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79B1 -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79B1
KR102508179B1 KR1020200157708A KR20200157708A KR102508179B1 KR 102508179 B1 KR102508179 B1 KR 102508179B1 KR 1020200157708 A KR1020200157708 A KR 1020200157708A KR 20200157708 A KR20200157708 A KR 20200157708A KR 102508179 B1 KR102508179 B1 KR 10250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analysis
ied
pow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789A (ko
Inventor
김중태
김선정
공재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시각 동기화부;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하는 전력 계통 설정부;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득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는 계통 해석 연계부; 및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하는 계통 해석부를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IEC61850-based microgrid data analysi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은 변전 설비들의 운용과 감시를 디지털 통신을 사용하여 수행함으로써 고장 요인과 운영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이다. IEC 61850은 이러한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 국제 표준으로 2005년에 제정되었다. IEC 61850국제 표준은 기존의 다른 표준과 비교하여 다음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IEC 61850은 데이터명과 서비스명의 표준화뿐만 아니라 XML(ExtensibleMarkupLanguage) 기반의 엔지니어링을 통해 제조업체가 다른 기기간에 상호운용성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데이터명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의 해석에서 생기는 오류를 줄였다. 또한 미래에 새롭게 등장하는 통신 기술을 유연하게 수용하도록 응용 레벨과 실제 통신을 따로 분리하여 미래지향적인 표준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IEC 61850은 개념 단계를 벗어나 세계 여러 곳의 변전소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고 변전소를 벗어나 변전소간의 통신 혹은 변전소와 상위 제어소간 통신뿐만 아니라 풍력, 수력과 같은 다른 유틸리티 산업으로 그 영향력을 뻗어나가고 있다.
한편, 기존 전력망 감시시스템의 원격단말장치는 MODBUS, DNP, ICCP 등 다양한 통신표준을 사용함으로써, 전압/전류 혹은 차단기, 스위치 상태 등 센서로부터 계측된 정확한 변경 시간을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개별 원격단말장치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시 데이터 수집 폴링 주기에 따른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복잡한 경로를 거쳐 상위 시스템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므로 통신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력정보 취득 제어 시스템에서는 원격단말장치로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에 스냅샷 형태로 포인트별 최종데이터만 갱신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이력 데이터만 봤을 때, 전력설비의 계측정보가 변경된 정확한 시간을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계통운영시나 정전사고시 현재 또는 과거 특정 시점의 전력계통의 상태를 해석하고자 할 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재 또는 과거 시점의 마이크로그리드 해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시각 동기화부;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하는 전력 계통 설정부;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득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는 계통 해석 연계부; 및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하는 계통 해석부를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계통 해석 시점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계통 해석부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계통 해석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는 상기 인덱스 파티션 및 상기 데이터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는 각 IED별로 취득 대상 계측 데이터의 속성(DataAttribute)을 데이터 세트(DataSet)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 갱신시 리포팅하도록 상기 IED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르면, 시각 동기화부가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시각 동기화부가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전력 계통 설정부가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취득부가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력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계통 해석 연계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가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는 단계; 및 계통 해석부가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을 제공한다.
계통 해석 표시부가 상기 계통 해석부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이력 데이터 가공부가 상기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가 상기 인덱스 파티션 및 상기 데이터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가 각 IED별로 취득 대상 계측 데이터의 속성(DataAttribute)을 데이터 세트(DataSet)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 갱신시 리포팅하도록 상기 IED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결과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IED와 연결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논리 노드의 데이터속성(Data Attribute)의 갱신시간(Timestamp)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변경된 전력설비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데이터만 저장하도록 함으로 저장공간을 절약할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계통 해석 연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실시에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IEC 61850 기반의 디지털 변전소 네트워크 시스템(1)은 스테이션(Station), 베이(Bay), 프로세스(Process) 등 3단계 레벨과, 각 레벨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 버스(Bus)(100) 및 스테이션 버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버스(200)는 스테이션 레벨과 베이 레벨에 설치된 변전소 자동화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고, 프로세스 버스(100)는 베이 레벨과 프로세스 레벨에 설치된 변전소 자동화 장치를 연결하는 이더넷 스위치 등의 통신장비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이다.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20)는 디지털 변전소의 Bay Level에 설치되며, 전류, 전압 변성기(CT/PT: Current Transformer, Potential Transformer)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계측, 감시, 보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ED(20)는 선로의 지락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계측신호를 통해 고장을 감지하여 차단기에 제어신호를 보내 전력계통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한 선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머징 유닛(Merging Unit)(10)은 디지털 변전소 내 Process Level에 적용되며 전압, 전류변성기(CT/PT: Current Transformer, Potential Transformer)의 아날로그 계측신호를 입력 받아 A/D 변환 후 IEC 61850 9-2 Sampled Value의 형태로 Process Bus를 통해 Bay Level의 IED(20)로 전송할 수 있다.
IED(20)와 머징 유닛(10)은 실시예예 따른 프로세스 버스(PROCESS Bus) 네트워크 스위치(10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머징 유닛(10)은 보호용으로IEC 61850 9-2 80 Sampled Value, 계측용으로 IEC 61850 9-2 256 Sampled Value변환된 계측 신호를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한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IED(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300)은 시각 동기화부(310), 전력 계통 설정부(320), 데이터 취득부(330), 이력 데이터 가공부(340),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 계통 해석 연계부(360), 계통 해석부(370) 및 계통 해석 표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 동기화부(310)는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400)로부터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시각 동기화부(310)는 GPS안테나를 통하여 시각 동기화 장치인 GPS위성으로부터 위성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시각 동기화부(310)는 내부 타이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성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내부 타이머의 시각을 일치시켜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할 수 있다.전력계통 설정부(320)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발전 설비 및 차단기, 단로기 등의 계통제어설비를 심볼의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Substation, Voltage Level, Bay, Conducting Equipment 등 의 IEC 61850 표준 클래스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계통 설정부(320)는 IED연결정보(IP, 포트), 논리장치, 논리노드, 데이터객체, 데이터 초기값 등 항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IED-> Logical Device-> Logical Node-> Data Object(예전압,전류) 계층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논리적으로 계측값과 설비를 연결하기 위해 계통설비와 논리노드 맵핑 정보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IEC 61850 구성정보를 XML 파일 형태로 추출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데이터 취득부(330)로부터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 및 IED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계통 및 IED등록은 마이크로 그리드 내에 최초 설치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으며, 이후 관리자의 의하여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IEC61850표준에 따른 변전소 구성 언어(SCL; 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의 데이터 파일인 SSD(System Specification Description), ICD(IED Capability Description), SCD(Substation Configuration Description), CID(Configurated IED Descriptoin)에 기반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변전소 구성 언어는 XML 기반의 언어이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을 읽고 해석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XML 파서(Parser)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계통 설정부(320)는 각 IED별로 취득 대상 계측 데이터의 속성(DataAttribute)을 데이터 세트(DataSet)으로 그룹핑하고, 계측 데이터 갱신시 리포팅하도록 IED를 설정할 수 있다. IEC 61850 표준 IED는 계측값을 리포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리포팅 대상은 여러 개의 데이터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세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객체(DO)는 상태값, 측정값, 설정값, 대체값, 구성값, 설명정보, 설정그룹, 설정그룹편집, 서비스 응답, 제어 결과, 갱신 차단, 확장(사용자 정의), 제어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객체는 논리노드에 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태값은 차단기, 개폐기 상태, 발전기 상태 등을 의미하고, 측정값은 전압, 전류, 주파수, 유효전력 등 계측 정보를 의미하고, 설정값은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를 의미하고, 대체값은 치환값 설정을 의미하고, 구성값은 단위, 범위값, 데드밴드, 스케일값 등을 의미하고, 설명정보는 장치에 대한 제원(설정)을 의미하고, 설정그룹은 설정그룹관련 속성을 의미하고, 설정그룹편집은 설정그룹편집관련 속성을 의미하고, 서비스 응답은 서비스 응답관련 속성을 의미하고, 제어결과는 제어결과에 대한 속성을 의미하고, 갱신 차단은 갱신 차단속성을 의미하고, 제어값은 제어관련 속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리포팅 구성정보는 리포팅명, 데이터 셋명, 리포팅 방식(데이터/Quality 변경, 주기적), 리포팅 주기(예: 0.5초이내, 1초이내, 2초이내, 2초이상), 데이터 객체(FC), 데이터 속성 목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IED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리포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력 계통 설정부(320)의 설정에 따라 취득 대상 의 속성값이 갱신될 경우, 수시로 데이터 취득부(330)에 계측 데이터를 리포팅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계측 데이터는 속성키, 계측값, 갱신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취득부(330)는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취득부(330)는 지능형 전자 장치로부터 변전소 내의 계측 신호를 IEC 61850 9-2 Sampled Value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변전소 내의 계측 신호는 변전소 내에 설치된 변성기(CT/VT), 전자식 변성기(ECT/EVT)에서 계측되어 머징 유닛에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이며, 머징 유닛은 전달받은 계측신호를 IEC 61850 9-2 Sampled Value형태로 변환하여 IED에 전송할 수 있다. IED와 머징유닛은 예를 들면 프로세스 버스(PROCESP Bus)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 가공부(340)는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고,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하여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 가공부(340)는 데이터 취득부(330)로부터 전달된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고, 검색을 위해 해당 일자의 인덱스 파티션에 속성키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는 계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는 변전소 구성 언어 기반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변전소 구성 언어 기반의 데이터 파일로부터 사전에 추출되어 생성된 변전소의 구성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변전소 구성 언어 기반의 데이터 파일로부터 변전소 구성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위해 XML 파서(Parser)를 구비할 수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XML 파서(Parser)를 구비하지 않고도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된 변전소 구성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값과 계측 일자에 따라 분류되어 일자별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된 각각의 계측 데이터는 일자별 인덱스 파티션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인덱스 파티션은 속성키와 Timestamp값을 포함하고, 데이터 파티션은 순번, 속성키, Timestamp, 계측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포팅으로 계측되는 전력 데이터는 IEC 61850 키, 계측값, 변경일시를 가지고 있으며, 물리적으로 하나의 대용량 테이블로 구성시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력 데이터 저장부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테이블이나 물리적으로 일별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파티션으로 구성하고, 각 데이터 파티션에 대한 빠른 검색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B-TREE 인덱스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다. 인덱스 파티션의 순번은 일련번호를 의미하고, 속성키는 IEC 61850 속성키로써, IED명, 논리장치명, 논리노드명. 데이터객체명. 데이터속성명 (예: IED1/PV1/MMXU1.TotW.mag.f)을 의미하고, Timestamp는 데이터 변경 일시를 의미하고, 계측값은 데이터 측정값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덱스 구성 속성은 IEC 61850 속성키 및 Timest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에서 검색하여, 전력 계통 설정부(320)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할 수 있다.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인덱스 파티션 및 데이터 파티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 저장부(35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계통 해석 연계부(3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계통 해석 표시부(380)를 통하여 계통 해석 시점을 입력 받으면,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해당 계통 해석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의 계측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인덱스 파티션에 억세스하여 속성키, Timestap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계통 해석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 시간에 저장된 인덱스 파티션의 Timestamp를 검색한 후, 해당 인덱스에 대응되는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 파티션에 억세스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추출된 계측 데이터와 전력 계통 설정부(320)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여 계통 해석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통 해석 연계부(3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을 바탕으로 계측 데이터 및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계통 해석 기준 시점의 PSS/E 데이터로 모델링할 수 있다. PSS/E 데이터는 선로와 발전소를 대상으로 예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된 발전기 데이터, 모선 데이터, 부하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들은 타입, 용량, 특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계통 해석부(370)는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계통 해석부(370)는 외부 계통 해석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자체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자체에 계통 해석부(370)가 구현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계통 해석부(370)는 예를 들면, PSS/E 소프트웨어 툴로 구성될 수 있다. PSS/E 소프트웨어 툴은 Siemens PTI(Power Technologies International)사에서 개발한 전력계통해석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PSS/E 소프트웨어 툴은 정적(steady state) 그리고 동적(dynamic state) 조건에서 송전망 및 발전력 평가 등 전력 계통 특성을 모의, 해석 및 최적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로서, 전체 전력 계통을 해석할 수 있다.
PSS/E 계통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전력 조류 로(Power Flow Raw)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형식의 데이터는 PSS/E의 입력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PSS/E에서는 전력 조류 로(Power Flow Raw)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의 전력 조류(Power Flow)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IEEE 형식의 데이터는 IEEE에 의해 표준화된 전력조류계산 데이터의 구성 및 서식을 따르고 있다. PSS/E는 로(Raw)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IEEE 형식에 맞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일부 모델의 경우 미리 값을 계산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IEEE 형식을 사용하면 PSS/E가 지원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모델링할 필요가 없고, 일부 구성요소의 경우 이미 PSS/E에서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므로 모델링이 간소화 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따라서,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계통 해석 표시부(380)는 계통 해석 시점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계통 해석부(370)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계통 해석 표시부(3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통 해석 표시부(3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계통 해석 표시부(38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됨으로써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7은 실시에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시각 동기화부는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한다(S701).
다음으로, 시각 동기화부는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킨다(S702).
다음으로, 전력 계통 설정부는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한다(S703).
다음으로, 데이터 취득부는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한다(S704).
다음으로, 이력 데이터 가공부는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고,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한다(S705).
다음으로, 이력 데이터 저장부는 가공된 계측 데이터를 저장한다(S706).
다음으로, 계통 해석 표시부는 사용자로부터 계통 해석 시점을 입력받는다(S707).
다음으로, 계통 해석 연계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한다(S708).
다음으로, 계통 해석 연계부는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한다(S709).
다음으로, 계통 해석부는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한다(S710).
다음으로, 계통 해석 표시부는 계통 해석부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711).
실시예에 따른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은 시각 동기화된 IEC 61850 프로토콜기반의 IED로부터 변경된 모든 데이터를 취득 및 저장하고, 현재 또는 과거의 특정시점에 계통 해석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 제공하므로서 해석 결과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IEC 61850기반 IED의 시각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함으로써 IED와 연결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논리 노드의 데이터 속성(Data Attribute)의 갱신시간(Timestamp)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IED의 속성 변경시 또는 일정 주기로 리포팅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모든 변경된 전력설비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수집할 때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도 저장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변경된 데이터만 저장하도록 함으로 저장공간을 절약할수 있다.
또한, 저장된 계측 이력 데이터로부터 특정시점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통해 해당시점의 전력계통의 상태를 기존 방식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0: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310: 시각 동기화부
320: 전력 계통 설정부
330: 데이터 취득부
340: 이력 데이터 가공부
350: 이력 데이터 저장부
360: 계통 해석 연계부
370: 계통 해석부
380: 계통 해석 표시부

Claims (11)

  1.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시각 동기화부;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하는 전력 계통 설정부;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득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는 계통 해석 연계부; 및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하는 계통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는 각 IED별로 취득 대상 계측 데이터의 속성(DataAttribute)을 데이터 세트(DataSet)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 갱신시 리포팅하도록 상기 IED를 설정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해석 시점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계통 해석부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계통 해석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는 인덱스 파티션 및 데이터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5. 삭제
  6. 시각 동기화부가 기 설정 주기에 따라 시각동기화 장치로부터 시간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시각 동기화부가 조회된 시간에 따라 연동된 IED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전력 계통 설정부가 전력 계통 및 IED를 등록하여, 전력 계통 구성 파일(SCD)과 IED 구성 파일(CID)을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취득부가 시각동기화 된 IED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력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계통 해석 연계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가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에서 생성한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가공하는 단계; 및
    계통 해석부가 가공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전력 계통 구성 파일을 입력받아 계통해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계통 설정부가 각 IED별로 취득 대상 계측 데이터의 속성(DataAttribute)을 데이터 세트(DataSet)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 갱신시 리포팅하도록 상기 IED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계통 해석 표시부가 상기 계통 해석부의 계통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이력 데이터 가공부가 상기 계측 데이터를 해당 일자의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파티션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티션을 생성 후 속성키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해석 연계부가 인덱스 파티션 및 데이터 파티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통 해석 시점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방법.
  10. 삭제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57708A 2020-11-23 2020-11-23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50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08A KR102508179B1 (ko) 2020-11-23 2020-11-23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08A KR102508179B1 (ko) 2020-11-23 2020-11-23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89A KR20220070789A (ko) 2022-05-31
KR102508179B1 true KR102508179B1 (ko) 2023-03-09

Family

ID=8178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708A KR102508179B1 (ko) 2020-11-23 2020-11-23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595A (ja) * 2006-09-07 2008-03-21 General Electric Co <Ge> 主要設備に信号および命令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電力ネットワーク用保護制御システム
JP6581550B2 (ja) 2016-08-04 2019-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電所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35B1 (ko) * 2017-04-28 2019-05-15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데이터 품질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92980B1 (ko) * 2017-12-14 2019-06-25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다중 프로토콜용 가상 데이터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595A (ja) * 2006-09-07 2008-03-21 General Electric Co <Ge> 主要設備に信号および命令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電力ネットワーク用保護制御システム
JP6581550B2 (ja) 2016-08-04 2019-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電所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電子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89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n Meier et al. Precision micro-synchrophasors for distribution systems: A summary of applications
EP3913555A1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operation aided decision-mak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5604892A (en) Method for modeling a physical system of elements using a relational database
US8738351B2 (en) Historic storage of dual layer power grid connectivity model
US9874593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utage management and automated crew dispatch
CN103969526A (zh) 电能质量采集装置及其在电能质量综合分析系统中的应用
CN105579992A (zh) 选择并显示轮询和流式电力系统测量结果
CN203909162U (zh) 一种电能质量采集装置
US9733639B2 (en) Dynamic facility management system
CN103605787B (zh) 继电保护评价分析方法及系统
CA2875336A1 (en) Electric power system waveform search
CN110632439A (zh) 基于同步波形与关联规则的配电网单相接地故障诊断技术
WO2020162937A1 (en) Automated model validation system for electrical grid
CN110046391A (zh) 基于监控信息表的变电站一次接线图自动生成方法
CN116500385B (zh) 输电网监测校验方法、装置、设备和介质
Popovic et al. Smart grid data analytics for digital protective relay event recordings
CN106646110A (zh) 基于GIS和Petri技术的低压配电网故障定位系统
CN102183685A (zh) 灵活的广域电网相量测量方法
KR102508179B1 (ko) Iec61850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데이터 해석 시스템 및 방법
Kezunovic et al. Merging PMU, operational, and non-operational data for interpreting alarms, locating faults and preventing cascades
McCamish et al. A backend framework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power system measurements
Li et al. Panoramic synchronous measurement system for wide-area power system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Popovic et al. Implementation requirements for automated fault data analytics in power systems
Popovic et al. Measures of value: data analytics for automated fault analysis
Heng et al. Integrated analytics system for electric industry asse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