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17B1 -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017B1
KR102434017B1 KR1020220039514A KR20220039514A KR102434017B1 KR 102434017 B1 KR102434017 B1 KR 102434017B1 KR 1020220039514 A KR1020220039514 A KR 1020220039514A KR 20220039514 A KR20220039514 A KR 20220039514A KR 102434017 B1 KR102434017 B1 KR 10243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reality content
user
cont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협
Original Assignee
유디포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디포엠(주) filed Critical 유디포엠(주)
Priority to KR102022003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017B1/ko
Priority to PCT/KR2023/004305 priority patent/WO20231915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공간감을 더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Augmented reality cont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공간감을 더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라고도 한다.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의 기본 배경에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 또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외형을 하나의 객체로 포함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
즉,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외형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움직임 제어는 가능하지만, 사용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 배경의 화각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 내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화각이 변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동질감을 높혀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제공되는 그 자체가 이질감이 극대화된 채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낮은 공감감과 낮은 동질감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참여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전면부에 별도의 접속수단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 수단의 전체를 인지할 수 없도록 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의 공간감을 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view point)를 제어함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의 동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60753호("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서는 프로젝터부가 인터페이스 화면을 투사하고 동작인식센서부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무릎의 굽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860753호 (등록일자 2018.05.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공간감을 더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로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입력 신호를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접속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의 후측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접속 수단의 입력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에 맞게 기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은 여닫이 문 형상으로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선택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구비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면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제1 문짝 및 상기 문틀의 내측면 타측에 타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불가능한 제2 문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상이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문틀은 선택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이 감지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소정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수단에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는 상기 접속 수단의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전송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접속 수단에 구비된 카메라 중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속 수단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형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입력되는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기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중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단에 임의 형상(문 형상 또는, 창문 형상)의 장애물을 구성함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공간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콘텐츠 자체의 현실감/몰입감을 향상시키더라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에 임의 형상(문 형상 또는, 창문 형상)의 접속 수단을 위치시키고, 문 너머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공간감을 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벗어나,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거나 또는, 일명 '메타버스'를 통해서 증강현실/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객체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받더라도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함으로써,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 수단의 세부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가 제어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단에 임의로 임의 형상(문 형상 또는, 창문 형상)의 장애물을 구성함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공간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증강현실 콘텐츠 자체의 현실감/몰입감을 향상시키더라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의 앞에 임의 형상(문 형상 또는, 창문 형상)의 접속 수단을 위치시키고, 문 너머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공간감을 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장기적인 코로나 19 팬데믹 확산으로 실외 활동이 감소하고,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필요한 장소에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콘텐츠 제어 수단을 통해서, 단순하게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이미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에 맞추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거나 또는, 일명 '메타버스'를 통해서 증강현실/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객체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받더라도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증강현실 내 소정 객체 형태로 추가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콘텐츠의 제공 화각을 보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와 공간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나타낸 구성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수단(100)과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 수단(100), 디스플레이 수단(200)과 각각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되는 콘텐츠 제어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 상기 접속 수단(100)과 디스플레이 수단(200)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들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처리수단에 각각 또는 통합 포함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접속 수단(100)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로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입력 신호를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떨어져서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접속 수단(100)이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되어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 또는, 친구들끼리 상기 접속 수단(100)을 통해서 원거리에서도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화상통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팬데믹 시대에 직접 갈 수 없는 관광지에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상기 접속 수단(100)이 위치할 경우, 관광지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원거리 여행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은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부터 증강현실 콘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하게 되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은 하나의 접속 수단(100)마다 하나씩 매칭되어 구비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수단(100)의 후측(후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접속 수단(100)과 디스플레이 수단(200)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증간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의 화면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 비율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과 사용자 사이에 상기 접속 수단(100)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속 수단(100) 너머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환경을 제공받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이기 때문에, 증간현실 콘텐츠 제공의 재미와 몰임감 및 현장감, 공간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이격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접속 수단(100) 너머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테두리)가 보이지 않는 거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체험 영상을 제공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화각, 센서의 센싱 범위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접속 수단(100), 디스플레이 수단(20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접속 수단(100)의 입력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에 맞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 수단(100)은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센싱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 수단(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소정 형상/임의 형상(문 형상 또는, 창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내지 도 3을 통해서, 문(door) 형상을 갖는 상기 접속 수단(10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문 형상'의 상기 접속 수단(100)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자 하며,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이 갖는 형상의 예로 '문'이 있으며, 이는 여닫이 문 형상으로서, 문틀과 제1 문짝 및 제2 문짝으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문틀은 문 형상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촬영하게 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더불어, 카메라 또는 마이크의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 센싱 정보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문틀에 카메라와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문짝은 상기 문틀의 내측면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문짝은 상기 문틀의 내측면 타측에 타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을 원할 경우, 상기 제1 문짝을 여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 이를 트리거 신호(감지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통한 증강현실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수단(100)의 형상의 예로 '창문'을 설명하자면, 문틀, 제1 창문 및 제2 창문으로 구성되며, 선택되는 어느 한 창문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른 한 창문은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문 형상과 마찬가지로, 개폐가 가능한 창문을 여는 동작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문틀에 상기 카메라, 마이크 외에도 상기 제1 문짝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자면,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을 위해, 상기 제1 문짝을 개방할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통해서 출력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되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는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이 역시도, '창문'으로 설명하자면, 문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서, 개폐가 가능한 창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술할 문 형상의 적용 예를 창문 형상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다른 예를 들자면,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A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하여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B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제1 문짝을 개방할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중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은 이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B 사용자에게 A 사용자가 화상 통화 기능을 원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B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접속 수단(100)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차임 벨이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후, B 사용자가 차임 벨을 인지하고 제1 문짝을 개방할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A 사용자와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상이한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방이 가능한 제1 문짝이 개방이 불가능한 제2 문짝보다 더 넓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을 위해 제1 문짝을 개방할 경우, 보다 좁은 제2 문짝은 문틀에 고정된 채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일부 시야가 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실제 문 너머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위치에 대한 증강현실 콘텐츠의 공간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일부 시야가 가려진 채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공간감, 몰입감을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짝마다 소정 개의 투명 창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길이(y축 방향의 높이)를 기준으로 투명 창의 개수, 투명 창의 높이, 너비 등을 제어하여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들은 일부 시야가 가려진 채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공간감, 몰입감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제어값에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과 상기 접속 수단(100)의 크기,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어되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영상 처리 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수단(100)의 입력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에 맞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입력 신호로는 상기 감지 신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원하는 콘텐츠 입력 정보(다른 사용자와의 연결 콘텐츠, 특정 장소에 대한 실시간 시청 콘텐츠, 가상 공간 접속 콘텐츠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접속 수단(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 다시 말하자면,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수단(100)은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외에 추가적으로 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예를 들자면, 적외선 센서)를 상기 문틀에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은 키 센싱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키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정보를 예측 연산하게 된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어,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하는 주 카메라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수단(100)에 동일 선상이면서 설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카메라가 구비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점(view point) 높이에 근접하게 설치된 카메라를 선택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접속 수단(100)에 하나의 카메라가 구비될 경우, 예측 연산한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사용자의 키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점 높이에 일치하도록 카메라의 고정 높이를 설정하여,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이송 수단 등이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는 것이 당연하다.
이 때, 상기 접속 수단(100)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일측(측면)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형태의 제1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조작을 통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종류, 형태 등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자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와는 다른 장소(풍경)의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는 콘텐츠,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동시에 동일 제공되는 콘텐츠, 원거리 위치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등, 사용자가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종류, 형태 등을 상기 제1 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하고,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조작을 통해서, 원거리 위치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입력될 경우, 다시 말하자면, 주변 풍경이 필요하지 않은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사용자의 배경 선택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수단(100)은 문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형태의 제2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게 되며, 상기 제2 입력수단은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종류의 증강현실 콘텐츠가 선택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에서 상기 제2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신호를 유효한 입력신호로 활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배경이 아닌 원하는 배경으로 선택한 채로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당연히, 입력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의 배경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서로의 배경을 변경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 모두의 배경을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예측 연산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명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받고자 하는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입력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눈의 위치)를 예측하고, 생성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의 전체 화면 중 예측한 시점 높이에 일치하는 높이에서 화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정하여, 해당하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통상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는 고해상도/넓은 화각의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인간의 화각으로는 전체 화면을 다 볼 수 없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인간의 화각을 벗어난 콘텐츠이기 때문에, 몰입감/현실감이 낮을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시야에서는 실제로 지평선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를 볼 경우, 서 있을 때 보이는 지평선와 앉아있을 때 보이는 지평선의 높이, 바다와 하늘, 땅의 비율이 상이해짐이 당연하지만, 종래의 증강현실 콘텐츠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시각(촬영 시각)에서의 콘텐츠 제공으로 인해, 지평선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 콘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서서 보다가 앉을 경우, 바다가 높아지는 느낌이 들어 몰입감이 낮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도 4의 a)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일지라도 사용자의 시점 높이에 따라 제공되는 화각을 보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메타버스 등과 같이, 상호 간의 연계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받을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즉, 가상 공간에서 캐릭터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180 cm의 캐릭터와 155 cm의 캐릭터가 서로 간의 시점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180 cm의 캐릭터와 155 cm의 캐릭터가 서로 마주보고 있더라고 180 cm의 캐릭터는 155 cm의 캐릭터의 뒷 공간을 응시하고 있으며, 155 cm의 캐릭터 역시도 180 cm의 캐릭터의 목이나 가슴 부분을 응시하고 있어, 몰입감이 낮아질 뿐 아니라, 주변 원근감도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상호 간의 동일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각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각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호 간의 마주보도록 각각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를 내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고, 이와 반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를 올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메라의 화각 제어에 따라, 최초 설정한 카메라의 설치 높이 또는, 주 카메라의 설정에 변경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해당하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변경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수단(100)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을 통해서 적어도 둘의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서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상기 제3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300)은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선택한 후, 상기 제3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선택될 경우,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 콘텐츠의 캐릭터 객체를 추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선택한 후, 상기 제3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보도록 증강현실 콘텐츠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메타버스와 같이, 본인을 표현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콘텐츠의 경우, 캐릭터 선택을 수행한 사용자의 경우, 해당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키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키 정보를 입력할 경우, 입력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캐릭터의 시점 높이를 매칭시키게 된다.
특정 사용자가 캐릭터를 선택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콘텐츠를 선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캐릭터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접속 수단(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되는 현재 모습 그대로 증강현실 콘텐츠에 객체화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 연계 캐릭터와 마주볼 경우,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토대로 상기 연계 캐릭터의 화각을 대칭시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를 내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고, 이와 반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를 올려다보는 시점이 되도록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 후, 실시간 영상 콘텐츠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접속 수단
200 : 디스플레이 수단
300 : 콘텐츠 제어 수단

Claims (8)

  1.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접속 매개체로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입력 신호를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접속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의 후측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소정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수단에 이격 설치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접속 수단의 입력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에 맞게 기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여닫이 문 형상으로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선택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구비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면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제1 문짝; 및
    상기 문틀의 내측면 타측에 타단이 결합되어 개폐가 불가능한 제2 문짝;
    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상이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문짝의 x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선택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문짝의 개방이 감지될 경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전송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접속 수단의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전송받은 사용자의 키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접속 수단에 구비된 카메라 중 사용자를 촬영하는 주 카메라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제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측에,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형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입력되는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어 수단은
    기저장되어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중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KR1020220039514A 2022-03-30 2022-03-30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KR10243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14A KR102434017B1 (ko) 2022-03-30 2022-03-30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PCT/KR2023/004305 WO2023191556A1 (ko) 2022-03-30 2023-03-30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14A KR102434017B1 (ko) 2022-03-30 2022-03-30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017B1 true KR102434017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514A KR102434017B1 (ko) 2022-03-30 2022-03-30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4017B1 (ko)
WO (1) WO20231915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56A1 (ko) * 2022-03-30 2023-10-05 유디포엠(주)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552A (ko) * 2010-12-14 2012-06-22 황인우 증강 현실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현관
KR101860753B1 (ko) 2016-06-13 2018-05-24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64B1 (ko) * 2010-06-14 2016-12-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시선방향 추적을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101732890B1 (ko) * 2015-08-19 2017-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279487B1 (ko) * 2020-01-21 2021-07-19 심문보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KR102434017B1 (ko) * 2022-03-30 2022-08-22 유디포엠(주)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552A (ko) * 2010-12-14 2012-06-22 황인우 증강 현실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현관
KR101860753B1 (ko) 2016-06-13 2018-05-24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carissaranelycke.com/work/visa, The Magic Door, 2015.12.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56A1 (ko) * 2022-03-30 2023-10-05 유디포엠(주)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556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7913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10262465B2 (en) Interactive control station
KR101299796B1 (ko) 카메라 자세와 움직임에 기초한 배경 대체의 변조
CN110392144A (zh) 具有全显示屏的双屏智能电话和便携式设备
US20210264671A1 (en) Panorami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34017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EP4322520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349749A1 (en) Virtual reality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716029A1 (en) Apparatus and method
CN112616048A (zh) Ar眼镜及其显示方法和系统、图像处理方法及设备
JP2016213674A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9417B1 (ko)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401340A (zh) 协同拍摄方法、电子设备及其介质
JP2022529417A (ja) 画像取得投影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使用及び画像取得投影挿入方法
KR20110006976A (ko) 전시관용 인터렉티브제어시스템
EP3336601A1 (en) A photo terminal stand system
KR101140363B1 (ko) 가상 윈도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8929B1 (ko)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서버
KR102510412B1 (ko) 양방향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20120088966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33A (ko)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JP7078423B2 (ja) 自動ドアの設置状態提示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2514702B1 (ko) 사진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사진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EP1847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n a display
US11831976B2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