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351B1 -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51B1
KR102510351B1 KR1020210023960A KR20210023960A KR102510351B1 KR 102510351 B1 KR102510351 B1 KR 102510351B1 KR 1020210023960 A KR1020210023960 A KR 1020210023960A KR 20210023960 A KR20210023960 A KR 20210023960A KR 102510351 B1 KR102510351 B1 KR 10251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imidazole
dihydropyrrolo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204A (ko
Inventor
하정미
장미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1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은 JNK, 특히 JNK3에 대해 선택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퇴행성 뇌질환 (알츠하이머성 치매성 치매, 파킨슨 질환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Novel imidazole derivatives having protein kinase activit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단백질 인산화 효소 JNK3 (c-Jun N-terminal Kinase 3)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포의 사멸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세포 신호 전달계인 MAPK pathway 중 c-Jun N-terminal kinase (JNK)는 신호 전달계의 말단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질병과 관련하여 표적으로서 검증이 이루어져 왔다. JNK1의 경우 대사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JNK3 이형 단백질 (isoform)은 10여 가지에 이르는 동 종의 isozyme 들과 달리 뇌조직에 그 분포가 집중되어 있어 신경 세포사멸과의 연관성이 연구되고있다. JNK3의 경우 인간의 중추 신경계 (CNS)의 대뇌 피질 해마의 CA1, CA2 부분에 위치한 피라미드 뉴런 (노란색)에 그 분포가 두드러지는데 여기서 신경 세포의 사멸에 총체적인 역할을 한다. 신경 세포 내에서는 JNK3의 기질 중 하나인 c-Jun의 과발현이나 JNK3에 의한 인산화 정도, 그리고 JNK3의 과활성화 등으로 인해 영양요소 금단 (trophic factor withdrawal)과 사멸 (Apoptosis)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질환 중 알쯔하이머병의 대표적 증상은 신경 세포내 베타 아밀로이드 (Ab 42)의 침착, NFTs (neurofibrillary tangles: 신경 섬유종)의 발생, 그로 인한 신경세포와 시냅스의 사멸이며 JNK3는 이러한 병리적 현상의 전과 후에 모두 작용함이 증명되고 있다.
JNK3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 (APP)을 인산화-활성화하여 세포막으로 위치하게 하고 Ab 42로의 전환을 촉진한다. 특히 이과정에서 인산화된 APP 의 세포막내로의 위치는 Ab 42의 생산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쯔하이머 환자의 뇌세포에서 발견되는 NFT의 주성분인 Tau 역시 JNK에 의하여 인산화된다. JNK3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조직에 정상인보다 40% 이상 증가되어있고, 알츠하이머병 생쥐 모델에서 JNK3를 저해 또는 제거할 경우 (JNK3 KO mouse)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산이 90%이상 감소하고 인지기능이 정상의 80%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알츠하이머 가족력 보유 마우스 (FAD: Familial Alzheimer’s diseases)에서 jnk3가 제거되었을 때 Oligomeric Ab42의 현저한 감소와 인지 능력이 상승됨이 관찰되었다. 이는 가족력 보유한 알쯔하이머 질환의 발병 기전에서도 JNK3의 활성화가 큰 역할을 한다는 것과 Ab42의 생성에 양성 피드백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결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JNK3 유전자가 제거된 쥐는 파킨슨씨병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인 MPTP가 투여되었을 때에도 내성을 확연히 보였으며, 대뇌 피질 해마에 신경독성 물질 (글루타메이트 유사체)의 투입으로 일어나는 부작용 (발작 혹은 신경세포 사멸)을 일으키지 않는다. JNK3 이성체는 또한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화로 인한 허혈성 뇌질환 (ischaemic injury) 에도 역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그 치료 목표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주로 항암제의 타겟으로 알려진 Protein Kinase로 설명된 예는 많지 않다. 알츠하이머와 관련하여 GSK라는 Protein Kinase가 거론된 적은 있으나, 그 저해제가 직접적인 효과를 확보하지 못함에 따라 퇴보된 상태이다.
이러한 선택성 문제 및 충분하지 않은 효과로 인해 JNK3 선택적 억제제를 찾기 위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파킨슨 질환, 헌팅턴 질환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신규 물질을 찾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JNK3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JNK3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JNK3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나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use)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2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3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4
,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표시된 탄소는 카이랄(Chiral) 탄소이며,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5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6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며,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JNK3 (c-Jun N-terminal kinase 3)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JNK 3 (c-Jun N-terminal kinase 3)에 대한 우수한 표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바, 상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16c의 키나아제 패널 스크리닝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8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0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0
,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표시된 탄소는 카이랄(Chiral) 탄소이며,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1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2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며,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여기에서, "카이랄(Chiral)"은 카이랄성 또는 손대칭성이라고 하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광학 이성질체라고도 불린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 거울에 비친 형태를 하고 있다.
여기에서, "알킬"은 일반적으로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 (예컨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알킬기의 예는 제한 없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및 n-헵틸 등을 포함한다. 알킬은 부착이 원자가 필요조건을 위반하지 않는다면 임의의 고리 원자에서 부모 기(parent group) 또는 기재(substrate)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부착이 원자가 요구조건을 위반하지 않는다면 하나 이상의 비수소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할로겐"은 주기율표 17족에 속하는 원소들로, 불소, 염소, 브롬, 아이오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 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4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5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6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7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8
상기 화학식 3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1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0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1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2
상기 화학식 4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3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4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5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6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7
상기 화학식 5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8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2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0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1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2
상기 화학식 6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3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4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6
상기 화학식 7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7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8
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21021643902-pat00039
상기 화학식 8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0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1
,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2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화학식 1의 이미다졸 화합물은,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메타논;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펜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또는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쯔하이머성 치매, 파킨슨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JNK3 (c-Jun N-terminal kinase 3)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다이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다이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다이오에이트, 헥산-1,6-다이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다이나이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JNK3 저해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발명의 배경 기술에 서술 하였듯이, JNK3 저해제를 퇴행성 뇌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해당 분야 당업자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더 자세하게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및 치료상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퇴행성 뇌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얄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 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01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조예 및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터트-부틸2,5-다이하이드로-1H-피롤-1-카르복실레이트 합성(화합물 3)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3
화합물 2 (4.65mmol) 를 DMF (다이메틸포름아미드, 5ml) 에 녹인 후, 0℃에서 NaH (10.23mmol)를 넣고 10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1을 혼합물에 넣고 1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65℃에서 4시간에서 6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시간에 따른 TLC의 변화가 없으면 주위 온도까지 냉각 한 후, 유기층 (EA : HEX = 1:4)으로 추출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화합물 3 (45%) 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76 (s, 2H), 4.11 (s, 4H), 1.47 (s, 9H).
<제조예 2> 터트-부틸(3R,4S)-3,4-다이하이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4)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4
화합물 3(6.3mmol)을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8ml)에 녹인 후 물 15.8ml 에 OsO4 (0.113mmol) 와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 (8.29mmol)를 녹인 혼합물을 천천히 떨어트린 다음 상온에서 3시간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화합물 3이 TLC에서 사라지면 진공에서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다음 생성물을 EA : HEX ( 3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 정제하여 화합물 4 (59%)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25 (qd, J = 4.4, 2.1 Hz, 2H), 3.59 (dd, J = 11.4, 5.7 Hz, 2H), 3.34 (dd, J = 11.3, 3.8 Hz, 2H), 1.45 (s, 9H).
<제조예 3> 터트-부틸(3R,4S)-3,4-비스((메틸설포닐)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5)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5
화합물 4(0.96mmol)를 DCM (다이클로로 메탄, 4.8ml)에 녹인 후 베탄 설포닐 클로라이드 (MsCl, 2.11mmol), 트리에틸아민 (TEA, 2.11mmol)를 넣고 상온에서 30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TLC에서 화합물 4가 사라지고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화합물 5 (90%) 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17 (t, J = 4.0 Hz, 2H), 3.84 - 3.74 (m, 2H), 3.68 - 3.59 (m, 2H), 3.14 (d, J = 5.6 Hz, 6H), 1.46 (s, 9H).
<제조예 4> 터트-부틸(3S,4R)-3,4-디아지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6)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6
화합물 5 (3.3mmol)을 DMF (다이메틸포름아미드, 33ml) 에 녹인 후, NaN3 (33mmol)를 넣어 9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TLC상에서 화합물 5가 사라지면 주위 온도까지 냉각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염수(brine)로 세척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EA : HEX ( 1 : 4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6 (79%)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08 (d, J = 3.3 Hz, 2H), 3.63 (dd, J = 8.8, 5.5 Hz, 2H), 3.44 (ddd, J = 16.3, 10.8, 4.1 Hz, 2H), 1.46 (s, 9H).
<제조예 5> 터트-부틸(3S,4R)-3,4-디아미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7)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7
화합물 6 (2.6mmol)을 메탄올 (MeOH, 10.4ml) 에 녹인 후, 탄소 상의 수산화 팔라듐(Palladium hydroxide on carbon, (Pd(OH)2, 0.52mmol))를 넣었다. 상온에서 수소기체 하에 4시간 정도 교반 시켰다. TLC상에서 화합물 6이 사라지면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celitepad)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7 (98%)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3.26 (dd, J = 10.9, 5.9 Hz, 3H), 3.14 (dq, J = 9.6, 4.8 Hz, 2H), 2.95 (dd, J = 10.6, 4.9 Hz, 2H), 1.38 (s, 9H).
<제조예 6> 터트-부틸(3aS,6aR)-2-(3,4-다이클로로페닐)-3a,4,6,6a-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9a-9f)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8
화합물 7 (2.69mmol) 과 화합물 8a(2.5mmol)를 에탄올 (Ethanol, 13.4ml)에 녹인 후 80℃에서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8이 사라지면 혼합물을 주위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농축시킨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다음 생성물을 EA : HEX ( 3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9a-9f (4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3 (d, J = 2.0 Hz, 1H), 7.66 (dd, J = 8.4, 2.0 Hz, 1H), 7.48 (d, J = 8.4 Hz, 1H), 4.67 (s, 2H), 3.74 (d, J = 12.2 Hz, 2H), 3.54 (dd, J = 12.3, 6.5 Hz, 2H), 1.43 (s, 9H). ; 1H NMR (400 MHz, MeOD) δ 7.96 (d, J = 2.0 Hz, 1H), 7.71 (dd, J = 8.4, 2.0 Hz, 1H), 7.63 (d, J = 8.4 Hz, 1H), 4.65 (s, 2H), 3.71 (d, J = 12.0 Hz, 2H), 3.55 - 3.44 (m, 2H), 1.43 (s, 9H).
<제조예 7> 터트-부틸(3aS,6aR)-2-(나프탈렌-2-일)-3a,4,6,6a-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9g-9i)
Figure 112021021643902-pat00049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화합물 9a-9i (95%)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8.77 (d, J = 1.4 Hz, 1H), 8.18 (d, J = 8.7 Hz, 1H), 8.10 - 8.03 (m, 3H), 7.74 (ddd, J = 14.4, 7.9, 1.2 Hz, 2H), 4.94 (d, J = 1.4 Hz, 2H), 3.82 (d, J = 12.5 Hz, 2H), 3.45 (d, J = 12.4 Hz, 2H), 3.32 (s, 1H), 1.32 (s, 9H).
<제조예 8> 터트-부틸(3aS,6aR)-2-(벤조[d][1,3]다이옥솔-5-일)-3a,4,6,6a-테트라하이드로 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9j-9m)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0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화합물 9j-9m (9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68 (d, J = 11.4 Hz, 2H), 7.21 (d, J = 8.1 Hz, 1H), 6.21 (s, 2H), 4.85 (s, 2H), 3.76 (d, J = 12.5 Hz, 2H), 3.39 (d, J = 12.1 Hz, 2H), 3.32 (s, 1H), 1.34 (s, 9H).
<제조예 9> 터트-부틸(3aS,6aR)-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3a,4,6,6a-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9n-9p)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1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9n-9p (9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5 (s, 1H), 8.08 (d, J = 8.5 Hz, 1H), 6.74 (d, J = 8.5 Hz, 1H), 4.85 (s, 2H), 4.62 (t, J = 8.8 Hz, 2H), 4.01 (d, J = 12.5 Hz, 2H), 3.44 (d, J = 12.1 Hz, 2H), 3.18 (t, J = 8.7 Hz, 2H), 1.39 (s, 9H).
<제조예 10> 터트-부틸-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a-10f)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2
옥살릴 클로라이드(0.59mmol)와 DMSO(다이메틸 설폭사이드, 1.18mmol)를다이클로로메탄 7ml에 녹여 -78℃에서 10분간 교반 후 -78℃에서 다이클로로메탄 5ml에 녹인 화합물 9 (0.59mmol)를 천천히 넣어 30분간 교반 하였다. 그 후 트리에틸아민 (5.9mmol)를 천천히 넣은 후 RT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9번이 사라지면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0a-10f (50%)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82 (d, J = 24.4 Hz, 1H), 8.41 (s, 1H), 8.07 (d, J = 8.6 Hz, 1H), 7.99 - 7.88 (m, 3H), 7.59 - 7.48 (m, 2H), 4.50 (s, 2H), 4.33 (d, J = 10.1 Hz, 2H), 1.47 (s, 9H).
<제조예 11> 터트-부틸-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g-10i)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3
제조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0g-10f (51%)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82 (d, J = 24.4 Hz, 1H), 8.41 (s, 1H), 8.07 (d, J = 8.6 Hz, 1H), 7.99 - 7.88 (m, 3H), 7.59 - 7.48 (m, 2H), 4.50 (s, 2H), 4.33 (d, J = 10.1 Hz, 2H), 1.47 (s, 9H).
<제조예 12> 터트-부틸-2-(벤조[d][1,3]다이옥솔-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j-10m)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4
제조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0j-10m (5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2 (dd, J = 10.6, 1.6 Hz, 2H), 6.81 (d, J = 8.0 Hz, 1H), 5.99 (s, 2H), 4.49 - 4.39 (m, 4H), 1.51 (s, 9H).
<제조예 13> 터트-부틸-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0n-10p)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5
제조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0n-10p (5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5 (s, 1H), 7.55 (dd, J = 8.3, 1.9 Hz, 1H), 6.78 (d, J = 8.3 Hz, 1H), 4.61 (t, J = 8.8 Hz, 2H), 4.50 - 4.41 (m, 4H), 3.22 (t, J = 8.7 Hz, 2H), 1.51 (s, 9H).
<제조예 14> 터트-부틸-2-(3,4-다이클로로페닐)-1-(2-(메틸티오)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2a-12f)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6
화합물 10a-10f (0.75mol), 화합물 11 (0.75mmol), Cs2CO3 (탄산 세슘, 0.9mmol)를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7.5ml에 녹여 100℃의 마이크로파(micro wave)에서 2시간 교반 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EA : HEX ( 1 : 2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2a-12o (5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8 (dd, J = 7.6, 5.5 Hz, 1H), 8.13 (d, J = 16.5 Hz, 1H), 7.88 (t, J = 8.7 Hz, 3H), 7.62 - 7.53 (m, 3H), 6.42 (d, J = 5.5 Hz, 1H), 4.86 - 4.79 (m, 2H), 4.59 (s, 2H), 2.55 (d, J = 3.4 Hz, 3H), 1.54 (s, 9H).
<제조예 15> 터트-부틸-1-(2-(메틸티오)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2g-12i)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7
제조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2g-12i (2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8 (dd, J = 7.6, 5.5 Hz, 1H), 8.13 (d, J = 16.5 Hz, 1H), 7.89 (d, J = 9.0 Hz, 3H), 7.62 - 7.53 (m, 2H), 7.53 - 7.47 (m, 1H), 6.42 (d, J = 5.5 Hz, 1H), 4.86 - 4.79 (m, 2H), 4.59 (s, 2H), 2.55 (d, J = 3.4 Hz, 3H), 1.54 (s, 9H).
<제조예 16> 터트-부틸-2-(벤조[d][1,3]다이옥솔-5-일)-1-(2-(메틸티오)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2j-12m)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8
제조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2j-12m (4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5 (dd, J = 5.5, 1.1 Hz, 1H), 7.00 - 6.93 (m, 2H), 6.85 (d, J = 7.9 Hz, 1H), 6.46 (t, J = 5.6 Hz, 1H), 6.04 (s, 2H), 4.83 - 4.72 (m, 2H), 4.54 - 4.45 (m, 2H), 2.56 (d, J = 2.1 Hz, 3H), 1.52 (d, J = 1.8 Hz, 9H).
<제조예 17> 터트-부틸-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1-(2-(메틸티오)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2n-12p)
Figure 112021021643902-pat00059
제조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2n-12p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2 (d, J = 5.5 Hz, 1H), 7.38 (s, 1H), 7.19 (d, J = 8.3 Hz, 1H), 6.80 (d, J = 8.3 Hz, 1H), 6.46 (t, J = 5.5 Hz, 1H), 4.82 - 4.74 (m, 2H), 4.65 (t, J = 8.8 Hz, 2H), 4.51 (dd, J = 12.7, 9.5 Hz, 2H), 3.24 (t, J = 8.8 Hz, 2H), 2.57 (d, J = 1.3 Hz, 3H), 1.53 (d, J = 1.7 Hz, 9H).
<제조예 18>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a-14b)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0
화합물 12a-12b (0.16mmol)를 메탄올 2ml에 녹인 후 물 2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8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a-12b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 (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a-13b를 수득하였다. (S)-(3-아미노피페리딘-1-일)(사이클로프로필)메타논 (0.32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미드 1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44.5㎕(0.32mmol)를 넣어주었다. 그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ml에 녹인 화합물 13a-13b (0.14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번이 사라지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EA : HEX ( 5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a-14b (4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0 (s, 1H), 7.66 (s, 1H), 7.47 (d, J = 8.3 Hz, 1H), 7.35 - 7.27 (m, 1H), 6.13 (d, J = 5.4 Hz, 1H), 4.71 (d, J = 33.9 Hz, 2H), 4.49 (d, J = 25.9 Hz, 2H), 3.75 (d, J = 31.6 Hz, 5H), 1.79 - 1.59 (m, 5H), 1.52 (d, J = 2.8 Hz, 9H), 1.01 (s, 2H), 0.77 (s, 2H).
<제조예 19>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g)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1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g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6 (s, 2H), 7.84 (t, J = 7.3 Hz, 3H), 7.58 - 7.46 (m, 3H), 6.05 (s, 1H), 4.85 - 4.64 (m, 2H), 4.52 (d, J = 27.5 Hz, 2H), 3.96 - 3.46 (m, 4H), 1.97 - 1.57 (m, 5H), 1.53 (d, J = 2.3 Hz, 9H), 1.03 - 0.67 (m, 5H).
<제조예 20> 터트-부틸-(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j)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2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j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s, 1H), 6.98 - 6.88 (m, 2H), 6.81 (d, J = 8.0 Hz, 1H), 6.02 (d, J = 8.7 Hz, 3H), 4.69 (d, J = 27.0 Hz, 2H), 4.46 (d, J = 26.1 Hz, 2H), 3.97 - 3.52 (m, 5H), 1.82 - 1.56 (m, 5H), 1.50 (d, J = 2.4 Hz, 9H), 1.02 - 0.92 (m, 2H), 0.76 (d, J = 3.2 Hz, 2H).
<제조예 21>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n)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3
제조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n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s, 1H), 7.35 (d, J = 8.2 Hz, 1H), 7.17 (s, 1H), 6.76 (d, J = 8.3 Hz, 1H), 6.07 (s, 1H), 4.71 (d, J = 29.1 Hz, 2H), 4.62 (t, J = 8.8 Hz, 2H), 4.47 (d, J = 26.7 Hz, 2H), 3.70 (dd, J = 91.3, 72.0 Hz, 6H), 3.22 (t, J = 8.7 Hz, 2H), 1.80 - 1.56 (m, 5H), 1.51 (d, J = 2.5 Hz, 9H), 1.00 (s, 2H), 0.88 (d, J = 6.5 Hz, 2H).
<제조예 22> 터트-부틸-(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c)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4
화합물 12c (0.16mmol)를 메탄올 2ml에 녹인 후 물 2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8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c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 (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c을 수득하였다. (R)-(3-아미노피롤리딘-1-일)(사이클로프로필)메타논 (0.32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미드 1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44.5㎕(0.32mmol)를 넣어주었다. 그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ml에 녹인 화합물 13c (0.14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c가 사라지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c (3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34 - 8.26 (m, 1H), 7.76 - 7.70 (m, 1H), 7.62 (dd, J = 8.3, 1.1 Hz, 1H), 7.41 (ddd, J = 8.2, 4.0, 2.0 Hz, 1H), 6.31 (d, J = 5.2 Hz, 1H), 4.77 (d, J = 12.9 Hz, 2H), 4.48 (d, J = 2.6 Hz, 2H), 3.96 - 3.54 (m, 4H), 2.32 - 2.03 (m, 4H), 1.56 (d, J = 2.5 Hz, 9H), 0.94 - 0.85 (m, 4H).
<제조예 23> 터트-부틸-(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h)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5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h (3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4 - 8.00 (m, 2H), 7.85 (d, J = 7.9 Hz, 3H), 7.58 - 7.49 (m, 3H), 6.16 - 6.03 (m, 1H), 4.77 (d, J = 16.4 Hz, 2H), 4.53 (d, J = 26.8 Hz, 2H), 3.79 - 3.50 (m, 4H), 2.18 (d, J = 13.6 Hz, 4H), 1.53 (s, 9H), 1.00 (s, 2H), 0.78 (d, J = 5.1 Hz, 2H).
<제조예 24> 터트-부틸-(R)-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 [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k)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6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k (44%)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dd, J = 11.3, 5.3 Hz, 1H), 6.98 - 6.92 (m, 2H), 6.81 (dd, J = 8.0, 5.6 Hz, 1H), 6.06 - 6.00 (m, 3H), 4.71 (dd, J = 23.3, 9.4 Hz, 2H), 4.43 (s, 2H), 3.80 - 3.58 (m, 4H), 2.37 - 1.95 (m, 4H), 1.52 - 1.48 (m, 9H), 0.98 (d, J = 4.8 Hz, 2H), 0.78 - 0.74 (m, 2H).
<제조예 25> 터트-부틸-(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o)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7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o (4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dd, J = 12.1, 5.2 Hz, 1H), 7.35 (d, J = 10.3 Hz, 1H), 7.21 - 7.14 (m, 1H), 6.77 (dd, J = 8.2, 3.7 Hz, 1H), 6.10 (ddd, J = 15.8, 12.2, 5.4 Hz, 1H), 4.82 - 4.68 (m, 2H), 4.63 (d, J = 8.8 Hz, 2H), 4.43 (s, 2H), 3.99 - 3.53 (m, 5H), 3.22 (t, J = 8.7 Hz, 2H), 2.39 - 2.05 (m, 2H), 1.92 (dd, J = 12.5, 6.2 Hz, 1H), 1.53 - 1.48 (m, 9H), 0.77 (dd, J = 7.8, 4.7 Hz, 4H).
<제조예 26>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d)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8
화합물 12d (0.16mmol)를 메탄올 2ml에 녹인 후 물 2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8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d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 (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d을 수득하였다. (S)-(3-아미노피롤리딘-1-일)(사이클로프로필)메타논 (0.32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미드 1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44.5㎕(0.32mmol)를 넣어주었다. 그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ml에 녹인 화합물 13d (0.14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d가 사라지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d (3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34 - 8.26 (m, 1H), 7.76 - 7.70 (m, 1H), 7.62 (dd, J = 8.3, 1.1 Hz, 1H), 7.41 (ddd, J = 8.2, 4.0, 2.0 Hz, 1H), 6.31 (d, J = 5.2 Hz, 1H), 4.77 (d, J = 12.9 Hz, 2H), 4.48 (d, J = 2.6 Hz, 2H), 3.89 - 3.48 (m, 4H), 2.25 - 2.02 (m, 4H), 1.56 (d, J = 2.5 Hz, 9H), 0.96 - 0.84 (m, 4H).
<제조예 27>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i)
Figure 112021021643902-pat00069
제조예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i (3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0 - 8.02 (m, 2H), 7.85 (d, J = 7.2 Hz, 3H), 7.56 - 7.48 (m, 3H), 6.18 - 6.02 (m, 1H), 4.77 (d, J = 16.3 Hz, 2H), 4.53 (d, J = 27.3 Hz, 2H), 3.76 - 3.55 (m, 4H), 2.28 - 2.03 (m, 4H), 1.53 (s, 9H), 1.00 - 0.95 (m, 2H), 0.77 (d, J = 4.3 Hz, 2H).
<제조예 28> 터트-부틸-(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l)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0
제조예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l (26%)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8 - 8.09 (m, 1H), 6.97 (ddd, J = 8.7, 5.3, 1.5 Hz, 2H), 6.83 (d, J = 8.0 Hz, 1H), 6.19 - 6.06 (m, 1H), 6.02 (d, J = 1.1 Hz, 2H), 4.83 - 4.64 (m, 2H), 4.57 - 4.42 (m, 2H), 4.03 - 3.52 (m, 5H), 2.44 - 2.07 (m, 2H), 1.99 - 1.81 (m, 1H), 1.52 - 1.43 (m, 9H), 1.01 (d, J = 2.4 Hz, 2H), 0.78 (dd, J = 7.5, 4.3 Hz, 2H).
<제조예 29>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p)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1
제조예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4p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4 - 8.03 (m, 1H), 7.35 (d, J = 11.0 Hz, 1H), 7.18 (d, J = 7.2 Hz, 1H), 6.78 (dd, J = 8.2, 3.9 Hz, 1H), 6.10 (ddd, J = 15.7, 12.5, 5.5 Hz, 1H), 4.75 (d, J = 1.9 Hz, 2H), 4.62 (d, J = 8.8 Hz, 2H), 4.44 (s, 2H), 3.85 - 3.53 (m, 5H), 3.21 (d, J = 8.7 Hz, 2H), 2.37 - 2.07 (m, 2H), 1.93 (dd, J = 12.4, 6.0 Hz, 1H), 1.54 - 1.49 (m, 9H), 1.00 (d, J = 2.3 Hz, 2H), 0.79 - 0.74 (m, 2H).
<제조예 30> 터트-부틸-(S)-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4e)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2
화합물 12e (0.12mmol)를 메탄올 1.4ml에 녹인 후 물 1.4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6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e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e을 수득하였다. (S)-(3-아미노피페리딘-1-일)(사이클로부틸)메타논 (0.2mmol)를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44.5㎕ (0.4mmol)를 넣어주었다. 그 후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화합물 13e (0.1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e가 사라지면 아세토니트릴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2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e (49%)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5 - 8.05 (m, 1H), 7.71 - 7.62 (m, 1H), 7.47 (dd, J = 10.5, 4.8 Hz, 1H), 7.29 (d, J = 7.6 Hz, 1H), 6.16 (d, J = 5.0 Hz, 1H), 4.70 (dd, J = 31.8, 22.8 Hz, 2H), 4.46 (t, J = 17.4 Hz, 2H), 3.97 - 3.54 (m, 3H), 3.42 - 3.13 (m, 3H), 2.39 - 2.09 (m, 4H), 2.00 - 1.62 (m, 6H), 1.50 (d, J = 2.4 Hz, 9H).
<제조예 31> 터트-부틸-(S)-1-(2-((1-(사이클로펜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14f)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3
화합물 12f (0.12mmol)를 메탄올 1.4ml에 녹인 후 물 1.4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6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e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f을 수득하였다. (S)-(3-아미노피페리딘-1-일)(사이클로펜틸)메타논 (0.2mmol)을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44.5㎕(0.4mmol)를 넣어주었다. 그 후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화합물 13f (0.1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e가 사라지면 아세토니트릴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e (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9 (t, J = 30.4 Hz, 1H), 7.68 (s, 1H), 7.51 (dd, J = 13.1, 6.2 Hz, 1H), 7.35 - 7.28 (m, 1H), 6.22 (s, 1H), 4.85 - 4.66 (m, 2H), 4.49 (d, J = 20.4 Hz, 2H), 3.80 - 3.50 (m, 4H), 2.92 (s, 2H), 1.75 (d, J = 38.6 Hz, 12H), 1.51 (d, J = 2.5 Hz, 9H).
<제조예 32> 터트-부틸-(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실레이트 (14m)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4
화합물 12m (0.12mmol)를 메탄올 1.4ml에 녹인 후 물 1.4ml에 녹인 포타슘 퍼옥소모노설페이트 (Potassium peroxomonosulfate, 0.6mmol)를 넣어 주어 주위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2e가 사라지면 메탄올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m을 수득하였다. (S)-(3-아미노피페리딘-1-일)(사이클로부틸)메타논 (0.2mmol)를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후 DIPEA (다이이소프로필아민, 44.5㎕)를 넣어주었다. 그 후 아세토니트릴 0.5ml에 녹인 화합물 13m (0.1mmol)를 넣어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3e가 사라지면 아세토니트릴을 진공에서 농축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m (2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8 - 8.14 (m, 1H), 7.03 - 6.83 (m, 3H), 6.28 (s, 1H), 6.04 (d, J = 2.2 Hz, 2H), 4.80 (s, 2H), 4.47 (d, J = 12.3 Hz, 2H), 4.06 (d, J = 81.6 Hz, 2H), 3.12 - 3.02 (m, 1H), 2.94 (s, 1H), 2.15 - 1.43 (m, 12H).
<실시예 1>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메타논 (화합물 16a)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5
화합물 14a(0.05mmol)를 1,4-다이옥산 0.5 ml에 녹인 후 4 M HCl in 1,4-다이옥산 0.25ml로 처리 한 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30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4a가 사라지면 진공에서 1,4-다이옥산을 농축한 후 화합물 15a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5a(0.044mmol)를 1,4-다이옥산 0.44ml에 녹인 후 4-나이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0.044mmol)와 다이메틸포름아미드 0.22ml를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5a가 사라지고 중간체가 형성되면 4-피페리디놀 (0.22mmol)를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48시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중간체가 사라지면 진공에서 1,4-다이옥산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6a (16%)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7 (dd, J = 17.3, 5.0 Hz, 1H), 7.70 (d, J = 1.9 Hz, 1H), 7.60 (d, J = 8.2 Hz, 1H), 7.38 (s, 1H), 6.29 (s, 1H), 4.95 (s, 2H), 4.58 (t, J = 11.4 Hz, 2H), 4.35 (s, 1H), 4.10 (dd, J = 14.3, 7.1 Hz, 1H), 3.82 (ddd, J = 12.9, 8.6, 3.9 Hz, 1H), 3.71 (d, J = 13.7 Hz, 2H), 3.45 (d, J = 28.8 Hz, 1H), 3.00 (dd, J = 66.0, 53.2 Hz, 4H), 1.90 (dd, J = 42.4, 32.4 Hz, 5H), 1.55 (td, J = 12.9, 3.6 Hz, 4H), 0.83 (dd, J = 32.6, 25.9 Hz, 4H).
<실시예 2>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b)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6
화합물 14b (0.05mol)를 1,4-다이옥산 0.5 ml에 녹인 후 4 M HCl in 1,4-다이옥산 0.25ml로 처리 한 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30분동안 교반 하였다. TLC상에서 화합물 14b가 사라지면 진공에서 1,4-다이옥산을 농축한 후 화합물 15b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5b(0.048mol)를 1,4-다이옥산 0.48ml에 녹인 후 페닐 카르바메이트(0.048mmol)와 트리에틸아민(0.048mmol)를 넣어 주위 온도에서 24동안 교반 하였다. TLC 상에서 화합물 15b가 사라지면 진공에서 1,4-다이옥산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MC : MeOH ( 10 : 1 )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6b (31%)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36 - 8.23 (m, 1H), 7.69 (s, 1H), 7.59 (d, J = 8.2 Hz, 1H), 7.37 (t, J = 6.3 Hz, 1H), 6.33 (d, J = 75.5 Hz, 1H), 4.76 (s, 2H), 4.49 (dd, J = 11.6, 8.5 Hz, 2H), 4.06 (d, J = 60.6 Hz, 2H), 3.40 - 3.05 (m, 5H), 2.10 - 1.40 (m, 5H), 0.96 - 0.53 (m, 4H).
<실시예 3>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c)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7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c (21%)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9 (dd, J = 10.5, 5.3 Hz, 1H), 7.72 (t, J = 1.8 Hz, 1H), 7.61 (dd, J = 8.3, 2.0 Hz, 1H), 7.42 - 7.38 (m, 1H), 6.30 (s, 1H), 4.78 (d, J = 3.0 Hz, 2H), 4.50 (s, 2H), 3.90 - 3.42 (m, 4H), 2.30 - 1.71 (m, 4H), 0.87 (ddd, J = 10.2, 7.3, 3.4 Hz, 4H).
<실시예 4>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d)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8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d (35%)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9 (dd, J = 10.6, 5.3 Hz, 1H), 7.72 (t, J = 1.8 Hz, 1H), 7.61 (dd, J = 8.3, 2.0 Hz, 1H), 7.42 - 7.37 (m, 1H), 6.31 (s, 1H), 4.77 (d, J = 2.9 Hz, 2H), 4.50 (s, 2H), 3.92 - 3.46 (m, 4H), 2.30 - 1.68 (m, 4H), 0.93 - 0.81 (m, 4H).
<실시예 5> (S)-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e)
Figure 112021021643902-pat0007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e (24%)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40 - 8.22 (m, 1H), 7.71 (d, J = 15.5 Hz, 1H), 7.61 (dd, J = 8.3, 4.8 Hz, 1H), 7.43 - 7.35 (m, 1H), 6.39 (d, J = 97.2 Hz, 1H), 4.81 (s, 2H), 4.50 (dd, J = 12.3, 2.9 Hz, 2H), 3.68 (s, 1H), 3.53 - 3.39 (m, 1H), 3.03 (d, J = 16.4 Hz, 1H), 2.91 (dd, J = 18.5, 8.5 Hz, 1H), 2.42 - 2.17 (m, 4H), 2.12 - 1.98 (m, 2H), 1.91 - 1.71 (m, 3H), 1.66 - 1.41 (m, 3H).
<실시예 6> (S)-1-(2-((1-(사이클로펜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f)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0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f (6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38 - 8.24 (m, 1H), 7.71 (d, J = 10.9 Hz, 1H), 7.60 (d, J = 8.3 Hz, 1H), 7.42 - 7.34 (m, 1H), 6.36 (d, J = 86.1 Hz, 1H), 4.82 (s, 2H), 4.52 (d, J = 9.3 Hz, 2H), 4.21 (s, 1H), 3.97 (d, J = 35.3 Hz, 1H), 3.26 - 3.04 (m, 2H), 2.87 (s, 2H), 2.06 - 1.56 (m, 12H).
<실시예 7>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g)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1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g (31%)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9 - 8.05 (m, 2H), 7.92 (s, 3H), 7.65 - 7.39 (m, 3H), 6.26 (d, J = 102.0 Hz, 1H), 4.69 (d, J = 17.1 Hz, 2H), 4.63 - 4.48 (m, 2H), 4.19 - 3.72 (m, 2H), 3.29 - 2.31 (m, 3H), 2.17 - 1.43 (m, 5H), 0.90 (dt, J = 73.7, 30.3 Hz, 4H).
<실시예 8>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h)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h (3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6 - 8.12 (m, 1H), 8.06 (d, J = 3.9 Hz, 1H), 7.96 - 7.85 (m, 3H), 7.62 - 7.46 (m, 3H), 6.24 (s, 1H), 4.82 (d, J = 2.4 Hz, 2H), 4.53 (t, J = 3.0 Hz, 2H), 3.99 - 3.41 (m, 4H), 1.86 (dt, J = 102.9, 33.3 Hz, 4H), 0.96 - 0.70 (m, 4H).
<실시예 9>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i)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3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i (2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5 - 8.13 (m, 1H), 8.09 - 8.04 (m, 1H), 7.97 - 7.86 (m, 3H), 7.64 - 7.47 (m, 3H), 6.24 (s, 1H), 4.82 (d, J = 2.4 Hz, 2H), 4.53 (t, J = 2.9 Hz, 2H), 3.91 - 3.40 (m, 4H), 2.14 - 1.50 (m, 4H), 0.93 - 0.76 (m, 4H).
<실시예 10>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j)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4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j (4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8 - 8.11 (m, 1H), 6.92 (dt, J = 20.5, 4.7 Hz, 3H), 6.34 - 5.99 (m, 3H), 4.76 (s, 2H), 4.47 (s, 2H), 3.98 (ddd, J = 139.3, 60.2, 35.9 Hz, 3H), 2.14 - 1.45 (m, 7H), 0.92 - 0.68 (m, 4H).
<실시예 11> (R)-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k)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5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k (13%)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1 (dd, J = 11.0, 5.4 Hz, 1H), 6.97 (tt, J = 3.1, 1.4 Hz, 2H), 6.90 (d, J = 8.5 Hz, 1H), 6.18 (s, 1H), 6.04 (dd, J = 2.5, 1.3 Hz, 2H), 4.78 (s, 2H), 4.49 (d, J = 3.0 Hz, 2H), 3.93 - 3.39 (m, 5H), 2.40 - 1.73 (m, 3H), 0.87 (dddd, J = 12.5, 9.8, 5.8, 2.2 Hz, 4H).
<실시예 12>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l)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6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l (34%)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1 (dd, J = 11.0, 5.4 Hz, 1H), 7.01 - 6.95 (m, 2H), 6.90 (d, J = 8.5 Hz, 1H), 6.21 (d, J = 29.0 Hz, 1H), 6.07 - 6.02 (m, 2H), 4.78 (s, 2H), 4.48 (t, J = 3.0 Hz, 2H), 4.35 (s, 1H), 4.02 - 3.73 (m, 2H), 3.61 - 3.41 (m, 2H), 2.36 - 2.05 (m, 2H), 1.80 (dddd, J = 28.7, 12.7, 7.9, 4.7 Hz, 1H), 0.92 - 0.77 (m, 4H).
<실시예 13>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m)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7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m (29%)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8 - 8.14 (m, 1H), 7.03 - 6.83 (m, 3H), 6.20 (d, J = 61.5 Hz, 3H), 4.80 (s, 2H), 4.48 (s, 2H), 4.06 (d, J = 81.6 Hz, 2H), 3.13 - 3.02 (m, 1H), 2.94 (s, 1H), 2.15 - 1.43 (m, 12H).
<실시예 14>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n)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8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n (4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24 - 8.09 (m, 1H), 7.32 (s, 1H), 7.19 (d, J = 7.8 Hz, 1H), 6.78 (d, J = 8.1 Hz, 1H), 6.17 (d, J = 77.2 Hz, 1H), 4.77 (s, 2H), 4.61 (t, J = 8.8 Hz, 2H), 4.48 (d, J = 2.8 Hz, 2H), 4.26 - 3.52 (m, 3H), 3.23 (dd, J = 10.2, 8.0 Hz, 2H), 2.19 - 1.43 (m, 6H), 1.31 (dd, J = 12.7, 5.3 Hz, 1H), 0.81 (ddd, J = 94.9, 52.5, 36.9 Hz, 4H).
<실시예 15>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화합물 16o)
Figure 112021021643902-pat0008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o (4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17 (dd, J = 12.3, 5.4 Hz, 1H), 7.33 (dd, J = 5.0, 1.3 Hz, 1H), 7.19 (d, J = 8.3 Hz, 1H), 6.79 (dd, J = 8.3, 1.6 Hz, 1H), 6.13 (s, 1H), 4.77 (s, 2H), 4.61 (td, J = 8.8, 2.0 Hz, 2H), 4.48 (d, J = 2.8 Hz, 2H), 4.37 (s, 1H), 3.83 (dddd, J = 29.1, 23.2, 18.4, 16.3 Hz, 2H), 3.68 - 3.38 (m, 2H), 3.23 (t, J = 8.7 Hz, 2H), 2.36 - 1.95 (m, 2H), 1.87 - 1.71 (m, 1H), 0.97 - 0.76 (m, 4H).
<실시예 16>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16p)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0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정제하여 화합물 16p (3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8.18 (dd, J = 12.2, 5.4 Hz, 1H), 7.34 (d, J = 3.8 Hz, 1H), 7.20 (d, J = 8.3 Hz, 1H), 6.79 (dd, J = 8.3, 1.6 Hz, 1H), 6.13 (s, 1H), 4.78 (s, 2H), 4.61 (td, J = 8.8, 2.0 Hz, 2H), 4.48 (s, 2H), 4.38 (s, 1H), 4.07 - 3.69 (m, 2H), 3.65 - 3.38 (m, 2H), 3.23 (t, J = 8.7 Hz, 2H), 2.36 - 1.95 (m, 2H), 1.79 (dddd, J = 29.6, 12.7, 7.9, 4.7 Hz, 1H), 0.96 - 0.77 (m, 4H).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의 합성 방법은 하기 반응식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1
실험예 1. JNK3 효소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표 1 및 표 2의 이미다졸 유도체 처리에 의한 JNK3 효소활성 변화를 IC50을 통해 확인하였다.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2
화합물번호 Ar R 1 R 2 IC 50 (nM)
16a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3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4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5
+++
16b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6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7
+++
16c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8
+++
16d
Figure 112021021643902-pat00099
++
16e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0
+++
16f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1
+++
16g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2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3
+++
16h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4
+++
16i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5
++
활성 - : > 10 uM / + : 1 uM / ++ : 0.1~0.03 uM / +++ : < 30 nM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6
화합물 번호 Ar R 1 R 2 IC 50 (nM)
16j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7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8
Figure 112021021643902-pat00109
++
16k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0
++
16l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1
+
16m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2
+
16n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3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4
++
16o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5
+++
16p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6
+
대조 물질 JNK1 Ⅷ 5
활성 - : > 10 uM / + : 1 uM / ++ : 0.1~0.03 uM / +++ : < 30 nM
합성된 화합물의 JNK3의 IC50 값을 측정하여 표 1 및 2와 같이 정리하였다.
10μM 단일 용량 농도에서 38개의 다른 키나아제에 대한 화합물 16c의 키나아제 패널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화합물 16c는 JNK3의 선택적 프로파일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나, JNK2, JNK3, GSK-β 및 RIPK3에서, JNK2, JNK3 100%, GSK-β 70% 및 RIPK3 50%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8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1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0
    ,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표시된 탄소는 카이랄(Chiral) 탄소이며,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1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2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며,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4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5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6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7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8

    상기 화학식 3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2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0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1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2

    상기 화학식 4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3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4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5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6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5]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7

    상기 화학식 5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8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39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0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1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6]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2

    상기 화학식 6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3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4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7]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6

    상기 화학식 7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7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8
    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8]
    Figure 112021021643902-pat00149

    상기 화학식 8에서,
    R1
    Figure 112021021643902-pat00150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r은
    Figure 112021021643902-pat00151
    ,
    Figure 112021021643902-pat00152
    및 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 또는 산소 원자이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일)(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메타논;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펜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나프탈렌-2-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3,4-다이클로로페닐)-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2-(벤조[d][1,3]다이옥솔-5-일)-1-(2-((1-(사이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R)-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 또는
    (S)-1-(2-((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피리미딘-4-일)-2-(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4,6-다이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5(1H)-카르복사미드인 화합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쯔하이머성 치매, 파킨슨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JNK3 (c-Jun N-terminal kinase 3)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023960A 2020-02-28 2021-02-23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510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5335 2020-02-28
KR1020200025335 202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04A KR20210110204A (ko) 2021-09-07
KR102510351B1 true KR102510351B1 (ko) 2023-03-17

Family

ID=774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960A KR102510351B1 (ko) 2020-02-28 2021-02-23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40395A1 (ko)
KR (1) KR102510351B1 (ko)
WO (1) WO2021172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44B1 (ko) 2021-08-20 2024-0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475A1 (en) 2001-04-06 2002-10-17 Eisai Co., Limited Jun kinase inhibitors
US20100160360A1 (en) 2008-12-19 2010-06-24 Leyi Gong Jnk modulators
WO2015192714A1 (zh) 2014-06-16 2015-12-23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吡咯并咪唑环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KR101840674B1 (ko) 2017-02-20 2018-03-2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Jnk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8905B2 (ja) * 2009-02-24 2014-06-11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JNK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イミダゾ[1,2−a]ピリジン
WO2020022787A1 (ko) * 2018-07-24 2020-01-30 삼진제약주식회사 Jnk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475A1 (en) 2001-04-06 2002-10-17 Eisai Co., Limited Jun kinase inhibitors
US20100160360A1 (en) 2008-12-19 2010-06-24 Leyi Gong Jnk modulators
WO2015192714A1 (zh) 2014-06-16 2015-12-23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吡咯并咪唑环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KR101840674B1 (ko) 2017-02-20 2018-03-2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Jnk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J. MED. CHEM(2013)
논문2:BIOORGANIC AND EDICINAL CHEMISTRY LETTERS 15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871A1 (ko) 2021-09-02
KR20210110204A (ko) 2021-09-07
US20230140395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730B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인 신규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
EP3381896B1 (en) Biphenyl compound or salt thereof
JP2022523274A (ja) Jak阻害剤化合物及びその使用
EP2380881A1 (en) Novel bicyclic heterocyclic compound
EP3288942A1 (en) Rsv antiviral pyrazolo- and triazolo-pyrimidine compounds
EP3632897A1 (en) Novel biphenyl compound or salt thereof
EA027533B1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ые тетра- или пентациклические дигидродиазепинокарбазоло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parps
EP3915991A1 (en) Pyrrolopyrimidine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tein kinase-related disease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KR102510351B1 (ko)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A2477117A1 (en) Pyrrolopyrimidine derivative
JP2003514804A (ja) ファルネ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としてのトリアゾール類
CN111875620A (zh) 吡唑并嘧啶类大环衍生物及其应用
JP6626981B2 (ja) Jnk阻害活性を有する新規なイミダ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EP3746444B1 (en) Cycloalkyl 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having activity against rsv
CN111484479A (zh) 氮杂环化合物、包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00011388A (ko) Jnk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514245B1 (ko)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피라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N114599655B (zh) 咪唑烷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377873B (zh) 氨基嘧啶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671878B (zh) 取代的含氮双环化合物及其用途
KR102490434B1 (ko) Flt3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642716B1 (ko) 단백질 인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N116178337A (zh) 苯并二氮杂䓬类化合物及其作为Rho激酶抑制剂的应用
KR20240021910A (ko) 치환된 피롤로[2,3-d]피리미딘, 이의 제조 및 이의 치료적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