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168B1 -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168B1
KR102510168B1 KR1020200072794A KR20200072794A KR102510168B1 KR 102510168 B1 KR102510168 B1 KR 102510168B1 KR 1020200072794 A KR1020200072794 A KR 1020200072794A KR 20200072794 A KR20200072794 A KR 20200072794A KR 102510168 B1 KR102510168 B1 KR 10251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fiber
roller
torque value
servo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930A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킴텍 주식회사
(주)동서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텍 주식회사, (주)동서디앤씨 filed Critical 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0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using rollers or pressur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에서는 모터가 구동롤러 또는 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토크 제어 방법으로 설정 토크값이 유지도록 제어한다. 라이너의 회전수가 변동하여 상기 라이너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장력이 변동되면, 상기 서보 모터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보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이 되도록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는,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고속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Facility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e device without a brake or a clutch for tension}
본 발명은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고속 생산이 가능한 복합재료 장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생산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다. 탄소섬유, 유리섬유 패브릭 또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 부직포와 수지를 사용해서 형틀(Mold)에 넣고 원심성형(Centrifugal casting) 해서 경화하는 방법,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에 수지를 함침시키면서 맨드릴 또는 라이너 위에 와인딩 해서 만드는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하고 경화하는 방법,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에 수지를 함침 시켜놓은(Prepreg)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리섬유 프리프레그를 맨드릴 또는 라이너위에 와인딩 하고 경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인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료 압력용기 생산 방식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을 수지배스(Resin Bath)에서 수지를 함침시키면서 회전을 하는 맨드릴 또는 라이너의 속도에 의해서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이 일정한 장력으로 맨드릴 또는 라이너에 와인딩 한 후 경화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10 ~50 가닥의 많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로빙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와인딩 속도를 증가할 경우에는 과도한 장력에 의해서 맨드릴 또는 라이너 위에서 섬유의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함침된 수지의 빠짐현상이 발생하여 압력용기의 성능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 때문에 일반적으로 10가닥 미만과 30m/min이하의 속도로 생산을 함으로 인하여 장시간의 생산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은 압력용기 생산시 40 ~70m/min이상의 생산속도로 생산을 할 수가 없으므로 인하여 시장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경쟁력 있는 가격의 복합재료 압력용기 생산이 전혀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필라멘트 와인딩 고속생산방식에서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텐션감지장치에 전자식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전체 설비가 복잡해지고 전자식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특성상 정지가동을 반복적으로 자주 할 경우에는 테션의 불균일 등을 포함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70090호
본 발명은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고속 생산이 가능한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라이너의 측면을 대향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며, 섬유 보빈들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를 상기 라이너로 이동시키는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섬유 보빈들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라이너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서, 상기 섬유가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태로 상기 라이너에 와인딩하게 하는 수지 배스(resin bath)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 이송 장치는, 회전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구동롤러; 회전하며, 상기 구동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섬유를 밀착하여 상기 라이너로 이송시키는 가압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토크 제어 방법으로 설정 토크값이 유지도록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회전수가 변동하여 상기 라이너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장력이 변동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이 되도록 유지하게 하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라이너의 측면을 대향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며, 섬유 보빈들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를 상기 라이너로 이동시키는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섬유 보빈들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라이너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서, 상기 섬유가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태로 상기 라이너에 와인딩하게 하는 수지 배스(resin bath)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 이송 장치는,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하는 제1구동롤러 및 제2구동롤러;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2구동롤러를 감싸면서 회전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하는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와 상기 2가압롤러를 감싸면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 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섬유를 밀착하여 상기 라이너로 이송시키는 가압 벨트; 및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토크 제어 방법으로 설정 토크값이 유지도록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회전수가 변동하여 상기 라이너와 상기 섬유 이송 장치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장력이 변동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이 되도록 유지하게 하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장치(예, 압력용기, 파이프)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섬유의 텐션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자식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탄소섬유 로빙의 사속이 50m/min 이상의 고속 와인딩 구현이 가능하다.
셋째,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복합재료 장치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넷째, 1회의 경화 공정만 수행 하더라도 복합재료 장치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이 낮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의 라이너, 수평 베이스 가이드 및 캐리지 사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의 라이너와 바이스의 결합모습 및 라이너와 바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라이너가 회전하면서 섬유 필라멘트들이 라이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의 섬유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의 섬유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 제조장치로 성형되고 있는 경화 전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이형필름이 나선방향으로 와인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유려한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장치용 섬유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이하, "제조장치"라 함)(100)는 복합재료 압력용기를 제조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조장치(100)는 압력용기 이외에도 파이프 등을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장치(100)는 라이너들(191, 192), 수평 베이스 가이드(155), 캐리지(150), 섬유 이송 장치(140), 및 수지 배스(13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너(191, 192)는 원통 구조를 가지되, 축 방향의 일 단과 그 반대쪽인 타 단이 각각 돌출된 반구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된 반구 형태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고, 단면은 원형이다. 또한 상기 라이너(191, 192)의 일 단과 타 단의 중심에는 각각 상기 라이너(191, 19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바이스(vise)에 연결할 수 있도록 보스(19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191a)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일 단과 타 단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있고, 내측은 중공 구조이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은 상기 보스(191a)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척(chuck)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보스(191a)와는 나사결합을 하고, 상기 바이스와는 척 결합을 한다. 즉, 상기 라이너(191, 192)는 상기 보스(191a)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바이스의 척과 결합되어 제1구동원(196, 197)에 의하여 일체로써 회전한다. 상기 제1구동원(196, 197)으로는 회전수가 변경 가능한 모터가 이용되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서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일 측이 상기 바이스에 결합되는 모습과 상기 바이스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일 측만을 도시 했지만, 반대쪽인 타측도 동일한 구조 및 결합을 통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 배스(130)를 통해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이 상기 라이너(191, 192)의 외주면에 와인딩 될 때,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은 상기 라이너(191, 192)의 축방향과 평행한 부분에 와인딩 될 때보다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 와인딩 될 때 더 빠른 속도로 와인딩 된다. 특히 상기 라이너(191, 192)의 보스(191a) 주위에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을 따라 상기 축방향과 평행한 부분쪽으로 와인딩 하는 경우에는 와인딩 속도를 줄여 가면서 와인딩 한다. 반대로 상기 라이너(191, 192)의 축방향과 평행한 부분에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을 따라 상기 보스(191a)쪽으로 와인딩 하는 경우에는 와인딩 속도를 높여 가면서 와인딩 한다.
상기 라이너(191, 192)에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이 와인딩 될 때는, 상기 축방향과 평행한 부분에 와인딩 될 때보다 미끄럼 현상에 의해 정밀한 와인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 와인딩 할 때는 장력을 높여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와인딩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191, 192)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을 와인딩 할 때는, 상기 라이너(191, 192)에서 감기는 방향이 바뀌는 두 부분 중 적어도 한 쪽 부분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한 부분에 감기도록 한다(도 2 참조). 이는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이 상기 라이너(191, 192)에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만 와인딩 될 경우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 필라멘트들(114)이 미끄러져서 단단하게 와인딩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속 일정한 각도로 와인딩 하다가 상기 라이너(191, 192)에서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부분에 와인딩 할 때는 와인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191, 19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라이너(191, 192)의 소재를 금속이나 그 외 다른 소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너(191, 19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지 배스(130)를 통해 수지 함침된 섬유들(114)이 상기 라이너(191, 192)의 외주면에 감긴다.
상기 라이너(191, 192)는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한 구조의 2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라이너(191, 192)는 구조물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지만, 상기 라이너(191, 192)가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너(191, 192)의 개수는 2개이나,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베이스 가이드(155)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수평 베이스 가이드(155)의 위치는 고정되며, 상기 라이너(191, 192)의 축방향을 따라 동일 폭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수평 베이스 가이드(155)와 상기 라이너(191, 192)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150)는 상기 수평 베이스 가이드(155)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한다. 즉, 상기 캐리지(150)는 상기 라이너(191, 19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캐리지(150)에는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 및 상기 수지 배스(1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와 상기 수지 배스(130)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는, 섬유 공급장치(110)의 섬유 보빈들(111)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들(112)을 상기 라이너(191, 192)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보빈들(111)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들(112)은 탄소 필라멘트들이 서로 꼬여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섬유 보빈들(111)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들(112)을 유리섬유 보빈들로부터 유입되는 유리섬유들이나 아라미드섬유 보빈들로부터 유입되는 아리미드 섬유들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섬유 보빈들(111) 중 일부는 탄소섬유 보빈이고 일부는 유리섬유 보빈이어서, 2개의 섬유들이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이외의 다양한 복합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소섬유 보빈들(111)과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 사이에는 한 쌍의 콤들(combs, 120)이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콤(122)은 상기 캐리지(150)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콤(121)은 상기 탄소섬유 보빈들(111)의 근처에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콤들(121, 122)은 탄소섬유들(112)의 가닥이 서로 붙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는 제1구동롤러(141), 제2구동롤러(142), 가압롤러(compaction roller, 143), 가이드 롤러(144, 145), 서보 모터(147) 및 동력전달 메커니즘(148)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141) 및 상기 제2구동롤러(142)는 상기 탄소섬유들(112)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러(143)는 상기 제1구동롤러(141)와 상기 제2구동의 가운데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롤러(141), 상기 제2구동롤러(142) 및 상기 가압롤러(143)는 이등변 삼각형(특히 정삼각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서보 모터(147), 상기 제1구동롤러(141)와 상기 제2구동롤러(142)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구동롤러(141) 및 상기 제2구동롤러(14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롤러이다. 상기 구동모터(147)에는 상기 동력전달 메커니즘(148)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47)의 회전력을 상기 제1구동롤러(141)와 상기 제2구동롤러(142)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동력전달 매커니즘(148)은, 기어 매커니즘, 벨트/풀리 매커니즘 등의 다양한 공지의 동력 전달 매커니즘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14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한 아이들 롤러이다. 상기 가압롤러(143)의 상하 방향 위치는, 상기 제1구동롤러(141), 상기 제2구동롤러(142)와 상기 가압롤러(143) 사이에서 이송되는 상기 탄소섬유들(112)의 장력이나 상기 탄소섬유들(112)의 사속(fiber speed)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 때 상기 가압롤러(143)를 가압하는 힘도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들(144, 145)은 상기 가압롤러(14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공급되는 탄소섬유들(112)의 장력이나 공급방향을 가이드한다.
상기 수지 배스(resin bath, 130)는,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와 상기 라이너(191, 19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라이너(191, 192)로 공급되는 상기 탄소섬유들(112)에 수지를 함침시킨다. 하지만, 상기 수지 배스(130)는,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와 상기 탄소섬유 보빈들(11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섬유들(112)은 상기 수지 배스(130)를 통과하여 수지 함침된 탄소섬유들(114)로 되어, 아이 로테이션들(eye rotations, 160)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들(191, 192)에 설정 각도로 감겨지도록 조정된다. 상기 아이 로테이션(160)은 2개의 라이너들(191, 192)에 대응되도록 2개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 함침된 탄소섬유들(114)이 상기 2개의 라이너들(191, 192)에 동시에 동일하게 감기게 된다. 상기 와인딩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 함침된 탄소섬유들(114)이 45도와 ??45도로 서로 교번하여 와인딩하여, 기본 구조층(structure layer, L1)을 형성하게 한다. 그 후, 상기 수지 함침된 탄소섬유들(114)이 90도에 근접하게 와인딩하여 표면층(flap shape layer, L2)을 형성한다.(도 6 참조).
제1구동원(196, 197)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191, 192)의 회전수가 변동하면,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에 가해지는 장력이 변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라이너(191, 192)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라이너(191, 192)의 회전수가 감소하면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된다.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의 장력의 변동은 상기 라이너(191, 192)에 감겨지는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보 모터(147)는 토크 제어 방법으로 제어되어, 설정 토크값을 유지하도록 회전수가 제어된다. 즉,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하면, 상기 서보 모터(147)의 토크값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서보 모터(147)는 회전수를 증가하여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으로 회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하면, 상기 서보 모터(147)의 토크값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서보 모터(147)는 회전수를 감소하여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으로 회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구동원(196, 197)용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상기 서보 모터(147)가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1구동롤러(141)와 상기 제2구동롤러(142)의 회전수를 쉽게 변동시키므로, 전체 장치의 운용이 용이해지고, 전체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원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서보 모터의 토크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함침된 섬유들(114)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텐션감지장치나 이에 구비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클러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원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보 모터(147) 및 상기 제1구동원(196, 197)용 모터만 설치되어도 고속으로 복합재료 압력용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개수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150)에는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170)는, 상기 라이너(191, 192)에 상기 기본 구조층(L1)이 형성된 후, 상기 라이너(191, 192)에 다시 자외선 차폐용 시트(175)를 나선 방향으로 감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175)는 자외선 차폐물질과 수지가 부직포에 함침된 상태로서 롤러에 와인딩된 상태이며, 상기 라이너(191, 192)에 나선 방향으로 와인딩된다(도 6 참조).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170)는 상기 라이너(191, 192)에 대응되도록 2개사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175)의 소재도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캐리지(150)에는 이형필름 공급장치(18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형필름 공급장치(180)는, 상기 아이 로테이션(1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170)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이형필름 공급장치(180)는,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들(175)에 의하여 자외선 차폐층(L3)이 형성된 후, 상기 라이너(191, 192)에 이형필름(185)을 나선 방향으로 와인딩하여 이형필름층(L4)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6 참조). 상기 이형필름(185)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경화공정 후 제거되면, 표면에 이형필름의 흔적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외관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외관이 미려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이형필름 공급장치(180)는 상기 라이너(191, 192)에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형필름(185)의 소재도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장치(100)를 이용한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라이너(191, 192) 및 상기 섬유 이송 장치(140)를 가동하여, 상기 2개의 라이너(191, 192)에 상기 기본 구조층(L1)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캐리지(150)를 왕복 이동시키면서 상기 아이 로테이션들(160)을 조절하여, 상기 기본 구조층(L1) 상에 표면층(L2)을 형성한다. 경화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면층(L2)에 자외선 차폐용 시트(175)를 나선 방향으로 와인딩하여 자외선 차폐층(L3)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자외선 차폐층(L3) 상기 이형필름(185)을 와인딩하여, 이형필름층(L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형필름(185)이 녹지 않는 온도로 가열하여 경화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이형필름(185)을 제거하여, 복합재료 압력용기를 완성한다.
도 9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장치용 섬유 이송 장치(2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섬유 이송 장치(240)는 제1구동롤러(241) 및 제2구동롤러(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241)와 상기 2구동롤러(242)는 섬유(112)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한다. 구동 벨트(245)가 상기 제1구동롤러(241)와 상기 2구동롤러(242)를 감싸면서 회전한다.
제1가압롤러(243) 및 제2가압롤러(244)가 상기 구동 벨트(24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241) 및 상기 2구동롤러(242)와 이격되어 배치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 상기 제1가압롤러(243)와 상기 제2가압롤러(244)는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한다. 가압 벨트(246)가 상기 제1가압롤러(243)와 상기 제2가압롤러(244)를 감싸면서 회전한다. 상기 가압 벨트(246)과 상기 구동 벨트(245) 사이에 상기 섬유(112)가 밀착되어 라이너로 이송된다.
모터(247)가 동력전달 메커니즘(248)을 통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241) 및 상기 2구동롤러(24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롤러(241)와 상기 2구동롤러(242)는 동일 회전수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247)는 토크 제어 방법으로 설정 토크값이 유지도록 제어된다. 상기 모터(247)는 서보 모터 또는 토크 모터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보 모터가 이용된다.
상기 라이너의 회전수가 변동하여 상기 라이너와 상기 섬유 이송 장치(240)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장력이 변동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구동롤러(241) 및 상기 2구동롤러(242)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이 되도록 유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이송 장치(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10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장치
110: 섬유 공급장치
120: 콤
130: 수지 배스
140, 240: 섬유 이송 장치
147: 서보 모터
150: 캐리지
155: 수평 베이스 가이드
160: 아이 로테이션
170: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
180: 이형필름 공급장치
191, 192: 라이너
196, 197: 제1구동원용 모터

Claims (9)

  1. 제1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라이너;
    상기 라이너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라이너의 측면을 대향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며, 섬유 보빈들로부터 유입되는 섬유를 상기 라이너로 이동시키는 섬유 이송 장치; 및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섬유 보빈들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섬유 이송 장치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라이너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서, 상기 섬유가 상기 수지에 함침된 상태로 상기 라이너에 와인딩하게 하는 수지 배스(resin bath)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 이송 장치는,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하는 제1구동롤러 및 제2구동롤러;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를 감싸면서 회전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하는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감싸면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 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섬유를 밀착하여, 상기 밀착된 섬유를 상기 라이너로 상기 섬유의 공급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가압 벨트; 및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며, 토크 제어 방법으로 설정 토크값이 유지도록 제어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회전수의 변동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와 상기 섬유 이송 장치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장력이 변동되어, 상기 서보 모터의 토크값이 변동되면,
    상기 서보 모터는,
    상기 변동된 토크값을 감지하여, 상기 서보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이 되도록, 상기 서보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 보다 크면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서보 모터의 토크값이 상기 설정 토크값 보다 작으면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상기 제1구동롤러 및 상기 제2구동롤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라이너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라이너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 베이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수평 베이스 가이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며, 상기 수지에 적셔진 섬유가 상기 라이너에 설정 각도로 감겨지도록 조정하는 아이 로테이션(eye rotation);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며, 상기 라이너에 상기 수지가 함침된 섬유가 감겨진 후, 상기 라이너에 다시 자외선 차폐용 시트를 나선 방향으로 감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들을 공급하는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 및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되, 상기 아이 로테이션(eye rotation)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와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들이 감겨진 후, 상기 라이너에 다시 이형필름을 나선 방향으로 감기 위하여 상기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폐용 시트 공급장치 및 상기 이형필름 공급장치는, 상기 라이너에 와인딩된 상기 수지 함침된 섬유에 경화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작동되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원통 구조를 갖되, 축 방향의 일 단과 그 반대쪽인 타 단은 각각 돌출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반구 형태의 중심에는 상기 라이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바이스와 결합할 수 있는 보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는,
    내측이 중공 구조를 갖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바이스와 나사 결합하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72794A 2020-03-09 2020-06-16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KR10251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94A KR102510168B1 (ko) 2020-03-09 2020-06-16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124 2020-03-09
KR1020200072794A KR102510168B1 (ko) 2020-03-09 2020-06-16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124 Division 2020-03-09 202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930A KR20210113930A (ko) 2021-09-17
KR102510168B1 true KR102510168B1 (ko) 2023-03-15

Family

ID=7792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94A KR102510168B1 (ko) 2020-03-09 2020-06-16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13B1 (ko) * 2011-04-08 2011-11-01 화이버텍(주) 연속식 파이프의 축방향 보강용 보강섬유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090B1 (ko) 1996-12-23 2000-10-16 이구택 필라멘트 와인딩법에 의한 용액상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고분자복합재료 제조방법
KR100507595B1 (ko) * 2002-07-02 2005-08-3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필라멘트 와인딩 기계의 장력 제어장치
KR101111964B1 (ko) * 2010-03-09 2012-02-15 현대라이프보트 주식회사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13B1 (ko) * 2011-04-08 2011-11-01 화이버텍(주) 연속식 파이프의 축방향 보강용 보강섬유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930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894B1 (ko) 복합재료 압력용기의 제조장치
CN102632609B (zh) 一种纤维增强复合材料管的连续化成型装置
US448242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pipes
US10144184B2 (en) Flat fiber-reinforced plastic strand, flat fiber-reinforced plastic strand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232133B2 (ko)
US5643382A (en)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composite article
KR102510168B1 (ko) 장력 유지용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필요 없는 복합재료 장치의 제조장치
KR102147369B1 (ko) 복합재료 폴의 제조장치
US2017022538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haft-shape composite member
JP4314101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の給糸ユニット及び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並びに構造体の製造方法
KR20200024659A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JP2007533571A (ja) 平行な繊維を所要の等しい張力状態にする取り扱い方法および構造
JP2005161797A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3492540B (zh) 纤维缠绕装置、成形体的制造系统及成形体的制造方法
JP3698268B2 (ja) Frp筒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072930B2 (ja) 圧力容器用補強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80132247A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CN103568334A (zh) 一种热塑性复合材料缠绕设备
EP3700848B1 (en) Unwinding of materials
JP2006167977A (ja) プリフォーム及び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70004A (ja) 繊維強化樹脂管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KR102045902B1 (ko) 섬유 연속 공급 장치
CA3111052C (en) Helically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production line for manufacturing a non-metallic armature
JP2004149353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975965B2 (ja) 巻き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