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375B1 -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 Google Patents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375B1
KR102508375B1 KR1020220081886A KR20220081886A KR102508375B1 KR 102508375 B1 KR102508375 B1 KR 102508375B1 KR 1020220081886 A KR1020220081886 A KR 1020220081886A KR 20220081886 A KR20220081886 A KR 20220081886A KR 102508375 B1 KR102508375 B1 KR 10250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rimer
composition
coating film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22008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나 벽지와 같이 기공이 많은 소재에는 박리용이성 도료로 형성된 도막이라도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는 않으므로, 이러한 소재 표면을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로 처리하여 보다 용이하게 도막을 박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도막 변경을 통해 다양한 인테리어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Primer composition for improving peeling and coating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나 합지 벽지와 같이 기공이 많은 소재에는 박리용이성 도료로 형성된 도막이라도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는 않으므로, 이러한 소재 표면을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로 처리하여 보다 용이하게 도막을 박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도막 변경을 통해 다양한 인테리어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는 유동성의 물질로 물체의 표면에 넓게 도포되어 얇은 피막 층을 형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건조, 경화됨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미감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페인트는 특히 건축물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에 도포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부식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이 이용된다.
일반적인 페인트 등의 도료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소재와의 부착력 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으로 피작물에 도포 후 건조/경화 후 박리가 용이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합지 벽지와 같은 종이 소재에 도포할 경우 박리를 전혀 할 수 없거나 억지로 박리할 경우 종이가 뜯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페인트 등의 도료는 도포 후에는 원상 복구가 전혀 불가능한 실정이다.
한편, 박리 가능한 형태의 페인트는 대부분 유성타입으로 유기 용제를 함유하므로 악취가 심하고 인체에 유해하므로 실내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페인트를 합지 벽지와 같은 종이 소재에 도포할 경우 추후 박리가 용이하지 않아 박리 시 종이가 뜯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완전하게 박리가 되지 않고 소재를 원상 복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합지 벽지, 종이와 같은 많은 기공(포러스)이 있고 내부 응집력이 약해 층간 분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소재의 경우, 페인트가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높은 부착력을 가져 도막층이 소재와의 박리가 어렵고 심지어 박리 시 벽지가 뜯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최근, 박리용이성 도료가 개발되고 있으나, 물과 같은 용액이 쉽게 흡수되거나, 재질간 강도가 약한 종이 소재, 수성 페인트 도막 등에 박리용이성 도료를 도포한 후 박리할 경우 여전히 쉽게 떨어지지 않거나, 소재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상기 박리용이성 도료가 종이 등의 소재에 흡수되어 앵커와 같은 효과로 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또한, 종이 등의 재질은 너무 내부 결합력이 약해서 도료 박리시 먼저 종이 등의 소재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결합력이 약한 종이 등에 도막 형성 후 사용자의 기호 변화에 따라 도포된 도막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84341호(2006. 07. 24)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나 벽지, 원목과 같이 표면에 기공이 많거나 내부층 간 응집력이 약해 층간 분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소재에 형성된 도막을 쉽게 박리할 수 있어 수시로 도막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왁스 에멀전 10 내지 35 중량부; PVB 수지 10 내지 3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실리콘 에멀전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증점제, 소광제,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동결방지제 또는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인 도막은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및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박리 도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PVB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소포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실리콘 폴리머, 실리콘 에멀전, 변성 실리콘 오일 또는 폴리머, 실록산 및 변성 실록산, 실리콘 고무, 계면 활성제, 오일 및 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이형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SiO2, CaCO3, BaSO4, Talc, Al(OH)3, Al2O3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이 형성된 물품은 표면이 비코팅 종이류 또는 수성 페인트로 도포된 물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을 상기 표면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지 벽지, 종이, 원목 소재와 같이 표면에 기공이 많거나 내부층 간 응집력이 약해 층간 분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비코팅 종이 등과 같은 소재 표면 또는 수성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도포할 경우, 그 위에 형성되는 박리 도료층이 상기 종이 표면 또는 수성 페인트 표면에 직접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층과 박리 도료층과의 부착력을 낮추므로, 박리 도료층을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어, 상기 종이 또는 수성 페인트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이 벽지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b)는 종이 벽지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없이 직접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는 수성 페인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b)는 수성 페인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없이 직접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는 종이 박스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b)는 종이 박스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없이 직접 도포한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통상의 도료용 프라이머와는 달리 합지, 벽지, 종이와 같이 표면에 기공이 많고 내부 응집력이 약해 층간 분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소재(이하, 층분리성 소재)로부터 그 위에 형성된 박리용 도료를 보다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층분리성 소재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게 되면, 그 위에 도포되는 박리용 도료가 층분리성 소재에 직접 흡수되는 것을 막아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쉽게 박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이 층분리성 소재와의 결합력은 높은 반면, 프라이머층 위에 도포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과는 부착력이 낮아, 박리 도료층을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왁스 에멀전 10 내지 35 중량부, PVB 수지 10 내지 3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왁스 에멀전은 폴리에틸렌(PE) 왁스, 폴리프로필렌(PP)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대표적인 왁스 에멀전으로는 예를 들어, 모두 Michelman Inc.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MICHEM ME 62330 파라핀/PE 왁스 에멀전, MICHEM ME 34935 파라핀/에틸렌 아크릴산 왁스 에멀전, MICHEM 180 파라핀과 카르나우바 왁스의 블렌드, 및 MICHEM ME 71450 파라핀 왁스 에멀전; 둘 다 Keim-Additec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ULTRALUBE E340 파라핀 왁스 에멀전 및 ULTRALUBE E668H PP 왁스 에멀전 등이 있다.
상기 왁스 에멀전은 프라이머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0 내지 3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최소 함량보다 적을 경우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최대 함량보다 많을 경우 작은 외력에도 박리 도료층이 쉽게 박리되거나 도막이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PVB 수지는 유연성, 인장력 및 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일정한 박리성을 가지는 수지로서, 수분산된 에멀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왁스 에멀전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프라이머층이 너무 쉽게 박리되는 것을 어느 정도 상쇄시켜 준다.
상기 PVB 수지는 프라이머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0 내지 3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최소 함량보다 적을 경우 도막 자체의 탄성이 약해져서 박리시 도막이 쉽게 끊어질 수 있고, 상기 최대 함량보다 많을 경우 소재와의 부착력이 높아지거나, 박리 도료와의 친화성이 높아 박리가 잘 안되거나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도장의 작업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제는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로서, 그 외에 셀로솔부류 및 카비톨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물 및 셀로솔부류 및 카비톨류 중 어느 하나의 혼합물 일 수 있다. 상기 도료에 적용되는 용제의 사용량이 작을 경우 건조 시간이 빠를 수 있으며, 상기 도료에 적용되는 용제의 사용량이 많을 경우 건조 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상기 왁스 에멀전의 보완 수단으로 박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에멀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함량보다 많을 경우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는 박리 도료층의 도포가 잘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증점제, 소광제,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동결방지제 또는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프라이머 전체 조성물 기준 0.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및 점도를 개선하여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것 역할을 한다. 상기 증점제의 예로서는 셀롤로오스, 아크릴 증점제, 우레탄 증점제, 왁스, Clay 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도막은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및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박리 도료층;을 포함한다. 즉, 박리 도료층이 층분리성 소재에 직접 도포되지 않고 중간에 상기 프라이머층이 존재하므로 상기 박리 도료층이 상기 층분리성 소재에 직접 도포된 경우보다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앞서 설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10~50㎛ 일때 가장 최적의 박리효과를 볼 수 있으며, 상기 하한의 두께보다 얇을 경우 프라이머 효과가 미비하여 박리가 안될 수 있고, 상기 상한의 두께보다 두꺼우면 쉽게 박리될 수 있으며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PVB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소포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B 수지가 상기 최소 함량보다 적을 경우 박리 도료층이 너무 쉽게 박리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최대 함량보다 많을 경우 박리 도료층이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기포 억제 및 발생된 기포를 파포시키며, 상기 최소 함?c보다 낮을 경우 기포 억제가 되지 않아 도막 표면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최대 함량보다 많을 경우 도료의 혼화성 및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은 이형성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성 첨가제는 도막의 박리성 향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형성을 높이거나 수지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프라이머층 표면과의 부착력을 낮추어 박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성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폴리머, 실리콘 에멀전, 변성 실리콘 오일 또는 폴리머, 실록산 및 변성 실록산, 실리콘 고무, 왁스타입 첨가제, 계면 활성제, 오일 및 실란 등 일 수 있다. 도막의 내구성, 도막 두께 및 도막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이형성 첨가제는 실리콘 폴리머 또는 오일 (변성 실리콘 오일 및 폴리머)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성 첨가제는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전체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은 무기소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소재는 도막의 박리성 및 광택 조정 효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소재는 SiO2, CaCO3, BaSO4 및 Talc, Al(OH)3, TiO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소재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지지 효과를 높이고 침투성을 억제할 수 있고 수지/무기소재 비율 조절을 통해 내구성, 도막 강도, 도막 두께 등의 기존 물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무기소재는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전체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은 도장부분의 색상 부여를 위하여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예로서는 체질안료, 유색안료 및 이들의 혼합 안료들을 들 수 있다.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및 박리성 도료층을 포함하는 도막은 합지, 벽지, 종이와 같이 표면에 기공이 많고 내부 응집력이 약해 층간 분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비코팅 종이류 또는 수성 페인트를 포함하는 층분리성 소재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박리성 도료층을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되므로, 기호 변화에 따른 다양한 도막 형성이 가능해지게 된다.
[실시예]
1.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왁스 에멀전(ME36835) 25.4g 및 PVB 수분산 수지(CSX) 22.8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물 50.7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혼합이 잘 되게 하였다. 계속 교반하면서 증점제(N-250) 22.8g 및 소포제(F-810) 0.76g 및 소광제(T-34K) 0.19g을 첨가하고 교반기의 rpm을 상승시켜 30~60분 이상 고속으로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왁스 에멀전 대신 실리콘 에멀전(PMX 0245) 2g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왁스 에멀전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왁스 에멀전을 5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왁스 에멀전을 40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PVB 수분산 수지(CSX) 5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PVB 수분산 수지(CSX) 40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박리용 도료 조성물 제조
PVB 수분산 수지 PC-2(Shark-Solutions) 60 g을 교반하면서 색상 및 무기 소재의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수분산 백색 안료(우신피크먼트) 15 g을 첨가하였다. 이 후, 물 11 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혼합이 잘 되게 하였다. 계속 교반하면서 증점제인 TT-935D(Dow chemical) 5.5 g을 첨가하면서 도료의 점도가 상승하면 교반기의 rpm을 상승시켜 혼합을 용이하게 하였다. 30~60분 이상 고속으로 교반 후 기포 억제 및 발생된 기포를 파포시키는 소포제 F-810(Tego) 1 g을 혼합한 후, 30분 이상 고속 교반하여, 박리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벽지 위 도막 형성
표면이 코팅되지 않은 종이 벽지(물품명 기재) 시편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2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시켜 프라이머층을 10~50㎛ mm 두께가 되도록 각각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한 박리용 도료 조성물을 상기 형성된 각각의 프라이머층 위에 40~100㎛ mm 두께로 도포하여 박리 도료층을 형성하였다.
추가로 동일한 상기 종이 벽지 시편에 어떠한 프라이머층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조한 박리용 도료 조성물을 40~100㎛ mm 두께로 도포하여 박리 도료층을 형성하였다.(비교예 3)
[물성 테스트]
1. 프라이머층 별 물성 테스트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의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경우와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3에 대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물성 테스트하였다.
프라이머층
표면 광택
프라이머층
저장안정성
프라이머층
탄성율
박리 도료층
박리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X
비교예 3 - - - X
(매우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X)
상기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표면 광택, 저장안정성 및 탄성율이 우수할 뿐아니라, 그 위에 도포되는 박리 도료층의 박리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도 1를 통해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박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바.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도 1(b)의 붉은 원에 표시한 바와 같이 벽지 뜩겨저서 박리 도료층에 붙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프라이머 조성물의 왁스 에멀전 ?t량에 따른 물성 테스트
왁스 에멀전 함량의 차이가 있는 실시예 1과 비교예 3, 4에 대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물성 테스트하였다.
프라이머층
표면 광태
프라이머층
저장안정성
박리 도료층
탄성율
박리 도료층
박리성
실시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매우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X)
상기 실험결과, 왁스 에멀젼 함량이 일정 이하일 경우, 박리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었다.
3. 프라이머 조성물의 PVB 수지 ?t량에 따른 물성 테스트
PVB 수지 함량의 차이가 있는 실시예 1과 비교예 5, 6에 대하여, 하기 표 3와 같이 물성 테스트하였다.
프라이머층
표면 광태
프라이머층
저장안정성
박리 도료층
탄성율
박리 도료층
박리성
실시예 1
비교예 5
비교예 6
(매우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불량 X)
상기 실험결과, PVB 수지 함량이 일정 이상일 경우, 박리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9)

  1. 물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이 상기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의 박리에 의해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된 박리 도료층도 상기 물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왁스 에멀전 10 내지 35 중량부;
    PVB 수지 10 내지 35 중량부; 및
    소포제 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소광제,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동결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로서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은 비코팅 종이류이거나 수성 페인트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실리콘 에멀전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박리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및
    박리용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박리 도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 인, 도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PVB 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는, 도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실리콘 폴리머, 실리콘 에멀전, 변성 실리콘 오일 또는 폴리머, 실록산 및 변성 실록산, 실리콘 고무, 계면 활성제, 오일 및 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이형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도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VB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용 도료 조성물은 SiO2, CaCO3, BaSO4, Talc, Al(OH)3, Al2O3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소재를 더 포함하는, 도막.
  9. 삭제
KR1020220081886A 2022-07-04 2022-07-04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KR10250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86A KR102508375B1 (ko) 2022-07-04 2022-07-04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86A KR102508375B1 (ko) 2022-07-04 2022-07-04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375B1 true KR102508375B1 (ko) 2023-03-10

Family

ID=8557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86A KR102508375B1 (ko) 2022-07-04 2022-07-04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3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341A (ko)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지엔씨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KR20150075411A (ko) * 2012-10-24 2015-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박리가능한 가요성 코팅, 이의 조성물 및 방법
KR101714740B1 (ko) * 2016-05-17 2017-03-09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수성 박리성 도료 조성물
KR20220013901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해광 박리 용이성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341A (ko)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지엔씨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KR20150075411A (ko) * 2012-10-24 2015-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박리가능한 가요성 코팅, 이의 조성물 및 방법
KR101714740B1 (ko) * 2016-05-17 2017-03-09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수성 박리성 도료 조성물
KR20220013901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해광 박리 용이성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559B2 (en) Multilayered lamina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U2012244167B2 (en) Peelable flexi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2408857B1 (en) Cellulose microfibrils as air release agent
KR101498872B1 (ko) 방수성능과 내마모성능을 강화시킨 폴리머계 시멘트 방수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AU2013209921B2 (en) Self priming spackling compound
AU2018202416A1 (en) Multilayered lamina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6689830B1 (en) Film 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benzoic acid esters of 8-carbon alcohols as additives
US10364196B2 (en) Multi-functional coating system for cementitious composite materials
KR102508375B1 (ko) 박리 증진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
KR102273973B1 (ko) 박리 용이성 도료 조성물
AU2016378079B2 (en) Composition for a pasty filler material, pasty fill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sty filler material
JP5086826B2 (ja) 壁面構造体
JPS60124675A (ja) 水性接着剤組成物
JP6085103B2 (ja) 落書き対策水性塗料および塗膜
JP5331258B2 (ja) 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US11952504B2 (en) Easily-peelable paint composition
EP1557454A1 (en) Two-component cold-bonding adhesive for the adhesive bonding of bitumen sheeting
WO2023216221A1 (en) Repulpable release liners and combined compositions for preparing the same
JP2004167396A (ja) 落書きおよび貼り紙の防止および除去性塗膜
WO2024057233A1 (en) Multi-functional coating composition
KR20240010293A (ko) 알긴산나트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박막형 고체 물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83807B1 (ko) 수성도료 조성물
JP2918705B2 (ja) 多孔質の組積造を保護する方法
JPH08113759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用水性被覆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