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21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214B1
KR102508214B1 KR1020180102395A KR20180102395A KR102508214B1 KR 102508214 B1 KR102508214 B1 KR 102508214B1 KR 1020180102395 A KR1020180102395 A KR 1020180102395A KR 20180102395 A KR20180102395 A KR 20180102395A KR 102508214 B1 KR102508214 B1 KR 102508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upling
stand member
stand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276A (ko
Inventor
김희봉
김동욱
김지광
김태헌
도용구
박정우
이길재
이상영
정필권
최수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214B1/ko
Priority to EP19856014.6A priority patent/EP3828664B1/en
Priority to PCT/KR2019/010940 priority patent/WO2020045957A1/ko
Priority to US17/272,485 priority patent/US11950383B2/en
Publication of KR2020002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리어 커버에 수납 가능하고, 리어 커버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리어 커버는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스탠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스탠드 부재는 수납부와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로 이루어져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으로 이루어 지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갖는 광원모듈과, 광원으로부터 광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로 안내하는 복수의 광학 시트를 포함한다.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벽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거나 스탠드에 의해 바닥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는 스탠드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는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시 외부로 스탠드가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 가능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스탠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수납부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될 시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 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상기 리어 커버와 접하는 결합 영역과,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결합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은 직교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상기 지지영역에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결합 영역은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추가적으로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리어 커버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 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수납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 홈은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수납 홈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 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은 상기 삽입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테두리와 인접하게 각각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스탠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 부재의 지지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장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끝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어 커버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어 커버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시의 위치와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의 위치가 직교가 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 가능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스탠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어 커버의 하단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장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끝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을 포함하고,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스탠드 결합 홈과 제 2스탠드 결합 홈 및 상기 제 2스탠드 결합 홈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스탠드 결합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돌기와 상기 지지부는 직교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 가능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스탠드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는 스탠드가 벽에 설치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에 수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될 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되어 스탠드를 분리 보관할 필요가 없어 스탠드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시 스탠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수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의 후면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제 1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a 내지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제 2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
도 22a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일례로 설명하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나,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전방', 전면'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이 화상을 표시하는 측인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를 기준으로 '상측', '하측'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측과 아래측을 나타내며 '양측, '측방'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내부에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20) 및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섀시 어셈블리(Chassis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각각 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두 유리기판(미도시) 사이에 액정(미도시)이 봉입되어 형성되는 액정 패널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섀시 어셈블리는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와, 바텀 섀시(84)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82)는 디스플레이패널(20)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8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84)는 백 라이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부(84a)와, 바텀부(8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84)에는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 등 디스플레이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바텀 섀시(84)는 광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광원(31)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쇄회로기판(32)을 거쳐 바텀 섀시(84)로 전달되고, 바텀 섀시(84)에서 방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텀 섀시(84)는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2) 역시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재질의 메탈 PCB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와, 바텀 섀시(8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거나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이와 같은 섀시 어셈블리를 보호하고 수용하도록 섀시 어셈블리를 감싸고 바텀 섀시(84)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본 실시예와 같이 광원(31)이 디스플레이패널(20)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일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광원(31) 및 광원(3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1)으로 구성되는 광원 모듈(30)과, 광원(3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각종 광학 시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은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원(31)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는 기판에 엘이디 칩이 실장되고 수지가 충진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32)에는 복수의 광원(3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2)에는 광원(31)에 구동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2)은 바텀 섀시(84)에 안착될 수 있다.
광원(31)에서 출사되는 광은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게 직접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100) 및 후술할 스탠드 부재(200)는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때 광원(31)에서 출사되는 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31)과 디스플레이패널(20) 사이에는 광학 시트(50)가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확산 시트(40) 포함할 수 있다. 확산시트(40)는 광원(31)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광원(31)에서 조사되는 광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광원(31)이 배치되는 패턴이 그대로 눈에 비치게 되므로 확산 시트는 이를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킨다.
일반적으로 확산 시트(40)는 광학 시트(50)의 일 구성으로 광학 시트(50)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즉 확산 시트(40)는 광원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사방으로 확산시켜 사방으로 균일한 양의 광이 영상에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하는 반사 시트(reflector sheet)(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광원(31)에서 발산되는 광을 반사시켜 확산 시트(40)측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시트, 필름, 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시트(60)는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재로는 SUS, BRASS, Aluminum, 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반사 코팅제로 Silver, 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인쇄회로기판(32)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커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섀시(84)의 후방을 커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은 추가적인 프레임 또는 하우징과 같은 구성이 커버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리어 커버(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을 커버하는 구성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벽면에 조립되는 마운트 타입(mount-type)으로 배치되거나 스탠드에 의해 지면에 거치되는 스탠드 타입(stand-type)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조립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시키는 스탠드를 별도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스탠드를 분실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운트 타입으로 배치시키거나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데 마운트 타입에서 스탠드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변경할 시 별도로 보관하던 스탠드를 분실할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는 스탠드 부재(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100)에 수납되어 스탠드가 분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부재(20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지지될 시 스탠드 부재(200)가 리어 커버(100)에 수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면에 지지될 시 스탠드 부재(200)가 리어 커버(100)로부터 인출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에 조립되어 지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를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100)는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되는 수납부(110)와 스탠드 부재(200)와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마운트 타입으로 배치될 시 수납부(110)에 수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스탠드 타입으로 배칟될 시 결합부(120)와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은 각각 동일하게 마련되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 중 하나의 스탠드 부재(20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수납부(110)는 리어 커버(100)에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되도록 스탠드 부재(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와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의 결합부(120R, 120L)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와 같이 각각 결합부(120)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하나의 결합부(12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한 쌍의 결합부(120R, 120L)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탠드 부재(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와 결합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정적으로 스탠드 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한 쌍의 결합부(120R, 120L) 이 외 추가적으로 한 쌍의 보조 결합부(120S)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결합부(120S)는 각각 한 쌍의 결합부(120R, 120L)보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중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보조 결합부(120S)는 복수개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를 한 쌍의 결합부(120R, 120L) 또는 한 쌍의 보조 결합부(120S)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특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탠드 부재(200)는 스탠드 부재(200)를 전후 방향으로 수납부(110)에 접근시켜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의 수납면(112)에 평행하게 접할 때까지 스탠드 부재(200)를 수납부(110)에 접근시켜 스탠드 부재(200)를 수납부(110)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면(112)과 인접하게 배치될 시 스탠드 부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스탠드 부재(200)를 수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는 스탠드 부재(20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삽입 돌기(210)를 포함한다. 삽입 돌기(210)는 스탠드 부재(200)가 하측으로 이동될 시 수납부(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 홀(111)에 수납될 수 있다.
삽입 돌기(210)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홀(111)에 수납되어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삽입 돌기(210)는 삽입 홀(111)에 삽입되는 바디부(211)와 후술하겠으나 바디부(211)의 일측에 형성되고 바디부(211)가 결합부(120)에 삽입될 시 결합부(120)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212)와 지지부(212)의 일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돌기(210)는 후술하겠으나 바디부(211)가 삽입 홀(111)에 수납된 후 리어 커버(100)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 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의 일 지점에서의 스탠드 부재(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의 길이(h1)는 좌우 방향으로의 동일 지점에서의 수납부(110)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의 길이(h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면(112)에 평행하게 접한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의 길이(h2)가 동일 지점에서의 스탠드 부재(200)의 높이의 길이(h1)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 차 만큼 수납부(110) 내부에서 스탠드 부재(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수납 돌기(21)가 삽입 홀(111)에 수납된 후 후크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납 돌기(210)가 삽입 홀(111)에 수납된 후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나사(S) 결합될 수 있다. 수납 돌기(210)에는 상술한 나사 결합 홈(214)이 마련되고, 리어 커버(100)는 수납 돌기(210)가 삽입 홀(111)에 수납된 후 나사 결합 홈(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결합 홈(214)과 나사(S) 결합될 수 있는 나사 공(101)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돌기(210)가 나사 결합 홈(214)에 의해 리어 커버(100)와 나사(S)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 부재(200)는 안정적으로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110)에 수납된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서 인출되는 과정은 상술한 수납되는 과정의 반대로 과정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스탠드 부재(200)가 리어 커버(100)와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에서 인출된 스탠드 부재(200)는 결합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는 삽입 돌기(210)가 형성되고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부(120)와 결합될 시 리어 커버(100)와 접하게 마련되는 결합 영역(220)과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부(12)와 결합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지지영역(230)과 결합 영역(220)과 지지 영역(230)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수납될 시 결합 영역(2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지지 영역(23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게 스탠드 부재(200)가 배치되어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서 인출된 후 결합부(120)와 결합될 시 결합 영역(2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지지 영역(23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게 스탠드 부재(200)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지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수납될 시의 스탠드 부재(200)의 배치 형상와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될 시의 스탠드 부재(200)의 배치 형상이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영역(220)과 지지 영역(230)은 직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결합 영역(220)의 길이 방향과 지지 영역(230)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240)은 지지 영역(2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지지영역(23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삽입 돌기(210)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는 삽입 돌기(210)의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할 시 1개의 스탠드 부재(200)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210)는 2개로 마련되는데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는 3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돌기(210)가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시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는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제 1결합부(120A), 하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제 2결합부(120C), 중간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제 3결합부(120C)라고 명할 시,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스탠드 부재(200)를 제 1결합부(120A)와 제 3결합부(120B)에 결합시키거나, 제 2결합부(120C)와 제 3결합부(120B)에 결합시킬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제 1결합부(120A)와 제 3결합부(120B)에 결합될 시 스탠드 부재(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L1의 길이의 이격이 생기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가 제 2결합부(120C)와 제 3결합부(120B)에 결합될 시 스탠드 부재(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L2의 길이의 이격이 생기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 중 어느 2개의 결합부와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되는지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 중 어느 2개의 결합부와 스탠드 부재(200)를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높이를 달리 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복수의 결합부(120A, 120B, 130C) 중 하나의 결합부(12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결합부(120)는 삽입 돌기(210)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홀(121)과 삽입 돌기(210)가 결합 홀(121)에 삽입된 뒤 결합부(120)가 지지부(21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턱(1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턱(123)은 삽입 돌기(210)의 지지부(212)와 후크부(213)에 안착되어 결합부(120)가 지지부(2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턱(123)에 의해 지지부(212) 및 후크부(213)에 전달되는 하중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의 하중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스탠드 부재(200)의 지지부(212)에 의해서만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지될 수 없는 바 삽입 돌기(210)가 결합 홀(121)에 삽입된 후 추가적으로 나사(S) 결합으로 스탠드 부재(200)와 결합부(1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후크부(213)는 스탠드 부재(200)와 결합부(120)가 나사(S) 결합될 시 스탠드 부재(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나사(S)가 결합되는 나사 홈(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영역(220)은 스탠드 부재(200)와 리어 커버(100)가 나사(S)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S)가 관통되는 나사 결합 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 결합 홀(221)과 나사 홈(122)이 나사(S) 결합되어 스탠드 부재(200)와 리어 커버(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스탠드 부재(200)는 삽입 돌기(210)가 결합 홈(121)에 삽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결합부(120)에 접근되고, 삽입 돌기(210)가 결합 홈(121)에 삽입될 시 결합 영역(220)이 리어 커버(100)와 접하게 된다.
이 후 나사(S)를 통해 리어 커버(100)와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200)를 리어 커버(100)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반대 과정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영역(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영역(2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지지영역(230)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영역(230)에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영역(240)은 지지영영(230)의 끝단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영역(230) 어느 일 측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 부재(200)는 스탠드 부재(200)가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200A)와 스탠드 부재(200)가 결합부(120)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200B)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마운트 타입으로 배치될 시 스탠드 부재(200)는 수납 위치(200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조립되어도 스탠드 부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별도로 스탠드 부재(200)를 보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될 시 스탠드 부재(200)는 수납 위치(200A)에서 인출되고 결합 위치(200B)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떤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배치되어도 스탠드 부재(200)가 리어 커버(100)에 수납되거나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스탠드 부재(200)를 분실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납부(110') 구성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의 후면도이다.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의 수납부(110)의 너비는 대략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가 나란하게 배치될 시의 가로 길이와 대응되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100)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부(미도시)에 의해 수납부(110)의 너비의 길이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 예의 경우, 수납부(110')의 너비(W)의 길이는 대략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상태에서의 가로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각각의 결합 영역(220)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시의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가로 길이만큼 수납부(110')의 너비(W)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 중 하나의 스탠드 부재(200L)에 대응되는 삽입 홀은 상술한 제 1일시예와 같이 수납부(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 중 다른 하나의 스탠드 부재(200R)에 대응되는 삽입 홀은 수납면(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각각의 결합 영역(220) 사이에 삽입부(113')가 배치되고 삽입부(113')에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 중 하나의 스탠드 부재(200R)의 삽입 돌기(210)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는 수납부(110')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중첩되게 배치되어 수납부(110')의 너비(W)가 축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탠드 부재(220)의 지지 영역(230) 구성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 1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측 테두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를 연결부재(250)가 연결하여 전체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미관 상으로 연결부재(250)를 통해 추가적인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2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각각의 지지영역(230)에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시 상측에 마련되는 조립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231)에 의해 연결부재(250)와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가 조립되어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와 연결부재(250)가 단일개의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조립부(231)에는 연결부재(250)가 아닌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이 조립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사운드 바(260)와 같은 구성이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추가 구성이 한 쌍의 스탠드 부재(200R, 200L)의 조립부(231)에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b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패널(20)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와 전장부(미도시)에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C)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310)와 케이블 결합부(310)에 결합된 케이블(C)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케이블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전원 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로부터 전달 받는데 이 때 외부와 연결되는 케이블(C)을 통해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케이블(C)의 위치를 케이블 가이드(320)를 통해 조정할 수 있어, 케이블(C)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3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 부재(400R, 400L)은 케이블 가이드(320)의 양단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케이블 가이드(3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400R,400L)가 수납되는 한 쌍의 수납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400R,400L)와 한 쌍의 수납부(330) 중 하나의 스탠드 부재(400)와 하나의 수납부(33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스탠드 부재(400)는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부(330)에 수납될 시 수납부(330)에 지지될 수 있고 후술할 결합부(34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410)와 삽입 돌기(410)가 결합부(340)에 삽입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지지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410)와 지지영역(420)은 직교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영역(420)의 일측에서 삽입 돌기(410)는 직교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돌기(410)는 지지영역(420)의 연장 방향으로 지지영역(420)의 중심측에서 직교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영역(420)의 중심측이 아닌 다른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수납부(330)는 스탠드 부재(4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330)는 스탠드 부재(400)의 삽입 돌기(41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삽입 돌기(410)가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10)가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은 케이블 가이드(320)의 끝단에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영역(420)이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 테두리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영역(420)이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은 삽입 돌기(410)가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에서 연장되고 삽입 돌기(410)가 수납되는 수납부(330)의 영역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다.
수납부(330)의 단부와 인접한 케이블 가이드(320)는 리어 커버(3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320)는 경사부(321)에서 수납부(33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연장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321)에 의해 케이블 가이드(320)와 수납부(3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A)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공간(A)을 통해 스탠드 부재(4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330)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케이블(C)을 수납부(330)까지 배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탠드 부재(400)는 수납부(330)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400A)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경사부(3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A)을 통해 스탠드 부재(400)를 파지하여 수납부(330) 외측으로 스탠드 부재(400)를 인출할 수 있다.
이 후 삽입 돌기(410)는 리어 커버(300) 하측면에 배치되는 결합부(340)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부재(400)와 디스플레이 장치(1)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400)는 삽입 돌기(410)가 결합부(34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위치(400B)에 배치될 시 지지 영역(42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 위치(400A)에 배치될 시 삽입 돌기(41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 또는 케이블 가이드(32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영역(4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부재(400)가 결합 위치(400B)에 배치될 시 삽입 돌기(41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영역(4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410)는 결합부(340)와 상하 방향으로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스탠드 부재(400)와 결합부(34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삽입 돌기(410)가 결합부(340)와 결합된 뒤 추가적으로 나사 결합을 통해 리어 커버(300)와 스탠드 부재(400)를 추가 결속할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가이드(3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중심부 하측으로 가이드되거나 결합부(340)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3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20b)와 복수의 가이드 돌기(320b)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320)는 복수의 가이드 홈(320a)에 수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중심측 또는 결합부(340) 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마운트될 시 케이블 가이드(320)는 케이블(C)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중심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면에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될 시 케이블 가이드(320)는 케이블(C)을 결합부(34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케이블(C)을 케이블 결합부(310)에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케이블(C)을 케이블 가이드(320)에 수납하여 선택적으로 케이블(C)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케이블(C)을 결합부(340) 측으로 배치할 시 케이블(C)이 결합부(340) 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납부(330)는 리어 커버(30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C)을 결합부(340) 측으로 배치할 시 케이블(C)은 경사부(321)와 연장부(322)에 수납되어 수납부(33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수납부(330)에서 절개부(331)를 통해 수납부(330)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수납부(330)에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330)에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된 상태에도 케이블(C)이 수납부(330)를 거처 결합부(34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C)은 경사부(321)와 연장부(322)에 수납되어 수납부(330)까지 연장되고 절개부(331)를 통해 수납부(33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 스탠드 부재(400)가 수납부(330)에 수납되어도 케이블(C)의 배치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마운트되어도 케이블(C)을 결합부(340) 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제 1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a 내지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제 2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 쌍의 스탠드 부재(500R,500L)는 케이블 가이드(320)의 양단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500R,500L) 중 하나의 스탠드 부재(50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스탠드 부재(500)는 스탠드 부재(500)가 결합부(340') 결합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지지영역(520)과 결합부(340')와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5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영역(520)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브라켓(510)은 지지영역(520)이 절곡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330')는 케이블 가이드(320)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 테두리 측에서 좌우 방향의 연장 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수납부(330')는 지지영역(5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절곡되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영역(520)의 일부는 케이블 가이드(320)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수납부(33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지지영역(520)의 일부로부터 절곡된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 테두리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수납부(330')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330')는 지지영역(520)의 일부로부터 절곡된 다른 일부가 수납되는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공간(3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부재(500)는 수납부(330') 내측에서 연장 공간(330a')의 좌우 방향의 폭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부(33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는 스탠드 부재(500)의 결합 브라켓(510)이 수납부(330')에 용이하게 수납되기 위함이다.
연장 공간(330a') 없이 수납부(330')가 스탠드 부재(500)의 지지 영역(5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시 결합 브라켓(510)에 의해 스탠드 부재(%00)가 수납부(330')에 수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탠드 부재(500)가 수납부(330')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500A)에서 스탠드 부재(500)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탠드 부재(500)를 연장 공간(330a')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영역(5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스탠드 부재(5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501)를 파지하여 스탠드 부재(500)를 연장 공간(330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경사부(3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스탠드 부재(500)를 연장 공간(330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탠드 부재(500)가 수납 위치(500A)에 배치될 시 결합 브라켓(510)은 수납부(330')의 내측에 형성되는 브라켓 수납 영역(330b')에 수납될 수 있다. 결합 브라켓(510)은 브라켓 수납 영역(330b')에 수납되어 스탠드 부재(500)가 수납부(330')에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스탠드 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결합 브라켓(510)이 브라켓 수납 영역(330b')에 수납되어 지지되지 않아도 스탠드 부재(500)는 지지영역(520)의 일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납부(330')에 지지되는 바 이를 통해 수납부(3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500)를 연장 공간(330a')측으로 이동될 시 결합 브라켓(510)은 브라켓 수납 영역(330b')에서 인출되고 스탠드 부재(500)는 리어 커버(300')의 후방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된 스탠드 부재(500)는 리어 커버(30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40')와 결합 브라켓(510)이 나사(S)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40')와 결합 브라켓(510)은 접하게 배치된 후 나사(S)에 의해 결합부(340')와 결합 브라켓(510)이 결합되면서 스탠드 부재(500)는 리어 커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40')는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34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341)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스탠드 결합홈(341a)와 제 2스탠드 결합홈(341b)와, 제 2스탠드 결합홈(341b)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스탠드 결합 홈(34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스탠드 결합 홈(341c)은 제 2 스탠드 결합 홈(341b)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브라켓(510)는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341) 중 적어도 2개의 결합 홈과 나사 결합하도록 지지 영역(520)의 연장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나사 결합 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나사 결합 홀(511)은 제 1스탠드 결합홈(341a)과 제 2스탠드 결합홈(341b)과 나사 결합되거나, 제 1스탠드 결합 홈(341a)과 제 3스탠드 결합홈(341c)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나사 결합 홀(511)이 제 1스탠드 결합 홈(341a)과 제 2스탠드 결합홈(341b)과 결합될 시 스탠드 부재(500)는 제 1형태의 결합 위치(500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형태의 결합 위치(500B)에 스탠드 부재(500)가 배치될 시 지지 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절곡을 가지는 지지영역(520)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 배치될 시 지지영역(520)의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500)가 제 1형태의 결합 위치(500B)에 배치될 시 지지영역(520)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스탠드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510)의 적어도 일변과 적어도 일변과 접하는 다른 한변은 서로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브라켓(510)이 스탠드 부재(500)가 제 1형태의 결합 위치(500B)에 배치되어도 리어 커버(300')의 후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나사 결합 홀(511)이 제 1스탠드 결합 홈(341a)과 제 3스탠드 결합홈(341c)과 결합될 시 스탠드 부재(500)는 제 2형태의 결합 위치(500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 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배치되도록 결합부(340')와 결합될 수 있고, 지지영역(520)의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배치되도록 결합부(34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500)가 제 2형태의 결합 위치(500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시 지지영역(520)의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영역(520)의 다른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 배치될 시 지지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방향이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스탠드 부재(500)가 제 2형태의 결합 위치(500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되는 벽면 또는 어떤 구성에 의해 커버(300')가 지지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지될 수 있다.
벽면을 예로 들면, 제 1형태의 결합 위치(500B)에 스탠드 부재(500)가 배치될 시 지지 영역(520)의 다른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300')가 후방에 배치되는 벽면에 지지될 수 없으나, 스탠드 부재(500)가 제 2형태의 결합 위치(500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시 지지 영역(520)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커버(300')가 벽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22a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탠드 부재(700) 리어 커버(600)의 하측면에 배치된 수납부(630)에 수납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장치(1) 상하 방향으로 수납부(630)에 수납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수납부(63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수납부(630)는 사용자가 수납 위치(700A)에 배치된 스탠드 부재(7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 영역(63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 영역(631)을 통해 스탠드 부재(7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하측으로 스탠드 부재(700)를 가압하여 스탠드 부재(700)를 수납부(630)에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700)는 결합부(64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710)와 삽입 돌기(710)에서 연장되는 지지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710)와 지지 영역(720)은 직교로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 부재(700)는 수납부(630)에 억지 끼움으로 수납되어 스탠드 부재(700)가 임의로 수납부(6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탠드 부재(700)가 수납부(630)에 수납된 상태인 수납 위치(700A)에 배치될 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탠드 부재(700)가 수납부(6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리어 커버(600)와 스탠드 부재(7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인출된 스탠드 부재(700)는 리어 커버(60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결합부(640)에 삽입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삽입 돌기(710)가 결합부(64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돌기(710)가 결합부(640)에 삽입될 시 스탠드 부재(700)는 스탠드 부재(700)가 리어 커버(600)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700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결합부(6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양 측면 테두리와 인접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으로 마련되는 스탠드 부재(700)는 각각 한 쌍의 결합부(6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64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양 측면 테두리와 인접하게 쌍으로 이루어져 복수개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탠드 부재(700)가 수납 위치(700A)에 배치될 시 지지 영역(720)의 연장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스탠드 부재(700)가 결합 위치(700B)에 배치될 시 지지 영역(720)의 연장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탠드 부재(700)의 수납 위치(700A)에서의 지지 영역(720)의 위치와 스탠드 부재(700)의 결합 위치(700B)에서의 지지 영역(720)의 위치는 서로 직교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20 : 디스플레이 패널
30 : 광원모듈 82 : 탑 섀시
84 : 바텀 섀시 100,300,300' : 리어 커버
110,110',330,330',630 : 수납부
120,340,340',640 : 결합부
200,400,500,700 : 스탠드 부재 210,410,710 : 삽입 돌기
220 : 결합 영역 230,420,520,720 : 지지 영역
240 : 연결 영역

Claims (20)

  1.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 가능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수납부와, 상기 스탠드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결합부와, 상기 리어 커버의 후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의 나사 공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시 상기 삽입 홈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시 상기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나사 공은 상기 삽입 홈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리어 커버의 나사 공에 대응되는 나사 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시 상기 리어 커버의 나사 공 및 상기 삽입돌기의 나사 홀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삽입 홈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의 나사 홀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상기 리어 커버와 접하는 결합 영역과,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결합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은 직교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상기 지지영역에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영역은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 추가적으로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리어 커버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수납되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 형상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수납부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은 상기 삽입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스탠드 결합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테두리와 인접하게 각각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스탠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 부재의 지지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장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어 커버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시의 위치와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시의 위치가 직교가 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02395A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8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95A KR102508214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EP19856014.6A EP3828664B1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apparatus
PCT/KR2019/010940 WO2020045957A1 (ko) 2018-08-30 2019-08-27 디스플레이 장치
US17/272,485 US11950383B2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95A KR102508214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76A KR20200025276A (ko) 2020-03-10
KR102508214B1 true KR102508214B1 (ko) 2023-03-09

Family

ID=6964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95A KR102508214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0383B2 (ko)
EP (1) EP3828664B1 (ko)
KR (1) KR102508214B1 (ko)
WO (1) WO202004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563A (zh) * 2020-10-15 2022-04-1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屏幕固定装置
USD1013649S1 (en) * 2021-09-30 2024-02-06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KR20230112410A (ko) * 2022-01-20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7115A1 (en) * 2002-09-05 2004-03-11 Helot Jacques H. Display units
US20100159997A1 (en) 2008-12-22 2010-06-24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037909A1 (en) * 2009-08-11 2011-02-17 Li-Fu Sung Display device
US20160143160A1 (en) * 2014-11-18 2016-05-19 Wistr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detachable speake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127B1 (ko) 1999-12-01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수납구조
CN101754634B (zh) * 2008-12-04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KR101599301B1 (ko) * 2010-01-06 2016-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US8274784B2 (en) * 2010-05-24 2012-09-25 Dell Products L.P. Adjustable multi-orientation display support system
KR20140123806A (ko) 2013-04-15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270693B1 (ko) * 2016-12-23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7115A1 (en) * 2002-09-05 2004-03-11 Helot Jacques H. Display units
US20100159997A1 (en) 2008-12-22 2010-06-24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037909A1 (en) * 2009-08-11 2011-02-17 Li-Fu Sung Display device
US20160143160A1 (en) * 2014-11-18 2016-05-19 Wistr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detachable speak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8664A4 (en) 2021-12-22
US20210329802A1 (en) 2021-10-21
EP3828664A1 (en) 2021-06-02
EP3828664B1 (en) 2024-03-13
KR20200025276A (ko) 2020-03-10
WO2020045957A1 (ko) 2020-03-05
US11950383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480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082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68678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container module with a novel structure
KR10094753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EP20456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RU26421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JP578498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US20120140514A1 (en) 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317365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EP2395378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20090313A (ko) 표시 장치
US927426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105501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KR2005000095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2331265B1 (ko) 표시 장치
KR201400796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93062B1 (ko) 수납장치
KR102364342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1010551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165545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102784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20050082554A (ko) 램프 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802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42720A (ko) 영상표시장치
JP2010067519A (ja) 光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