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66B1 -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66B1
KR102510466B1 KR1020220031540A KR20220031540A KR102510466B1 KR 102510466 B1 KR102510466 B1 KR 102510466B1 KR 1020220031540 A KR1020220031540 A KR 1020220031540A KR 20220031540 A KR20220031540 A KR 20220031540A KR 102510466 B1 KR102510466 B1 KR 10251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reflected
reflected wave
radar
refl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병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사장치로서, 상기 영상레이다가 송출하는 전자파를 지상에서 반사하도록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들은, 상기 반사기들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가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레이다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REFLECTOR APPARATUS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CALIBRATION AND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레이다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항공기나 인공위성에 탑재된다. 영상레이다는 지상으로 전자파를 송출하고 지상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이용하여 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의 촬영 정확도를 향상시키려면, 인공위성에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실제 지상의 위치정보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지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기준 반사판을 설치하고, 영상레이다에서 송출된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기준 반사판이 설치되는 위치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기준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인공위성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를 실제 지상의 위치정보에 일치시키는 보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준 반사판은 60도 정도의 반사각도 내에서만 반사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60도를 벗어나는 반사각도에서는 반사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인공위성이 기준 반사판의 반사각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레이다로 반사파가 제대로 반사되지 않아 보정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306607 B
본 발명은 영상레이다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영상레이다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사장치로서, 상기 영상레이다가 송출하는 전자파를 지상에서 반사하도록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들은, 상기 반사기들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가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반사기는, 반사면적이 변경되도록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상기 반사기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재; 및 지상에서 상기 몸체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재는, 중공형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 몸체; 중공형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몸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하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조절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는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턱에 걸릴 수 있는 제2 턱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반사기가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휠을 구비한다.
상기 반사기들은 직경 및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은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으로서,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기를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가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기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상기 반사기가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하는 과정; 및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으로서,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하는 반사기들을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과정;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상기 반사기들이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하는 과정; 및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들 각각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기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가 미리 설정된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하도록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들이 서로 다른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직경 및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한 후에,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 세기범위와 비교하는 과정; 및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가 상기 설정 세기범위 이내이면, 상기 반사파를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은, 수신된 반사파가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되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다. 이에, 영상레이다가 다양한 위치에서 전자파를 송출하더라도,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로 전자파를 안정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영상레이다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가 영상레이다에서 송출된 전자파를 반사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용 레이다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가 영상레이다에서 송출된 전자파를 반사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는,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50)에 탑재된 영상레이다(55)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사장치이다.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는 복수개의 반사기(100)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레이다(55)는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50)에 탑재되어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영상레이다(55)는 지상으로 전자파를 송출하고 지상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이용하여 지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영상레이다(55)에는 촬영한 이미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와 실제 지상의 위치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해 반사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반사기(100)는 영상레이다(55)가 송출하는 전자파를 지상에서 반사하도록,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반사면이 원기둥 또는 원통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전자파가 360도 어느 방향에서 입사되어도 동일한 반사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각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영상레이다(55)가 어느 위치에서 전자파를 송출하여도, 반사기(100)가 영상레이다(55)로 반사파를 안정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반사기(1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기(100)들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기(100a), 제2 반사기(100b), 및 제3 반사기(100c)가 구비되는 경우, 도 2의 (a)와 같이 반사기들이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사기(100)가 구비되는 개수 및 배치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반사기(100)들은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할 수 있다. 영상레이다(55)가 반사기(100)들이 배치된 영역으로 전자파를 송출한 후, 반사세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반사파가 수신되면, 반사파들이 반사된 위치에 반사기(100)들이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사기(100)들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영상레이다(55)가 구분할 수 있다. 반사기(100)들이 반사파를 반사하는 반사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반사기(100)들 각각의 상하방향 길이, 직경, 및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기(100a), 제2 반사기(100b), 및 제3 반사기(100c)가 구비되는 경우, 도 2의 (b)와 같이 제1 반사기(100a)의 상하방향 길이(L1)가 제일 짧게 형성되고, 제2 반사기(100b)의 상하방향 길이(L2)가 제1 반사기(100a)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3 반사기(100c)의 상하방향 길이(L3)가 제2 반사기(100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방향 길이가 제일 긴 제3 반사기(100c)의 반사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가장 크고, 제2 반사기(100b)는 반사면적이 제3 반사기(100c)보다 작기 때문에 제3 반사기(100c)보다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약하고, 제1 반사기(100a)는 반사면적이 가장 작기 때문에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가장 약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반사기(100)들이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반사기(100)들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반사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기(100)들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하면 반사면적이 증가하여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증가하고,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하면 반사면적이 감소하여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감소할 수 있다. 상세한 구조는 후술될 몸체부재의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는, 도 2의 (c)와 같이 제1 반사기(100a)의 직경(R1)이 제일 짧게 형성되고, 제2 반사기(100b)의 직경(R2)이 제1 반사기(100a)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3 반사기(100c)의 직경(R3)이 제2 반사기(100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직경이 제일 큰 제3 반사기(100c)의 반사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가장 크고, 제2 반사기(100b)는 반사면적이 제3 반사기(100c)보다 작기 때문에 제3 반사기(100c)보다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약하고, 제1 반사기(100a)는 반사면적이 가장 작기 때문에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가장 약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d)와 같이 제1 반사기(100a)를 반사 계수가 제일 작은 재질로 형성하고, 제2 반사기(100b)를 제1 반사기(100a)보다 반사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고, 제3 반사기(100c)를 제2 반사기(100b)보다 반사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기(100)들이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 반사하기 때문에, 각 반사기(100)에서 영상레이다(55)로 수신되는 반사파들의 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영상레이다(55)가 반사세기가 서로 다른 반사파들을 수신하면, 반사기(100)들에서 반사된 것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반사기(100)가 구비되는 개수 및 배치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반사기(100)는 둘레에 영상레이다(55)가 송출한 전자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반사기(100)는 몸체부(110), 및 반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20)는 몸체부(110)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120)는 반사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120)는 몸체부(110)의 둘레 형상을 따라 부착되어 영상레이다(55)가 송출하는 전자파를 반사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도 3의 (a)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와 같이 몸체부(110)를 중공형 원통 형태로 형성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기(100)를 운반하여 설치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몸체부(110)는 몸체부재(111), 및 지지부재(11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2)는 몸체부재(111) 하부에 설치된다. 지지부재(112)는 지상에서 몸체부재(1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1)가 지지부재(11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안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2)는 도 4의 (a)와 같이 뾰족하게(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12)가 지상에 박힐 수 있고, 지지부재(112)는 반사기(100)를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지지부재(112)들에 의해 반사기(100)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112)가 도 4의 (b)와 같이 삼각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에, 지지부재(112)가 몸체부재(111)를 지지하면서 몸체부재(111)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12)가 도 4의 (c)와 같이 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지지부재(112)를 이용하여 반사기(10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2)에는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기(10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제한부재를 이용하여 반사기(100)의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1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재(111)는 도 4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재(111)의 둘레면에 반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11)는 도 5와 같이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반사기(100)에서 전자파를 반사하는 반사면의 면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기(100)의 길이가 증가하면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증가하고, 반사기(100)의 길이가 감소하면 반사파의 반사세기가 감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재(111)는 복수개의 몸체, 및 조절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중공형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몸체(111a), 제2 몸체(111b), 및 제3 몸체(111c)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몸체(111b)는 제1 몸체(111a)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하방향으로 제1 몸체(111a)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3 몸체(111c)는 제2 몸체(111b)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하방향으로 제2 몸체(111b)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111b)가 직경이 가장 큰 제1 몸체(111a)의 내외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제1 몸체(111a)에 설치되고, 제3 몸체(111c)가 제2 몸체(111b)의 내외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제2 몸체(111b)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제2 몸체(111b)와 제3 몸체(111c)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몸체부재(111)의 길이가 감소하고, 도 5의 (b)와 같이 제2 몸체(111b)와 제3 몸체(111c)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몸체부재(111)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1a)는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턱(미도시)을 구비하고, 제2 몸체(111b)는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턱에 걸릴 수 있는 제2 턱(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몸체(111b)는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3 턱(미도시)을 구비하고, 제3 몸체(111c)는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3 턱에 걸릴 수 있는 제4 턱(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몸체(111b)가 제1 몸체(111a)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2 턱이 제1 턱에 걸려 제2 몸체(111b)가 제1 몸체(111a)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3 몸체(111c)가 제2 몸체(111b)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4 턱이 제3 턱에 걸려 제3 몸체(111c)가 제2 몸체(111b)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체는 몸체들이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체는 실린더일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 몸체(111a), 제2 몸체(111b), 및 제3 몸체(111c)가 구비되는 경우, 조절체는 제3 몸체(111c)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조절체가 제3 몸체(111c)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몸체부재(111)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하고, 조절체가 제3 몸체(111c)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몸체부재(111)의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체가 몸체들이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구조, 및 몸체부재(111)와의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55)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가 다양한 위치에서 전자파를 송출하더라도,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55)로 전자파를 안정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에, 반사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용 레이다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은,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기를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반사기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영상레이다가 구분할 수 있도록 반사기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S110),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반사기가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영상레이다로 수신하는 과정(S120), 및 반사파를 분석하여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우선,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기를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한다(S110). 즉, 미리 설정된 위치로 반사기(100)를 운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위치이기 때문에 반사기(100)의 위치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반사기(100)를 복수개 마련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서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반사기(100)들을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가 송출한 전자파가 복수개의 반사기(100)로부터 반사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반사파가 영상레이다(55)로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반사파들이 반사되는 형상을 인식하여, 영상레이다(55)는 반사파들이 반사기(100)들로부터 반사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반사기(100)들이 서로 다른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상하방향 길이, 직경, 및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게 마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반사기(100)들이 서로 다른 반사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각 반사기(100)에서 영상레이다(55)로 반사되는 반사파들의 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영상레이다(55)가 복수개의 반사기(100)에서 반사파들이 반사되는 형상을 더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파들이 반사기(100)들에서 반사된 것으로 더욱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반사기(100)들의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경우, 반사기(100)들의 상하방향 길이를 다르게 조절하여 서로 다른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반사기가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영상레이다로 수신한다(S120). 즉, 도 1과 같이 비행체나 인공위성(50)에 의해 영상레이다(55)가 반사기(100)가 배치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면, 영상레이다(55)는 반사기(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예상하여 반사기(100)를 향해 전자파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반사기(100)가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영상레이다(55)가 어느 위치에서 전자파를 송출하더라도, 반사기(100)가 영상레이다(55)로 안정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가 반사기(100)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반사기(100)들이 복수개인 경우, 영상레이다(55)로 복수개의 반사파가 수신될 수 있다. 이에, 영상레이다(55)는 반사파들이 형성하는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3개의 반사기(100)가 일렬로 지상에 배치되는 경우, 영상레이다(55)에 3개의 반사파가 일렬로 이격되는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가 생성하는 촬영 이미지에 3개의 점이 표시될 수 있고, 영상레이다(55)는 3개의 점의 형상을 인식하여 3개의 점의 위치가 반사기(100)들의 위치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한 후에,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 세기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가 설정 세기범위 이내이면, 반사파를 반사기(100)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파를 분석하여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은, 수신된 반사파가 반사기(100)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되면 수행될 수 있다. 반사기(100)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을 설정 세기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기(100)에서 반사되지 않은 잘못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영상레이다(55)를 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반사파를 분석하여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한다(S130). 즉, 영상레이다(55)가 반사기(100)들의 위치를 확인한 후, 반사기(100)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된 위치의 좌표를,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로 판단되는 반사기(100)가 배치된 위치의 좌표와 비교할 수 있다. 두 좌표의 차이가 없으면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별도로 보정하지 않을 수 있다. 두 좌표에 차이가 있으면 식별된 위치의 좌표에 맞추어,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실제 지상의 위치정보가 일치될 수 있다. 이에, 영상레이다(55)의 촬영 정확도를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55)의 전자파를 다양한 각도에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레이다(55)가 다양한 위치에서 전자파를 송출하더라도,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가 영상레이다(55)로 전자파를 안정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에, 반사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영상레이다(5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5: 영상레이다 100: 반사기
110: 몸체부 111: 몸체부재
112: 지지부재 120: 반사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으로서,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기를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다른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가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기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상기 반사기가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하는 과정; 및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한 몸체부재, 및
    지상에서 상기 몸체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가 설정된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들이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반사기의 전자파 반사면의 면적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10.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으로서,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하는 반사기들을 구비하는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반사기들 각각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
    비행체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영상레이다로 상기 반사기들이 배치된 영역에 전자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하는 과정; 및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한 몸체부재, 및
    지상에서 상기 몸체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들 각각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반사세기로 반사파를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들이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반사기들 각각의 전자파 반사면의 면적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들 각각의 반사파 반사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반사기들이 서로 다른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직경 및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를 상기 영상레이다로 수신한 후에,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 세기범위와 비교하는 과정; 및
    수신된 반사파의 세기가 상기 설정 세기범위 이내이면, 상기 반사파를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파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레이다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은, 수신된 반사파가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 반사파라고 판단되면 수행되는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KR1020220031540A 2022-03-14 2022-03-14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KR10251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40A KR102510466B1 (ko) 2022-03-14 2022-03-14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40A KR102510466B1 (ko) 2022-03-14 2022-03-14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466B1 true KR102510466B1 (ko) 2023-03-15

Family

ID=8551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40A KR102510466B1 (ko) 2022-03-14 2022-03-14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650A (ja) * 1999-09-20 2001-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合成開口レーダ画像精密幾何補正用能動型地上基準点装置
KR100854126B1 (ko) * 2007-05-28 2008-08-26 한국해양연구원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를 이용한 위치 및 이동방향식별시스템
KR101306607B1 (ko) 2012-05-02 2013-09-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ar영상 보정용 장치의 운영방법
JP2014048163A (ja) * 2012-08-31 2014-03-17 Pasco Corp 対空標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650A (ja) * 1999-09-20 2001-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合成開口レーダ画像精密幾何補正用能動型地上基準点装置
KR100854126B1 (ko) * 2007-05-28 2008-08-26 한국해양연구원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를 이용한 위치 및 이동방향식별시스템
KR101306607B1 (ko) 2012-05-02 2013-09-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ar영상 보정용 장치의 운영방법
JP2014048163A (ja) * 2012-08-31 2014-03-17 Pasco Corp 対空標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6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distance sensor
US11836947B2 (en) System for calibrating a vehicle camera
EP1881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irborne radar antenna pointing errors
AU20062246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orientation of an object
JP6366405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US1091685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uning a remote antenna
US20210306621A1 (en) Camera installation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and installation angle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510466B1 (ko) 영상레이다 보정용 반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US8570209B2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operation of an active lateral-view sensor when the height above the surface to be detected is variable
US20050280593A1 (en) Satellite tracking antenna and method using rotation of a subreflector
CA2453963C (en) System and method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mapping a ground strip having extended range swath
US11069982B2 (en) Anechoic chamber and method of calibrating a radar system
US20210285766A1 (en) Optical surveying instrument with movable mirror
JP2003107159A (ja) 車両用物体検知装置における軸ずれ調整装置
KR102456752B1 (ko)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영상레이다 보정방법
JPH11304860A (ja) 測定装置
US20240103157A1 (en) Method for installing radio wave sensor, radio wave sensor, and adjustment device
CN110954882A (zh) 雷达安装校准装置及其校准方法
WO2018043541A1 (ja) 計測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5628B2 (ja) 位置情報導出システム
KR102539396B1 (ko) 샤프트 얼라인을 이용한 이송 적재 장치 및 이송 적재 방법
JP2002243837A (ja) レーダ取付方向調整方法、及びレーダ装置
SU1500951A1 (ru) Способ юстировки антенны в угломестной плоскости
KR20230143687A (ko) 차량의 센서 성능 시험을 위한 자동 타겟 제어장치 및 방법
US6304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sercom tracking acqui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