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12B1 -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12B1
KR102510412B1 KR1020220009057A KR20220009057A KR102510412B1 KR 102510412 B1 KR102510412 B1 KR 102510412B1 KR 1020220009057 A KR1020220009057 A KR 1020220009057A KR 20220009057 A KR20220009057 A KR 20220009057A KR 102510412 B1 KR102510412 B1 KR 10251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user
reality content
height
ke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협
Original Assignee
서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협 filed Critical 서정협
Priority to KR102022000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Bidirectio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눈높이 위치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여,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라고도 한다.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의 기본 배경에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 또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외형을 하나의 객체로 포함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
즉,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외형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움직임 제어는 가능하지만, 사용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배경의 화각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 내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화각이 변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종래에는, 180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와 155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가 동일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나무 객체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180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나무의 높이(실감 높이)와 155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나무의 높이(실감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180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와 155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가 동일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나무 객체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의 키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함으로써, 180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나무의 높이(실감 높이)와 155 cm의 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나무의 높이(실감 높이)가 상이하도록 하여,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60753호("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서는 프로젝터부가 인터페이스 화면을 투사하고 동작인식센서부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무릎의 굽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860753호 (등록일자 2018.05.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함으로써,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와 마이크가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각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정 형상의 접속 수단(100), 각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전달받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수단(200) 및 각 상기 접속 수단(100)으로부터 전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련 정보에 맞게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하여 제공하는 제어 수단(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센서를 통해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입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동일 선상이면서 설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둘 이상의 카메라 중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상기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한 명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상호 간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각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호 간의 마주보도록 각각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입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호 간의 증간현실 콘텐츠의 배경 이미지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캐릭터 선택을 수행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캐릭터 선택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보도록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단순하게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벗어나,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거나 또는, 일명 '메타버스'를 통해서 증강현실/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객체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받더라도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함으로써,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제어 수단(300)에 의해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ㄹ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장기적인 코로나 19 팬데믹 확산으로 실외 활동이 감소하고,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필요한 장소에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단순하게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거나 또는, 일명 '메타버스'를 통해서 증강현실/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객체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받더라도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수단(100), 디스플레이 수단(200) 및 제어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성들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처리수단에 각각 또는 통합 포함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접속 수단(100)은 카메라와 마이크가 일측에 구비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떨어져서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각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접속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서는,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door) 형상을 갖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문' 형상으로 상기 접속 수단(100)의 예를 들자면,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을 원할 경우, 사용자가 문을 열거나, 문에 구비되는 차임 벨 등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 이를 트리거 신호로 입력받아,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동작이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접속 수단(100)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메라 또는 마이크의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 센싱 정보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문 형상으로 예를 들 경우,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문틀에 카메라와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수단(100)을 제1 문과 제2 문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제1 문은 사용자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도록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제2 문은 폐쇄시켜,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은 하나의 접속 수단(100)마다 하나씩 매칭되어 구비되며,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전송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접속 수단(100)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일정 거리 떨어져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통해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과 사용자 사이에 상기 접속 수단(100)이 위치함으로써, 다시 말하자면, 문 너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환경을 제공받음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의 재미와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접속 수단(100)으로부터 전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 다시 말하자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일 예를 들자면,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은 센싱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정보를 예측 연산하게 된다.
상기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어,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하는 주 카메라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에 동일 선상이면서 설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카메라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에 근접한 카메라를 도출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접속 수단(100)에 하나의 카메라가 구비될 경우,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점 높이에 일치하도록 카메라의 고정 높이를 설정하여,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이송 수단 등이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는 것이 당연하다.
이 때,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조작을 통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종류, 형태 등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자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와는 다른 장소(풍경)의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는 콘텐츠,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동시에 동일하게 제공되는 콘텐츠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종류, 형태 등을 상기 제1 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하고,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발마직하다.
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입력수단을 통해서,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입력할 경우, 이 때, 증강현실 콘텐츠로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와는 다른 장소(풍경)의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는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명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받고자 하는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입력할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눈의 위치)를 예측하고, 생성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전체 화면 중 예측한 시점 높이에 일치하는 높이에서 화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하여, 해당하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통상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는 고해상도/넓은 화각의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인간의 화각으로는 전체 화면을 다 볼 수 없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인간의 화각을 벗어난 콘텐츠이기 때문에, 몰입감/현실감이 낮을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시야에서는 실제로 지평선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를 볼 경우, 서 있을 때 보이는 지평선와 앉아있을 때 보이는 지평선의 높이, 바다와 하늘, 땅의 비율이 상이해짐이 당연하지만,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시각(촬영 시각)에서의 콘텐츠 제공으로 인해, 지평선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서서 보다가 앉을 경우, 바다가 높아지는 느낌이 들어 몰입감이 낮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수단(300)은 도 4의 a)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일지라도 사용자의 시점 높이에 따라 제공되는 화각을 보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메타버스 등과 같이, 상호 간의 연계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받을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즉, 가상 공간에서 캐릭터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180 cm의 캐릭터와 155 cm의 캐릭터가 서로 간의 시점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180 cm의 캐릭터와 155 cm의 캐릭터가 서로 마주보고 있더라고 180 cm의 캐릭터는 155 cm의 캐릭터의 뒷 공간을 응시하고 있으며, 155 cm의 캐릭터 역시도 180 cm의 캐릭터의 목이나 가슴 부분을 응시하고 있어, 몰입감이 낮아질 뿐 아니라, 주변 원근감도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상호 간의 동일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각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호 간의 마주보도록 각각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수단(300)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를 내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고, 이와 반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를 올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메라의 화각 제어에 따라, 최초 설정한 카메라의 설치 높이 또는, 주 카메라의 설정에 변경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해당하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변경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 수단(300)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받고자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실시간 콘텐츠일 경우, 상기 접속 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배경 화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당연히, 입력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의 배경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서로의 배경을 변경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 모두의 배경을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호 간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배경 이미지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캐릭터 선택을 수행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 콘텐츠의 캐릭터 객체를 추가하게 된다.
또한, 캐릭터 선택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보도록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메타버스와 같이, 본인을 표현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콘텐츠의 경우, 캐릭터 선택을 수행한 사용자의 경우,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키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키 정보를 입력할 경우, 입력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키게 된다.
특정 사용자가 캐릭터를 선택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콘텐츠를 선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캐릭터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되는 현재 모습 그대로 증강현실 콘텐츠에 객체화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볼 경우,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연계 캐릭터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를 내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고, 이와 반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를 올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접속 수단
200 : 디스플레이 수단
300 : 제어 수단

Claims (9)

  1. 각각의 소정 형상을 갖으며, 각각 카메라와 마이크가 일측에 구비되어,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접속 수단(100);
    각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전달받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수단(200); 및
    각 상기 접속 수단(100)으로부터 전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련 정보에 맞게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하여 제공하는 제어 수단(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300)은
    각 상기 접속 수단(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시점 높이를 토대로 각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통해 출력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이 대칭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센서를 통해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제공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입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선택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동일 선상이면서 설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둘 이상의 카메라 중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상기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한 명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제공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상호 간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각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호 간의 마주보도록 각각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입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호 간의 증간현실 콘텐츠의 배경 이미지가 선택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0)은
    캐릭터 선택을 수행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캐릭터 선택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보도록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20220009057A 2022-01-21 2022-01-21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251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57A KR102510412B1 (ko) 2022-01-21 2022-01-21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57A KR102510412B1 (ko) 2022-01-21 2022-01-21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412B1 true KR102510412B1 (ko) 2023-03-16

Family

ID=8598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057A KR102510412B1 (ko) 2022-01-21 2022-01-21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978A (ko) * 2011-02-28 2012-09-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KR20170060721A (ko) * 2015-11-25 2017-06-02 전자부품연구원 서비스 프로토타이핑에서의 ux 프로파일링을 위한 실감형 테스트 시스템
KR101860753B1 (ko) 2016-06-13 2018-05-24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42028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이너테인먼트 가상공간 내 영상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실시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978A (ko) * 2011-02-28 2012-09-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KR20170060721A (ko) * 2015-11-25 2017-06-02 전자부품연구원 서비스 프로토타이핑에서의 ux 프로파일링을 위한 실감형 테스트 시스템
KR101860753B1 (ko) 2016-06-13 2018-05-24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42028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이너테인먼트 가상공간 내 영상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실시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8643B2 (en) Image generating device, imag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US10262465B2 (en) Interactive control station
JP2001344617A (ja) 複合現実感実現システム
JP6496172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US20170061686A1 (en) Stage view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US20210264671A1 (en) Panorami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625858B2 (en) Video synthesis device, video synthe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2577368A (zh) 在虚拟协同系统中传送视觉表示
JP2021010077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CN112616048A (zh) Ar眼镜及其显示方法和系统、图像处理方法及设备
WO201714158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4182597A (ja)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KR102434017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JP2005065051A (ja) 撮像装置
JP2022529417A (ja) 画像取得投影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使用及び画像取得投影挿入方法
KR102510412B1 (ko)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JP2003125369A (ja) 映像送受信装置および映像送受信プログラム
US6473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CN110060349B (zh) 一种扩展增强现实头戴式显示设备视场角的方法
US20230385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WO20220751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2271694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スタジオ装置、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21828A (ko) 가상 윈도우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00494A1 (ja) 仮想空間における視点変更方法
WO201709899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