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342B1 -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342B1
KR102364342B1 KR1020150109293A KR20150109293A KR102364342B1 KR 102364342 B1 KR102364342 B1 KR 102364342B1 KR 1020150109293 A KR1020150109293 A KR 1020150109293A KR 20150109293 A KR20150109293 A KR 20150109293A KR 102364342 B1 KR102364342 B1 KR 10236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nnector
reflective sheet
sheet
sour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042A (ko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3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는 광원을 타측에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커넥터에 설치된 시트 지지 수단이 도광판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반사 시트를 쳐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반사 시트의 끝 단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현상에 따른 휘선 불량 및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LIGHT SOURCE MODULE,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선 불량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전계를 이용하여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 방식과, 에지형 방식이 있다. 여기서, 직하형 방식은 액정 패널의 배면부에 광원을 배치하는 방식이고, 에지형 방식은 액정 패널의 측면부에 광원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CCFL과 같은 형광 램프 또는 LED 등이 이용되는데, 특히 LED는 고휘도 및 저소비 전력의 장점이 있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 광학 시트(2), 반사 시트(3), 및 광원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은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가이드 하여 상부로 출사시킴으로써, 액정 패널(미도시)의 배면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학 시트(2)는 상기 도광판(1)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으로부터 상부로 출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킨다.
상기 반사 시트(3)는 상기 도광판(1)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 하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1) 내부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원부(10)는 인쇄 회로 기판(11), 광원(13), 및 커넥터(15)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1)은 상기 커넥터(15)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원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13)에 공급한다. 상기 광원(13)은 상기 광원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도광판(1)의 측면에 광을 조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 시트(3)의 끝단이 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3)의 끝단이 하측으로 늘어지는 경우 반사 시트(3)와 도광판(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도광판(1)으로부터 하측으로 출사된 광 중에서 반사 시트(3)가 늘어진 영역에 도달한 광은 비정상적인 각도로 반사되어 도광판(1) 내부로 반사되지 않은 채 도광판(1)의 상부 또는 측면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에서 비정상적으로 상부로 출사되는 광에 의한 휘선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도광판(1) 내부로 반사되지 못하는 광으로 인하여 빛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반사 시트의 끝 단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현상에 따른 휘선 불량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는 광원을 타측에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커넥터에 설치된 시트 지지 수단이 도광판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반사 시트를 쳐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시트의 끝 단이 쳐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휘선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시트와 도광판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되는 휘선 불량과 빛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00), 광학 시트(110), 반사 시트(120), 광원 하우징(130), 광원 모듈(140), 지지 커버(150), 및 케이블(160)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00)은 광원 모듈(140)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00)은 입광부(101)를 통해 입사된 광을 상부면으로 출사시킨다. 상기 도광판(100)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출사된 광은 다수의 광학 시트(110)를 경유하여 액정 패널(미도시)의 배면에 조사된다. 상기 도광판(100)은 굴절율과 투과율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 지며 예를 들면, PMMA(polymethymethacry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110)는 상기 도광판(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킨다. 이러한 다수의 광학 시트(110)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상기 도광판(10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전면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에 의해 확산되어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출사시킨다.
상기 반사 시트(120)는 상기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00)의 하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100)의 내부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모서리 부분은 광원 모듈(140)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광원 하우징(130)은 바닥부(131) 및 측면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31)는 상기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때, 바닥부(131)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중첩되는 바닥부(131)의 양측 모서리 부분은 다각 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33)는 상기 바닥부(131)의 일측으로부터 상면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이때, 측면부(133)는 광원 모듈(14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하우징(130)은 상기 광원 모듈(14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 하우징(130)은 알루미늄(Al)과 같이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140)은 도광판(100)의 입광부(101)에 광을 조사한다. 일 예에 따른 광원 모듈(140)은 인쇄 회로 기판(141), 광원(143), 커넥터(145), 및 시트 지지 수단(147)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은 상기 도광판(100)의 입광부(101)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은 커넥터(145)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원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143)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141)은 단변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광원 하우징(130)의 측면부(13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3)은 도광판(100)의 입광부(101)와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의 전원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광원(143)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의 전원 배선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원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도광판(100)의 입광부(101)에 광을 조사한다. 일 예에 따른 광원(143)은 점 광원 또는 선 광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5)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41)에 실장되며, 상기 광원(143)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45)의 일측은 상기 반사 시트(120)의 일 부분에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넥터(145)는 몸체(145a) 및 체결구(145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45a)는 인쇄 회로 기판(141)의 단측 가장자리 부분에 실장되어 전원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145a)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41)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145b)는 몸체(145a)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케이블(1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체결구(145b)에는 인쇄 회로 기판(141)에 마련된 전원 배선에 광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16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145)는 인쇄 회로 기판(141)의 단측 가장자리 부분에 실장되어 광원 하우징(130)의 바닥부(131)에 지지되면서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에 중첩된다.
이때, 광원 하우징(130)의 바닥부(131)는 측면부(133)의 하단으로부터 벤딩된 바닥면(131a), 및 커넥터(145)와 중첩되는 바닥면(131a)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도광판(100)의 하면 쪽으로 돌출되어 반사 시트(120)를 지지하는 돌출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1b)는 커넥터(145)와 중첩되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다시 말하여, 광원 하우징(130)의 바닥면(131a) 중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커넥터(145)와 중첩되는 부분으로써 커넥터(145)가 인쇄 회로 기판(141)의 단측 가장자리 부분에 실장될 수 있도록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상기 커넥터(145)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즉, 시트 지지 수단(147)은 커넥터(145)와 중첩됨에 따라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에 따른 빛샘 불량을 방지한다.
일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날개부(147a), 및 지지대(147b)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일측 단변 또는 양측 단변으로부터 커넥터(145)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거나 사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단변 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47a)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147b)는 상기 날개부(147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으로 벤딩된다. 즉, 지지대(147b)의 일단은 날개부(147a)의 끝단에 연결되고, 지지대(147b)의 타단은 반사 시트(120)를 받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47b)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 지지 수단(147)은 커넥터(145)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거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통해 커넥터(14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이 상기 커넥터(145)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커버(150)는 광원 하우징(13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153), 및 상기 광원 하우징(130)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부(151)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바닥부(151)는 반사 시트(12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광원의 위치를 변경하여 직하형(Direct Light Typ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모듈(140)의 커넥터(145)에 마련된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끝단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반사 시트(120)의 끝단 처짐에 따른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커넥터(145)에 설치되어,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수직 지지 부재(147c)와 수평 지지 부재(147d)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 부재(147c)는 반사 시트(120)와 마주보는 커넥터(14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수직 지지 부재(147c)는 수평 지지 부재(147d)가 반사 시트(120)와 접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 부재(147d)를 지지한다. 이때, 수직 지지 부재(147c)는 수평 지지 부재(147d)와 수직을 이루도록 커넥터(1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 부재(147d)는 커넥터(145)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147c)의 상부 끝단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 지지 부재(147d)의 중심부는 수직 지지 부재(147c)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 지지 부재(147d)는 수직 지지 부재(147c)를 중심부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지지 부재(147d)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 지지 수단(147)은 커넥터(145)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거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통해 커넥터(145)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제1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과 커넥터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트 지지 수단의 슬라이딩 체결부와 커넥터의 슬라이딩 체결홈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에서 슬라이딩 체결부(147e)는 수직 지지 부재(147c)의 끝단에 형성된다. 즉, 수직 지지 부재(147c)의 일단은 수평 지지 부재(147d)와 연결되고, 수직 지지 부재(147c)의 타단은 슬라이딩 체결부(147e)와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슬라이딩 체결부(147e)는 수직 지지 부재(147c)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커넥터(145)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두꺼워 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체결부(147e)는 커넥터(145)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체결홈(145c)으로 밀어 넣어지면서 시트 지지 수단(147)과 커넥터(14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체결부(147e)가 슬라이딩 체결홈(145c) 보다 두껍기 때문에 시트 지지 수단(147)과 커넥터(145)가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 체결홈(145c)은 커넥터(145)의 상면에 구성된 홈으로, 커넥터(145)의 체결구(145b) 상에 마련된다. 이때, 슬라이딩 체결홈(145c)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딩 체결부(147e)의 형태와 같은 형태로 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체결홈(145c)을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는 수직 지지 부재(147c)의 두께와 같은 크기로 홈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체결홈(145c)은 커넥터(145)의 상면에 구성된 홈과 커넥터(145)의 안쪽에 구성된 홈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시트 지지 수단(147)이 상하로 충격을 받는 경우에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체결홈(145c)은 슬라이딩 체결부(147e)를 측면에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시트 지지 수단(147)과 커넥터(145)가 분리 결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수단(147)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교체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체결 구조는 앞으로 서술할 시트 지지 수단(147)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커넥터(145)에 설치되어,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4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수직 지지 부재(147c), 벤딩부(147f), 및 수평 지지 부재(147d)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 부재(147c)는 반사 시트(120)와 마주보는 커넥터(14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수직 지지 부재(147c)는 수평 지지 부재(147d)가 반사 시트(120)와 접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 부재(147d)를 지지한다. 즉, 수직 지지 부재(147c)는 벤딩부(147c)와 연결되고, 상기 벤딩부(147c)를 통해서 수평 지지 부재(147d)를 지지한다.
상기 벤딩부(147f)는 수직 지지 부재(147c)와 수평 지지 부재(147d)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 지지 부재(147c)와 수평 지지 부재(147d)를 연결한다. 즉, 벤딩부(147f)의 일단은 수직 지지 부재(147c)의 끝단에 연결되고, 벤딩부(147f)의 타단은 수평 지지 부재(147d)의 끝단과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벤딩부(147c)는 상기 수직 지지 부재(147c)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측면으로 벤딩된다. 이때, 벤딩부(147c)는 수직 지지 부재(147c)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부(147c)는 수직 지지 부재(147c)에서 수평 지지 부재(147d)가 연결되는 부분을 벤딩시켜, 수직 지지 부재(147c)와 수평 지지 부재(147d)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수평 지지 부재(147d)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벤딩부(147c)는 수평 지지 부재(147d)에 인가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시트 지지 수단(147)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제1 예의 시트 지지 수단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면서 시트 지지 수단(147)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 부재(147d)는 커넥터(145)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벤딩부(147c)의 상부 끝단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 지지 부재(147d)의 끝단은 벤딩부(147c)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 지지 부재(147d)는 벤딩부(147c)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지지 부재(147d)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제2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에서 수평 지지 부재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트 지지 수단의 수평 지지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에서 수평 지지 부재(147d)는 커넥터(145)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147c)의 상부 끝단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 지지 부재(147d)의 중심부는 수직 지지 부재(147c)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수평 지지 부재(147d)는 중공부(147g)를 가진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147g)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중공부(147g)의 폭만큼 수평 지지 부재(147d)가 구부려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 부재(147d)는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수평 지지 부재(147d)가 충격에 의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힘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지 부재(147d)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대(147b)가 충격에 의해서 부러지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지지 부재(147d)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커넥터(145)에 설치되어,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날개부(147a)와 지지대(147b)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일측 단변 또는 양측 단변으로부터 커넥터(145)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거나 사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단변 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47a)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147b)는 날개부(147a)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커넥터(145)의 상면 상으로 벤딩된다. 즉, 지지대(147b)는 날개부(147a)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고, 커넥터(145)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대(147b)는 커넥터(14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지지대(147b)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147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147h)는 지지대(147b)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147h)는 반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대(147b)의 상면에서 격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47h)는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와 상기 반사 시트(12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의 열이 상기 반사 시트(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에 의한 상기 반사 시트(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상기 반사 시트(120)를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이상기 커넥터(145)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에 의해서 충격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반사 시트(1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돌기와 같은 패턴에 의해서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반사 시트(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시트(12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휘선 발생 및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커넥터(145)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각각의 구성의 물질 및 구조 등에 있어서 반복되는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상기 커넥터(145)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더라도 보다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반사 시트(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커넥터(145)에 설치되어, 도광판(1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8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147)은 클립(146), 날개부(147a), 및 지지대(147b)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146)은 커넥터(14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클립(146)은 커넥터(145)의 상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따른 클립(146)은 수평 바(146a),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바(146a)는 커넥터(145)의 상면에 지지되며, 시트 지지 수단(147)의 양측을 연결한다.
제 1 측벽(146b)은 수평 바(146a)의 일단으로부터 커넥터(145)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벤딩된다.
제 2 측벽(146c)은 수평 바(146a)의 타단으로부터 커넥터(145)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벤딩된다.
이와 같은, 클립(146)은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14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클립(146)에 마련된 제 1 체결 부재(146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부재(146d)는 클립(146)의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 부재(146d)는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체결 부재(146d)는 커넥터(145)의 양측면에 마련된 제 2 체결 부재(145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체결 부재(145c)는 커넥터(145)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체결 부재(146d)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 후크(hook)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립(146)은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145)의 상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147c)은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여 시트 지지 수단(147)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교체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클립(146)은 커넥터(145)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46)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46)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더라도 보다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클립(146)을 커넥터(145)에 분리 및 체결시에 클립(146)이 부러지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예에 따른 클립(146)은 체결 홀과 체결 후크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145)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는 커넥터(145)의 몸체(145a)에 체결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 지지 수단(147)의 클립(147c)에 체결 홀이 형성되어 체결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반대로 몸체(145a)에 체결 홀이 형성되고 클립(147c)에 체결 후크가 형성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145)와 시트 지지 수단(147)이 체결되는 부분이 커넥터(145)의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145)의 상면 등에서도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시트 지지 수단(147)의 형태가 전술한 제 6 또는 제 7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전술한 모든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7a)는 클립(146)과 연결된 커넥터(145)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날개부(147a)는 클립(146)의 일측 단변 또는 양측 단변으로부터 커넥터(145)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거나 사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7a)는 커넥터(145)의 단변 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47a)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147b)는 날개부(147a)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커넥터(145)의 상면 상으로 벤딩된다. 즉, 지지대(147b)는 날개부(147a)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고, 커넥터(145)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대(147b)는 커넥터(14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8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으로 반사 시트(1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 시트(120)가 자중에 의해서 쳐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휘선 발생 및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클립(147c)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45)에서 쉽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시트 지지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도 12에 도시된 제8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에서 제1 및 제2 체결 부재(146d, 145c)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트 지지 수단의 제1 및 제2 체결 부재(146d, 145c)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예에 따른 클립에서 제1 체결 부재(146d)는 클립(146)의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 부재(146d)는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을 관통하는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체결 부재(146d)는 커넥터(145)의 양측면에 마련된 제 2 체결 부재(145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체결 부재(145c)는 커넥터(145)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체결 부재(146d)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 돌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립(146)은 제 1 및 제 2 측벽(146b, 146c)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145)의 상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147c)은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여 시트 지지 수단(147)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교체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클립(146)은 체결 홈과 체결 돌기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145)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는 커넥터(145)의 몸체(145a)에 체결 홈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 지지 수단(147)의 클립(147c)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반대로 몸체(145a)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클립(147c)에 체결 홈이 형성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예에 따른 시트 지지 수단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으로 반사 시트(1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 시트(120)가 자중에 의해서 쳐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휘선 발생 및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지지 수단(147)은 상기 클립(147c)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45)에서 쉽게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유닛은 도 3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 하우징을 생략하고 지지 커버를 통해 광원 모듈과 도광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지 커버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 커버(150)는 바닥부(151) 및 측면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51)는 상기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때, 바닥부(151)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중첩되는 바닥부(151)의 양측 모서리 부분은 다각 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53)는 상기 바닥부(151)의 일측으로부터 상면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이때, 측면부(153)는 광원 모듈(14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광원의 위치를 변경하여 직하형(Direct Light Typ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하우징 없이도 광원 모듈(140)의 커넥터(145)에 마련된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끝단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반사 시트(120)의 끝단 처짐에 따른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200), 패널 구동 회로(230), 백라이트 유닛(250), 가이드 프레임(270). 전면 부분 커버(290), 및 외관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패널(200)은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 상부 기판, 하부 편광 부재, 및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패널(20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의 광 투과율에 따라 소정의 컬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230)는 상기 하부 기판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어 액정 패널(200)의 각 화소를 구동함으로써 액정 패널(200)에 소정의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구동 회로(230)는 액정 패널(200)의 패드부에 연결된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 각각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 각각에 결합된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 및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2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231) 각각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하부 기판의 패드부와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235)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 각각은 액정 패널(200)의 일측면, 즉 하측면을 따라 벤딩되어 가이드 프레임(27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 각각에 실장되어 연성 회로 필름(231)를 통해 패드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는 타이밍 제어부(237)로부터 공급되는 화소별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패드부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31)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은 액정 패널(200)의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 및 게이트 구동 회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에는 각종 신호 배선, 각종 전원 회로(미도시), 및 메모리 소자(미도시) 등이 실장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37)는 디스플레이용 인쇄 회로 기판(235)에 실장되어 외부의 구동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응답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액정 패널(200)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37)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33) 및 게이트 구동 회로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237)는 에지형 로컬 디밍 기술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250)을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200)의 영역별 휘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50)은 외관 케이스(300)에 수납되어 액정 패널(200)의 하면에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250) 상에 액정 패널(200)이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50)은 도 3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광판(100), 광학 시트(110), 반사 시트(120), 광원 하우징(130), 광원 모듈(140), 및 지지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50)은 도 14에 도시된 도광판(100), 광학 시트(110), 반사 시트(120), 광원 모듈(140), 및 지지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70)은 사각 프레임 형태를 가지며, 지지 커버(273)에 지지되어 액정 패널(20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프레임(270)의 일측부는 액정 패널(200)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전면 부분 커버(290)를 지지하고, 가이드 프레임(270)의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액정 패널(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부분 커버(290)는 액정 패널(20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가이드 프레임(27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 부분 커버(290)는 액정 패널(20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230)를 은폐시킨다.
상기 외관 케이스(300)는 지지 커버(150)를 수납하면서 가이드 프레임(270)의 측면과 전면 부분 커버(290)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외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트 지지 수단(147)이 반사 시트(1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중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광원 하우징(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반사 시트(120)의 일측 처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트 지지 수단(147)을 통해 반사 시트(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00)과 반사 시트(1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상기 틈으로 인한 휘선 발생 및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광판 110: 광학 시트
120: 반사 시트 130: 광원 하우징
140: 광원 모듈 150: 지지 커버
160: 케이블

Claims (15)

  1. 도광판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로서,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의 일 측을 지지하는 시트 지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지지 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 각각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반사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각각은 상기 커넥터의 상면과 나란하며, 상기 커넥터의 상면과 중첩되도록 벤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광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광원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시트 지지 수단은 서로 다른 재질인, 광원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수단은,
    상기 커넥터에 설치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광원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수단은 상기 클립에 마련된 제 1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체결 부재와 체결되도록 양측면에 마련된 제 2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원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클립은 서로 다른 재질인, 광원 모듈.
  9. 삭제
  10. 수납 공간을 갖는 지지 커버;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 시트; 및
    상기 도광판에 구비된 입광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항, 제2 항, 또는 제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광원 모듈에 인접한 상기 반사 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광원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시트의 일 측 가장자리 중 모서리 부분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광원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0 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배치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광원 모듈에 인접한 상기 반사 시트의 일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광원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시트의 일 측 가장자리 중 모서리 부분은 상기 시트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광원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케이블 삽입구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마련된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 각각의 끝단에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각각은 상기 몸체의 상면과 나란하며, 상기 몸체의 상면과 중첩되도록 벤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지지 수단은 서로 다른 재질인, 커넥터.
KR1020150109293A 2015-08-03 2015-08-03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10236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93A KR102364342B1 (ko) 2015-08-03 2015-08-03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93A KR102364342B1 (ko) 2015-08-03 2015-08-03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42A KR20170016042A (ko) 2017-02-13
KR102364342B1 true KR102364342B1 (ko) 2022-02-16

Family

ID=5815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293A KR102364342B1 (ko) 2015-08-03 2015-08-03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3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025A (ko)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1181919B1 (ko) * 2010-09-09 2012-09-11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유닛용 엘이디바의 체결장치
KR20130032138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US8579455B2 (en) * 2011-12-02 2013-11-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42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3535B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US9904003B2 (en) Backlight module
US84219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69102B1 (ko) 표시 장치용 하부 샤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291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698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47240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CN101876765A (zh) 液晶显示器
KR10238593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462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90227368A1 (en) Display device
KR102538982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13821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802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0887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53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4342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1013094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4998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956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120097A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16050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00219B1 (ko) 표시장치
KR102484506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09996A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