세포 족돌기의 평면 내에서 절단되어 여과 슬릿의 경로가 보일 수 있어야 한다 (가로 섹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모세관 면적 당 SD 의 길이 (lSD/A) 로서 정의된, SD 밀도를 계산했다. 놀랍게도, SD 밀도의 계산은 족세포 FP 소실의 진단 절차를 향상시키고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1)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a.2) 특정 영역 (A) 에 의해 (a.1) 에서 결정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나눈 세극막 밀도 lSD/A 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단계 (a.2) 에서 결정된 세극막 밀도 lSD/A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 (건강한 대상) 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의 수득된 세극막 밀도 lSD/A 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b) 에서 사용된 건강한 대상의 세극막 밀도 lSD/A 는 또한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1 명 초과의 대상으로부터 및/또는 1 개 초과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수득된 세극막 밀도 lSD/A 의 참조값을 포함한다. 참조값은 이러한 데이터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b) 에서 사용된 건강한 대상의 세극막 밀도 lSD/A 는 또한 문헌 (알려진 경우) 의 참조값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신장 조직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 염색 시스템으로 면역염색된다:
i) 바람직하게는 네프린, NEPH1, 포도신, ZO-1, FAT-1, 클라우딘-5, CD2AP, FYN, Nck1, Nck2, CRIM1, IQGAP1, MAGI-2, MYO1C, MYO1E, TRPC6, ApoL1, NOTCH, Par3, Par6, 다이나민, 클라트린, b-어레스틴, PKC, Grb2, Ca2+-활성화 채널 (BK) 및 P-캐드헤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네프린, NEPH1, 포도신, ZO-1, FAT-1, 클라우딘-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네프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극막 단백질, 세극막 상호작용 단백질 및 족세포 세포 접촉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에 대항하는 적어도 결합 분자,
ii) 적어도 하나의 형광 염료,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 nm 범위의 광에 의해 여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염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아닌 염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Cy3, Cy3.5, Cy5, Cy5.5, Cy7, 및 Cy7.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아닌 염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Cy3.
i) 에 따른 결합 분자는 단백질 및 핵산으로 이루어진 군, 바람직하게는 항체, 앱타머, 펩타이머 및 나노바디 (단일-도메인 항체) 로 이루어진 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은 사구체병증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성 신장병증, 국소 분절 사구체경화증, 막성 사구체신염/막성 신증 및 최소 변화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이다.
단계 (a), (b) 및 (a.1), (a.2), (b) 각각에 따르면,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는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서 "초 고해상도"는 xy 방향으로 200 nm 미만의 해상도 한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은 모든 초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로부터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조 조명 현미경이다.
(b) 에 따르면, (a) 및 (b) 의 결과 비교에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b) 에 따른 편차는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세극막의 길이 (lSD) 와 비교한 단계 (a) 에서 결정된 세극막의 길이 (lSD) 의 감소 또는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세극막 밀도 lSD/A 와 비교한 (a.2) 에서 형성된 세극막 밀도 lSD/A 의 감소이다.
상기 요약된 바와 같이, 족세포 족돌기의 폭의 결정은 족세포 소실에 대한 지표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c)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을 결정하는 단계;
d) 단계 c)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을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b) 및/또는 (d) 에서 결정된 편차, 바람직하게는 (b) 및 (d) 에서의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상술한 바와 같이, (b) 에서 결정된 "편차" 는 바람직하게 감소를 의미한다. 반대로, 단계 (d) 에 관한 "편차" 는 증가, 즉 족세포 족돌기의 폭의 증가를 의미한다.
족세포 족돌기의 폭은 각 FP 의 절반-길이에서 FP 의 양쪽에 있는 SD 로부터의 피크-대-피크 거리가 측정되는 표준화된 절차에 의해 결정된다.
신장 조직 샘플이 분석되는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마우스, 토끼 및 래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 및 마우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유동물이다.
방법은 시험관 내 방법, 즉 신장 조직 샘플을 시험관 내에서 분석하고, 신장 조직 샘플의 특정 영역 A 에서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및 세극막 밀도 lSD/A 를 각각 시험관 내에서 결정한다.
본 발명은 대상의 일상적인 신장 조직 샘플 예를 들어, 병리조직학적 파라핀 섹션, 면역형광 염색,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 바람직하게는 SIM 에 의한 빠른 평가, 바람직하게는 자동화된, 결과의 분석 및 FP 소실의 결정을 사용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MCD 가 예시적인 사구체병증, 즉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으로서 사용되는,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먼저, 일상적인 병리조직학으로부터 과잉인 신장 조직 샘플, 여기서 병리조직학적 파라핀 섹션은 고전적 조직학적 조사를 위한 PAS 염색 또는 Cy3-콘쥬게이션된 이차 항체에 의해 검출된, SD-단백질 네프린에 대한 특이적 항체로 염색함으로써 프로세싱되었다.
PAS-염색된 섹션은 MCD-진단된 대상의 생검과 비교하여 건강한 환자로부터 유래한 생검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도 1). 일부 MCD-생검은 근위 세뇨관의 약간의 팽창을 보여주었고 (도 1a-b), 저급 세뇨관 손상과 일치하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브러시 보더 (brushed border) 의 염색이 감소했다. 모든 이들, 다소 불특정한 특징은 MCD 로 진단된 생검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1.
네프린-염색된 건강한 신장 섹션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사진은 네프린에 대한 고전적인 선형 염색 패턴을 보여준 반면 (도 1g-h), MCD-진단 환자의 사진에서, 염색은 약간 약하고 덜 선형이며 더욱 과립화되었다 (도 1e-f). 도 1f 의 삽입부분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MCD 환자의 사구체의 일부 영역은 심지어 네프린-염색된 SD 의 구별을 허용하였다.
SIM z-스택은 슬라이스 대 슬라이스 거리 0.3 ㎛ 로 사구체 당 약 4 ㎛ 에 걸쳐 3 개의 각도 및 5 개의 격자 이동으로 기록되었다. 완전한 부피는 SIM 및 광시야 z-스택으로 재구성되었다. 도 2c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광시야 이미지는 공초점 이미지와 유사한, 선형 염색 패턴을 나타냈다. 도 2b 및 d 의 SIM 재구성은 단일 FP 사이에 위치한 SD 의 형태학을 보여주어 모세관에 대한 서로 얽힌 형태학을 보여준다. 건강한 대조군 대상의 SIM 이미지는 SD 의 구불구불한 구조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FP 가 정렬된 정상적인 형태학을 나타내었지만, MCD 환자는 족세포 FP 의 대규모 소실을 나타내는 SD 의 상당히 직선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소실된 족세포 족돌기 (dFP) 의 폭은 MCD14 및 막성 신증15 과 같은 사구체 질환에서 신장 기능과 역의 상관 관계가 있고, 건강한 대조군 신장의 dFP 를 MCD 진단을 받은 환자의 것과 먼저 비교하였다. 표준화된 절차로서, 각 FP 의 절반-길이에서 FP 의 양쪽에 있는 SD 로부터의 피크-대-피크 거리를 측정했다 (도 3b, 빨간색 막대 및 도표). 대조군에서, 평균 dFP 는 0.249 ㎛ 로 밝혀졌고 (StdDev = 0.068 ㎛, nFP = 1,220, n환자= 8) 이에 비해, MCD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평균 dFP 0.675 ㎛ (StdDev = 0.256 ㎛, nFP = 1,880, n환자 = 10) 이다. 결과를 표 1 에 요약한다.
표 1: MCD 환자 및 건강한 대상 (대조군) 의 dFP
Figure 112019119540633-pct00001
명백한 바와 같이, 평균 dFP (Mall FP) 가 MCD 대상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대조 신장과 비교하면, 모든 MCD-진단된 환자에 대해 측정된 dFP 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01) 가 밝혀졌다. 모든 10 명의 MCD 환자 (MCD1 내지 MCD10) 및 대조군에 대한 결과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세극막의 길이 (lSD) 가 측정되었고,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이미지 해석을 최적화하고 측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모세관 영역 당 SD 의 길이 (lSD/A) 로서 정의되는 SD 밀도를 계산하였다. 놀랍게도, 세극막의 길이 (lSD) 의 측정 뿐 아니라 SD 밀도의 계산은 족세포 FP 소실의 진단 절차를 향상시키고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널리 사용되는 FIJI 플랫폼의 ImageJ 기반 워크플로우16 가 성립되었다. 플러그인 Ridge Detection17 을 사용하였고, 이것은 디지털 현미경 사진의 선형 구조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세그먼트화한다. 절차를 자동화하기 위해, 네프린-양성 SD 로 표시된 FP 에서 평면도로 영역을 수동으로 선택한 후, SD 의 전체 길이와 총 선택된 모세관 영역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특정 플러그인이 작성되었다. 그다음 플러그인은 결과와 세그먼트화된 SD 의 사진을 자동으로 저장했다.
건강한 대조군의 lSD 는 16,955 ㎛2 영역에 대해 52.54 mm 인 것으로 결정되었고, MCD 환자의 평균 lSD 는 동일한 크기의 영역에 대해 30.94 mm 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명백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세극막의 길이 (lSD) 는 MCD 환자에서 세극막의 길이 (lSD) 보다 현저히 컸다, 즉 세극막의 길이 (lSD) 는 MCD 환자에서 감소했다.
건강한 대조군 신장의 기준값으로, 3.099 ㎛/㎛2 의 lSD/A (StdDev=0.268 ㎛/㎛2, n환자=8, A=16,955 ㎛2) 를 측정했다. 이에 비해, MCD 환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작은 평균 lSD/A 인 1.825 ㎛/㎛2 (StdDev=0.493, n환자=13, A=26,475 ㎛2) 을 나타냈다.
족세포 소실의 중증도에 대한 지표로서, 각 MCD 생검이 (대조군의) 얼마나 많은 표준 편차가 대조군의 평균 미만이었는지를 계산하였다. 모든 MCD 생검에 대해, 최소값 2.045 및 최대값 7.120 표준 편차를 갖는 4.757 표준 편차의 값이 계산되었고, 이는 MCD-진단된 환자에 대한 족세포 소실의 중증도에서 큰 변동성을 나타낸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한 모든 생검의 평균 lSD/A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작았다 (P<0.001, MCD 대 대조군으로부터의 모든 사구체의 lSD/A). 결과를 표 2 에 나열한다.
표 2: 건강한 대상 (대조군) 대 MCD 환자의 lSD/A.
Figure 112019119540633-pct00002
족세포 소실에 대한 진단 마커로서의 lSD/A 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MCD 환자 및 대조군 생검 둘 다의 dFP 및 lSD/A 의 값의 간단한 선형 회귀를 계산하였고, 이는 두 전략에 의해 측정되었다. 도 6 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값은 선형으로 상관되어 (R2= 0.91), 두 전략이 족세포 FP 소실을 진단하는 것과 동등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신장 생검에서 FP 소실을 진단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새롭고, 쉽고 빠른 병리학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프로토콜은 표준 방법을 사용하며, 최신 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점이 있는 일상적인 진단 워크플로우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접근법은 TEM 에 의한 족세포 FP 소실의 종래의 진단에 비해 훨씬 빠르다. 둘째, 숙련된 기술자가 생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장 생검 진단 워크플로우에서 비용과 시간이 줄어든다.
지금까지 TEM 을 통한 기존 평가를 사용하는 또 다른 함정은 dFP 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FP 를 통한 올바른 직교 섹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dFP 에 대해 거짓의 높은 값으로 이어질 것이다. 새로운 기술은 사구체 모세관의 평면도를 활용하므로 이 한계를 극복한다.
도 1 은 MCD-진단 환자 (a-b) 또는 건강한 대조군 대상 (c-d) 으로부터 유래된 PAS-염색된 신장 섹션의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그룹간에 큰 형태학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MCD 환자 (e-f) 또는 대조군 신장 (g-h) 의 네프린-염색 섹션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사진은 MCD-진단 환자 생검 (e-f) 에서 네프린에 대해 약간 더 약한 염색을 나타낸다. 단일 네프린-양성 SD 의 외관을 구별할 수 있다 (f, 삽입부). 스케일 바는 c 100 ㎛, d 40 ㎛, g 50 ㎛ 및 h 20 ㎛ 으로 표시된다.
도 2 는 SIM 재구성 전 및 후에 네프린-염색된 사구체의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a 와 c 의 현미경 사진은 SIM 재구성 이전의 원래 광시야 (WF) 데이터세트의 단일 프레임을 보여준다. 염색 패턴은 선형이며 공초점 현미경과 유사하다. SIM 재구성 (b, d, 3 개의 후속 프레임의 최대 강도 투영) 후에, 모세관 루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구별할 수 있다. d 에서의 배율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신장은 사이의 구불구불한 SD 에 의해 가교된 단일 FP 가 있는 규칙적인 염색 패턴을 나타낸다. MCD-진단 환자에서 (b) SD 는 덜 구불구불한 것으로 보이고 FP 는 소실되었다. 사진 e 및 f 에서 3D-재구성된 SIM 볼륨의 이미지는 모세관 루프에서 구불구불한 SD 의 공간적 양상을 보여준다. 명백하게, GBM 에 대해 단일 FP 를 구별할 수 있다. a-d 의 스케일 바는 10 ㎛ 을 나타내고, e-f 의 스케일 바는 2 ㎛ 을 나타낸다.
도 3 은 자동화된 SD 검출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패널 a 는 SIM-재구성된 광시야 이미지의 세그먼트를 보여준다 (b). 패널 b 의 그래프에 표시된 것처럼, dFP 는 인접한 SD 의 피크-대-피크 거리로 측정되었다. 자동화된 접근법을 위해, 평면 모세관 섹션의 영역을 선택하고 자동 SD 검출을 수행하였다. 패널 c 에서 흰색 주변 내의 검은색 선은 FIJI 플러그인에 의해 측정된 길이인 세그먼트화된 SD (흰색 화살표로 표시) 를 보여준다. 스케일 바는 2 ㎛ 을 나타낸다.
도 4 는 모든 10 명의 MCD 환자 (MCD1 내지 MCD10) 및 대조군에 대한 dFP 를 보여준다.
도 5 는 모든 10 명의 MCD 환자 (MCD1 내지 MCD10) 및 대조군에 대한 평균 lSD/A 를 보여준다.
도 6 은 dFP 및 lSD/A 의 평균값을 보여주며, 이것은 MCD 또는 대조군 대상의 생검에서 측정되었고, 각각의 개체에 대해 서로에 대해 플롯팅된다. 두 값은 0.91의 R2 와의 선형 관계를 보여준다. 표 1 과 2 에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dFP 및 lSD/A 둘다에 대해 MCD 와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 P<0.001.
방법
1.1 조직학적 염색
그라이프스발트 의학대학 또는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의 병리학 연구소 (The Institute of Pathology of the University Medicine Greifswald or University Erlangen-Nuernberg) 의 경험있는 병리학자에 의해 MCD 로 진단된 익명의 포르말린-고정 및 파라핀-포매 인간 신장 생검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건강한 대조군으로서, 그라이프스발트 의학대학의 비뇨기과 (the Department of Urology of the University Medicine Greifswald) 의 부분적 신장절제의 익명 과잉 신장 조직을 사용하였다. Erlangen 의 생검 사용은 뉘른베르크 대학 (Friedrich Alexander University of Erlangen-Nuernberg) 의 윤리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보관된 보관 재료 사용에 대한 소급적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 (참조 번호 4415). 그라이프스발트 의학대학 (University Medicine Greifswald) 의 지역 윤리위원회는 Greifswald 의 생검 사용을 승인했다. 크실렌 및 상승하는 에탄올 시리즈에서 탈파라핀화 후, 압력 쿠커에서 5 분 비등하여 시트레이트 완충제 중에서 항원 회수를 수행하였다. 슬라이드를 PBS 로 세척하고 PBS 중 2% FBS, 2% BSA 및 0.2% 피쉬 젤라틴으로 1 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1 차 항체 (차단 용액 중 1:75, 폴리클로날 기니피그 항-네프린 IgG, PG-N2, Progen, Heidelberg, Germany) 를 4℃ 에서 4 시간 동안 슬라이드 상에 인큐베이션하였다. PBS 에서 3 회 세척 후, 2 차 항체 (Cy3 콘쥬게이션된 염소 항-기니피그, Jackson Immunoresearch, West Grove, PA, USA) 를 4℃ 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DAPI (1:100) 에서 인큐베이션 및 PBS 중의 3 배 세척하였다. 현미경용 Mowiol (Carl Roth, Karlsruhe, Germany) 에 슬라이드를 고정시켰다. PAS 염색의 경우, 보충 정보에서 찾을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다.
1.2 현미경
PAS-염색된 섹션의 현미경 사진을 Olympus UC30 카메라가 장착된 Olympus BX50 현미경으로 촬영했다. 10x 및 40x 대물렌즈가 사용되었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는 63x (NA 1.4) 대물렌즈가 장착된 Leica TCS SP5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 를 사용하였다. 각 사구체의 단일 현미경사진을 1x 및 3x 줌으로 획득하였다.
SIM 의 경우 63x (1.4 NA) 오일 침지 대물렌즈가 장착된 Zeiss Elyra SP.1 시스템 (Zeiss Microscopy, Jena, Germany) 이 사용되었다. 슬라이스-대-슬라이스 거리가 0.3 ㎛ 인 2,430x2,430 픽셀 (78.35x78.35 ㎛) 크기의 Z-스택은 561 nm 레이저를 사용하여 대략 4 ㎛ 에서 2.4% 레이저 출력 및 노출 시간 100 ms 으로 습득하였다. 34 ㎛ 주기 쇠격자는 매 프레임마다 5 번 이동하고 3 번 회전했다. Zeiss ZEN 소프트웨어로 3D SIM 재구성을 다음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Baseline Cut, SR Frequency Weighting: 1.3; Noise Filter: -5.6; Sectioning: 96, 84, 83.
1.3 d FP 의 평가 및 자동화된 l SD /A 측정
SIM 이미지에서 dFP 의 폭을 FIJI 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했다: 2 개의 인접한 SD 의 피크-대-피크 거리는 단일 FP 의 절반 길이에서 측정되었다. dFP 를 사구체 당 20 개의 FP 에 대해 평가하였고, 환자 당 8 내지 12 개의 사구체를 포함하여 환자 당 ~200 회 측정하였다.
SD 길이의 자동 평가를 위해, ImageJ 기반 플랫폼 FIJI 및 ImageJ 플러그인 "Ridge Detection" 에 맞게 사용자 정의된 매크로가 프로그래밍되었다16,17. 매크로는 SD 및 FP 에서 평면도와 함께 모세관 영역의 수동 선택만을 필요로 한다. 소스 코드는 보충 정보에서 찾을 수 있으며 작성자는 요청에 따라 즉시-사용 FIJI 매크로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는 총 SD 길이 (lSD) 및 모세관 영역 (A) 를 측정하고, SD 검출 결과의 JPEG 파일과 함께 Excel 파일에 결과를 저장한다. SD 밀도를 설명하기 위해, lSD 를 A 로 나누었다.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생검의 결과를 Student’s 비쌍체 t-검정에 의해 대조군과 비교했다. 평균 MCD 대 대조군 환자의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표 1, 2), SPSS (22.0 IBM SPSS Inc., Chicago, IL, USA) 를 사용하는 Mann-Whitney U 검정을 적용하였다. 표현형의 중증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결과를 "대조군 미만 표준 편차"로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Figure 112019119540633-pct00003
Figure 112019119540633-pct00004

Claims (13)

  1.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특정 영역 A 는 족세포 족돌기 상의 평면도로 사구체가 보여지는 영역임;
    b) 단계 (a)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와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1)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에 의해 형성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결정하는 단계;
    a.2) 특정 영역 (A) 에 의해 단계 (a.1) 에서 결정된 세극막의 길이 (lSD) 를 나눈 세극막 밀도 lSD/A 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단계 (a.2) 에서 결정된 세극막 밀도 lSD/A 를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의 세극막 밀도 lSD/A 와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신장 조직 샘플이 면역염색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신장 조직 샘플이 하기를 포함하는 면역 염색 시스템으로 면역염색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i) 세극막 단백질, 세극막 상호작용 단백질 및 족세포 세포 접촉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또는 네프린, NEPH1, 포도신, ZO-1, FAT-1, 클라우딘-5, CD2AP, FYN, Nck1, Nck2, CRIM1, IQGAP1, MAGI-2, MYO1C, MYO1E, TRPC6, ApoL1, NOTCH, Par3, Par6, 다이나민, 클라트린, b-어레스틴, PKC, Grb2, Ca2+-활성화 채널 (BK) 및 P-캐드헤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에 대항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분자,
    ii) 적어도 하나의 형광 염료, 또는 400 내지 800 nm 범위의 광에 의해 여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염료, 또는 시아닌 염료, 또는 Cy3, Cy3.5, Cy5, Cy5.5, Cy7, 및 Cy7.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아닌 염료.
  5. 제 4 항에 있어서, i) 에 따른 결합 분자가 단백질 및 핵산으로 이루어진 군, 또는 항체, 앱타머, 펩타이머 및 나노바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이 사구체병증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또는 당뇨병성 신장병증, 국소 분절 사구체경화증, 막성 사구체신염/막성 신증 및 최소 변화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이 구조 조명 현미경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 따른 편차가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세극막의 길이 (lSD) 와 비교한 단계 (a) 에서 결정된 세극막의 길이 (lSD) 의 감소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 따른 편차가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세극막 밀도 lSD/A 와 비교한 단계 (a.2) 에서 형성된 세극막 밀도 lSD/A 의 감소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 초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상기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을 결정하는 단계;
    d) 단계 c) 에서 결정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을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과 비교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b) 및/또는 단계 (d) 에서 결정된 편차, 또는 단계 (b) 및 단계 (d) 에서의 편차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나타냄.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단계 (d) 에 따른 편차가 샘플링 시점에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의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대상의 신장 조직 샘플에서 비교가능한 특정 영역 A' 에서의 족세포 족돌기의 폭과 비교된 단계 (c) 에서 결정된 족세포 족돌기의 폭의 증가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상이 포유동물, 또는 인간, 마우스, 토끼 및 래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유동물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험관 내 방법인, 대상에서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 또는 사전-진단하기 위한 또는 족세포 족돌기 소실과 연관된 질환을 발생시키는 대상의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97034313A 2017-04-27 2018-04-26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KR102510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8506.8 2017-04-27
EP17168506.8A EP3396380B1 (en) 2017-04-27 2017-04-27 Diagnostic tool to determine podocyte foot process effacement
PCT/EP2018/060779 WO2018197633A1 (en) 2017-04-27 2018-04-26 Diagnostic tool to determine podocyte foot process effa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997A KR20190139997A (ko) 2019-12-18
KR102510833B1 true KR102510833B1 (ko) 2023-03-15

Family

ID=5870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13A KR102510833B1 (ko) 2017-04-27 2018-04-26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747326B2 (ko)
EP (1) EP3396380B1 (ko)
JP (1) JP7442083B2 (ko)
KR (1) KR102510833B1 (ko)
AU (1) AU2018260305A1 (ko)
CA (1) CA3061214C (ko)
DK (1) DK3396380T3 (ko)
ES (1) ES2869302T3 (ko)
MX (1) MX2019012439A (ko)
WO (1) WO2018197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8929B (zh) * 2023-07-07 2023-09-19 中日友好医院(中日友好临床医学研究所) 一种足细胞免疫荧光染色的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202A1 (en) 2008-10-07 2010-04-15 Fibrogen,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podocyte inju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4849A2 (en) * 2003-07-03 2005-02-17 Euro-Celtique, S.A. Genes associated with responses to neuropathic pain
AU2007230724B2 (en) 2006-03-23 2014-01-30 Am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king and using polymorphs of cinacalcet
CA2672560A1 (en) * 2006-12-15 2008-06-26 Ruprecht-Karls-Universitaet Heidelberg Methods for treating podocyte-related disorders
WO2010140024A1 (en) * 2009-06-03 2010-12-09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 renal disease in an individu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202A1 (en) 2008-10-07 2010-04-15 Fibrogen,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podocyte injur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EGERIST, F. et al., ACTA PHYSIOLOGICA, 2017, Vol. 219, pp 1-178. 1부.*
UNNESJO-JESS David et al., Kidney International, 2016, Vol. 89, pp 243-24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12439A (es) 2020-07-14
JP7442083B2 (ja) 2024-03-04
AU2018260305A1 (en) 2019-10-31
ES2869302T3 (es) 2021-10-25
EP3396380A1 (en) 2018-10-31
JP2020537739A (ja) 2020-12-24
WO2018197633A1 (en) 2018-11-01
DK3396380T3 (da) 2021-06-21
KR20190139997A (ko) 2019-12-18
EP3396380B1 (en) 2021-03-17
US11747326B2 (en) 2023-09-05
CA3061214C (en) 2023-08-01
CA3061214A1 (en) 2018-11-01
US20200049698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egerist et al.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and automatized image processing as a rapid diagnostic tool for podocyte effacement
Gailhouste et al. Fibrillar collagen scoring by second harmonic microscopy: a new tool in the assessment of liver fibrosis
Artelt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odocyte foot process morphology in three species by 3D super-resolution microscopy
CN112384787A (zh) 多光谱样本成像
Perbellini et al. Free-of-Acrylamide SDS-based Tissue Clearing (FASTClear) for three dimensional visualization of myocardial tissue
Kim et al. Comparative analyses of plasma amyloid-β levels in heterogeneous and monomerized states by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sensor system
Creech et al. Superresolution imaging of clinical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breast cancer with single molecule localization microscopy
Linke et al. High-sensitivity diagnosis of AA amyloidosis using Congo red and immunohistochemistry detects missed amyloid deposits.
JP2014044360A (ja) 顕微鏡システム、標本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Tesch et al. Super‐resolved local recruitment of CLDN5 to filtration slits implicates a direct relationship with podocyte foot process effacement
Codron et al. STochastic Optical Reconstruction Microscopy (STORM) reveals the nanoscale organization of pathological aggregates in human brain
Kowtharapu et al. Comparativ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human corneal sub-basal nerve plexus by in vivo confocal microscopy and histological staining
KR102510833B1 (ko) 족세포 족돌기 소실을 결정하는 진단 도구
Hong et al.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for the investigation of synaptic structure and function
Champelovier et al. Image-based adaptive optics for in vivo imaging in the hippocampus
Unnersjö-Jess et al. Three-dimensional super-resolved imaging of paraffin-embedded kidney samples
Nord et al. Biochemical profiling of diabetes disease progression by multivariate vibrational microspectroscopy of the pancreas
Wang et al. Label-free multiphoton imaging of β-amyloid plaques in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s
JP2005291759A (ja) 二次元画像による病症診断システム
Choi et al. Correlation of amyloid PET ligand florbetapir F 18 (18F-AV-45) binding with β-amyloid aggregation and neuritic plaque deposition in postmortem brain tissue
Siegerist et al. Super-resolution microscopy: a technique to revolutionize research and diagnosis of glomerulopathies
WO202102328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ndering biological material
KR102325464B1 (ko) 뇌손상을 진단하기 위한 마커로서의 자가형광의 용도
EP2038651B1 (en) An in vitro method of detecting and/or diagnosing cancer using uv light based dna image cytometry
Yamada et al. Beyond 2D: A scalable and highly sensitive method for a comprehensive 3D analysis of kidney biopsy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