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64B1 -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564B1
KR102510564B1 KR1020150190847A KR20150190847A KR102510564B1 KR 102510564 B1 KR102510564 B1 KR 102510564B1 KR 1020150190847 A KR1020150190847 A KR 1020150190847A KR 20150190847 A KR20150190847 A KR 20150190847A KR 102510564 B1 KR102510564 B1 KR 10251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ayer
light extrac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846A (ko
Inventor
이경하
이신복
한용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배리어 기능을 겸한 광추출 배리어를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재 상에 표면을 요철을 통해 발광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내부 수분이 제거되어 밀도가 높으며 표면 경도가 높아 배리어 특성이 좋은 광추출 배리어를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Syste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배리어 기능을 겸한 광추출 배리어를 기재 상에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로서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소자이며 자연색에 가까운 색을 표현할 수 있어,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소자의 광 효율은 약 25% 정도로, 약 70% 이상의 광이 장치 내부에서 소실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대량 생산화되는 측면에서 비용과 공정 및 양산이 모두 고려된 광추출 향상 기술 개발이 요원한 상태이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는 재료적으로 일정 시간 구동 후 효율이 현저히 저감되는 취약성을 가져 수명을 개선할 필요도 있다.
특히, 유기 발광 소자에서 유기 발광층은 열증착하여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온 고습 환경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고온 고습 환경에서 유기 발광 소자 내부로 수분과 산소를 유입시킬 수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배리어 기능을 겸한 광추출 배리어를 플렉서블 기재 상에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재 상에 표면을 요철을 통해 발광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내부 수분이 제거되어 밀도가 높으며 표면 경도가 높아 배리어 특성이 좋은 광추출 배리어를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위치한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의 마이크로 링클은 일정한 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은 규소를 코어로 하여, 상기 규소가 3개의 산소 원자와 하나의 메틸기와 공유결합되며, 인접한 산소 사이에 상기 공유결합 구조가 사슬 형태로 반복된다.
상기 마이크로 링클은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의 내부보다 경도가 높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플렉서블 기재와,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한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화소가 매트릭스 상으로 정의된 플렉서블 기재와,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각 화소별로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화소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추출 배리어를 표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형태로 구비하여, 외부로 반사되는 광을 다시 링클 내로 수렴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둘째, 재료적으로 실록산(siloxane)을 고온 경화하여 밀도가 높으며 표면 경도가 좋은 재질로 변성시킨 광추출 배리어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장치 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측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투과됨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광추출 배리어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3은 도 2a 내지 도 2d의 공정으로 제조된 광추출 배리어의 SEM도
도 4는 도 2c 및 도 2d의 공정 적용시 광추출 배리어의 내부 화학식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플렉서블 기재(100)와,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micro wrinkle)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110)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120) 및 상기 버퍼층 (120)상에 제 1 전극(130), 유기 발광층(140) 및 제 2 전극(150)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는 표면에 마이크로 링클과 같은 요철을 가져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측에서 광이 플렉서블 기재(100)측으로 나올 때, 외부로 나가는 광을 마이크로 링클 내로 다시 수렴하여 표면에서 다시 산란 및 확산을 일으켜 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광이 하측으로 발광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기 제 1 전극(130) 및 버퍼층(120)을 거쳐 출사되어,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로 들어가 최종 플렉서블 기재(100)를 통해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는 외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광추출 배리어(110)가 갖는 마이크로 링클(micro wrinkle)에 고립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링클이란 한 방향으로 긴, 표면의 1~9㎛ 직경의 골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에서 골 외의 부위는 돌출되어, 측면에서 보면,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는 요철처럼 관찰되는 것이다. 그리고, 광 진행에 있어서, 광추출 배리어(110)의 표면 중 상기 마이크로 링클 내에 광이 집중되며 이 부위에서 주변으로 광산란이 발생하여 광효율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는 제조시 실록산(siloxane)을 포함한 용매를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의 표면에 도포 후, 고온 경화시 내부에 있는 수분이 빠지며, 수축 작용하여 표면에 마이크로 링클의 요철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는 실록산을 주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경화 후에는 규소(Si)를 코어로 하여, 상기 규소가 갖는 4개의 결합기가 3개의 산소 원자(O)와 하나의 메틸기와 공유결합되며, 인접한 산소 사이에 상기 공유결합 구조가 사슬 형태로 반복된다(도 4 참조). 이 경우, 최종적인 광추출 배리어(110)의 성분은 규소 산화물(SiOx)과 메틸(CH3)기를 결합한 형태로, 일종의 유무기막이며, 수분 투습 방지력이 좋은 규소 산화물과 반응성이 좋은 메틸기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광추출 배리어(110)는 내부적으로 밀도감이 높아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투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추출 배리어(110)의 표면인 마이크로 링클은 상대적으로 광추출 배리어(110)의 내부 층보다 높은 경도를 가져, 물리적으로도 내부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및 제 1 전극(130)은 투명 기재이며, 상기 제 2 전극(150)은 반사 전극으로, 상기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광된 광은 제 1 전극(130), 버퍼층(120) 및 광추출 배리어(110)를 거쳐 상기 필름 기판(100) 측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층(120)은 복수층의 무기막으로 예를 들어, 산화막, 질화막, 산화질화막 혹은 금속 산화막일 수 있으며,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의 표면이 갖는 요철면을 평탄하게 하여, 이후 형성되는 제 1 전극(130)의 증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플렉서블 기재(100)는 그 성분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 이미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또는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스테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설페이트(polysulfate) 또는 폴리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또는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아민(polyamine) 및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콜(polyvinylalcohol), 폴리 알릴아민(polyally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약 20㎛ 내지 1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는 상기 실록산을 이용하여 광추출 배리어(110) 형성시 고온 경화 공정이 진행되므로, 약 300℃ 온도의 내열성을 갖는 폴리머 기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는 유리 기판을 연성이 가능할 정도로 식각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재(100)는 유리 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기 발광 소자 전체의 두께는 높아질 수 있으며, 장치의 연성화는 불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유리 기판으로 형성시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이 폴리머 기재보다 내열성이 놓으므로,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 형성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이어, 상기 광추출 배리어(110)의 형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광추출 배리어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a 내지 도 2d의 공정으로 제조된 광추출 배리어의 SEM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c 및 도 2d의 공정 적용시 광추출 배리어의 내부 화학식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a와 같이,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실록산(siloxane)(1100)을 도포한다. 이 경우, 실록산(1100)은 점성이 있는 용매의 형태로, 스핀 코팅 등의 방식으로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형성한다.
이어, 도 2b와 같이, 240℃ 이하의 온도로 일차 베이킹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도포된 실록산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한다. 경화 과정을 진행하면, 표면 층은 상대적으로 내부 층(1100b)보다 보다 경도를 갖는 경화층(1100a)으로 변성된다.
이어, 도 2c와 같이, 진공의 조건에서, 약 250 ℃ 이상의 고온으로 2차 베이킹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내부층(1100b)에서 포함되어 있는 수분(H2O)가 아웃가스 형태로 외부로 빠져나온다.
상기 2차 베이킹 공정에서 수분이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도 2d와 같이, 내부 수축이 발생하여, 경화층(110a)과 그 내부층(110b)은 표면에 요철을 갖게 되며, 이는 도 3과 같이, 표면이 일정한 결 방향으로 배열된 마이크로 링클로 관찰된다. 이 경우, 상기 최외부인 경화층(110a)의 마이크로 링클과 그 내부층(110b)의 마이크로 링클은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최외부인 경화층(110a)의 마이크로 링클의 경도가 높다.
즉,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실록산을 도포하고, 이를 고온 진공의 조건에서 경화하게 되면, 도포된 실록산의 깊이별로 경화 정도의 편차가 생기고 이 차이가 막의 표면 수축을 유도하여 표면에 링클을 발생시킨다.
도 4를 통해 화학 구조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실록산(Methyl Silsesquioxane = Siloxane)은 고온 진공의 조건에서 OH- 기가 수분으로 빠지면서 OH-기가 빠진 자리에 Si-O 결합을 생성한다. 즉, 보다 촘촘한 SiOx 계열의 막이 밀도가 크며 무기 성질이 강한 막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는 유기 용매를 일정의 고온 및 진공 조건으로 경화시켜 배리어 특성이 좋은 무기막 특성이 강한 광추출 배리어층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최종 경화되어 남은 광추출 배리어(110)는 규소(Si)를 코어로 하여, 상기 규소가 3개의 산소 원자와 하나의 메틸기와 공유결합되며, 인접한 산소 사이에 상기 공유결합 구조가 사슬 형태로 반복된다.
상술한 광추출 배리어는 앞서 설명한 유기 발광 소자의 형태로, 조명 장치나 혹은 표시 장치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플렉서블 기재(100)와,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110)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120)과, 상기 버퍼층 상에 제 1 전극(130), 유기 발광층(140) 및 제 2 전극(150)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45는 뱅크로, 유기 발광층(140)의 형성 영역을 선택적으로 정의하여, 구비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는 구성 요소이다.
그리고, 조명 장치의 경우, 전체 면적이 면발광으로 이용되므로, 화소별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동 소자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층(140)의 색상은 조명 광에 요구되는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비단 백색에 한하지 않고, 청색이나 다른 컬러 색상의 발광층을 적용하여 해당 색상의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플렉서블 기재(100)를 포함하여 전체 구성 요소를 연성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폴딩이나 벤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유기 발광 소자를 각 화소별로 구비하고, 화소별 선택 동작을 위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각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시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화소가 매트릭스 상으로 정의된 플렉서블 기재(100)와,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110)과,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에 각 화소별로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각 화소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OLED array)를 구비하며, 각 어레이는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각각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는 화소별로 나뉘는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화소별로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OLED array)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비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의 화소 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버퍼층(120) 상의 액티브층(122)과, 상기 액티브층(122)을 덮으며 버퍼층(12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24a)과, 상기 액티브층(122)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123)과, 상기 게이트 전극(123)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124a)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124b)과, 상기 층간 절연막(124b), 게이트 절연막(124a)을 관통하여 상기 액티브층(122)의 양단과 접속한 소오스 전극(125) 및 드레인 전극(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전극(123)은 게이트 라인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소오스 전극(125) 및 드레인 전극(126)은 데이터 라인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오스 전극(125) 및 드레인 전극(126)을 덮으며, 차례로 무기 보호막(127)과 유기 보호막(128)이 형성된다.
한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어레이(OLED array)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드레인 전극(126)과 접속되는 제 1 전극(130)과,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145a) 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140) 및 상기 유기 발광층(140)을 덮는 제 2 전극(15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뱅크(145a) 상에 뱅크(145a)의 일부 폭에 대응하여 일정 높이의 스페이서(14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5b)는 유기 발광층(140)의 형성시 소정의 개구부를 통해 유기물을 투과시키는 금속 마스크를 플렉서블 기재(100)의 상측에 대응하여 유기물 증착 공정을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 마스크 처짐이 있어, 뱅크(145a)가 무너지거나 발광 영역 내부에 영향을 주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뱅크(145a) 상에 규칙적으로 스페이서(145b)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OLED array) 상에는 내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상부 및 측부에서 모두 덮도록 봉지층(16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OLED array)를 합하여 어레이라 통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광추출 배리어는 표면에 마이크로 링클(micro wrinkle)을 갖는 형태로 구비하여, 외부로 반사되는 광을 다시 링클 내로 수렴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추출 배리어는 재료적으로 실록산(siloxane)을 고온 경화하여 밀도가 높으며 표면 경도가 좋은 재질로 변성시킨 광추출 배리어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장치 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투과됨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한, 플렉서블 기재(100)를 포함하여 전체 구성 요소를 연성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폴딩이나 벤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플렉서블 기재 110: 광추출 배리어
120: 버퍼층 130: 제 1 전극
140: 유기 발광층 150: 제 2 전극
160: 봉지층

Claims (7)

  1.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위치한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링클은 일정한 결 방향을 따라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은 규소를 코어로 하여, 상기 규소가 3개의 산소 원자와 하나의 메틸기와 공유결합되며, 인접한 산소 원자 사이에 상기 공유결합 구조가 사슬 형태로 반복된 유기 발광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링클은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의 내부보다 경도가 높은 유기 발광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플렉서블 기재인 유기 발광 소자.
  6.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링클은 일정한 결 방향을 따라 배치된 조명 장치.
  7. 복수개의 화소가 정의된 플렉서블 기재;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위치하며, 표면 전면에 마이크로 링클을 갖는 광추출 배리어층;
    상기 광추출 배리어층 상에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각 화소별로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각 화소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링클은 일정한 결 방향을 따라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190847A 2015-12-31 2015-12-31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1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47A KR102510564B1 (ko) 2015-12-31 2015-12-31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47A KR102510564B1 (ko) 2015-12-31 2015-12-31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46A KR20170079846A (ko) 2017-07-10
KR102510564B1 true KR102510564B1 (ko) 2023-03-15

Family

ID=5935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847A KR102510564B1 (ko) 2015-12-31 2015-12-31 유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687A (ko) * 2013-01-31 2014-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광추출 향상층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추출 향상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6838B1 (ko) * 2013-06-26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549773B1 (ko) * 2014-01-20 2015-09-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추출 효율이 증대된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46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1866B (zh) 可拉伸显示装置
JP6262738B2 (ja)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87308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2850B1 (ko) 유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패키징 방법
TWI492374B (zh) 電激發光顯示面板
KR100688972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WO2016150276A1 (zh) 柔性衬底基板和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5335909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照明装置または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プロセス
US892184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16026225A1 (zh) 一种有机发光显示装置及有机发光二极管的封装方法
WO2015143840A1 (zh)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1025414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93396A5 (ko)
TWI314025B (en) Method for fabricating active illumination apparatus
US20070054149A1 (en) Substrate assembly of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69227A (zh) 设有包封结构的oled布置
JP2018181668A5 (ko)
KR101894342B1 (ko) 발광 소자
CN106066729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826941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spacer on non-light emissio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00212327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 protective film
KR20160135804A (ko)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CN10547028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70194594A1 (en) Packag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6190056A1 (ja) 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