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359B1 - 격납식 cms 장치 - Google Patents

격납식 cm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359B1
KR102507359B1 KR1020210016476A KR20210016476A KR102507359B1 KR 102507359 B1 KR102507359 B1 KR 102507359B1 KR 1020210016476 A KR1020210016476 A KR 1020210016476A KR 20210016476 A KR20210016476 A KR 20210016476A KR 102507359 B1 KR102507359 B1 KR 10250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vehicle
power transmission
unit
retra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935A (ko
Inventor
조성민
신형영
안성우
박우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격납식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로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는 제1 동선 또는 제2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장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는 격납식 CMS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격납식 CMS 장치{Retractable CMS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를 활용하여 차량 측, 후방의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격납되거나 차량의 외부에 인출되는 격납식 CMS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미러는 반사면을 통해 탑승자에게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한다. 이러한 리어뷰 미러의 경우, 차체 또는 차량의 도어에 부착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미러를 접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리어뷰 미러 대신 카메라를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 외부에 부착되어 차량 외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 및 이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현재 CMS 장치의 경우, 차량 외부로 인출되어 있어서,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카메라 렌즈 등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카메라 센서는 정밀한 설계를 요하는 부품으로서 외부 환경 변화 및 충격에 취약하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고장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카메라 모듈을 격납하거나 인출함에 따라 수반되는 격납식 CMS 장치의 구성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그라운드 정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동선 또는 제2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시야각이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해 확장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는 격납식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격납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격납식 CMS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그라운드에 대한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지션에 따라 상이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1 시점에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2 시점에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1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2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그라운드의 제1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역은 상기 그라운드 상의 복수의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인트는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제3 포인트, 및 제4 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포인트는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한 기준 가상 평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가상 평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1 가상 평면에 포함되되, 상기 제1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포인트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3 거리 만큼 평행하게 이격된 제2 가상 평면에 포함되고, 상기 제4 포인트는 상기 제2 가상 평면에 포함되되, 상기 제3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제4 거리 만큼 이격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Camera Monitoring System)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지션에 따라 상이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1 시점에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2 시점에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1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2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차량의 외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차량 외곽의 제1 배치 영역에 접하는 가상의 면보다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치 영역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에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인 구성의 동작을 통해 카메라 모듈을 차량 내부에 격납하거나 인출시키는 격납식 CMS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가 상이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성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MS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클러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제6 기어 및 제2 동력전달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확보되는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획득하는 시야각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동선 또는 제2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시야각이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해 확장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는 격납식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 또는 상기 제2 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향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면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선은 상기 커버부에 접하는 가상의 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커버부에 접하는 가상의 면 사이의 각도가 0도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격납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격납식 CMS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의 표면 및 상기 차량의 표면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어지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의 표면 및 상기 차량의 표면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향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그라운드에 대한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지션에 따라 상이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1 시점에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2 시점에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1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2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그라운드의 제1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역은 상기 그라운드 상의 복수의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인트는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제3 포인트, 및 제4 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포인트는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한 기준 가상 평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가상 평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1 가상 평면에 포함되되, 상기 제1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포인트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3 거리 만큼 평행하게 이격된 제2 가상 평면에 포함되고, 상기 제4 포인트는 상기 제2 가상 평면에 포함되되, 상기 제3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제4 거리 만큼 이격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Camera Monitoring System)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지역 중 제1 서브 지역을 포함하지 않되, 상기 제1 서브 지역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3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가상 평면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포인트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에 포함되는 제5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포인트는 상기 제5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5 포인트와 상기 기준 가상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최외곽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포인트로부터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지션에 따라 상이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1 시점에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2 시점에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1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제2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차량의 외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차량 외곽의 제1 배치 영역에 접하는 가상의 면보다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치 영역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에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치 영역은 상기 차체의 외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배치 영역 내부에 수용되어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배치 영역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치 영역은 상기 차체의 외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배치 영역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포지션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에 비해 상기 차체의 외부로 회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손잡이, 상기 차량의 타이어 가드, 또는 상기 차량의 외곽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계 정보는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시계 정보는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3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제3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제3 포지션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내부로 격납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3 시점에 제3 포지션에 배치되는 경우, 제4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제3 포지션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내부로 격납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차량의 측방 및 후방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여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량(1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의 작동과 관련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10)은 카메라를 통해 차량 측후방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격납식 CMS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10)의 도어에 배치되어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10)의 측방 및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차량(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상기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하나의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차량 측후방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격납식 CMS 장치(1000) 및 상기 시야각 중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에 포함되는 모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차량(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차량(10)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0)는 차량의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개별 컨트롤러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10)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장치들은 각각 개별적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별적인 컨트롤러들은 상기 차량의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의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개별적인 컨트롤러를 제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3000)를 제어하기 위한 개별 컨트롤러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MS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송출하는 모니터,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뿐만 아니라, AR, VR 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차량의 도어(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차량의 도어(11)와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차량의 도어(11)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11)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VN(12)은 상기 차량의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AVN(12)과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가 상기 AVN(1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 1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스터(13)는 상기 차량의 속도 등을 나타내는 계기판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가 상기 클러스터(13)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획득 가능한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시야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를 통해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0)는 모니터를 통해 상기 시야각에 대한 정보 중 일부를 영상으로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 중 미리 정해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모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를 통해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 내의 정보만을 송출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CMS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모두 송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에 격납되거나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100), 구동부 (12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1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 및 카메라 하우징(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상기 차량 외부의 소정의 시야각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상기 소정의 시야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기초로 이동하는 패닝(Panning) 기능,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틸팅(Tilting) 기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를 확대하는 주밍(Zooming)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장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외곽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포함되는 구성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장착되거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장착되거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에 격납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배치되는 위치 주변의 외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곽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한 보다 넓은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대해 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지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회전하는 각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는 상기 소정의 시야각을 조정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이동과는 무관하게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를 이동시켜 상기 소정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의 틸팅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소정 각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를 제어해 상기 소정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보다 넓은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의 시야각을 넓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의 주밍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0)의 시야각을 축소하여 대상체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인출 또는 격납시키기 위한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외부 전원을 기초로 동력을 생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상기 차량에 배치된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상기 동력전달부(1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회전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1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1230)는 미리 정해진 동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는 생성된 동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를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목적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연결되는 구성의 종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는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피스톤 또는 피봇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힌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복수개의 상기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12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1220)로 구성된 복수의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부(1230)를 상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홈 형태 또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연결되는 독립적인 부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의 메인하우징(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은 차체 내부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메인하우징(미도시)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에 홈 형태 또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가 접촉되는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230)가 접촉되는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클러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이동이 외력에 의해 제한받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모터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 위해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인출이 제한되거나 또는 인출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기어부가 회전하더라도 회전력이 상기 동력 전달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의 기어부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차량(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사이드미러 대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 상에서 제1 배치 영역(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배치 영역(20)은 상기 차량(10)의 외관 중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100), 구동부, 메인하우징(1400), 및 커버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 내부에 격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에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은 상기 차량(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은 상기 차량(10) 내부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이동하더라도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하우징(1400)은 상기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차량(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직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1500) 및 제2 구동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메인하우징(1400)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제1 표면과 상이한 제2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1500) 및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메인하우징(1400)의 동일한 표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인출되는 방향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메인하우징(1400)에서 상기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메인하우징(1400)에서 상기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500) 및 상기 제2 구동부(1600)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상기 메인 하우징(1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1500) 및 상기 제2 구동부(16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미도시)는 상기 메인하우징(1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1500) 및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메인 하우징(14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면과 같은 재질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격납되거나,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는지에 따라, 상기 커버부(1130)의 배치 위치가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격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면과 소정의 틈을 사이에 두고 이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외면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격납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상기 차량의 외면과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관과 연속적인 곡선을 그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포함되는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외부로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차량의 외관에 대해 요철 형상을 그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카메라 모듈(1100), 메인 하우징(1400), 제1 구동부(1500), 제2 구동부(1600), 제1 가이드부(1301), 및 제2 가이드부(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카메라(1110) 및 상기 카메라(1110)를 수용하는 카메라 하우징(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110)는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1110)는 차량의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소정 각도 회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110)는 상기 카메라(1110)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상기 커버부(도 4의 1130 참조)에 접하는 가상의 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차량(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출되는 방향은 상기 커버부(1130)에 접하는 가상의 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1130)에 접하는 가상의 면에 수직항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제1 모터(1510), 제1 기어부(1520), 및 제1 동력전달부(15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모터(1510)는 상기 제1 구동부(1500)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터(15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터(1510)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1 모터(15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1 모터(1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기어부(1520)는 상기 제1 모터(15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로 전달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부(1520)는 상기 제1 모터(1510) 및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모터(1510)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로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모터(15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제1 기어부(1520)를 통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어부(1520)는 제1 기어(1521), 제2 기어(1523), 및 제3 기어(152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모터(15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모터(1510)의 샤프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모터(1510)의 샤프트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기어(1521)는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1521)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가지는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어(1521)는 사선 형태의 돌출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선 형태의 돌출구조에 의해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구조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1521)와 상기 제1 모터(1510)는 축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터(1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152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모터(1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모터(1510)의 샤프트 부분에 형성되는 돌출 및 함몰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모터(1510)에 의해 상기 제1 기어(1521)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2 기어(1523)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기어(1521)와 적어도 일부분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기어(1521)의 돌출구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기어(15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1521)와 대응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기어(152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3)는 사선 형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기어(1521)와 상이한 축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1521)의 축과 상기 제2 기어(1523)의 축은 수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어(1521)가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1521)에 의해 상기 제2 기어(1523)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3 기어(1525)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1525)는 상기 제2 기어(1523)와 적어도 일부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1525)는 제1 서브기어(1526) 및 제2 서브기어(15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기어(1526)는 상기 제2 기어(1523)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기어(1526)는 상기 제2 기어(1523)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1523)와 대응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상기 제1 서브기어(152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사선 형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축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는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의 원주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의 사선 형태의 돌출부가 나선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5)에 의해 상기 제1 서브기어(1526)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를 통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1 기어부(152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1 기어부(1520)를 통해 상기 제1 모터(15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모터(15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3 기어(1525)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와 접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제1 부분(1531), 제2 부분(1533), 및 제3 부분(1535)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부분(1531)은 상기 제3 기어(1525)와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분(1531)은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1531)은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에 상기 제2 서브기어(1527)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와 대응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은 사선 형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서브기어(1527)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은 상기 회전하는 상기 제2 서브기어(152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1533)은 상기 제1 부분(1531)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분(1533)은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와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분(1533)은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부분(1535)은 상기 제2 부분(1533)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부분(1535)과 상기 제2 부분(1533)이 접촉하는 부위가 고정되어 상기 제2 부분(1533)이 상기 제3 기어(152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분(1535)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1525)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3 부분(1535)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1525)에 의해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를 통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구동부(1500)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구동부(1500)에 의한 동력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구동부(15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파인 홈 형태 또는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뚫린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의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표면에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양 모서리가 둥근 캡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 거리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가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가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일단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더 이상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10)에서 더 멀어지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차량(10) 외부로 인출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차량(10)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클러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 기능은 상기 제2 구동부(160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이동이 외력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 구동부(160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클러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 구동부(1600)의 동력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제2 모터(1610), 제2 기어부(1620), 및 제2 동력전달부(16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모터(1610)는 상기 제2 구동부(1600)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모터(16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모터(1610)는 상기 제1 모터(1510)와 동일한 전원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모터(1510) 및 상기 제2 모터(1610)는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하나의 동력 장치로 구성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터(1610)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2 모터(16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터(1610)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 모터(161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클러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이 외력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 모터(16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상기 제2 모터(16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전달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상기 제2 모터(161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터(1610)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모터(161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제2 기어부(1620)를 통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클러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상기 제2 모터(161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이 외력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1620)는 제4 기어(1621), 제5 기어(1623), 및 제6 기어(162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2 모터(16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2 모터(1610)의 샤프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2 모터(1610)의 샤프트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 기어(1621)는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기어(1621)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가지는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기어(1621)는 사선 형태의 돌출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선 형태의 돌출구조에 의해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구조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어(1621)와 상기 제2 모터(1610)는 축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모터(16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62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2 모터(1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2 모터(1610)의 샤프트 부분에 형성되는 돌출 및 함몰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모터(1610)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621)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5 기어(1623)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기어(1623)는 상기 제4 기어(1621)와 적어도 일부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기어(1623)는 제3 서브기어(1624) 및 제4 서브기어(16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와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서브기어(1624)는 상기 제4 기어(1621)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서브기어(1624)는 상기 제4 기어(16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4 기어(1621)와 대응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상기 제3 서브기어(162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사선 형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와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축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와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의 원주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의 사선 형태의 돌출부가 나선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어(1621)에 의해 상기 제3 서브기어(1624)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4 서브기어(1625)를 통해 상기 제6 기어(1626) 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5 기어(1623)와 적어도 일부분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의 돌출구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와 대응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5 기어(1623)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사선 형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사선 형태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5 기어(1623)와 상이한 축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기어(1623)의 축과 상기 제6 기어(1626)의 축은 수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기어(1623)가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3 축과 수직한 제4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기어(1623)에 의해 상기 제6 기어(1626)로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2 기어부(16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2 기어부(1620)를 통해 상기 제2 모터(1610)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모터(16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6 기어(1626)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6 기어(1626)와 축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제1 영역(1631), 제2 영역(1633), 및 제3 영역(1635)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영역(1631)은 상기 제6 기어(1626)와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1631)은 상기 제6 기어(1626)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631)은 상기 제1 영역(1631)의 홈에 상기 제3 기어(1626)의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631)의 홈은 상기 제6 기어(1626)의 샤프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1631)의 홈은 상기 제6 기어(1626)의 샤프트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6 기어(1626)의 샤프트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1633)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메인 하우징(1400)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1633)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1635)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영역(1635)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에 의해 전달된 회전 동력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이 외력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26)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기어(1626)의 회전축은 상기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러치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구동부(1600)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구동부(1600)에 의한 동력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구동부(160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이동하기 위한 힌지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부(1302)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메인 하우징(1400)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파인 홈 형태 또는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뚫린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메인 하우징(1400)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부(1302)가 상기 메인 하우징(1400)의 표면에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양 모서리가 둥근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2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 거리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가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가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일단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더 이상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 내부에 격납된 위치,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회전된 위치 등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의 배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 내부에 격납된 위치에서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반대로의 이동 또한 가능하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회전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반대로의 이동 또한 가능하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의 배치 위치는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이동을 통해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 내부에 격납되는 제1 위치(17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위치(1710)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 내부로 격납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격납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위치(17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어 차량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전된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위치(17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이 상기 제2 위치(1720)에서보다 확장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제1 위치(1710), 상기 제2 위치(1720) 또는 상기 제3 위치(173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배치된 차량의 운행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의 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차량이 좁은 골목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위치(1710) 또는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1710)에서 상기 제3 위치(1730)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위치(1720)에 일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외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클러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1720)에서 상기 제3 위치(1730)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차량 주행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람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인지하도록 상기 배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제1 위치(171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내부로 격납된 경우 상기 제1 알람을 송출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격납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알람은 상기 제1 알람과 상이한 음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외부로 인출된 경우 상기 제2 알람을 송출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인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3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알람은 상기 제1 알람 및 상기 제2 알람과 상이한 음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외부로 더 돌출되도록 회전한 경우 상기 제3 알람을 송출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회전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주행 가능한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4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알람은 상기 제1 알람 내지 상기 제3 알람과 상이한 음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내부로 격납되어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시야각이 확보되지 않았음을 경고하기 위한 상기 제4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탑승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주행 환경 및 주차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최적의 배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를 탑승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기 전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운행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차량이 주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내부로 격납되어 있더라도 탑승자로부터 차량 운행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을 폭이 좁은 공간으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해, 탑승자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차량 내부에 격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특정 주행 환경에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위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내부로 격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1 위치(1710)로 이동하도록 조작한 경우라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획득하는 시야각에 기초하여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된 채로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상기 제3 위치(17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의 위치 변경 입력이 없더라도 임의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차량의 안전을 위해 확보되어야하는 그라운드 상의 특정 영역에 대한 시야각을 획득하도록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도 8과 같은 위치 변화를 수행하는 경우, 각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가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구성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1 위치(1710)에서 상기 제2 위치(1720)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각 구성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모터(15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모터(1510)는 생성한 동력을 상기 제1 기어부(1520)를 통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터(1510)의 샤프트가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1521)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기어(1523)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1521)의 돌출구조와 상기 제2 기어(1523)의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기어(1521)에서 상기 제2 기어(1523)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1525)는 상기 제2 회전축에 평행한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1523)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서브기어(1526)의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2 기어(1523)에서 상기 제3 기어(1525)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제3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서브기어(1527)의 돌출부와 상기 제1 부분(1531)의 홀에 형성된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3 기어(1525)에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차량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가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가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위치에 따라 배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의 제1 부분(1531)은 상기 제3 기어(1525)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1531)은 상기 제3 기어(1525)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위치가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1 위치(1710)에서 상기 제2 위치(1720)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접촉되는 상기 제3 영역(1635)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과 함께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1631) 및 상기 제2 영역(1633)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가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와 접촉되는 위치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위치에 따라 배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하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 전달부(163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의 하부면과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상기 제2 위치(1720)에서 상기 제3 위치(1730)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각 구성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모터(16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모터(1610)는 생성한 동력을 상기 제2 기어부(1620)를 통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1120)에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모터(1610)의 샤프트가 제4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4 기어(1621)는 상기 제4 회전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5 기어(1623)는 상기 제4 회전축에 평행한 제5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회전축은 상기 제4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어(1621)의 돌출부와 상기 제3 서브기어(1624)의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4 기어(1621)가 상기 제5 기어(1623)로 동력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5 회전축에 수직한 제6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회전축은 상기 제5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서브기어(1625)의 돌출부와 상기 제6 기어(1626)의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5 기어(1623)에서 상기 제6 기어(1626)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의 샤프트와 상기 제1 영역(1631)의 함몰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6 기어(1626)에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 기어(1626)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1631)이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동력 전달부(163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기어(1626)는 클러치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6 기어(1626)는 클러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5 기어(162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경우에도 회전하지 않는 클러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부가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6 기어(1626)로부터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로의 동력이 차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6 기어(1626)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사이의 클러치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도 12)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상기 제6 기어(1626)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가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영역(1635)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위치에 따라 배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라 수반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기초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1500)는 제1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상기 제1 위치(1710)에서 상기 제2 위치(17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 가이드부(1301)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위치(1710)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부분의 일부(1536)는 상기 상기 제1 가이드부(1301)의 타단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3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부(1600)는 제2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을 상기 제2 위치(1720)에서 상기 제3 위치(17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2 가이드부(1302)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위치(1720)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일부(1634)는 상기 제2 가이드부(1302)의 타단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적어도 하나의 동선에 따라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위치(1710)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모듈(1100)는 제1 동선에 따라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선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선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1530)가 이동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 모듈(1100)는 제2 동선에 따라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동선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선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상기 제2 가이드부(1302)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한 확장된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클러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제6 기어 및 제2 동력전달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6 기어(1626)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사이의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기어(1626)는 클러치 기어(1650) 및 클러치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 기어(1650)는 도 10의 제5 기어(1623)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 기어(1650)는 상기 제5 기어의 제4 서브기어(16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1650)는 상기 제5 기어(162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640)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640)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의 회전 축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부(1640)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클러치부(1640)에 의해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는 상기 클러치부(1640)에서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만큼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640)는 클러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 기어(165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클러치부(164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기어(1650)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640)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와 연결되어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부(1640)는 피니언 클러치(1641) 및 클러치 스프링(164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기어(1650)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클러치의 일단(1642)은 상기 클러치 기어(165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의 중심에 형성된 홀(1651)에 일단(1642)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1627)은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클러치 기어(1650)가 회전하더라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클러치 기어(165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클러치의 타단(1643)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홈(1639)에 타단(1643)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1639)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클러치의 타단(1643)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이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가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에 전달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홈(1639)도 또한 이에 대응되는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제6 기어(1626) 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제6 기어(1626)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6 기어(162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상기 제6 기어(1626)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에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 및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가 회전하지 못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6 기어(1626)만 회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모양이 상이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상기 클러치 기능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탄성력을 기초로 피니언 클러치(1641)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클러치 기능의 하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6)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의 원주로부터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6)는 편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6)은 상기 클러치 기어(1650)를 향하거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6)를 편향시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스프링(1645)은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와 적어도 일부분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력전달부(163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경우, 상기 클러치 기어(165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클러치 기어(1650)에 접촉하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 부재(1645)가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를 고정시켜 상기 피니언 클러치(164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확보되는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주행 여부, 주행 환경 등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로 격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는 상기 차량에 설정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인풋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격납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해 최소한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제1 위치(1710)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도 9와 같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배치된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황, 시동이 꺼진 상황 등에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로 격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1 위치(17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제1 시야각(1810)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위치(17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야각(1810)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차량의 외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도 10과 같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배치된 차량이 특정 환경에서 주행하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탑승자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해 최소한의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차량의 최외각 지점보다 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야각을 희생하더라도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상기 차량 외부로 덜 돌출시키도록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좁은 골목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외부로 최소한으로 돌출되면서 주행 가능한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시야각(1820)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시야각(1820)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시야각(1820)에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야각(1820)을 가지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제1 시야각(1810)을 가지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대한 보다 확장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외면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한 보다 많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도 11과 같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환경에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저속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서 접근하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획득하는 시야각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한 시야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야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획득 가능한 시야각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송출되는 상기 시야각 중 소정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시야각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모니터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상기 차량 탑승자에게 제공되도록 기설정된 범위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획득하는 시야각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시계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제1 시야각(1810)에 대한 제1 시계 정보(1850) 및 상기 제2 시야각(1820)에 대한 제2 시계 정보(186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제1 시점에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제1 시점에 획득된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제2 시점에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는 상기 제2 시점에 획득된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획득하는 시야각이 상이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외부 환경의 비중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되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시계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차량 외부 환경의 비중이 더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은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에 비해 상기 차량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상이한 시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시계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량이 좁은 골목을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2 위치(172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차량이 일반 도로를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3 위치(1730)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위치(1720) 및 상기 제3 위치(17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에 도시된 위치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되는 정도가 상이한 복수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CMS 장치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시야각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 후방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차량 외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시야각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차량의 외곽에 형성된 돌출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1000)가 상기 차량의 제1 배치 영역(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차량의 외곽 중 상기 제1 배치 영역(20)에 접하는 가상의 면보다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1910) 및 제2 돌출부(19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차량 도어 손잡이, 차량 타이어 가드, 차량 외곽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 외부로 더 돌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도 13의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차량 외부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대적인 돌출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보다 상기 차량 외부로 덜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차량 외부를 향해 회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보다 더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도 13의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1 돌출부(1910)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920)보다 상기 차량 외부로 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배치 영역(20)에 접하는 가상의 면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최외곽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배치 영역(20)에 접하는 가상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1910)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920)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도 13의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1 돌출부(1910)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920)보다 상기 차량 외부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배치 영역(20)에 접하는 가상의 면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최외곽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배치 영역(20)에 접하는 가상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1910)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920)까지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 및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는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식 CMS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획득하는 시야각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송출되는 시계 정보가 상이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출된 정도에 따라 상기 시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비중이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시계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는 제1 돌출부(19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돌출부(191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1910)로 인해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야가 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는 그라운드 상의 상기 차량(10) 후방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량이 좁은 골목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야각을 희생하더라도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덜 인출하여 좁은 골목을 통과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차체 외부로 인출된 도 13의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는 제2 돌출부(19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돌출부(192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 중 상기 제2 돌출부(1920)의 정보가 차지하는 정도는 차량 탑승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 중 상기 제2 돌출부(1920)의 정보가 차지하는 정도는 상기 차량 탑승자가 상기 차량 후방의 그라운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 중 상기 제2 돌출부(1920)의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 중 상기 제1 돌출부(1910)의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더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는 상기 제1 돌출부(19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돌출부(191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돌출부(1910)의 정보는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돌출부(1910)의 정보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0)에 송출되는 정보 중 상기 제1 돌출부(1910)의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제1 시계 정보(1850)에서 보다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에서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는 상기 제1 돌출부(1910) 및 상기 제2 돌출부(19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시계 정보(1860)는 상기 차량(10)의 외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차량(10)의 측후방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차량의 측 후방에 대한 소정의 시야각(21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에서 인출되거나 회전된 정도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이 형성되는 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은 그라운드 상의 소정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배치되는 차량의 종류와 관계없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상기 차량(10)의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라운드 상의 소정 지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시야각에 포함되어야하는 영역에 대한 기준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그라운드 상의 소정 지역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시야각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배치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배치 높이와 관계없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그라운드 상의 소정 지역을 포함하는 시야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에는 그라운드 상의 제1 지역(2110)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은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영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역(2110)은 상기 차량(10)의 측후방의 소정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역(211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량(10)의 탑승자는 상기 차량 내부에 배치된 룸미러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역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역(2110)은 복수의 포인트로 형성된 다각 형상의 내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역(2110)은 상기 그라운드 상의 가상의 포인트들로 형성된 가상의 형상 내부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포인트들의 위치는 상기 차량(10)의 위치를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포인트들의 위치는 상기 차량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포인트들의 위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되,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한 기준 가상 평면(2200)을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눈 위치 또는 운전석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 등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한 평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운전자의 시각에서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판단하여야하므로,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을 상기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인트는 제1 포인트(2111), 제2 포인트(2112), 제3 포인트(2113), 및 제4 포인트(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포인트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통해 획득해야하는 차량의 측후방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존재 또는 접근 등을 인지하기 위해 확보해야하는 시야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복수의 포인트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 변경 등을 위해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 대해 상기 복수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시야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포인트(2111)는 상기 차량(10)에 근접한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차량(10) 측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차량에 근접한 대상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1 포인트(2111)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소정의 시야각(2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인트(2111)는 제1 가상 평면(2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상 평면(23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의 위치에 대응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상 평면(23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상 평면(23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거리는 3m 내지 5m 범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포인트(2111)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에 포함된 제5 포인트(2115)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포인트(2115)는 상기 차량의 외곽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포인트(2115)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에 포함되는 지점 중 상기 차량의 최외곽 지점에서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한 가상의 선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차량의 최외곽 지점과 상기 제5 포인트(2115)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에 포함되되, 상기 그라운드에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포인트(2111)는 상기 제5 포인트(2115)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인트(2111)는 상기 제5 포인트(2115)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차량의 크기를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근접한 위치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운전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최후방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포인트(2112)는 상기 차량의 측방향의 근접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차량(10)의 측방향에 근접하여 위치한 대상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2 포인트(2112)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소정의 시야각(2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인트(2112)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려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측방에 대해서 시야를 확보해야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포인트(2112)는 상기 제1 가상 평면(2200)에 포함되되, 상기 제1 포인트(21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포인트(2112)는 상기 제1 포인트(2111)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인트(2112)는 상기 제1 포인트(2111)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포인트(2111)로부터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거리는 0.5m 내지 1.5m 범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근접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측방향에 근접한 위치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근접 거리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포인트(2113)는 상기 차량(10)의 후방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체를 기준으로 시야각에 포함되는 지역을 정의하기 위해, 상기 제3 포인트(2113)는 차량 탑승자의 시야를 반영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위치를 나타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룸미러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나, 상기 격납식 CMS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차량(10)의 후방에 대한 최소한의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포인트(2113)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소정의 시야각(2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포인트(2113)는 제2 가상 평면(24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제3 포인트(2113) 후방의 지역에 대해서는 상기 룸미러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룸미러를 통해 획득하기 어려운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3 포인트(2113)가 상기 소정의 시야각(2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상 평면(24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의 위치에 대응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상 평면(24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상 평면(2400)은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제3 거리만큼 이격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거리는 18m 내지 22m 범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포인트(2113)는 상기 기준 가상 평면(2200)에 포함된 제5 포인트(2115)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 포인트(2113)는 상기 제5 포인트(2115)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포인트(2113)는 상기 제5 포인트(2115)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거리만큼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거리는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안전 거리를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 거리는 주행상 안전 거리와 관련 없이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해야하는 최소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주행상 안전 거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해 상기 안전 거리 내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도록 상기 제3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 포인트(2114)는 상기 차량의 대각 방향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차량(10)의 후방 대각 방향에 위치한 대상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4 포인트(2114)가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소정의 시야각(2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대각 방향에서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대상체의 유무를 판단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4 포인트(2114)는 상기 대각 방향의 위치를 반영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 포인트(2114)는 상기 제2 가상 평면(2400)에 포함되되, 상기 제3 포인트(2113)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포인트(2114)는 상기 제3 포인트(2113)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포인트(2114)는 상기 제3 포인트(2113)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제4 거리 이격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4 거리는 3m 내지 5m 범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 거리는 옆 차량까지의 거리를 반영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차량 측방향의 최소한 하나의 차선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4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납식 CMS 장치가 차량의 옆 차선에 대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4 거리는 3m 내지 5m 범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4 포인트(2114)가 상기 차량의 대각 방향의 위치를 반영함에 따라 상기 제4 포인트(2114)의 위치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포인트(2114)가 상기 운전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3 거리만큼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4 포인트(2114)가 상기 차량의 대각 방향의 위치를 반영하기 위해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시야각이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도 13의 상기 제3 위치(173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시야각에는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모든 정보가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이 도 13의 상기 제2 위치(17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시야각에는 상기 제1 지역(211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역(2110)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 대한 정보가 탑승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역 중 제1 서브 지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0)의 시야각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서브 지역은 상기 제1 포인트(2111) 및 상기 제3 포인트(2113)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측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에 포함된 정보 및 그에 대한 시계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차량의 조수석 측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에 포함된 정보 및 그에 대한 시계 정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격납식 CMS 장치
2000 디스플레이부
3000 제어부
1100 카메라 모듈
1200 구동부
1230 동력전달부
1300 가이드부
1710 제1 위치
1720 제2 위치
1730 제3 위치

Claims (18)

  1.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격납식 CMS(Camera monitoring system) 장치로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동선 또는 제2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시야각이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해 확장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 또는 상기 제2 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향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격납식 CMS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이동시키는
    격납식 CMS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격납식 CMS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격납식 CMS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면은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격납식 CMS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선은 상기 커버부에 접하는 가상의 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격납식 CMS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커버부에 접하는 가상의 면 사이의 각도가 0도 이상인
    격납식 CMS 장치.
  11. 차량 후방에 대해 소정의 시야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격납되는 격납식 CMS 장치로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함 -; 및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와 상기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고,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상기 제1 동력전달부가 향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격납식 CMS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동선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동선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
    격납식 CMS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격납식 CMS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격납식 CMS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식 CMS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의 표면 및 상기 차량의 표면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어지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의 표면 및 상기 차량의 표면은 이어지지 않는
    격납식 CMS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10016476A 2021-02-05 2021-02-05 격납식 cms 장치 KR10250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76A KR102507359B1 (ko) 2021-02-05 2021-02-05 격납식 cms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76A KR102507359B1 (ko) 2021-02-05 2021-02-05 격납식 cms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35A KR20220112935A (ko) 2022-08-12
KR102507359B1 true KR102507359B1 (ko) 2023-03-07

Family

ID=8280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476A KR102507359B1 (ko) 2021-02-05 2021-02-05 격납식 cms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9453A (ja) * 2016-09-09 2018-03-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カメラ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621A (ko) * 2005-03-02 2006-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 감지 시스템
KR102277914B1 (ko) * 2017-07-10 2021-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9453A (ja) * 2016-09-09 2018-03-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カメラの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35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9474B1 (en) Overhead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US20140177064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422394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022896A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cover-mirror unit used for the same
JPH0472734B2 (ko)
JP200708622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4057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JP2006248323A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221070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0158034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設置方法
US11919391B2 (e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JP2019077327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CN218159459U (zh) 光学显示器、座椅及交通工具
JP2007022174A (ja) 車載用表示システム
KR102507359B1 (ko) 격납식 cms 장치
JP2003285687A (ja) 車載全方位カメラ
KR102419828B1 (ko) 격납식 cms 장치
JP2005067555A (ja)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0161954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設置方法
JP2023145450A (ja) 車載機器
JP2009222882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EP3683615A1 (e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WO2020090187A1 (ja) 虚像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2044136A (ja) 表示制御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制御方法
WO2019176448A1 (ja) 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