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957B1 -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957B1
KR102509957B1 KR1020210064409A KR20210064409A KR102509957B1 KR 102509957 B1 KR102509957 B1 KR 102509957B1 KR 1020210064409 A KR1020210064409 A KR 1020210064409A KR 20210064409 A KR20210064409 A KR 20210064409A KR 102509957 B1 KR102509957 B1 KR 10250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il
impedance
probe
martensit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398A (ko
Inventor
한경석
이호중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01N27/87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us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와전류를 일으키는 탐촉 코일을 포함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탐촉 코일에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될 때 탐촉 코일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와전류로 인해 상기 탐촉 코일에 유도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 중에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상기 냉간가공 과정에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준 안정상인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위치와 생성량을 측정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Stress-induced metastable martensite generation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evaluation method on the surface of austenite stainless steel pipe products}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여부와 생성 양을 관제품을 파괴하지 않고도 평가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강의 대표적인 강종 중 STS304재질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소성가공에 의하여 준안정상인 α'-마르텐사이트 상이 생성된다.
α'-마르텐사이트 상은 STS 304재질의 비자성을 띄고 있는 γ 오스테나이트과 대비하여 높은 투자율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인발이나 용접을 통하여 제조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관형 제품은 최종 공정에서 외부 롤러 등에 의해 외력을 받으면서 소성 가공 되어 직진도가 향상되는 직관화 공정을 거친다. 이때 외력이 가해진 관제품의 표면 조직에는 소성가공에 의하여 α'-마르텐사이트 등의 준안정 상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스테인레스 관제품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투자율의 자기적인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직관화 공정을 통하여 외부에 α'-마르텐사이트 상이 생성되는지의 여부와 생성위치 및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제품을 파괴하여 분석하는 조직 관찰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파괴 분석법은 공정이 끝난 후에야 가능한 분석이므로 실시간으로 품질을 측정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공정에서 품질상의 변수가 발생될 때 즉각적으로 분석하여 대응하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5038호(공개일자: 0217. 11. 13)
이에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관 제품이 냉간가공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마르텐사이트에 대한 발생량과 발생위치의 정확한 평가가 공정 사후가 아니라 냉간가공 공정 중에 즉각 평가되어 냉간가공 공정에 바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와전류를 일으키는 탐촉 코일을 포함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탐촉 코일에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될 때 탐촉 코일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와전류로 인해 상기 탐촉 코일에 유도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 중에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상기 냉간가공 과정에서 상기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준 안정상인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위치와 생성량을 측정한다.
상기 탐촉 코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부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 내주면에 탐촉 코일이 삽입 되는 형태로 설치되게 제작되는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에는 인위적으로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일정한 크기만큼 형성되는 대비용 기준 샘플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촉 코일과 동일하게 제작된 대비용 코일과,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로 구성되는 비교 탐촉자가 더 마련되어, 상기 탐촉자가 측정하는 상기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마르텐사이트 감지 데이터가 상기 비교 탐촉자로 측정되는 데이터와 대비됨으로써 마르텐사이트의 생성량과 생성 위치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촉 코일과 상기 대비용 코일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차동연결 됨으로써, 탐촉 코일이 상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을 스캔하면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때, 상기 대비용 코일이 상기 참조 부위를 스캔하면서 탐촉 코일이 감지한 상기 임피던스 변화 값에 가장 근접하는 두 개의 참조 부위의 임피던스 변화 값을 찾음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에서 감지된 임피던스 변화 값에 상응하는 유기응력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촉 코일과 이격되게 구름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구름 부재는 상기 홀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 설치됨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이 탐촉 코일 고정 패널에 상기 관제품이 외삽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상기 관제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면서도 상기 탐촉 코일과 상기 관제품의 표면 간의 거리가 상기 관제품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과 동일한 홀이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홀의 폭을 확장시키는 확장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구름 부재는 상기 확장 블록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에도 상기 확장 블록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평가 방법은 탐촉 코일을 포함하는 탐촉자와,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탐촉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로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와, 냉간가공 공정에서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을 추출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품에 탐촉 코일을 접근시켜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으로 인해 상기 관제품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와전류로 인해 상기 탐촉 코일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의 측정값에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투자율의 변화에 해당되는 임피던스 변화 값을 평가함으로써,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위치와 크기를 유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촉 코일의 중심에 상기 탐촉 코일을 삽입한 다음에 상기 탐촉 코일을 상기 관제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로 상기 관제품을 스캔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품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관제품인 대비용 기준 샘플과, 상기 탐촉 코일과 동일한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비용 코일의 중심에 상기 대비용 기준 샘플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품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촉 코일로 상기 관제품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대비용 코일로 상기 대비용 기준 샘플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품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대비용 기준 샘플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 사이에는 서로 시간적 선후 관계는 없다.
그리고 상기 대비용 기준 샘플과, 상기 탐촉 코일과 동일한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을 마련하는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비용 기준 샘플로 채택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인위적으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 상기 탐촉 코일에 삽입되는 관제품에서 냉간가공 과정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형성 부위의 크기와 밀도를 측정함에 있어 참조가 될 수 있는 참조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참조 부위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위적인 마르텐사이트 변태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추하는 단계는 관제품의 표면에서 임피던스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 보다 크면서 대비용 기준 샘플에 형성된 복수개의 참조 부위 중에서 관제품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에 가장 근접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보여주는 참조부위인 최근접 상위 참조부위를 특정하는 단계와, 관제품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 보다 작으면서 대비용 기준 샘플에 형성된 복수개의 참조 부위 중에서 관제품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에 가장 근접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보여주는 참조부위인 최근접 하위 참조부위를 특정하는 단계와, 최근접 상위 참조부위와 최근접 하위 참조부위가 보여주는 각각의 임피던스 변화 정도와 관제품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크기와 범위 또는 밀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관 제품이 냉간가공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마르텐사이트에 대한 발생량과 발생위치의 정확한 평가가 공정 사후가 아니라 냉간가공 공정 중에 즉각 평가되어 냉간가공 공정에 바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의 측정 대상인 오스테나이트 관제품의 직진화 냉간가공의 개념도,
도 1b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표면에서 발생된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미세조직 사진,
도 1c는 임피던스 측정 곡선의 개념도,
도 1d는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비교 그래프,
도 1e는 투자율에 따른 잡음 신호와 기타 변수에 따른 잡음 신호의 비교 그래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서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의 측단면도와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케이스에 내장된 발진기와 임피던스 측정기의 개념도,
도 3a는 도 2a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b는 도 3a에서 대비용 코일의 사시도,
도 3c는 도 3a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측정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는 도 2a에서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촉자(20)와,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와, 대비용 기준 샘플(40)과, 비교 탐촉자(50)를 포함한다.
탐촉자(20)에는 도 1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직관화 공정고 같은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P)의 표면에 와전류를 일으키는 탐촉 코일(21)이 구비되며, 탐촉자(20)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측정 파트이다.
발진기(10)는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고 임피던스 측정기(30)는 탐촉 코일(21)에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될 때 탐촉 코일(21)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한다.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는 도 2a에서는 케이스(60)에 내장되어 직접 도시되어 있진 않으며,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의 개념도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탐촉 코일(21)은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되는 와전류로 인해 탐촉 코일(21)에 유도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 중에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냉간가공 과정에서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되는 준 안정상인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위치와 생성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냉간가공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자기적 특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이러한 특성이 본 발명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강관인 관제품(P)은 직진도를 높이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화 공정을 거친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P)은 직관화 공정과 같은 냉간가공을 거치게 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소성가공으로 인해 관제품(P) 표면에 준안정상인 마르텐사이트 상이 생성된다.
직관화 공정에 사용되는 롤은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국부적인 응력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때 관제품(P) 표면에 롤러가 가하는 힘이 클수록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b의 사진에 나타난 것처럼 γ 오스테나이트 재질은 소성변형이 가해지면 준안정상인 α'-마르텐사이트 상으로 변태되며 연구를 통해 알려진 파괴분석 결과를 보면 마르텐사이트 상은 오스테나이트 재질의 표면으로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깊이에 분포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테나이트강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는 사진 상에서는 명확하게 구분되진 않지만 두 개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변형쌍정의 경계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위가 움직이면서 조성되는 슬립 밴드를 따라 집중적으로 형성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것처럼 종래에는 냉간가공에서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생성위치와 생성량을 계측하기 위해서는 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과 평가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실시간으로 냉간가공 공정에서 마르텐사이트가 발생되는 것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인지와 평가 자체가 이루어지기 힘들어, 다량의 품질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현장에서 즉각 시정 조치하는 형태로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런데 마르텐사이트는 비 자성을 띠는 오스테나이트와 대비하여 아주 높은 투자율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투자율의 차이는 임피던스로 측정될 수 있다는 점에 본 출원인은 착안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종래의 비파괴검사 기법 중에서 와전류탐상 기법으로 임피던스의 변화가 측정되고, 임피던스의 변화는 투자율의 차이로 나타나므로, 와전류탐상 기법을 응용함으로써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 상의 생성량과 생성위치 및 생성 형태에 대한 평가가 즉석에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와전류탐상검사는 대상 시험체에 와전류를 유도하여 이 전류와 재질 사이의 상호 작용을 관찰하여 시험체의 상태를 분석하는 비파괴검사 기술이다.
와전류탐상검사는 교류전류를 유도 코일에 흐르게 할 경우 가해진 교류와 동일한 주파수로 교류자장이 발생되므로, 코일을 튜브 벽에 가까이 할 경우 전자기적으로 교류자장에 의해 튜브에 와전류가 발생됨에 따라 이들 와전류에 의해 1차 여기장에 반하는 반발자장이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즉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튜브의 열화지점과 열화정도를 탐지하는 검사이다.
와전류 탐상검사는 탐촉자가 시험체에 접촉되지 않고 시험체 주위에서 가변될 수 있으므로, 고속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주변 운전환경이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는 등 검사자에게 위해한 원자력발전소 기기의 비파괴검사에 널리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에서 측정 대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관제품(P)이다. 이때 관제품(P)에서 이격된 탐촉 코일(21)이 관제품(P) 표면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도 1c와 같은 임피던스 곡선이 얻어진다.
도 1c의 임피던스 곡선이 주파수에 따라 얻어진 것이 도 1d의 아래에 실선으로 표시된 곡선이다. 이때 관제품(P)의 표면에서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된 부위가 있을 경우, 준안정 α'-마르텐사이트 상의 투자율은 γ 오스테나이트 상에 비하여 수백배 크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마르텐사이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현저한 임피던스 변화가 관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d의 그래프에서는 마르텐사이트 생성 부위에서는 임피던스 변화가 오스테나이트에 대한 임피던스 변화를 표현한 아래의 실선 곡선보다 훨씬 큰 상부의 점선 곡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와전류탐상검사는 통상적으로는 실제적으로 신뢰성 있는 검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와전류 흐름에 영향을 미치거나 탐촉자(20)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인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도 1e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값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전도도, 지오메트리)는 (d)(e)(f)와 같이 주파수가 작아질수록 리프트 오프에 의한 잡음 신호와 기타 변수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의 퍼짐 각이 작아지지만, 투자율 변화의 경우에는 주파수가 변화해도 투자율 변화에 의한 임피던스 선의 퍼짐각의 변화가 없고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 따라서 주변 조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한 임피던스 곡선의 변화와 준안정 α'-마르텐사이트 상에 의한 투자율 변화는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바로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의 변화에 따른 이러한 투자율의 현저한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재료의 결함이나 열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와전류탐상 시스템이 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을 냉간가공 공정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곧바로 생산 라인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이 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촉자(20)와,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a에서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는 케이스(60) 내부에 설치되어 보이지 않으나, 도 2c에서는 케이스(60) 내부에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가 설치된 것이 표현되어 있다.
탐촉자(20)는 통상의 와전류 탐상기와 마찬가지로, 관제품(P)의 표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탐촉 코일(21)을 포함한다.
발진기(10)는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장비이며, 임피던스 측정기는 관제품(P)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가 다시 탐촉 코일(21)에 피드백을 가함으로써 탐촉 코일(21)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한다.
즉 탐촉 코일(21)은 교류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되는 와전류로 인해 탐촉 코일(21)에 유도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 중에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냉간가공 과정에서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되는 준 안정상인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위치와 생성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는 도 2a에서는 케이스(60) 내부가 도시되지 않아 보이지 않지만, 도 2b를 통해 케이스(60) 내부에 발진기(10)와 임피던스 측정기(30)가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여부는 바로 도 1d와 같은 임피던스 측정 곡선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임피던스 곡선인 하부의 실선 곡선으로부터 상부의 점선 곡선이 도출되는 부위가 바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 부위로 판명된다.
이 경우 탐촉 코일(21)은 관제품(P)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탐촉 코일(21)은 관제품(P)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부재에 고정 설치된다. 즉 탐촉 코일(2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관제품(P)은 탐촉 코일(21)에 삽입됨으로써 관제품(P)의 표면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는지 여부가 직접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때 탐촉 코일(21)이 설치되며 관제품(P)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부재가 바로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이다. 여기서 탐촉 코일(21)은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에 형성되는 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얇은 판재 형태의 부재에 탐촉 코일(21)이 설치됨으로써,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의 위치 자체가 탐촉 코일(21)의 위치가 되므로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을 자유롭게 가변시키는 와중에도 마르텐사이트가 감지되는 부위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품(P)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에는 인위적으로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일정한 크기만큼 발생된 부위인 참조 부위(41)가 형성되는 대비용 기준 샘플(40)이 더 마련되고, 탐촉 코일(21)과 동일하게 제작된 대비용 코일(51)과,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52)로 구성되는 비교 탐촉자(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탐촉자(20)가 측정한 관제품(P)의 표면의 실시간 임피던스 데이터가 비교 탐촉자(50)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대비됨으로써, 관제품(P)의 표면에서 마르텐사이트의 생성량과 생성 위치가 더욱 정확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참조 부위(41)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복수개의 참조 부위(41) 각각은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관제품(P)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와, 복수개의 참조 부위(41) 중에서 관제품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에 가장 근접되는 임피던스 측정치를 보여주는 참조 부위(41)와 그에 인접하는 임피던스 측정치를 가지는 인접하는 참조 부위(41)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관제품(P)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크기와 밀도 및 위치에 대한 추정 오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탐촉 코일(21)과 대비용 코일(51)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로 차동연결 됨으로써, 탐촉 코일(21)이 관제품(P)의 표면을 스캔하면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때, 대비용 코일(51)이 참조 부위(41)를 스캔하면서 탐촉 코일(21)이 감지한 임피던스 변화 값에 가장 근접하는 두 개의 참조 부위(41)의 임피던스 변화 값을 찾음으로써, 탐촉 코일(21)에서 감지된 임피던스 변화 값에 상응하는 유기응력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탐촉 코일(21)과 이격되게 구름 부재(23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름 부재(231)는 상기 홀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 설치됨으로써,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이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에 관제품(P)이 외삽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관제품(P)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면서도, 탐촉 코일(21)과 관제품(P)의 표면 간의 거리가 관제품(P)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탐촉 코일(21)과 관제품(P) 표면 간의 거리가 가변될 경우, 그만큼의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탐촉 코일(21)과 관제품(P) 표면 간의 거리 변화는 측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을 관제품(P)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시키면서 스캔하는 과정에 이런 측정의 정확도 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이 관제품(P) 표면을 따라 매끄럽고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면서도 그 와중에 탐촉 코일(21)과 관제품(P) 표면 간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구름 부재(231)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탐촉 코일(21)의 모든 지점과 관제품(P)의 표면 간의 거리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름 부재(231)는 적어도 세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세 개 이상의 구름 부재(231)는 방사상 대칭되게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구름 부재(231)를 연결하는 직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선과 나머지 직선들 사이에 관제품(P)의 단면 중심이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과 동일한 홀이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홀의 폭을 확장시키는 확장 블록(2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름 부재(231)는 확장 블록(23)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52)에도 동일한 확장 블록(23)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평가 방법은 그 내용에 대한 설명이 앞서 설명된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의 내용과 대부분 중복되므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측정 평가 방법은 탐촉 코일(21)을 포함하는 탐촉자(20)와,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10)와, 탐촉 코일(21)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30)로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와, 냉간가공 공정에서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P)을 추출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탐촉 코일(21)과 동일하게 제작된 대비용 코일(51)과 탐촉 코일 고정 패널(22)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52)로 구성되는 비교 탐촉자(50)를 준비하는 단계와, 관제품(P)에 탐촉 코일(21)을 접근시켜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교류전원으로 인해 관제품(P)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와전류로 인해 탐촉 코일(21)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탐촉자(20)가 측정한 관제품(P)의 표면의 실시간 임피던스 데이터를 비교 탐촉자(50)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대비하는 단계와, 임피던스 변화의 측정값에서 관제품(P)의 표면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투자율의 변화에 해당되는 임피던스 변화 값을 비교 탐촉자(50)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위치와 크기를 유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탐촉 코일(21)의 중심에 탐촉 코일(21)을 삽입한 다음에 탐촉 코일(21)을 관제품(P)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탐촉 코일(21)로 관제품(P)을 스캔하는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는 관제품(P)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관제품(P)인 대비용 기준 샘플(40)과, 탐촉 코일(21)과 동일한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51)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탐촉 코일(21)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대비용 코일(51)의 중심에 대비용 기준 샘플(40)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제품(P)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는 탐촉 코일(21)로 관제품(P)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대비용 코일(51)로 대비용 기준 샘플(40)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제품(P)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대비용 기준 샘플(40)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 사이에는 서로 시간적 선후 관계는 없다.
그리고 대비용 기준 샘플(40)과, 탐촉 코일(21)과 동일한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51)을 마련하는 단계에서는 대비용 기준 샘플(40)로 채택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인위적으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 탐촉 코일(21)에 삽입되는 관제품(P)에서 냉간가공 과정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형성 부위의 크기와 밀도를 측정함에 있어 참조가 될 수 있는 참조 부위(41)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참조 부위(4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참조 부위(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추하는 단계는 관제품(P)의 표면에서 임피던스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관제품(P)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 보다 크면서 대비용 기준 샘플(40)에 형성된 복수개의 참조 부위 중에서 관제품(P)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에 가장 근접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보여주는 참조 부위(41)인 최근접 상위 참조부위를 특정하는 단계와, 관제품(P)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 보다 작으면서 대비용 기준 샘플(40)에 형성된 복수개의 참조 부위(41) 중에서 관제품(P)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에 가장 근접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보여주는 참조부위(41)인 최근접 하위 참조부위를 특정하는 단계와, 최근접 상위 참조부위와 최근접 하위 참조부위가 보여주는 각각의 임피던스 변화 정도와 관제품(P)의 표면에서 감지된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관제품(P)의 표면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크기와 범위 또는 밀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P : 관제품 10 : 발진기
20 : 탐촉자 21 : 탐촉 코일
22 : 탐촉 코일 고정 패널 23 : 확장 블록
30 : 임피던스 측정기 40 : 대비용 기준 샘플
41 : 참조 부위 50 : 비교 탐촉자
51 : 대비용 코일 52 :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
60 : 케이스 231 : 구름 부재

Claims (10)

  1.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와전류를 일으키는 탐촉 코일을 포함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탐촉 코일에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될 때 탐촉 코일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와전류로 인해 상기 탐촉 코일에 유도되는 임피던스의 변화 값 중에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상기 냉간가공 과정에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준 안정상인 유기 마르텐사이트의 생성 위치와 생성량을 측정하고,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관제품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탐촉 코일은 상기 관제품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부재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홀 내주면에 탐촉 코일이 삽입 되는 형태로 설치되게 제작되는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이고,
    상기 관제품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에는 인위적으로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일정한 크기만큼 발생된 부위인 참조 부위가 형성되는 대비용 기준 샘플;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탐촉 코일과 동일하게 제작된 대비용 코일과,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로 구성되는 비교 탐촉자;가 더 마련되어,
    상기 탐촉자가 측정한 상기 관제품의 표면의 실시간 임피던스 데이터가 상기 비교 탐촉자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대비됨으로써,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서 마르텐사이트의 생성량과 생성 위치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부위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복수개의 상기 참조 부위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와, 상기 복수개의 참조 부위 중에서 관제품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에 가장 근접되는 임피던스 측정치를 보여주는 참조 부위와 그에 인접하는 임피던스 측정치를 가지는 인접하는 참조 부위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크기와 밀도 및 위치에 대한 추정 오차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탐촉 코일과 상기 대비용 코일은 서로 차동연결 됨으로써, 탐촉 코일이 상기 관제품의 표면을 스캔하면서 투자율의 변화로 인한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때, 상기 대비용 코일이 상기 참조 부위를 스캔하면서 탐촉 코일이 감지한 상기 임피던스 변화 값에 가장 근접하는 두 개의 참조 부위의 임피던스 변화 값을 찾음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에서 감지된 임피던스 변화 값에 상응하는 유기응력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탐촉 코일과 이격되게 구름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구름 부재는 상기 홀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 설치됨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이 탐촉 코일 고정 패널에 상기 관제품이 외삽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상기 관제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면서도 상기 탐촉 코일과 상기 관제품의 표면 간의 거리가 상기 관제품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8. 삭제
  9. 탐촉 코일을 포함하는 탐촉자와,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탐촉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로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와;
    냉간가공 공정에서 냉간가공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을 추출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탐촉 코일과 동일하게 제작된 대비용 코일과, 상기 탐촉 코일 고정 패널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대비용 코일 고정 패널로 구성되는 비교 탐촉자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품에 탐촉 코일을 접근시켜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으로 인해 상기 관제품에 와전류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와전류로 인해 상기 탐촉 코일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탐촉자가 측정한 상기 관제품의 표면의 실시간 임피던스 데이터를 상기 비교 탐촉자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의 측정값에서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투자율의 변화에 해당되는 임피던스 변화 값을 상기 비교 탐촉자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상기 관제품의 표면에 형성된 마르텐사이트의 위치와 크기를 유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평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탐촉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탐촉 코일의 중심에 상기 탐촉 코일을 삽입한 다음에 상기 탐촉 코일을 상기 관제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탐촉 코일로 상기 관제품을 스캔하는 형태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측정 평가 방법.
KR1020210064409A 2021-05-18 2021-05-1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KR10250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09A KR102509957B1 (ko) 2021-05-18 2021-05-1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09A KR102509957B1 (ko) 2021-05-18 2021-05-1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98A KR20220156398A (ko) 2022-11-25
KR102509957B1 true KR102509957B1 (ko) 2023-03-15

Family

ID=8423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409A KR102509957B1 (ko) 2021-05-18 2021-05-1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9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710A (ja) * 2000-07-03 2002-01-23 Kobe Steel Ltd 線材渦流探傷用コイル装置
JP2010048723A (ja) 2008-08-22 2010-03-04 Kobe Steel Ltd 鉄筋腐食検査方法,鉄筋腐食検査装置
KR101549129B1 (ko) 2013-10-23 2015-09-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파괴 검사용 확장튜브 및 그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JP2021526655A (ja) 2018-06-01 2021-10-07 サントル・ドゥ・ルシェルシェ・メタリュルジク・アエスベエル−セントルム・フォール・リサーチ・イン・デ・メタルルージエ・フェーゼットヴェー 鋼中のオーステナイトの比率のインライン測定の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58B1 (ko) * 2011-04-07 2013-04-16 에디웍스(주) 시험체의 양품을 선별하는 와전류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5299800B2 (ja) * 2011-10-25 2013-09-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浸炭検知方法
KR20140063137A (ko) * 2012-11-16 2014-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계를 이용하여 강자성체 표본의 내측 결함을 비파괴 탐상하는 방법 및 장치
JP6675676B2 (ja) 2015-03-06 2020-04-01 高周波熱錬株式会社 硬化層深さ測定装置
KR20170067193A (ko) * 2015-12-07 2017-06-16 주식회사 포스코 결함 탐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710A (ja) * 2000-07-03 2002-01-23 Kobe Steel Ltd 線材渦流探傷用コイル装置
JP2010048723A (ja) 2008-08-22 2010-03-04 Kobe Steel Ltd 鉄筋腐食検査方法,鉄筋腐食検査装置
KR101549129B1 (ko) 2013-10-23 2015-09-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파괴 검사용 확장튜브 및 그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JP2021526655A (ja) 2018-06-01 2021-10-07 サントル・ドゥ・ルシェルシェ・メタリュルジク・アエスベエル−セントルム・フォール・リサーチ・イン・デ・メタルルージエ・フェーゼットヴェー 鋼中のオーステナイトの比率のインライン測定の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98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rvis et al. Current deflection NDE for the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pipes
Jomdecha et al. Design of modified electromagnetic main-flux for steel wire rope inspection
Edwards et al. Dual EMAT and PEC non-contact probe: applications to defect testing
JP2009282027A6 (ja) 導電性材料からなる試験対象物における特に亀裂の渦電流表示を判定して評価する方法
JP2009282027A (ja) 導電性材料からなる試験対象物における特に亀裂の渦電流表示を判定して評価する方法
JP5383597B2 (ja) 渦電流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Ge et al. Bobbin pulsed eddy current array probe f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defects in nonferromagnetic tubes
US10746698B2 (en) Eddy current pipeline inspection using swept frequency
Ge et al. Investigation of the approximate decomposition of alternating current field measurement signals from crack colonies
Ribeiro et al. Inductive probe for flaw detection in non-magnetic metallic plates using eddy currents
JP2009036682A (ja) 渦電流センサ、硬化層深さ検査装置及び硬化層深さ検査方法
KR102509957B1 (ko)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관제품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력 유기 준안정 마르텐사이트 측정 시스템 및 측정 평가 방법
DO HAENG et al. Influence of signal-to-noise ratio on eddy current signals of cracks in steam generator tubes
JP2005164516A (ja) 欠陥検知方法
JP6058436B2 (ja) 渦電流探傷装置および渦電流探傷方法
Mroz et al. Setting discrete yield-stress sensors for recording early component loading using eddy-current array technology and induction thermography
Cuffe et al. Eddy current measurement of case hardened depth of steel components
Malikov et al. Subminiature eddy-current transducers for studying steel to dielectric junctions
Rao et al. Recent trends in electromagnetic NDE techniques and future directions
Smetana et al. Austenitic Biomaterial Cracks Evaluation by Advanced Nondestructive Techniques
Dmitriev et al. Subminiature Eddy Current Transducer for Detect Violations of the Internal Structure in Steels
Buck et al. Field implementation of a transient eddy current system for carbon steel pipe thickness measurements
JP5492004B2 (ja) 渦電流探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Rifai et al. Investigation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brass defect measurement using Eddy Current Testing
EP3943928A1 (en) Rolled steel sheet metal structure evaluation device, rolled steel sheet metal structure evaluation method, steel material manufacturing equipment, steel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steel material qualit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