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539B1 -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8539B1 KR102508539B1 KR1020220104264A KR20220104264A KR102508539B1 KR 102508539 B1 KR102508539 B1 KR 102508539B1 KR 1020220104264 A KR1020220104264 A KR 1020220104264A KR 20220104264 A KR20220104264 A KR 20220104264A KR 102508539 B1 KR102508539 B1 KR 102508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fire
- module
- unit
- sh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06Q50/30—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계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계측값최적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의 전기상태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4의 화재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7의 화재예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7의 화재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7의 화재정보전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7의 화재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4의 통신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2의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의 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13: 모니터링부 131: 계측값최적화부
133: 전기상태감시부 133a: 위험감지부
133b: 위험경고부 133c: 긴급지시부
135: 화재감시부 135a: 화재예측부
135b: 화재확인부 135c: 화재정보전송부
135d: 화재검증부 137: 통신감시부
15: 통신부 3: 관제서버
31: 상관분석부 33: 경로파악부
Claims (12)
- 복수의 선박 각각에 설치되며, 서로 무선통신을 송수신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며, 선박들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선박의 전기설비 각각의 상태를 계측하도록 설치되어 전기상태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정보를 선박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감지장치는,
전기설비의 상태를 측정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전기설비의 이상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부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전기설비의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한 이상상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측정되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시부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에 관한 계측값과 화재 발생의 상관관계에 따라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화재예측부와, 화재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전기설비에 관한 열, 연기를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확인하는 화재확인부와, 화재가 확인되는 경우 화재발생정보를 주변 선박을 통해 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화재정보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와 화재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관분석부는,
화재 발생시 선박에서 측정되어 수신되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계측정보저장모듈과, 화재 발생시의 환경, 전력상태, 사용연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화재정보저장모듈과, 화재 발생시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의 계측값과 온도, 습도의 환경정보, 전압, 전류의 전력상태, 전기설비의 사용연수를 변수정보로 입력하는 변수정보입력모듈과, 입력되는 변수와 화재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기계적 학습에 의해 분석하여 도출하는 상관관계도출모듈과, 도출된 상관관계를 각 선박들에게 전송하는 상관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예측부는,
상기 상관분석부에 의해 전송되는 상관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상관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상관관계에 계측되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환경정보, 전력상태정보, 사용연수 정보를 입력하는 계측정보입력모듈과, 변수의 입력에 따라 화재 위험을 예측하는 화재위험예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확인부는,
상기 화재예측부에 의한 화재 발생 예측 정보를 수신하는 예측정보수신모듈과, 전기설비에 관해 감지되는 열, 연기 정보를 확인하는 감지정보확인모듈과, 상기 감지정보확인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가 정상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확정하는 화재발생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발생확인모듈은 화재 발생으로 확정하는 열, 연기에 관한 기준값이 화재 발생으로 감지하는 기본적인 기준값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와 함께 전기설비를 흐르는 전류, 전압의 전력상태, 주변 온도, 습도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측정되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정보를 전력사용상태, 주변환경, 사용연수에 따라 최적화는 계측값최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값최적화부는,
상기 계측부에 의해 측정되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정보를 수신하는 계측정보수신모듈과, 측정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정보수신모듈과, 전압, 전류의 전력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전력정보수신모듈과, 시간정보에 따라 전기설비의 사용연수를 산정하는 사용연수산정모듈과, 환경, 전력, 사용연수 정보에 따라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각각의 계측값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설정모듈과,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 각각의 계측값을 수정하는 계측정보수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전기설비의 전기적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전기상태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상태감시부는,
계측값이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기설비의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위험감지부와, 계측값이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기준값을 초과하지는 않으나 기준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 반복하여 도달하는 경우 위험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음을 미리 경고하는 위험경고부와, 계측값이 위험 상태 또는 위험 경고 상태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긴급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경고부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에 관한 계측값이 기준값 이하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위험범위인지모듈과, 계측값이 위험범위에 유지되는 시간을 산정하는 유지시간산정모듈과, 계측값과 위험범위에서 유지된 시간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위험지수산출모듈과, 위험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상태에 근접했음을 경고하는 경고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지시부는
누설전류, 절연저항, 과전류에 관한 계측값을 저장하는 계측정보저장모듈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측값의 변화정도를 산출하는 변화율산출모듈과, 변화정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연속되는 시간을 산정하는 연속시간산정모듈과, 연속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긴급 이상 상태임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는 긴급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는
화재 발생 감지에 관한 정확성을 검증하는 화재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검증부는,
상기 화재확인부에 의한 화재 발생의 알림 후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선박으로부터 오류정보를 입력받는 오류정보입력모듈과, 입력된 오류정보를 주변 선박으로 전송하는 오류정보전송모듈과, 전송되는 오류정보를 저장하는 오류정보저장모듈과, 오류의 발생 빈도를 산정하는 오류빈도산정모듈과, 산정된 오류빈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 예측 또는 확인에 관한 기준을 수정하도록 하는 기준수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정보전송부는
화재가 발생한 선박, 위치, 시간정보와 함께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화재정보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선박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경로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파악부는,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정보수신모듈과, 화재 발생 선박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모듈과,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과, 저장되는 위치, 시간정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선박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생성모듈과, 화재가 발생한 선박 주변의 선박 및 출동하는 관리자 등에게 선박의 이동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경로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주변 선박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정보를 수신하는 전송정보수신모듈과, 전송된 정보를 다시 주변 선박으로 전달하는 전송정보송신모듈과, 전송된 정보의 전달 후 관제서버로부터 전송정보에 관한 수신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확인정보를 무선정보를 전송한 선박으로 전송하는 확인정보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화재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전송수신모듈과, 화재 발생 정보 수신 후 관제서버로부터의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확인신호감시모듈과, 일정시간 내에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주변 선박으로 구조 신호를 전송하는 구조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264A KR102508539B1 (ko) | 2022-08-19 | 2022-08-19 |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264A KR102508539B1 (ko) | 2022-08-19 | 2022-08-19 |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8539B1 true KR102508539B1 (ko) | 2023-03-10 |
Family
ID=8557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264A Active KR102508539B1 (ko) | 2022-08-19 | 2022-08-19 |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85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93904A (zh) * | 2023-10-19 | 2023-11-21 | 合肥工业大学 | 一种变电站火灾探测数据采集方法 |
CN119651908A (zh) * | 2024-12-04 | 2025-03-18 | 江苏驷博电气有限公司 | 一种电气设备远程监控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3174A (ko) * | 2015-09-16 | 2017-03-24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
KR101824718B1 (ko) * | 2017-06-28 | 2018-02-02 | (주)대신피아이씨 |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
KR20220063804A (ko) * | 2020-11-09 | 2022-05-18 | (주)대륜엔지니어링 |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스마트 전기안전시스템 |
KR102410754B1 (ko) * | 2022-04-19 | 2022-06-22 | 주식회사 대연 |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IoT기반 수배전반 화재예방시스템 |
-
2022
- 2022-08-19 KR KR1020220104264A patent/KR1025085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3174A (ko) * | 2015-09-16 | 2017-03-24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
KR101824718B1 (ko) * | 2017-06-28 | 2018-02-02 | (주)대신피아이씨 |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
KR20220063804A (ko) * | 2020-11-09 | 2022-05-18 | (주)대륜엔지니어링 |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스마트 전기안전시스템 |
KR102410754B1 (ko) * | 2022-04-19 | 2022-06-22 | 주식회사 대연 |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IoT기반 수배전반 화재예방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93904A (zh) * | 2023-10-19 | 2023-11-21 | 合肥工业大学 | 一种变电站火灾探测数据采集方法 |
CN117093904B (zh) * | 2023-10-19 | 2024-03-12 | 合肥工业大学 | 一种变电站火灾探测数据采集方法 |
CN119651908A (zh) * | 2024-12-04 | 2025-03-18 | 江苏驷博电气有限公司 | 一种电气设备远程监控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8539B1 (ko) |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 |
US10643444B2 (en) |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senso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method for the same | |
WO2012047072A1 (ko) | 가스 충전소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
KR102296568B1 (ko) | 머신러닝 기반 배전반 관제시스템 | |
US2012027153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oosing priority control object,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bject | |
JP6812312B2 (ja) | プラント支援評価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支援評価方法 | |
KR102697560B1 (ko) | 선로변 제어장치를 위한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 |
US9741252B2 (en) | Fl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ight guidance instructions | |
CN107622320A (zh) | 用于预测和显示站点安全度量的系统和方法 | |
KR102040431B1 (ko)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 |
KR101089229B1 (ko) | 선박 손상 평가 및 통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
JP4671736B2 (ja) | 監視センタ、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 | |
KR20220156340A (ko) | 자율운항선박의 자동사고대응 시스템 | |
KR101843650B1 (ko) |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296561B1 (ko) |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 |
CN107622620A (zh) | 环境监测方法及设备 | |
US10330524B2 (en) | Predictiv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1149018B1 (ko) |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454756B1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ai 탑재형 다중 검지 영역 통합 차단시스템 | |
EP4137827B1 (en) | Self-checking method and apparatus of arc detection device in power system | |
KR102526571B1 (ko) |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 |
KR102518056B1 (ko) | 무인 충전 또는 무인 주유 시설의 안전 사고 모니터링 및 사고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 | |
KR102604610B1 (ko) |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
KR20120136157A (ko) |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
JP2019174903A (ja) |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